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병인) 二十八日 丙寅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20일 二十日 추웠다. 김 동지를 위해 만시(挽詩)를 대신 지었다.한 가닥 영서처럼 마음이 밝게 통하니8)(靈犀一點暗通明)젊어서부터 맺은 교유의 정 형제와 같네(自少交情若弟兄)이품의 높은 직함 자헌대부에 오르고(二品崇啣資憲秩)칠순의 큰 복에 자손들도 빼어나네(七旬胡福子孫英)지팡이9) 짚고 느린 걸음으로 찾아뵈니(鳩笻緩步曾相訪)백발의 늙은이 온화하게 맞아주었네(鶴髮雍容底處迎)조만간 머나먼 저승길을 따라가리니(早晩長隨泉下路)만가 부르며 북망산 가는 길 먼저 전송하네(輀歌先送北邙塋)저녁에 우연히 독감에 걸려 밤새도록 크게 앓았다. 寒。 爲金同知代述挽詩曰: "靈犀一點暗通明, 自少交情若弟兄。 二品崇啣資憲秩, 七旬胡福子孫英。 鳩笻緩步曾相訪, 鶴髮雍容底處迎。 早晩長隨泉下路, 輀歌先送北邙塋。" 夕間偶得毒感, 達夜大痛。 영묘한 무소 뿔 영서(靈犀)는 영험한 무소의 뿔을 말하는데, 흔히 마음이 서로 통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특히 무소의 뿔 가운데 백색의 무늬가 양쪽 끝으로 통해 있는 것은 그 감응이 아주 빠르다고 한다. 중국 만당 시기의 시인 이상은(李商隱, 812~858)의 〈무제(無題)〉에 "몸에는 쌍으로 나는 채봉의 두 날개가 없고, 마음에는 서로 통하는 한 가닥 영서가 있네.[身無彩鳳雙飛翼, 心有靈犀一點通.]"라고 하였다. 지팡이 원문의 '구공(鳩笻)'은 손잡이 부분을 비둘기 모양으로 조각한 지팡이로 예전에 임금이 나이 많은 신하에게 비둘기처럼 소화를 잘 시키라는 의미에서 내려 주었는데 구장(鳩杖)이라고도 한다.《後漢書 志5 禮儀中》 《呂氏春秋 仲秋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觀音窟 窟在義相臺北相望之地老釋曰此窟卽觀音現身之所而通山下三十里云果然否普陀庵卽觀音窟上空中樓閣也前檻架壑後檻壓海裊裊若倚矴之舟拓窓望洋眩花纈眼憑罅俯窟寒粟遍體危哉然而若假以一塊北風簸盪層濤則可聽石鐘函胡而海日淸晶無一點天籟可恨紅蓮庵與普陀庵相隣而在山腰稍平之地庵外石頂有觀世音空中舍利碑○椒泉翁詩曰穿山遵海遍游東玆地登臨最壯雄日出扶桑先睹快波衝石竇自鳴空此間云是觀音現天下難知造化工乍坐佛軒還凜栗憑虛萬里御長風架空縫罅一樓危怒石驚濤不自持大地三千疑欲動浮生半百見初奇風生碧檻鴻毛薄日湧雕甍蜃氣吹可笑觀音心力費爲今游客挽衣遲○二十一日己亥朝晴旋陰一雨淋漓終日又夜○別襄陽倅及祥雲丞朝發洛山寺四十里神興寺中火雨中訪飛仙臺臥仙臺回入神興寺留宿【來往十里終日襄陽支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續自警箴 【幷小序】 昔我童子時癖于小數廢卷忘食殆將發病一朝忽然猛省著自警箴三十二字揭之座右以見訟 舊愆戒來轍之意而今老大之年宿祟復萌攘馮婦之臂踏劉毅之步往往落坑塹之關雖出於飽食不用心之餘而抑無讀書不篤其於收放心工夫上終不能無歉故也孔子之不惑孟子之不動心尙 