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光州郡 本村面 日谷里盧軫永 展(피봉_뒷면)陵山里 場所內.(簡紙)謹拜白菊晩貴體候益之康旺. 就今月三十日本契會想應諒存矣. 事務去益浩大, 更加銘念, 伊日午前九時, 一齊 光臨之地, 伏望.丁卯九月二十二日, 講信有司 宋景燮, 李桂龍, 朴鳳煥, 金容九.盧軫永 殿.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갑오년 월성최씨(月城崔氏) 연길단자(涓吉單子)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月城崔氏 鄭生員 月城崔氏<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오년 9월 25일에 신부측인 월성최씨가 신랑측인 정생원 댁에 보낸 연길단자 갑오년 9월 25일에 신부측인 월성최씨가 신랑측인 정생원 댁에 보낸 연길단자이다. 혼례 날짜는 10월 21일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인년 물목단자(物目單子)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査兄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인년 3월 13일에 사돈댁에 보낸 물목단자 병인년 3월 13일에 사돈댁에 보낸 물목단자이다. 의롱(衣籠), 상자(箱子), 함(函)을 비롯한 가구와 옥양목(玉洋木)이나 저포(苧布) 소재의 상하의, 거울[面鏡], 빗, 신발, 가위, 요강 등의 여러 생활 도구가 수량과 함께 적혀 있고, 돈 13원이 포함되어 있다. 혼인하는 신부의 물목단자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7년 김달오(金達伍)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羅州牧使 金達五 牧使<押> 羅州牧使之印(7.1x7.1), 周俠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789 1867년 나주목에서 호주 김달오에게 동년의 호적대장에서 해당 부분을 등서하여 발급한 준호구 1867년(고종 4) 나주목(羅州牧)에서 호주 김달오(金達伍)에게 동년(同年)의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하여 발급해 준 등본 성격의 준호구로 열서(列書) 형식으로 기재되어 있다. 김달오의 거주지는 나주목(羅州牧) 하의도(荷衣島, 현 전남 신안군 하의면에 속한 섬) 어은촌(於恩村) 오가작통 순번 제3통 7호이다. 직역은 한량(閑良)이고 올해 나이는 58세 경오생(庚午生)이며,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김달오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한량 성인(聖仁), 할아버지 한량 필봉(弼逢), 증조(曾祖) 한량 상건(尙巾), 외조(外祖) 한량 박득대(朴得大)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김달오의 아내 황씨(黃氏)는 나이 54세 갑술생(甲戌生)이고 본관은 장수(長水)이다. 황씨의 사조는 아버지 한량 석용(碩用), 할아버지 한량 헌(憲), 증조(曾祖) 한량 하지(何知), 외조 한량 정미(鄭美)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이외 가족 구성원으로 동생이 있는데 이름을 달표(達表)에서 의두(宜斗)로 바꿨으며, 나이는 41세 정해생(丁亥生)이다. 김달오(金達五)로 표기되어 있는 준호구에는 그의 생년이 모두 '경오생(庚午生)'이 아닌 '기사생(己巳生)'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외 가족사항 등의 내용은 달오(達五)와 달오(達伍) 모두 동일하다. 