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정미) 二日 丁未 흐림. 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孝子田耕百傳 田耕百長興泉浦兒也生有異質年纔孩提母姜氏偶傷胸耕百見而有嚬蹙之色母戱謂曰哀哀傷處由汝吮乳之故隣居某氏刺傷云爾則聽而忽變色發泣終日絶不哺乳母且驚恐强使吮之堅不聽從乃以粉塗 滅瘢痕誘之以厥傷自瘳然後乃肯哺其根於天性如此齒未丱角母有重疾醫藥無效時値隆寒耕百沐浴致齋自造床卓於後園深夜五更汲井花水注七盞禱於北斗而泉在山野間路甚畏險耕百頓無惧意愈往愈勤隣人恐其致傷諭以自愼則曰親有疾而竭誠禱祝子職宜然况代親致命固所甘心脫有患害何憂何惧一月之間不避風雪連夜往來至有虎火前導後燭竟無致患母念雉炙耕百焦心遍求倉卒難獲一日早朝忽聞窓外有驅打聲開戶視之有蒼鷹搏雉落於竹籬間拾而炙獻之越數日又有畜犬咬雉而來煮而供之母曰美哉味也自此稍進食飮疾乃得蘇後又値父病濱危沐浴祈天一如曩昔而病勢漸谻將至屬纊之境則耕百刺股三處受血半椀灌注父口父乃如寐之寤而問曰用何藥而如是爽也耕百恐其驚父諱而答曰靈砂水云而父病自此向差時年甫十六也宗丈箕晳適宰此府聞其嘉行極加褒賞厚恤其家且咏七言近律以揚美之士林唱和播於洛下洛人又多酬之者耕百之同鄕黃監察起漢遇余於旅舍誦其顚末且屬余步韻余亦秉彛者不敢退託爲之賦以遺之而絶妙好辭不可無傳故掎摭其大槩如此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5일 初五日 아침을 먹기 전에 근동(芹洞)에 가니 백건(伯健)이 요기 거리와 술을 마련하여 보내주었는데, 가난한 집에 폐를 끼치니 도리어 편치 않았다. 밤에 뇌우가 퍼붓고 우박이 내렸다. 朝前往芹洞, 伯健備療飢及酒而饋之, 貧家貽弊, 還爲不安, 夜雷雨電雹。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感士不遇賦 【幷誌】 曾有一武士赴擧京師見有不合搤掔張目搪揬考闈時姜參判浚欽爲主試尹兵使義儉爲副具司諫定黙同參三試官大發怒命着枷移秋曹一小吏受寫移牒至於着字舂筆未能下手厥武士便大呌曰如此書吏將安用之着字有何難寫而次且舂筆乎上戴姜浚欽之頭中橫尹義儉之尾下塡具定黙之目可也左右環聽莫不稱奇三試官竟不寬貰押送秋曹更不知下落處云余與鄭蘭下飮遇及此語余曰此子可用而三試官之器小哉蘭下寡默者也但曰此子之可用不獨在於倉卒間一着字而已追念此言儘有無限意味迺慨然惆悵和陶靖節感士不遇賦以歌之蹶白門而西嬉望崦嵫兮曜靈婁曠邈兮寡仇攬矩律而虛名玉無瑕而魚笑木有朽而蠹生迷魂坐以鬼障汩無饜其徇情唇呫囁而附耳影傀儡而答形旗何狂兮皷淫噫小怪而大驚投余筆兮氣麤羌不讀又不耕英雄入此穀中大欲放其璜聲夸麋筋之宿藝賭龍額之新榮胡時命之易舛涉太行之畏途然一毫猶不挫掬嬰兒以嬉娛股三貴焉翫世頤一吏使受書天何賦乎此生不應老彼蓬閭唉無眼於拔尤但有口而馳譽嗟乎物厭勝已人不欲上角立曰大過蟄伏曰无妄雖身後之膾炙奈目下之訿謗攀鹽轅兮泣孫拊梁甫兮悲亮惜爾生之遭昇平不在擊賊草檄之世寥無聞於食舊倘因噎而終廢才不倩於異代豈無人如莊惠何盧癸之不遇匪臧辰之能蔽基睇猿亦獲命臏射駟以售計諏倚伏於北叟泰爾征兮何歲雕龍錯以畫蛇眩百家之遊說夫以子之好辯恥共肩於塵界䩨懸壁而欲蠹曰吾命也不濟呑牛氣於老圃風瑟縮兮寒袂奚詭遇而十禽良且羞與相親廣猨臂猶數奇朔空諉乎傷仁辛彈弓兮處窮亥皷刀兮甘貧待准陰而附尾獲夷門而揚身君何慙夫古人用可兼乎亥辛恫斯世之無鑿抱芻狗而談敶懷寶器而自惜嘅榛路之梗澀山無語兮水古抱牙絃而空立西風淒而酒白悵夫君兮於邑人不見兮石潭緬忠武亦何及經蛇豕之荐食望墜星而空泣敉錦南之穎脫得鰲門而先入何由別於冥安判獨離乎危急洞觀天人轉環旡已惟古賢達透玆一理夫何畏乎孔壬只可樂乎修已師皐德於種邁仰尼訓於穀恥才與辯惟小器劈大腦於行止休獲罪於巨室恐三虎之傳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憶匏泉金令公胤根【字雨若乙巳生】百韻 芋區是吾師面背粹而盎梗楠日萃門繩墨見鴻匠疑禮曁逸籍摭實語不妄坦履祛緇沮潔珮辮貞亮落筆如有神靈臺便曲暢琢句金石鏗瀉文波濤壯奧辭融玄間短牘蘇黃上蓄銳到老蒼雲衢晩蜚颺三場荷桂牓太上鴻臚唱豹直東西璧翶翔近僊仗孔翠游赤霄百鳥翹首仰進退靑綾被出入流蘇帳閤疎肩陸贄筵講跨劉向夙夜銀臺客南郡坐喉吭萬事轉眄頃雲水相摩盪未展良馬步日薄太行嶂白頭一緋玉雪屋寒梅傍舊夢春坊僚宿趼薇垣長漠漠東西邑口碑但惆悵勩勞嗟何記駿奔奉圭場譴訶終難免低垂又炎瘴以若大負抱臯此座空曠可惜湖璉器濁酒自疏放太古北山園遨遊誰獨障離索學老圃匏落藜杖杖杜陵舊布衣老大寒一樣不向五侯門茆屋坐倜儻馬卿病空渴原憲貧何妨蓬巷寡輸鞅俯笑塵海漲長腰肯屈曲遠志任高尙正路羞詭遇櫜弓恒不張秪喜北里少矩律獲婁矌敎子能合變詩壘臥老將營産都不問得錢謀春釀碁局玩一世翻履寄謔浪與人不求合一生守簡亢貴客厭 