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정해) 二十日 丁亥 맑음. 저녁에 비가 내리다가 잠깐 개었다. 陽。夕雨乍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 二十一日 아침 밥을 먹은 후 잠깐 비가 내리다가 오후에 맑아졌다. 朝後乍雨午後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갑술) 八日 甲戌 맑음. 경상남도 합천군 봉산면 죽하리에 사는 난재(蘭齋) 신석언(申錫鶠), 죽오(竹塢) 박영재((朴英在)와 남원에 사는 동양재(東陽齋) 이수형(李壽馨)이 동시에 왔다. 집으로 돌아왔다. 陽。慶尙南道陜川鳳山面竹下里。 申蘭齋。 名錫鶠。 朴竹塢。 名英在。 南原李壽馨。 號東陽齋。 同時來。歸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을해) 九日 乙亥 덕진동에 성묘하러 갔다가 그날 집으로 돌아왔다. 作省墓之行於德振洞。 卽日還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병자) 十日 丙子 옥과의 참봉 김용순(金容珣) 댁을 방문하고, 장성군 덕치에 사는 김요숙(金堯淑)과 함께 유숙했다가 장동으로 돌아왔다. 訪玉果金參奉容珣宅。 與長城德峙金堯淑。 同留宿。 而還章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을해) 十日 乙亥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병자) 十一日 丙子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경오) 六日 庚午 맑음. 매우 추움. 평신(平新)1)의 작은딸이 왔다. 陽。極寒。平新小女來。 평신(平新) 현재 담양군 금성면 금성리 평신기 마을에 해당된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신미) 七日 辛未 흐리고 추움. 陰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임신) 八日 壬申 맑고 찬바람 붐. 陽寒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신유) 二十七日 辛酉 옥전으로 돌아왔다. 還玉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追和崔羊巖衡【平叔】尤庵遘禍後傷感有作 【幷序】 於乎斯文己巳事尙忍言哉方其禍兇之滔天也轉亨泰爲否運變康莊爲畏途雖數十年師事而尊敬者亦一朝倒戈而反攻何況平日讐視而背馳者乎波瀾在前厜㕒在後彈射鋒鏑䕺集如蝟一呼吸之間刀鋸桁 楊動輒隨至氣燄所及能使擧世順之則吉逆之則凶然而確然自守不爲撓窟訪師友於渙散流離之際講 道義於造次顚沛之頃者吾於吾鄕故羊巖崔公得之矣于斯時也夫子之厄可謂前跋後疐崔公之於夫子誠非素所親灸者而纔聞乘桴之行輒鼔篋杖策間關往從于數百里之路質疑辨感如恐弗及而崎嶇倉卒之間相與雍容侃誾者了無異於燕閒無事之時匡野之絃歌不輟庶或相近而蕭寺之餞別相得奚獨專美于古逮夫師門之不幸慨聖學之湮遠痛世路之蓁蕪迺以詩韻三疊獨自反覆咨嗟以效騷人風雅變體而 怨慕憂惋之忱溢於言表如古郭有道之私慟者然自非篤信而誠服者其能若是乎吾鄕之從古稱爲鄒魯信不誣矣而迄今吾黨人士能識邪正是非之分者亦不無當時諸君子羽翼於斯文之力也今此數三詩篇 於公之全德便似一豹之班而使知詩者卽此而玩繹則槩可見公之平素古所謂詩出性情而可以興可以 