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계묘) 七日 癸卯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신축) 五日 辛丑 흐리고 비.〈회포를 읊다〉(述懷)세상천지 백 년을 사는 몸,(天地百年身)헛되이 육십 년이 지났네.(虛過六十春)가슴 속엔 대책 하나 없으니,(胸中無一策)누가 책 읽은 사람이라고 할까.(孰謂讀書人)〈또 읊다〉(又)세월은 어찌 그리 쉬이 가는지,(歲月何其易)추풍에 낙엽이요 흐르는 물이로네.(秋風落葉流)의지할 데 없이 절로 늙어가니,(無依身自老)구름 끝 바라보며 통곡하네.(痛哭望雲頭) 陰雨。〈述懷〉天地百年身。虛過六十春.胸中無一策。孰謂讀書人.〈又〉歲月何其易。秋風落葉流.無依身自老。痛哭望雲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갑진) 八日 甲辰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갑진) 九日 甲辰 흐리고 눈. 陰雪。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계묘) 八日 癸卯 맑음. 집에 돌아왔다. 陽。還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을미) 初一日 乙未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병신) 二日 丙申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을사) 十日 乙巳 흐리고 눈이 내렸으며 추웠다. 陰雪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병오) 十一日 丙午 간혹 맑다가 간혹 흐렸다. 或陽或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정유) 三日 丁酉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무술) 四日 戊戌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東坡曰月出於東山之上山谷曰左邱明詩 水累緩歌東野望夜高瓊宮秋景淸星周霄漢四皓光風謝江楊一淸聲圓弦高出半山左假以相如仍錫名 東臯舟泊倚相望遠岳雲散宜生明風歸綠林放疎韻霧罷蒼顔含晩晴匏樽擧之問靑天篷戶東開方有情 停盃少許遠生色玉宇正高蟾輪盈空江添白起銀波斷壁露朱浮金精遙看天左太冲漠皎然明色丹邱生 峰羅隱若半江炤雲薄昭然一天晶今宵剩得最高適一江淹留相笑迎鳧江萬里弄新影鶴田千秋留宿盟 靑山初夜冷嚴光何許人名與可並江南太白亦失格峽西孔明非眞評羣山周處最先東左史高名難弟兄 平田廣漠八指點遠岑參差露崢嶸何曾看月問主人坐高澄江一葦輕寒山濤落磵谷永大陸雲收野田撗 團欒盈座弄玉簫客亦由余仙趣成風蕭引帆自去疾浪淘潛沙頻屈平淸光若水凈無塵一張蒼天祥氣縈 龍遊巖窟弄光吟贗髓何洲顧影鳴仙琴高聽水聲洋佛圖澄看人影傾明光漏泄柳邊岸素輪浮張華外城 當時換羊滑嵇語一任飜脣四座傾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3일 初三日 겨우 21냥의 돈만 받고 마필(馬匹)을 팔아 보청(譜廳)에 지급하였다. 남은 돈은 천노에게 보내려고 하였는데 날이 저물어서 보내지 못했다. 나와 화옥(華玉)은 각각 헤어졌다. 只捧二十一兩錢, 放賣馬匹, 以給譜廳, 零錢資送千奴, 而以日暮不得發送。 余與華玉, 各各分張。