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瓊春碑【幷記】 前面刻曰越妓瓊春殉節之處後面記曰越妓瓊春故李侍郞【萬恢】莅越時所眄以其初許身也故欲自潔以守及後官之來衙內人有强之者數被箠楚殆不能堪一日盛服而入言笑自如曰倘無數日呼喚當調病軀一聽所欲翌朝遂往訣其父墳歸爲諸弟梳仍起往錦障江邊坐陡絶石崖歌數闋泣下霑裳悲恨不自勝時稚弟在傍乃詒而使之去卽奮身投死歲壬辰十月其年十六家人奔往拯之衣襟有隱暎物裂縫視之乃李侍郞筆鳴呼其死也視古之從容就義者何如哉今都巡察使異庵李公【秉鼎】以大冢宰出按關東節行部過越州聞而奇之曰以賤籍而乃能辨此此眞烈女也烏可無樹風聲之道乎遂捐俸屬越守俾堅一片石識其處又屬余記其顚末余惟瓊春之死距今位二十四年始得表顯之微我公瓊春之節其將湮沒而已也乙卯八月平昌郡守南羲老記寧越府使韓鼎運書蒼璧西頭短碣香落花巖畔結隣芳固知鸞液三生結不惜鴻毛一死忙溪草孰云常濕雨籬英終看獨凌霜可憐江上啾啾鬼應怨無情李侍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酒泉石【幷志】 誌曰酒泉縣東南路傍有石狀如半破石槽世傳石槽舊在西川邊有酒湧出味極熏醲就而飮者無不足焉邑吏憚於往來欲轉置於縣衆共移之忽大雷震石碑爲三一沈於淵一不知所在一卽此石也云今在淸虛樓南階下○姜希孟詩曰星君以酒名於天坤靈釀液流爲泉鄙俗寧知皆假稱騁以怪談猶流傳原城部曲古縣石斷峯突兀臨蒼然崖下泓澄瞰黝碧石槽破碎橫江堧人言槽在蒼崖巓淸濁自湧休論錢千鍾爲澆百斛洗玉山自倒春風前天工意在合自然何人强欲村中遷羣靈爲恕猜神物劈取槽石歸重淵靈波雖渴石猶頑至今遺跡管河邊我聞此語乍信疑臨淵恐有神蛟涎正欲鼓浪溯淸吟打起霹靂如當年幷取途中一片石盡輸水府供謫仙〇成任詩曰不是無懷卽葛天有酒有酒如湧泉滴瀝纔從巖石注瀲灩已向罇罍傳醞釀非用麴蘖力至味不和皎自然一飮神游泬㵳上再飮夢到蓬萊堧源源自是用不竭但應取醉何論錢當時名縣意有在玆靈赫赫眞無前終是山下鬼神惜雷雨倏忽中夜遷不爲玉檢開深壑定貯金甕藏重淵遺跡寥寥不復見惟有新石橫道邊我欲回天返舊脈莫敎世人流饞涎願羞蟠桃薦明主應須一酌當年年萬酌更期萬萬歲長御法宮朝羣仙風味麴生淼先天怪事幻石隱於泉往跡浮雲一千載齊東野人流相傳一拳破槽忝左契淸虛樓下尙宛然當時縣名豈徒爲至今云云鶴城堧信若有靈名不虛杏村未售一文錢杜康手法將安用空壺只可掛車前人間不解造物意謾道愚夫用力遷安知酒國椰楡物頃刻打破藏之淵淵有毒龍何黝黝杭葦終難到郍邊但留一片寘路傍空敎行客坐流涎嗟我于今始得之五登名樓屬三年風雨百劫然疑說西歸欲質鍊丹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21일 二十一日 ○신도(新都)를 둘러볼 생각으로 곧 아침을 먹고 고개 둘을 넘어 신도에 이르렀다. 대궐터를 둘러보니 기둥과 주춧돌이 줄지어 놓여 있었다. 상세히 두루 구경하기도 전에 비가 쏟아졌다. 백암동(白巖洞) 앞 주막으로 들어가 비를 피했다. 한참 있다가 비가 조금 잦아들면서 갤 기미가 있는 듯하였으므로 비를 무릅쓰고 출발하였다. 개태(開泰) 객점에 못 미쳐 들에서 모내기하는 곳을 만나 모내기 밥을 얻어먹었다. 