怨者亦不在於斯歟此所以後來諸章甫傳誦之追和之相愛而不捨者也抑揚感發之旨公之詩已無餘蘊矣如余菲薄最下者更贅陳而顧此不揆僭妄敢爲續貂於縫掖之後者寔非阿私所好聊以寓悲憤之緖餘云爾己巳後百有五十七年後學謹識寧陵北望悵松林萬事鳴呼此地臨紅日重明天有眼白雲長往海無心定知時命關升降敢把行藏較淺深 正議山河終不沒年年俎豆拜靑襟當世流言孰信傳東公惟有史家編風波去國三千里生死忠君八十年從古正人知遇尠至今豪士感懷纏 陽秋旨訣探無處落月寒燈展素牋歲暮懷人涉遠途瀛州漠漠楚山孤雌雄一世瞻烏黑綱紀三朝辨翟朱國是來今終有定天聰臨下信難誣 西遊行得羊巖蹟雙手摩挲想德隅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기미) 二十五日 己未 흐리고 비. 고례(古禮)15)의 양계문(梁季文), 가잠에 사는 권교식(權喬植) 경세(卿世)ㆍ권양식(權陽植) 경건(卿健) 등 수 삼명의 벗과 담론하고 놀았다. 陰雨。與古禮梁季文。 佳岑權喬植卿世ㆍ陽植卿健數三友。 談論而遊。 고례(古禮) 현재 전북 순창군 금과면 고례리를 말한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경신) 二十六日 庚申 흐림. 다시 갑동(甲洞)16)에 이르러서 한태수(韓泰洙)를 위문하고 그 조부 규섭(圭燮)씨와 함께 유숙하였다. 陰。轉到甲洞。 慰問韓泰洙。 與其祖父圭燮氏。 同留宿。 갑동(甲洞) 현재 전북 순창군 인계면 갑동리를 말한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을미) 十九日 乙未 맑음. 나씨 집안으로 시집간 딸이 병 때문에 집에 왔다. 陽。以羅氏女患歸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謝高時愈書 稽顙白罪生賦命險釁一二年間荐罹孔疚頑忍殘喘弗卽死滅又遭此前古所無之變俯仰穹壤此何人斯人家山變往往有之而名以侍從者親山壓腦數十步之地使他人入葬而過夏經秋不能遷動反若無故恒人靦然視瞻此身蠢頑已無可論而以人視我寧無唾罵之蝟集哉乘人之喪仁者之所不忍爲困人於厄義者之所不肯爲詎料積仁累義之門有此忍所不忍肯所不肯之擧乎此莫非罪生之不肖無狀亦莫非罪生之禍厄未盡然而咄咄太息私自黙語於心曰某氏丈義者也決不當爲此等事也參奉丈仁者也上可以諫止尊行之有過下可以責止羣從之有失夫何使我至於此極也無乃我獲戾於高氏之門致此轉報之理歟夜以繼晝晝以繼夜千思萬度便似一狂邪人焦肝爛腸尙爾不死者于今八陽月矣自顧身世寧不矜惻千辛萬苦幸而顯揚者一朝遽歸空虛非徒一身之生死關頭全門閉闔實由於此如此㨵劣無狀者不足顧恤而獨不念君子成人之美乎欲說心中情景不覺淚先暗而舌先硬也夢想之外伏蒙弗棄辱賜下委恭審至 寒體度康旺允叶伏禱嚮者呈單中愼節云云想屬无妄旋切慰釋萬萬所敎中諸般提諭多有所未審者矣 君王星在墓云者未知其出於何經而若據此膠守則今年未可以入葬與開塋歟徐俟來春云者實有所未妥帖也如知其非義斯速已矣何待來春來春云者亦指何春而言歟正月乎二月乎過二月則必曰三九不動塚過三春則曰夏事方殷過夏則曰待秋待冬然則何許時節有遷移之日乎丙午之春卽來春也丁未之春亦來春也來春來春寧有期限敎意雖曰不欺而今當此變者自四月而至于八月自八月而過十月之望 又過今月之初旬而更爲定限之二十五日不過隔兩箇日矣身似呑之魚心同傷弓之鳥者烏得無滋甚之惑於緩緩來春之敎乎末端忘言二字以罪生之賤慮百爾忖度未能知甚樣意思敎中云云諸說將欲置之 於忘言之域否情誼自情誼云者當在於緬禮以後而今此相持之間遽發此語者竊恐不幾涉於太銳露乎 