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再遊瑞石吟 憶昔笻鞋躡無等至今往往魂夢冷墨痕淋灕留几案伏枕一讀塵念醒篁齋三月谷風煖花氣熏人春酩酊 春服初成春酒熟曉天無雲水如瀅踏星出門前游續同志六七行相並刺使牧伯俄經過石逕如虹跨絶頂 携手信步行且息着力前進頗肯綮往事前跡剖如縷不向招提更叅訂紅日轉出扶桑頭萬象呈露鏡面炯迢迢坐臨苐一層俯瞰下界煙塵逈剩水殘山紛縈絡片片大陸浮如艇簌簌淸風生石竇空山萬竅發咳謦喘汗盡八毛孔去步屧軒輊餘鶴脛行到泉林石上憩一罇松醪一椀茗向陽孤花懸斷崖摘之染糕煮石鼎定睛茫茫看宇宙囫圇一氣浮溟涬蒼顔綠髮恰收歛丈人風稜獨秀挺渾然一團春和面不作輕薄小夫怒 悻悻羣孫拱揖列參差嶄然無數露頭▣錯落玉碁排紋楸尖凸鑾刀抽琫鞞大洋七山羣烏沒長城萬里疋馬拯蓬萊方丈不敢爭其高區區平鋪同畦町裊裊憑虛如蛻殼劃然一笑褰裳褧面上六塵三斗撲人間萬念蕉鹿鍵山寒谷淸疑九月春酒一斗不能酩苦海幾處浮生愁除非煙瘴㧾泥濘野客聽此眩暈發掉頭縮 族來不肯噫噫名山多被貴人汚磈磊蹊徑仍俓健歲歲皇華秋復春老石鑿鑿戴軺輂樵竪牧客仍追隨幽花茂林被鞭楗醉墨題名字如斗石面平滑削圭珽黃昏忽報山寺鍾數聲風便蒼茫打城市鼓角遙相和澗籟松濤聽熒熒忽驚明月齊眉尖跂脚上摘星辰煩春山記跡太恍惚安得詩家大手如蘇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南方之山巍然高而大者以百數獨衡山爲宗詩 【排律三十韻 癸巳】 我昔南登嘿禱還雲開突丌見眞顔少年朱筆仙經秘使者金符鬼牒慳峰列荊揚皆下麓嶽宗衡霍儃南蠻 一元氣自崐崙脈萬古名傳岣嶁山中立東南吳楚野下臨七百洞庭灣最能衛護中州鎭所以齊名北斗閑 白首無成今博士玄談未了送歸轘雲邊野濶羣山小嶺外天長去路艱名勝地形聊可語蒼茫山色杳然覵 遙憐南國千年闢何限諸峰一境環辨國咸封周畵揭分州隨奠夏書頒星羅霧列蒼千疊春笑冬眠綠四圜 隨處崇巒凡幾許比諸衡岳㧾爲孱扶輿之氣於斯盡磅礴其形不可攀石菌花開雲際揷金芙蓉出劍頭刪橘紅篠綠傷心麗金白砂丹滿目斑不獨名材稱厥産許多賢俊出其間禀精皆是魁奇輩乘運能爲碩輔班 隱道彌明吟石鼎學仙李泌住藍關幾多翠峀環三奧最是朱陵擅八寰羽客舞迴丹鶴頂夸娥粧點碧螺鬟 七千百丈雲容屹三十八泉水勢潺峰秀平看迴鴈輩谷深晝聽子規▣奇如玉女銅奩掛儼若武夫錦甲環鬱鬱精光躋薈蔚英英佳氣露苐菅或多奇士遊仙佛時有高人隱市闤良餌奚徒鍾乳滴奇容不必石容頑野分翼軫遙盤遶地接甌蠻遠控彎重壤寒鍾諧律呂九潭明水瀉潺湲送君歸去南郴嶺萉遯幾年養得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七月二十六日政院堂后仕記 行都承旨金道喜行左承旨朴來謙【以上嘉善】右承旨張敎根左副承旨朴容壽右副承旨洪祐順同副承旨宋應龍注書尹敎成兪致崇假注書金震休李時愚事變假注書安永豊兼春秋田栽五金熙攸❍八月初四日己酉晴❍酉時上御熙政堂大王大妃殿垂簾遠接使問禮官入侍時右副承旨洪祐順假注書金震休記事官李宗心記注官田栽五遠接使金鏴問禮官洪說謨以次進伏訖上曰史官分左右大王大妃殿曰遠接使進前仍敎曰日前筵中以支勅事已諭於大臣而此事專在於儐使卿須殫竭誠心無至辱國焉且沿路民弊聞甚觀念星使來往時列邑下吏輩嚴加操束俾無貽弊之端而各該道臣及沿邑守令處面面曉諭可也鏴曰臣本空疎遽當重任實未知何以擔責而近來外邑下屬輩奸濫特甚百弊頻仍恐難對揚明命惶懍無地矣大王大妃殿曰須加着念母失朝廷體面俾免貽羞甚好矣祐順曰在前勅使若除京外宴享則有別遣問安使中路致謝之例矣預爲下諭於儐臣處迎慰使中依已例從便擧行何如大王大妃殿答曰依爲之【出擧條】祐順曰平壤問安假承旨難已啓下實預差若或臨時有頉而如待馳啓後變通則必有緩不及之慮矣須以便近邑守令道臣儐臣推移塡差借啣擧行後狀聞之意豫爲下諭何如大王大妃殿答曰依爲之【出擧條】仍命史官就座諸臣以次退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2일 初二日 청파(靑坡)에 가서 박 상사(朴上舍)와 함께 상원(尙元)의 집에 머물렀다. 서울에 머물기로 완전히 정하고 용산(龍山) 성삼(聖三)의 집에 천노(千奴)를 보내어 말을 팔려고 계획하였다. 往靑坡, 與朴上舍同留尙元家。 完定留京, 送千奴於龍山 聖三家, 以爲賣鬣之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2일 初二日 날이 봄처럼 따뜻하였다. 