矣無論而嗟我四十有三年反不如十餘歲時心工耶今我是古我則今我之心亦古我之心也何其一人之心前後歧貳以我觀我不能免截作兩叚乎雨夜旅屋臥念疇昔不覺蹶然起坐更著自警箴大一篇以寄憤歎且備考證滄洲之重磨古鏡南塘之敢告靈臺不敢擬議而寓於常目念念在玆則從今以往儻或能弗陷大盭而亦可免四五十無聞之議也否大方君子幸勿以人與文而嗤薄之也歲己酉夾鍾月戊午日鍾鳴而寤湛我神思我思維何古人文字鬚髮易老羲娥如駛往愆莫追來譽可致周保有言玩物喪志器玩尙戒矧玆雜戱勝則害仁敗則害義陸家達論見得精緻匪賭伊閒害止於二重以大投百害隨至勝固難必敗是常事務得傷禮狼失傷智得非已有失將誰諉勝敗得失喪德者四自歸癡騃終被嘲詈空費精力浪抛糧餽年紀老大嗟如童稚受人頣指前跋後疐不惑不動撫躬自愧博奕猶賢聖有奧意詬以牧奴韙哉陶帥曰惜分陰砭我根祟優游經史自有樂地賢聖繩墨文章鼓吹鑑戒柯則今古具備壁懸洪鍾堂列珍器旨如膏香宜口宜鼻外撲面塵內沃心醉書曰有獲易稱攸利昨非今是判作兩位利害獲喪不可同議義禮智仁如鳥有翅淨掃靈臺神馬收轡愓然猛省恐虧一簣尖奴叅訂昭揭常視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中臺 自淸凉館二十里抵上院庵自上院五里抵中臺爐殿自爐殿又五里登中臺統計三十里之境超壑驀溪將不知爲幾百折樹木間閉眼經過且爲半日忽到幾層中臺始開眼周覽便覺宇宙廣大中臺卽五臺主脈前後遮案左右拱包較諸史閣穴局更加雄壯正脈有寂滅寶宮其下云是如來藏骸處寂滅宮只是丹靑空宇曾有一髡奉佛於其中忽於一夜佛身落在殿外此乃如來靈驗云而其眞然否階前有數三小穴深可爲四五寸俱是自陷雖塡旋陷云而未曾試也可訝殿後有重重聚石如叢臺問諸緇徒亦未能詳抑未知其中藏如來骨歟上有毗盧峯高不知爲幾千仞雖欲躋攀末由也已大抵中臺一局儼如大德君子端拱在座左右兒孫趨走擁護含媚露姸各呈秀色在傍觀瞻眩耀難言也爐殿在中臺下層五里許而傍有甘露水穿山底一小穴揷木筧引水入大匝桶涓涓不涸其下有兒戱小木碓庭戶外有兩三小桂樹椒泉翁入爐殿飮甘露水恰滿三瓢子拄枯藤登中臺少不喘息快可爲年少輩壯游一助也歟輕釐草屐拄枯藤白日中臺羽化登寂滅官前雲萬里毗盧峯下石千層先天緣業非仙否缺界浮生悟道能半日穿來幽暗裏忽臨高頂兩眸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烏竹軒【自官十里】 軒有烏竹故以爲名中有夢龍室【金相鍾秀題額】卽栗谷先生嶽降之所也此室盖先生母家申氏所居而本孫無傳今爲權氏所占權氏祖先與先生同爲申氏宅相而居長故仍世守不失云南楣曰烏竹軒東壁曰謹獨庵皆遂庵先生手寫軒之東有御書閣【正廟朝引臺臣烏竹軒主人權漢緯問先生遺蹟使進擊蒙要訣及手寫古硯仍親製硯銘及要訣序以賜權臺命該道臣建閣寶藏】硯背銘【御製御筆】涵婺池象孔石普厥施龍歸洞雲潑墨文在玆○陪椒泉翁同爲奉審主人權敎正出迎饋以茶果審軒錄題名軒壁有三淵退漁諸賢題咏○退漁詩海山萬疊碧岧嶢淑氣千年鬱不凋曾降大賢開後學尙留遺宅聳層霄呵餘古硯花猶結手草要言墨未消小子今來增仰止鏡湖源接遯溪遙【遯溪卽沙溪先生所居連山村名】○烏竹軒臨湖海濱至今軒與竹相隣敎成猪啗承賢母運値龍飛見大人已障百川撑一柱將回暮夜作淸晨明堂未構樑先折志士千秋怨鬼神○敬次楣上韻【揭板】綠軒呂畵帶嶕嶢洞裏孤村賴不凋龍夢舊捿元有地烏皮老箘又干霄蒼蒼蒲荇寒潭出歷歷桑麻淡靄消門外駐鞭怊悵立夕陽梅鶴海天遙故宅淸晶近海濱水明山秀卜爲隣元來基業由賢母更覺坤靈降哲人古硯珍藏傳有日要言圭復融如晨經邦遠慮嗟何在志士于今倍愴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奉陪彩輿路中有感 