罪生則曰霽峰先生我師也執事丈我尊丈也參奉丈我先進而又仰慕者也苟無相乖之端則其在生平執鞭之願奚暇以情誼等字區區說去乎使罪生有情誼無情誼於貴宅者惟在丈氏裁處而已伏望哀之憐之栽之培之毋使獲戾於貴宅若何若何公子曰某也視予猶父也予不得視猶子也罪生之於丈氏仰之若族戚父兄丈氏獨不視之若族戚子弟乎往者不可諫來者猶可追幸望更加三思以爲幡然一悟則非徒爲罪生之地其爲盛門納讓之風儻復如何人生斯世忠孝爲大而罪生自四月以後便以廢人自居登拜先壟亦爲幾希幾希者非他纔欲進步輒先泚顙自顧人情安得不然以人子而事親之節如此則更何論後日事君之階梯乎然則一身上大本虧矣將爲何等人乎臨楮鳴咽不覺痛哭痛哭衷情所激言不知裁萬望赦罪赦罪餘荒迷不次伏惟下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古玄齋記 【高老人宣謙自號居靈光綾峙】 古今異宜玄素分質而翁於今之世欲行古之道近舍平素之履逈慕玄冥之跡不幾近於橙林之步而得無爲蒿籬下所笑乎漢儒之玄經君子不取晉人之玄譚後世有譏翁何取於古而齋以玄名耶翁曰嘻可與古知道者言難與今曰黑曰白者道夫萬品之祖于天而天曰玄宰五行之一曰水而水稱玄酒此玄之爲本於形色也冬爲四時之季而守藏之吏曰玄冥收斂之室曰玄堂此玄之爲事物之終也四端之智五聲之羽五味之鹹五臟之腎類於五色之玄而智者四端之終羽者五聲之闋然而仁也 禮也義也知然後可以行則智未必不爲始於四端也宮與啇角與徵無羽而不得成則羽未必不爲始於五聲也鹹居五味之末腎序五臟之卑而甘苦酸辛得鹹而成味脾肺心肝待腎而行氣則鹹之於味腎之於臟亦未必不爲本也推類而旁照則玄之於萬理固可謂有始有終而亦可謂旣終而復始也玄之爲玄顧不古哉玄黙之玄玄微之玄特其緖餘耳吾故曰漢儒之玄經晉人之玄譚乃今之玄也非吾所謂古之玄也吾未能行其道擴其端而俯仰二氣之終始鉤賾五行之本末耳其聲目其色口其味而納之於臟守吾玄眞之性馭古玄淡之氣則吾以名吾齋者得無宜乎余聞而忻然書庸識之庚戌菊秋幾望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放軒記 【隣居姜君冑瑛自號】 放軒之稱盖空中樓閣也不受斤斧不蹈繩墨脫然自得乎方物之表者曰放軒軒之主人屬鈍人曰有軒則不可以無識盍爲我圖之鈍人曰囱欞房闥全沒形影非鉛槧所可彷彿而必要鈍人塗抹何哉雖鉅匠難容揮堊况其鈍乎然古語曰鈍者壽放軒之名庶或由鈍而壽耶又曰魯故確魯鈍也確實也主人恕其鈍而取其實乎若取諸實則放軒之名與實恐不相副矣主人何取於斯名與實屬之主人而放軒終不可孤則我且圖之放者大也而主人之規模約放者縱也而主人之操束敦得非其强爲大譚以浮誇一世乎然則人自人軒自軒矣寧容如是噫嘻悲夫棄之之意曰放主人文章自負而四十無聞則殆將自棄而云歟取捨在人窮通在天而名與實在已盡已之實則天不能窮而人不肯捨矣縱欲自棄而可得乎夫道家莊生放之大者也齊天地以一馬付臧穀於亡羊而其流之獘遂使其徒放棄禮法非侮賢聖駸駸至於晋代七賢八達之流以放達爲聖以無有爲本名敎樂地把作虛器酩酊裸跣無復拘檢吾道所謂放彌卷藏之義安在主人亦吾黨中人豈其然乎若乃放心志於觚翰之場放形骸於樽俎之席刺刺嘈嘈猖狂自恣則一箇是畵脂鏤氷家粗糲氣習而已矣奚足尙哉林放問禮之本子曰大哉問又曰曾謂泰山不如林放乎此林放之放也隱道豹林受希夷之衣鉢玩易象之消長者种放之放也泥馬乾坤俯仰慨慷思鐵衣於浣江讀兵書於窮山者陸放翁之放也主人於斯三者何擇焉暮夜月明趁其無事吾將把酒而問之上章閹茂惜月吉朝鈍翁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병신) 二十日 丙申 맑음. 수성이씨(水城李氏)에게 시집간 딸의 조고(祖考)의 대상(大祥)을 위문하였다. 陽。慰問水城李氏女。 祭祖考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정유) 二十一日 丁酉 맑음. 하만(河晩)의 김낙주(金洛柱)댁으로 들어가 유숙했다. 陽。入河晩金洛柱宅。 留宿。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