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일(무자) 十六日 戊子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임진) 十九日 壬辰 맑음. 종손인 용직(容稷)의 사랑(舍廊)에서 놀았다. 陽。遊於宗孫容稷舍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병술) 十四日 丙戌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정해) 十五日 丁亥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정축) 八日 丁丑 비가 흡족하게 내림. 雨洽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을해) 七日 乙亥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병자) 八日 丙子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정축) 九日 丁丑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계유) 六日 癸酉 맑음. 〈세이가(洗耳歌)〉를 지었다.귀를 씻세32) 귀를 씻세 누가 귀를 씻을까.(洗耳洗耳孰洗耳)바로 영천수에서의 허유라네.(潁川水)인간이여 인간이여 인간을 벗어나니,(人間人間出人間)하상(河上)의 노인이33) 허공에 앉을 수 있구나.(河上老能坐空)인을 이루세 인을 이루세 어떻게 인 이룰까.(成仁成仁孰成仁)멱라수34)이니 어찌 홀로 깊으리.(汨羅水奚獨深)뗏목에 오르세35) 뗏목에 오르세. 뗏목에 오르고 싶은 것은,(乘桴乘桴欲乘桴)구이(九夷)36)에 살고자 함이니 곧 우리 동방이라네.(九夷居卽吾東)우리 동방이여 우리 동방이여 우리 동방이로다(吾東吾東吾東兮)바로 하늘이 구획해준 별천지로다.(天區別)저 동방에 살지 않은 자들이 어찌하여 분분히 혼탁함을 따라서,(彼無東如何紛紛隨混濁)우리 동방으로 하여금 애가 끊어지게 하는가?(使吾東堪斷腸) 陽。作〈洗耳歌〉。洗耳洗耳孰洗耳.潁川水.人間人間出人間。河上老能坐空.成仁成仁孰成仁.汨羅水奚獨深.乘桴乘桴欲乘桴。九夷居卽吾東.吾東吾東吾東兮.天區別.彼無東如何紛紛隨混濁。使吾東堪斷腸. 귀를 씻세 요(堯) 임금 당시 은사인 허유(許由)가 천하를 물려받아 다스려달라는 요 임금의 요구를 거절하고 영수(潁水) 남쪽에 은거하던 중에 요 임금이 또 불러 구주장(九州長)이 되어달라고 하자, 더러운 소리를 들었다 하여 영수 물에 귀를 씻었다는 데서 인용한 것이다.(≪고사전(高士傳)≫) 하상(河上)의 노인 한 문제(漢文帝) 때에 살았다는 신선. 문제가 노자경(老子經)을 읽다가 의문이 있으면 물었다고 한다. 멱라수(汨羅水) 굴원이 빠져죽은 물의 이름. 굴원은 초(楚)나라의 충신으로, 양왕(襄王)이 참소를 믿고 장사(長沙)로 추장되자 〈어부사(漁父辭)〉를 지어 자신의 뜻을 밝히고 울분을 참지 못해 멱라수에 빠져 죽었다. 뗏목을 타고 ≪논어≫ 〈공야장(公冶長)〉에, 공자(孔子)가 난세를 개탄하면서 "도가 행해지지 않으니, 뗏목을 타고 바다로나 나갈까 보다.[道不行, 乘桴浮于海.]"라고 말한 내용이 실려 있다. 구이(九夷) 동이(東夷)의 아홉 부족을 말한다. 공자가 일찍이 그곳이 군자가 살고 있기 때문에 가서 살고 싶다는 뜻을 피력한 바가 있다.(≪논어≫ 〈자한(子罕)〉)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무인) 十日 戊寅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병자) 九日 丙子 흐림. 조카를 데리고 집에 돌아왔다. 陰。