오늘 태학(太學)으로 가서 화옥(華玉)을 찾아갔더니 마침 출타 중이었다. 다만 안 교리(安校理)의 동생인 진사(進士)가 방에 있었기에 머물며 화옥(華玉)이 오기를 기다렸다. 날이 이미 저문데다가 또 같이 묵을 뜻이 있어 재궁(齋房)에 머물렀다. 日暖如春。 是日往太學訪華玉, 則適出他。 獨安校理之弟進士在房, 故留待華玉之來, 日已暮矣。 且有聯枕之志, 留齋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尺五日記 丁酉七月二十六日辛丑雨❍申時上御熙政堂大王大妃殿垂簾大臣率有司堂上戶惠堂入侍時左副承旨朴容壽假注書金震休記注官田栽五金熙攸右議政朴宗薰宣惠堂上金攸根行戶曹判書李止淵有司堂上鄭元容金蘭淳 徐憙淳以此進伏訖上曰史官分左右右相進前奏曰雨中日氣蒸濕聖軆若何上曰一樣矣寢睡水刺之節何如上曰一樣矣大王大妃殿氣候何如上曰一樣矣王大妃殿氣候何如上曰一樣矣中宮殿氣候何如上曰安順矣大王大妃殿曰使事順成凡節如意萬幸萬幸右相曰顒祝之如實爲欣忭矣 大王大妃殿曰今日來對之敎專爲接待客使故也迎送之際如或失禮則貽羞不少矣右相曰俄伏承來待之命而有司堂上一員方帶臺啣未得入來矣大王大妃殿曰誰也右相曰曺鳳振也仍奏曰勅奇不遠八月晦間渡江則九月望前後似當入京接待之道極爲撞撞矣大王大妃殿曰接待之道預先申飭無使辱國甚幸矣雖以常人言之有客到家則善待固當而况勅使之來安得不善爲支接乎提飭之節前後何如而事過之後每多疎忽今番則善爲周旋無至生頉可也右相曰沿路民弊亦甚可慮道臣及儐使處各別申飭而今番勅行異於他時不待先來而固已預料者沿路擧行必當先期齊整而更加操飭無事經過甚好矣大王大妃殿曰遠接使下去時予當別般面諭而其他凡節卿亦自外善爲之也年前金川之雨具不待松都之藍輿不備卿亦思之乎彼人所見亦同我國此不但爲貽羞而已其在接待之道又豈容如是乎右相曰勅奇甚緊起程不遠迎送之節不可不預先整待儐使差送尤不容緩行左參贊沈能岳遠接使差下行判敦寧府事金攸根館伴差下令政院政官【吏判申在植吏參趙冀永吏議兪星煥兵判權敦仁】牌招開政下批問禮官及都監堂郞同爲差出何如大王大妃殿答曰依爲之【出擧條】仍敎曰遠接使筋力能當此役否右相曰似可當之矣又奏曰先來狀本中勅奇已有的報起程有期今番則沿路營邑必已預有經紀次第整齊而近來迎勅之節每多疏略凡接待供給則未免稽忽苟簡而勅需濫下則愈往愈甚此皆支站邑守令之不善操束徒歸浪費而董察之責專在道臣如果嚴立規模詳於綜理唯以接待之勤恪爲度其他邑驛校吏輩乘時奸濫之弊一切痛革則寧有是乎勅行先後當有廉探之道苟或因循沿襲復踵謬習則守令抵罪固無論道臣亦難免譴責爲先以此意嚴飭分付于支勅三道道臣而亦令遠接使知此操飭何如大王大妃殿答曰依爲之【出擧條】右相曰撥路申飭不啻截嚴先來勅奇俱係緊急而渡江五日始爲入來稽緩莫甚極可痛駭先來軍官等爲先令攸司科治當此勅行迫近邊報絡續之時尤不容一任淹滯更加嚴飭于兩西道臣及義州府尹處何如大王大妃殿答曰依爲之【出擧條】仍敎戶判進前曰今番銀子別擇優給可也戶判曰今番上勅卽乙未年副勅則亦當知銀品高下而況今支勅國家重事依用癸亥辛卯乙未年例爲好臣當臨時稟定矣右相曰銀品與斤兩當如例施行爲可彼人亦皆知前例矣大王大妃殿曰似然矣右相曰通官五人自是定式而乙未勅行時一人加數以來矣今聞還減一人云矣大王大妃殿曰一人之來不來豈有損益哉右相曰五人雖是定式而亦或有數三人出來之時矣又奏曰頃日攔入擊鼓事秋曹之從本律決放法理固然而原情播傳事關風敎不可歇看盖此說之出豈非變怪之大者乎李明七之自口倡說跳踉眩惑罪實罔赦第論以反坐則當坐極律而極律固不可不覈而直斷卽其已著之罪無容更詰在昔受敎定制兄弟叔姪起爲爭端詐僞著現者幷令徙邊徙邊之律令雖已除旣許代以杖流之制法條件固自在矣李明七姑從次律絶島定配以爲正風紀息譊訛之道何如大王大妃殿答曰依爲之【出擧條】仍命曰大臣就座諸臣以次退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을축) 二十日 乙丑 맑다가 흐림. 陽而陰。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