欲避寒士喜相訪而又好施予不惜千金餉有酒相對飮軒眉談跌宕木屐草履跡輾幹如車兩顚倒猶恐失拓戶不阻攩渠渠秦簋設秩秩衛侯抗中饋無獅吼奚婢供蔬醬定似逆旅屋迎納大拳踼車笠渾不分窮達今如曏猗彼狷介性於人不踽凉得意諧笑筵諤諤言最讜旁人歛雙膝可奈於理當愛賢能易色嫉惡如探湯然猶口含黙誰譽更誰謗天賦固如此休休非勉强後學難企及前脩堪此况闃寥風雨夕小樓泛虛舫出門跨無驢據梧嗒如喪書史堆塵箱愁寒依北炕坐似藍田帥短壁縣空韔美玉終不衒空懷寶帑藏實非獨善志時事已摒擋飮河鼴鼠腹難窺淺深量伊昔晨橋庄始識令公狀齒爵俱前輩儲蓄又難望一見濫詡獎吹噓公實倡愛士歐陽子知人朗陵相明月文酒茵澹蕩話腎臟掃榻虛上座爲余賓館刱逢人說項斯每欲一頭讓枉路樓宵跡慨然深惻愴辛苦梢工手招招小舟榜不濟知吾命惠波空汪瀁尙賴大冶爐鋒芒百鍊鋼意馬不奔蹶堅重城如防數三提耳誨旨哉中心貺風味何溫溫小肚醺且䬬十年從公游絲毫未曾償耿玆寸血忱默禱餘運旺福善天何在古語人實廷可憐嬴博慘嬰抱又失養儒雅幸猶在呼觴坐無恙詎意別一秋鳴呼已屬纊雅望與令姿寒雨靑山葬夫人亦同歸靈几對儷伉痛哭有誰認寂寞無主鬯舊棲匏泉上蕪草埋虛閌彷徨舊賓客西風倍愴悢但望王粲樓未奠田橫壙天旣生此器又何易奪掠埋沒老蓬蒿玄理固莫諒滔滔一天地奔汨太何恁得風正揚揚失路且怏怏喜肩蓬鼇抃怒腹河豚脹惟公則先哲剛氣獨行行獲喪不關念與世異趍響浩劫身後事寒雲浮古碭爲善何勸勉見惡難懲創此恨徒悠悠嗚咽漢流羕長嘯悄獨立附尾誰與徬雅鑑斷林宗小器愧袁閬那由得餘緖誦讀充而擴伊人不可見露葭秋水凔平昔一知已寤宿永難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경자) 二十四日 庚子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신축) 二十五日 辛丑 흐림. 장동으로 돌아왔다. 비가 계속 내렸다. 陰。還章洞。雨連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임인) 二十六日 壬寅 흐림. 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임술) 十八日 壬戌 흐림. 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신유) 十七日 辛酉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계해) 十九日 癸亥 흐리다가 비가 조금 온 후에 맑음. 先陰少雨後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무오) 十五日 戊午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갑자) 二十日 甲子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병진) 十三日 丙辰 흐림. 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정사) 十四日 丁巳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무신) 三日 戊申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기유) 四日 己酉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기사) 二十五日 己巳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경오) 二十六日 庚午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을축) 二十二日 乙丑 맑음. 오후에 비가 내렸다. 얼핏 듣자니 사면의 한 고개 밖에는 모두 비가 내리지 않았다고 한다. 비로소 '어찌 천 리 밖을 알 수 있으리, 비와 바람 불지 않을지'19) 둥근달이 찬 하늘에 솟으니[圓魄上寒空]모두 말하길 사해가 같다고 하네[皆言四海同]어찌 천 리 밖을 알 수 있으리[安知千里外]비와 바람 불지 않을지[不有雨兼風]라는 구절을 알겠다. 陽。 午後雨。便聞四面一嶺之外。 皆不雨。始知'安知千里外。 不有雨兼風'之句。 어찌 …… 않을지 당나라 이교(李嶠, 645~714?)가 지은 〈중추월(仲秋月)〉이란 시에 나온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