率侄歸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을묘) 二十一日 乙卯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을사) 十一日 乙巳 흐림. 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병오) 十二日 丙午 흐림. 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田舍十二月歌 靑陽載啓維月之正一夜東風百鳥變聲地脈解發天心泰亨大君處中仁化斯宏與物更始同我太平【正月】一氣孔殷序屬春二夾鐘鼓和聲盈天地庭草仁心淵魚活意嗟我農夫庤乃田器不奪人時上有休治【二月】萬彙遂生是月也寎造物丹靑十分畫境郊烟鴶鵴山雨桃杏墻桑猗難蚕燈流景賑詔渙汗迨彼麥嶺【三月】南風薰兮夏德在孟乾道大亨陽德無競雲雨行氣草木成性耘者畢出鼓漏立令麥秋斯登吾民之慶【四月】日永星火以正仲夏草螽股動林蜩蛻化菖葉陸離榴花斜亞一雨慰滿秧牛載駕懋哉吾農迨此奚暇【五月】濕風噓動月維建未戊土馭精庚金毓氣社楡濃陰村醪旨味日夕扶頭醉農相謂野色占年室家則慰【六月】新凉入戶適玆早秋梧桐蟋蟀絡緯啁啾一點吾師淸夜書樓烟雨牧逐日夕農謳禾乃登矣迄可少休【七月】稻花成仙以殷秋八蘆鴈嘶寒江雲淡滑女紅及期杼聲札札斷壺剝棗時變盍察嗟爾黃冠役車載率【八月】時乎築圃維此秋九一夜肅霜豊鍾雷吼明月幾處擣衣忙手佩爾茱囊携我菊酒登高遠眺黃雲盈畝【九月】序催納禾於焉冬十理乃錢鏄徂玆畛隰百稼旣同宮功可執朔風正緊寒霰爰集迨此無豫息肩何及【十月】百務告成時乃仲冬太廟玄當大樂黃鐘今可息肩嗟哉吾農寒雪白屋幾處素封惟聖懋本祈于天宗【十一月】歲聿云暮二月斯臘今何不樂朋酒盈榼梅心雪壓柳骨烟罨簣桴土鼓村戱雜還我有農謌聊與唱答【十二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정미) 十三日 丁未 맑음. 10일에 지곡(芝谷)에 도착하여 먼저 정감역(鄭監役) 댁에 들어갔는데, 주인의 이름은 이택(履澤)11)이고 자는 치은(穉殷)이다. 저녁밥을 먹은 후에 정팔원(鄭八源)12) -자는 공선(公善)- 의 사랑에서 잤다. 陽。十日到芝谷。 先入鄭監役宅。 主人名履澤字穉殷。夕飯後。 宿於鄭八源字公善舍廊。 정이택(鄭履澤, 1896~1944) 자는 치은(穉殷), 본관은 연일로, 정철의 후손이자, 정해최(鄭海㝡)의 증손이다. 정팔원(鄭八源, 1872~1943) 자는 공선(公先), 본관은 연일로, 정철의 후손이자, 녹실 정해만(鄭海晩)의 아들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월 二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代本道儒生等上禮曺書 伏以夫孝者人生日用中常行以甚非高遠難行底事也爲人子者皆可以孝於其親而如之何人必稱曰孝可能而不可能苟有人出天之孝則必用摭實齊籲以至有國家者亦用旌褒而贈寵者抑何故也盖以治化之本莫不於孝字中做出來而之孝也眞箇是日用常行中可能而不可能者也今夫有人於此行人不可能之行而鄕彦道儒之摭實齊籲者非止一再尙未蒙朝家之褒寵者豈非聖世之欠典而亦非輿望之湮鬱也 耶本道玉果縣故孝子許瑞素以冠冕世家孝悌相傳生而天資至孝自幼克篤及長如一養志之節就養之方克勤克備親癠之日分灸而同其恫癏割指而續其天年及丁父母喪廬墓六年不脫絰帶朝夕哭泣繼之以血又遭祖父母喪以承重一如前喪亦廬墓六年前後凡十二年頭鬚盡白病得聾瞶仍廢擧業窮經篤學年至七耋展墓謁廟不以衰倦或怠亦不以風雨少廢此可見終身慕之意也其他親族之過時不婚者與之財而嫁娶流丏之負父母來者與之室而安集亦可見推孝之一端也有子二人晑昻克遵父道三年之喪六年之廬靡不用極世稱一門三孝豈不偉哉前後實蹟備載邑乘膾炙人口以此篤行尙闕棹楔之褒豈是我 聖朝旌淑表宅之本意也哉生等居在本道不容泯黙玆敢齊聲仰籲伏願摭此實蹟轉聞螭陛毋至湮沒之地謹冒以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을해) 八日 乙亥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정축) 十日 丁丑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