追念先朝時賤臣以堂后及騎郞昵講筵叨陪僊丈獲瞻天顔恭聆玉音豈意十餘年來萬事都歸滄桑今以遐郵末班秪奉琬琰之寶遠隨名山之役餘榮尙存而其所愴慕天地茫茫○椒泉翁途中偶吟詩曰驅馬秋風入峽深巖稜石齒㧾關心丁寧奚獨征夫戒官海元來等谷臨○鶴城口占詩曰晴秋景物正堪憐雉嶽山光更洗姸數羣粉黛官娃艶一路澄淸刺史賢慚愧老夫惟白髮風流內翰好靑年此行秪爲賞楓嶽明早俶裝又向前秋雲玉馬影空虛尙有奎虹百丈噓漠漠名山留石室啾啾繁管擁花車靑袍內翰煙霞裏白首尙書雨露餘怊悵十年簪佩物奉陪今日意何如○十二日庚寅朝大霧而晝晴○曉自丹邱往鶴城館【原州舊號】謁春秋堂上又見史官仍發夫馬差使之行【曝曬一行與原判陪彩輿前進余以夫馬都差員隨後而往歷入丹邱得喫朝飯】四十里神林【丹邱屬驛】中火【楊口支應○縣監朴初壽蔭】四十里酒泉宿所【寧越支應○府使成好謙文嘉善○丹邱陪行下人隨陪全永九通引全萬植急唱奴順吉德寬使令奴八福萬俊書者四名騎橫溪馬】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경자) 二十六日 庚子 흐림. 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25일 二十五日 몹시 추웠다. 병세가 조금 나아졌으나 끝내 완쾌될 기약이 없으니 걱정스럽다. 전해 듣기로는 이러한 병증은 양서(兩西) 지방에서 두루 퍼져서 아프지 않은 사람이 없고, 또 사망자가 많아 큰 고을의 경우는 하룻밤에 4, 5십 명이 죽었다고 하니 매우 두려운 일이다. 極寒。 病勢稍減, 而終無快完之期, 可悶。 傳聞此症, 自兩西彌墁, 無人不痛, 又多死亡, 至於大邑府, 則一夜所亡四五十云, 極可懍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安昌村舍夜吟【自拱北門抵安昌三十餘里】 向於歷辭時椒泉尙書公獨謂余曰君之此行只可以金剛爲慰余雖唯唯而退自口語於心曰竊聞丹邱之於金剛同爲一省而相距爲六七百里之遠則以若淸貧督郵實難力致矣金剛之慰其然豈然忽於今日尙書公以知春秋承史命東下余以公例領夫馬出待境上遠鄕邂逅實如夢寐私心欣慰已倍曩昔而顚倒晉候纔發寒暄數語遽承金剛同遊之誨【一邊分付該營吏使之往復棠軒定以爲都夫馬差使員俾無公私窘跲之端】然後名山之行乃有一事可假副此附驥之願恰如麻姑烏爪爬得蔡經之背癢喜而欲狂大過所望余以爲五臺山之大曝曬卽我金剛山之大鋪叙也○椒泉翁平邱驛舍詩曰朝日辭金闕秋風向五臺言勞縱未敢强病正堪唉美膳官廚供新醪野店開最難幼子戀應夜夢中來○楊根道中詩曰先朝謨訓符河洛將向名山祕閣尊白首老臣餘舊淚靑袍內翰耀新恩溪橋斷續自流水驛柳蕭疎半掩村滿野黃雲秋漸熟降康天意慰元元○崎嶇峽路最間關纔過一山更有山回首紅塵知漸遠脫然俗累也消刪○向安昌詩曰松峙東西兩界分鶴城太守待候勤漸遙京洛雖多悵將近仙區是便欣日暮山顚更邀月秋晴洞裏自生雲一行投抵安昌宿驚吠村尨皷角聞日永藍田苦未消西來一舍借逍遙山明秋氣參如證野熟村容賴不凋雲外小輿曾此路月中荒店又今宵迢迢坐計楓千嶽獨向深燈破寂寥○十一日己丑朝霧而晴○朝發安昌【以春川支應吏不善擧行事爲京折郵卒所敺打過夜風浪極爲駭怪所謂差使員朝未得一飯喫而發可嘆】與本倅奉陪彩輿來到原州【曝曬一行中火仍止宿于儐館】入棠軒謁使家回到丹邱得喫夕飯乘月更入棠軒以明朝領夫馬出去事仍爲下直回入儐館謁春秋堂上又見史官回歸丹邱歇宿【自安昌返丹邱又出入營門共五十里有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무신) 四日 戊申 갬.