연산(連山) 고을 앞에 이르러 개태정(開泰鼎)54)을 구경하였다. 둘레는 5~6파(把) 정도이고, 깊이는 1장(丈 10척)쯤이었다. 구경을 다하고 나서 출발하였다. 중도에 소나기를 만나 의관이 흠뻑 젖어 몹시 괴로웠다. 간신히 대천(大川)을 건너 은진(恩津) 삼거리에 이르러 잠시 쉬고 나서, 저물녘에 시암(杮岩)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70리를 갔다. ○欲玩新都之意, 仍朝飯, 越二嶺, 抵新都。 翫大闕基址, 則列置柱礎石。 未詳周翫之際, 雨作。 入白巖洞前酒店避雨。 移時少選後。 似有開霽之望, 故冒雨發程。 未及開泰店, 野中逢移秧處, 得食秧飯。 抵連山邑前, 翫開泰鼎。 周可五六把、深可一丈。 翫後登程。 中路驟雨, 衣冠盡濕, 悶悶。 艱越大川, 抵恩津三巨里暫憩後, 暮抵杮岩留宿。 行七十里。 개태정(開泰鼎)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 개태사에 있는 '개태사 철확(鐵鑊)'을 말한다. 이 솥은 태조 왕건이 고려를 세우고 개국사찰로서 개태사를 창건하였을 때 주방에서 사용하던 것으로 전해진다. 충청남도 민속자료 제1호로 직경은 289㎝이고, 높이는 96㎝이며, 둘레는 910㎝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姜睡隱看羊錄後【甲寅】 林觀海【檜】公直祭睡隱姜太初【沆】文曰萬曆戊午秋冬之交嶺外遷客友人某聞斯文姜太初之喪於道路將信而疑以爲太初禀天地精英之氣其生於此世天必有所爲而生無所爲而死似非天之意故終不以太初爲死逮是年十二月有鄕書來報則太初之死信矣天地精英之氣卷而歸矣天之有意於世卒難特矣遂哭而慟之乃書而爲文以己未七月初三日致之于鄕居從孫崙以鷄悉薄具俾奠于吾亡友太初之靈曰鳴呼好惡者人之所必同也而有好善而惡惡者好惡而惡善者則人之性異也非人之本性有異也利祿鑠其外而貪慾煎其內也正直醇粹之自立貪愚險狠之縱恣其所好不同故取舍亦異天下善者少而惡者多故正直純粹者則爲人所惡而貪愚險狠者乃爲人所好惡之也則排陷擯抑而使不得容迹好之也則獎餙振拂而引之於世道朱輪華盖光彩眩人閭里慕之道路榮之接跡而旁午者以類聚焉鳴呼善人之生世其亦厄矣往在丙戌丁亥之間湖南士類一時盛會爲一國英俊之域於是太初以弱冠之年汎觀博識種學績文矯矯牛耳於吾儕矣及其世綱橫加輩流星散太初之家亦罹酷禍而太初孝悌之行因之益著矣忽忽數十年間吾流漂西海無意還鄕而太初亦渾舍被掠牧羝日本盖其忠義之節爲黑齒所服華人所嘆而及其全節而歸出力而排之者誰歟巧舌而毁之者誰歟鳴呼太初之生世初不偶然文章冠當代若將以賁餙王猷矣才局脫凡流若將以幹裁世務矣孝悌出古道若將以感化惡人矣而文只爲一家之言才不得少施於世薰其德而善良者亦無幾人壽止於五十官止於郞僚則天之生此人何意窮此人何意不令壽此人亦何意非天之無意於此人乃無意於此世也鳴呼自吾竄謫以來太初盖一致書而報以身丁內艱諸季同廬吾未有以書弔而居然數載矣誠不意太初函厭世之溷濁也百年知已永