문서에는 나주목사(羅州牧使)의 관인(官印)과 서압(署押) 및 주협자개인(周俠字改印)이 찍혀있으며, 1864년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갑자호구상준(甲子戶口相凖)'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1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자생 남성 망자의 장택기 갑자생 망자의 장택기이다. 장택기는 장례의 기본 요소인 장지(葬地)와 장일(葬日)의 선택내용과 이에 따른 각 절차의 방위 및 기피 사항 등을 기록한 문서이다. 망자는 갑자생의 남자이며, 주상(主喪)은 경자생 아들과 기유생 며느리, 갑자생 손자와 기미생 손부이다. 안장일은 2월 12일이고 하관은 신시(辛時)이다. 묘 쓸 자리의 땅을 파는 날은 1월 28일 오시이고 남쪽부터 파기 시작하며, 기피해야할 날짜는 매월 6일과 16일, 26일, 신일(申日)을 피하라고 하였고, 혈의 깊이는 지사(地師)에게 물으라고 하였다. 이보다 앞서 사망한 을축생 아내 합장을 하려고 하는데 이를 구광(舊壙)이라고 적었다. 구광을 파는 날은 2월 10일 진시(辰時)에 남쪽부터 파기 시작한다고 하였다. 널이 나가는 것은 적당한 시간에 한다고 하였다. 묘자리에 도착해서 안장하는 절차에 해당하는 정구(停柩), 취토(取土), 물복(勿伏)은 길하거나 피해야할 방위를 기록한 것이다. 주당(周堂)은 입관할 때 피해야 할 가족 구성원을 기록하는 것인데 이 경우는 없다고 하였다. 문서 하단의 4행은 조명(造命) 또는 조명사과(造命四課)로 매장 연월일시의 간지를 쓴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日來固知便音之○惠 然而時日 不忘于心矣 貴价之來 又承○惠書 欣喜難量 更請謹回兄候連衛萬重 閤節亦何如 仰慰溯不任勞祝 弟狀印昨而荆憂以大小便不通至今彌留 而方連用藥劑 然姑無見效 俯憐何喩 示中安東之人說無論高下 而可否打破可也 而一邊則無定處云 更詳知而通奇爲好耳 冊紙則鄙處無願買者 故還完耳 餘萬匪久面叙 不備謝禮辛亥七月卄五日 弟 載坤 謝(皮封)謝上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白露蒼葭 別後所懷正苦人遐之歎 謹問日間兄棣候連衛萬重閤節俱穩否 仰慰不任 千萬勞禱 弟再昨邑府之行 所營事一無如意且鬣者亦姑未買得 事事愁乱 發程計策 無頭緖 此將奈何 水城洞老人者 更對否 未知事機之如何 然想必難恝之誼 故錢文七十數 委伻付送 四十貫則水城洞老人家所送也 三十數則○兄亦黙會之矣 馬貰則當此便付送 然未知焉之辦得 故姑未仰呈耳 餘萬都留 匪久面叙 姑不備書禮辛亥八月卄二日 弟 載坤 拜發程以卄四日爲定 水城洞老人許通奇■ 斷斷同行爲好耳(皮封)玉山○棣座○執事茅坪謹候書 謹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秋涼入郊 方切葭露之懷 卽拜崇翰 就審侍候萬重 何等慰賀之至益老親節 間多愆損 悶何容喩 外它愁擾之端不欲提陳於○崇聽也每有懷仰之心 而以書探候 亦不容易 尤切悵黯 今因○貴族之來訪 細承○近節 我心爲降 而逢際則無期 只恨湖水嶠山 間其間而遏遞也 餘適撓 略伸謝儀 不備 謹候狀丁未流月念二 宋益老 拜(皮封)謹謝上[着名] 拜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省式言 秋雨腦人 懷仰政苦 料外得拜○惠䟽感極之至 謹審侍奠餘棣候 連衛萬支 諸節亦勻穩 哀慰賀區區不任之至 弟依昔潰潰 而京直從亦安過 然近遭覺里喪變 昨日還家耳 示中一顧之惠 尤極感極感 而若待世累小間則 何時其然也 奉呵奉呵 四貫同 依○敎伴送 考領如何 餘萬來伻立促姑不備䟽禮庚戌七月念六日 弟 辛載坤 謝䟽(皮封)玉溪○哀座○回納茅坪謝䟽 謹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涓吉單子)奠鴈庚午十一月二十七日庚午庚午十月二十九日安東孫[着名](皮封)涓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婚書)伏承 