〈유광록의 소시(小詩)에 화운함〉(和柳光綠小詩)세속(世俗) 일은 모두 잊고,(世俗渾忘了)도의(道義)의 기풍만을 숭상해 왔지.(尙來道義風)주자의 글은 공자 맹자를 전한 것이니,(朱書傳孔孟)함양하면 그 중(中)을 얻으리.(涵養得其中)다섯 그루의 버들과 두 그루 오동나무는 문 앞 우물가에 심어두고,(五楊柳 二梧桐은 門前井上 심어두고)여러 포기 국화와 한그루 푸른 솔은 울타리 안으로 옮겼도다.(數叢菊 一靑松은 籬下園中 욍게도다)아마도 이곳의 손님은 북쪽 창문으로 놀러 온 맑은 바람이겠지.(아마도 이곳에 손되기 질긔난바 北窓淸風)〈광록의 소시〉(光綠小詩)어리석은 세상 사람들아,(蚩蚩擧世人)오랑캐 풍토에 빠지지 말세.(莫爲戎狄風)옛날 공자 맹자의 도는,(古之孔孟道)주자의 글 속에서 나온다네.(因發朱書中) 晴。〈和柳光綠小詩〉世俗渾忘了。尙來道義風.朱書傳孔孟。涵養得其中.五楊柳 二梧桐은 門前井上 심어두고。數叢菊 一靑松은 籬下園中 욍게도다.아마도 이곳에 손되기 질긔난바 北窓淸風.〈光綠小詩〉蚩蚩擧世人。莫爲戎狄風.古之孔孟道。因發朱書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병오) 二日 丙午 흐리고 밤에 비. 陰夜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정미) 三日 丁未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계묘) 二十九日 癸卯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신축) 二十八日 辛丑 갬. 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월 六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갑진) 初一日 甲辰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을사) 二日 乙巳 흐린 후 갬. 先陰後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신축) 二十七日 辛丑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기해) 二十五日 己亥 맑다가 흐림. 엊그제 어린 손자를 데리고 와서 유숙(柳塾)에 입학시켰다. 그(손자)의 아비가 오자 애친지심(愛親之心)이 더욱 도타워져서 배움을 버리고 가버렸다. 거연히 기술한다.내가 배움으로 이끈 것은 성(性)의 욕구이며, 네가 부모를 그리워하는 것은 성(性)의 이치이다. 