寵翰伏惟冬令尊體震艮萬福仰賀區區第家兒親事旣蒙柱單私家之慶幸涓吉依 敎錄呈章製回示亦如何謹伏惟尊照 謹拜謝上狀丙午十月二十六日平山申義均 拜謝(皮封)謹拜謝上狀郭生員 下執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元吉十一月十九日際丙午十月念六日平山申[着名](皮封)涓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全羅南道 康津郡故郡內面 樂山里 洞 第四統 第三戶戶籍表第 號, 註明戶主: 朴章鉉, 年: 四十六, 本: 密陽, 職業: 儒業, 前居地: 久居, 移居月日:父:生父: 載彬祖: 千益曾祖: 雄俊外祖: 金快甲同居親屬 :奉母 金氏妻 金氏率子 潤瑗婦 金氏次子 潤統三子 潤成四子 潤玉女息 一寄口: 男 口 女 口雇傭: 男 口 女 口現存人口: 男七口 女四口, 共合: 十一口家宅 : 己有 瓦 間 草 三間, 借有 瓦 間 草 間, 共合: 間光武三年二月 日 郡守 申性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一阻三載 悵懷常黯黯料襮承拜惠書藉重秋霖侍候有愆節 不勝貢慮其間果至勿藥 而渾節更若何 區區仰溸之至 弟親候姑依私幸 而歲前後荐遭家內喪變 悲慟?度耳 再從叔言不知何處虛傳 而致受從作貴邑之行 尙今未還 意必歷訪兄處耳 所送諸種 多感多感 而諸處送物 依敎則送耳餘忙不備謝禮癸卯八月十日 弟極永拜弟家有堂叔母烈婦呈狀事 貴邊諸人處多受名帖 俟後便書送如何令伯氏丈京行 近已返旆耶 忙未脩候 恨意上達如何【피봉】玉溪 侍案 回納坪明謝書 謹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婚書)伏承華翰伏惟春仲尊體動止淸穆慰溯規規第孫女阿親事旣承星單私幸孰大於是涓吉依 敎仰呈章製回示如何謹宣伏惟尊照謹拜謝上狀戊辰閏二月十五日一直孫亮晋 再拜(皮封)謹拜謝上狀郭生員 執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婚書)伏惟孟冬尊體震艮萬重仰慰規規之忱第女阿親事敢承柱單私分之幸涓吉依敎錄呈 章製 回示之如何謹宣伏惟尊照謹拜謝 上狀庚午十月二十九日安東孫亮皓 再拜(皮封)謹拜謝上狀郭生員 下執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光山郡 芝山面 日谷里蘇海亭內▣▣先生 永淇氏(피봉_뒷면)全北 沃溝郡 瑞穗面 馬龍里 盧鎭玉 上.(簡紙)拜復惠翰, 感荷實深. 伏詢老炎尤熾尊體萬重, 慰賀斗大. 生侍狀姑依耳. 就白, 示意謹悉, 而爲其同家者, 彼不翼如, 伊日躬晋, 忝末獻酌爲料. 餘在日後面謁, 不備謝禮上.庚辰七月四日, 生 盧鎭玉 二拜上.高在淵先生朴柱庠先生前, 忙未各幅, 以此雷照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間阻殊悵 卽此便來 承拜惠書 足敵對話 謹審霜令侍餘僉兄候萬安 舍妹亦無病 仰慰 而第兩兒之腹瘧 聞可悶也 非時此症猝難離却 多服蜈蚣 則可責效試用如何 柱單依示受送 而頃者弟云 豈爲受許以送 則亦安有先書之嫌耶 成禮須以未寒前擇日如何 遠路往來可畏也 便人似有種種續候 不備拜謝壬辰閏月十六日 弟 金錫禮拜木花十三斤送之 傳于舍妹如何【피봉】玉溪僉侍案 回納坪湖拜謝書 省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玉溪僉侍案回納戀頭便來 承拜惠書 謹審侍餘僉兄履增衛仰慰而第茅坪患候非細聞不勝驚慮 舍妹將穉姑無頉是慰 弟姑依 而舍仲猝定搬移之計 似難中止 愁亂不可言 蓬谷醮禮 以至八大定 而不可以寒事進退吉日云 今適出外 而歷入蓬谷 暫此寄謝 不備拜壬閏念八 弟錫禮拜【피봉】玉山棣座下執事旺洞謹候狀東上宅 省式謹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葭蒼露白 褱仰益切 卽於院便 得見抵家侄書 槩審僉侍餘動靖衛重 舍妹亦將穉無頉 何等仰慰 弟齒痛也腰痛也 諸般雜病 無非衰狀 頓何 惟一家內大都一安爲幸耳 丁兒尙無定婚處 可悶 若有好處 則安得不指示也 院事大有鬧端 爲之代悶奉際未易 臨楮悵悵來隷立促曉草 暫此不備拜候甲辰八月三日 弟錫禮拜【피봉】玉溪僉侍座入納坪湖謹候狀 謹封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