성의 욕구란 것은 배우는 것을 좋아하고 선(善)을 좋아하며, 성의 이치란 것은 양지양능(良知良能)1)함이다. 나와 너 사이에는 추구하는 것[趨向]이 같지 않으니, 나의 뜻대로 하고자하면 너의 뜻을 어기는 것이고, 너의 뜻대로 하고자하면 나의 뜻을 어기게 된다.대저 일찍이 위인지리(爲人之理)에 대해 논했으니, 공자는 이르기를, "일음 일양을 도라고 하니, 그것을 잇는[발하는] 것이 선이고 그것을 이룬 것이 성이다.[一陰一陽之謂道, 繼之者善也, 成之者性也.]"2)라고 했다. 성(性)이란 것은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인데, 맹자는 사단(四端)으로 끄집어내어 말하였고, 정자(程子)3)는 이것을 미루어 상달(上達)4)하였다. 지극히 고요한 가운데 이르러서 원래부터 이 이치가 있으며, 무성무취(無聲無臭)하고 혼연히 온전하게 갖추어져 있다. 진실 무망5)한 것이 성(誠)이다. 때문에 성(誠)이 속에 있는 것을 신단(信端)으로 끄집어내어 말한 것이다. 이것 또한 맹자의 본래 뜻이다.그러나 얕은 견문과 지식으로는 두루 알기가 쉽지 않다. 가만히 ≪근사록(近思錄)≫의 한 단락을 생각해보니, 인(仁)에는 자애(慈愛)하고 온화(溫和)하다는 의미가 있고, 의(義)에는 참렬(慘㤠)하게 결단한다는 의미가 있다. 예(禮)에는 선저(宣著, 드러냄)하고 발휘(發揮)한다는 의미가 있고, 지(智)에는 수렴(收斂)하되 흔적이 없게 하는 의미가 있다.6) 이 네 가지의 의미는 곧 춘하추동(春夏秋冬)의 사계절이 유행하는 기상이다.음양(陰陽)으로 총괄해보면, 온화하고 선저한 것은 양이고, 참렬하고 수렴한 것은 음이다. 오행(五行)에 해당시켜 보면, 온화·선저는 목(木)과 화(火)에 해당하고, 참렬과 수렴은 금(金)과 수(水)에 해당한다. 이 네 가지에 기왕(寄旺, 붙어서 왕성함)하여 성실(誠實)한 것이 토(土)이다. 천도(天道)의 원형이정(元亨利貞)은 곧 이것일 뿐이다.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원형이정은 천도의 떳떳함이요, 인의예지는 인성의 벼리이다.[元亨利貞, 天道之常. 仁義禮智, 人性之綱]"7)라고 하였다. 이는 실로 하늘과 사람의 이치로, 꼭 맞아떨어져 흠잡을 데 없는 말이다.하늘과 사람 사이에 소이연(所以然, 그렇게 되는 까닭)은 태극(太極)이요, 소연(所然, 그렇게 되는 현상)은 음양오행(陰陽五行)이다. 그렇다면 태극은 이(理)요, 음양오행은 기(氣)이다. 다만 이러한 이와 기가 엉기고 교감하여 천지가 처음 열렸으니, 천지 사이에 가득한 것은 모두가 이와 기로, 만고(萬古)토록 유행(流行)하고 만물(萬物)을 화생(化生)한다.사람이 이 이치의 온전함을 품부 받아서 선으로 발현하고 성으로 이룬다.8) 성의 양지양능을 누가 그것을 막을 수 있으며, 누가 그것을 빼앗을 수 있겠는가? 너의 능한 것을 따르고 나의 인도한 바를 생각하여 지키고 잃지 말지어다. 陽而陰。再昨率穉孫以來。 入學于柳塾。渠父之來。 愛親之心尤篤。 捨學以去。居然述之。余之引學者。 性之欲也。 汝之戀親者。 性之理也。性之欲者。 好學好善也。 性之理者。 良知良能也。余汝之間。 趨向不同。 欲遂余志。 咈汝志也。 欲遂汝志。 咈余志也。盖嘗論乎爲人之理。子曰。 "一陰一陽之謂道。 繼之者善也。 成之者性也。" 性也者。 仁義禮智信也。 孟子剔出四端而言之。程子推此上達。以至於至靜之中。 元有此理。 無聲無臭。 渾然全具。眞實無妄者誠也。故以誠在中者。 惹出信端而言之。此亦孟子之本意也。然淺見薄識。 難可容易周識矣。竊想 ≪近思≫一段。 仁有慈愛溫和底意思。 義有慘㤠强斷意思。 禮有宣著發揮底意思。 智有收斂無痕跡意思。此四意思。 卽春夏秋冬四時流行底氣象也。總之於陰陽。 則溫和宣著者陽也。 慘烈收斂者陰也。敷之於五行。 則溫和宣著者木火也。 慘烈收斂者金水也。寄旺於四者。 以誠實者土也。天道之元亨利貞。 卽此而已。朱子曰 "元亨之利貞。 天道之常。 仁義禮智。 人性之綱。" 此實天人之理。 脗合無間之語也。天人之際。 所以然者。 太極也。 所然者。 陰陽五行也。然則。 太極者。 理也。 陰陽五行者。 氣也。只此理氣。 絪縕交感。 肇判天地。 則塞于天地間者。 都是理氣。 而流行万古。 化生万物。人禀此理之全。 而繼以善。 成以性也。性之良知良能。 孰能禦之。 孰能奪之。從汝所能。 思余所引。 守以勿失也。 양지양능(良知良能) 양지는 저절로 아는 것, 양능은 저절로 능한 것을 말한다. 맹자가 이르기를 "사람이 배우지 않고도 능한 것은 양능이요, 생각하지 않고도 아는 것은 양지이다.[人之所不學而能者, 其良能也. 所不慮而知者, 其良知也.]"라고 하였다.(≪맹자≫ 〈진심상(盡心上)〉) 일음일양을 …… 이다 ≪주역≫ 〈계사 상(繫辭上)〉 제5장에 있는 구절이다. 정자(程子) 중국 송나라의 정명도(程明道, 1032~1085)와 정이천(程伊川, 1033~1107) 두 형제를 말한다. 상달(上達) 공자는 "군자는 상달(上達)하고 소인은 하달(下達)한다."라고 하였고, 또 "나는 아래로 인간의 일을 배우면서 위로 천리(天理)를 체득하는 사람이다.[下學而上達]"라고 하였다.(≪논어≫ 〈헌문(憲問)〉) 진실무망(眞實無妄) 주자(朱子)가 ≪중용≫ 제16장 "무릇 미세한 것이 나타나니, 정성을 가릴 수 없는 것이 이와 같다.[夫微之顯, 誠之不可揜, 如此夫!]"에서의 '성(誠)' 자를 풀이하면서 "진실하여 허망함이 없는 것이다.[眞實无妄]"라고 하였다. 인에는 …… 의미가 있다 주자의 말로, ≪주자어류≫ 권6 〈성리(性理)3〉과 ≪성리대전서≫ 권30 〈성리(性理) 8〉에 나온다. 원형이정은 …… 벼리이다 ≪소학집주(小學集註)≫ 〈소학제사(小學題辭)〉에 나온다. 일기 원문에서는 '元亨利貞'에 대해 '元亨之利貞'이라고 잘못 표기하고 있다. 선으로 …… 이룬다 ≪주역≫ 〈계사전 상〉에 "한 번 양(陽)하고 한 번 음(陰)하는 것이 도이니, 이것을 잇는[발현하는] 것이 선(善)이고 이것을 이루는 것이 성(性)이다."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