相違矣千古文章孰與論矣太初有弟以續其文有子以繼其善則自餘悠悠可暝目矣排之毁之終始窮之者可一笑於地下足矣惟白髮之故人望天涯而緘辭昔山川而猶阻今九泉而何知顧平生之心肝常洞照而無疑庶厥誠之可徹想精靈之在玆寓鷄絮於千里聊以舒夫余悲旦先後於大歸終會合之有期鳴呼哀哉云林觀海乃顔常山之流觀其對誣獄罵适賊之語泉臺之下凜凜猶有生氣以若氣節之人決非阿私所好者而其於姜睡隱推詡之若是則睡隱翁之貞忠孤節足可以俟百世而不惑矣夫尙而論之以姜外卽方之蘇中卽亦未必爲僭而于嗟我國遜於西漢旣無典屬一官且無猉獜閣末之畵而但有如簧之巧舌使此需世之器枯項而黃馘可爲千古一太息也歲崇禎紀元後四甲寅後學光山金震休謹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漂海錄叙 余在原從吳侍郞【顯相】游一日吳公抽一小冊子示余曰此耽羅客漂海錄也子其寓目以爲破寂之資也余受而披覽曰嗟乎人生一死亦自不易而朝鮮國一紅紙固有天定也耶當其時風濤簸盪一片孤舟載沈載浮魚腹之葬政在呼吸之頃而宕巾也張盖也素娥之進食也先發於昏夢夜潮忽落五十餘步之陡海石豚借與一條生路令人追想不覺毛骨之俱竦也以若萬死一生之身收拾殘魂細述所經歷如此之詳而文字頗不草草政認一國之車書同軌而不料海島之上亦能有此等文字也漢拏之石槽琉球之虎山俱是聞所未聞奇哉安南舟中與皇明人問答能使蠻貊起敬而香▣島之朝鮮村尤覺可䙡安南太子之被害云云足以破浮世之惑而抑未知琉球太子亦遭此境也否以若吳公之好古其所褒賞亶其然乎况以吳學士之孫而匪風下泉之念倍它人萬萬者乎靑山島之美人終無下落處他日得意之後倘復有破鏡之重圓否此吳侍郞之所以重惜也但斯人也駕海餘悸想應寤宿難諼矣似不當揚颿向北而終復有鼓篋歌鹿之行宕巾張盖自有前定而天之所命不得自由而然歟噫彼蒼蒼海島之人政欲一見王城而文字之如是淋漓者竟不欲向風一鳴乎非唯技癢之所使男子弧矢之志正不可因噎而廢食也歟此與宦海中喫風波而溺不返者差有間焉而亦可爲慾海浮沈者之一大戒也蘇長公之在儋耳也戱筆自書云始吾至南海環視天水無際悽然自傷曰何時得出此島乎已而思之天地在積水中九州在大瀛中中國在小海中有生者孰不在島覆杯水於地芥浮於水蟻浮於芥茫然不知所濟少焉水凅蟻卽徑出見其類出涕曰幾不復與子相見豈知俯仰之間有此方軌八達之路乎念可以一笑耳斯人也儻得見老坡此書否閼逢攝提格春正月飮薄酒帶微醺信筆戱爲之書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錦江亭次退溪先生韻【幷志】 亭在府東三里愍忠祠下錦障江絶壁上宣德戊申知郡事金復恒創建◌退溪李先生詩曰鵑啼山裂豈窮年蜀水名同非偶然明滅曉簷迎海旭飄蕭晩瓦掃秋烟碧潭楓動魚游錦靑壁雲生鶴踏氈更約道人携鐵笛爲來吹罷老龍眠◌尤庵宋先生記曰李侯子三嘗立朝正言廢錮累年矣旣而時事更新羣賢彙征而侯又抹摋於時世與君平相棄之矣侯性好山水間寧越有蓬萊太華會稽錦江之勝悠然有句漏之興求出爲郡守其江山淸趣果愜宿願而所謂錦江亭者老而支柱殆不可徙倚矣遂割淸俸將以新之則監司魚侯翼之聞而嘉之亦助事力未幾而良構屹然改觀則以上諸山擧入於拄笏之中而十里淸流暎帶于憑檻之外矣侯樂其地僻事簡日哦其間盖屋未就而詩已成矣夫江山之名固有不約而冥會者人之覽之者因之而起其遐想焉然而蓬萊之上未必有不死之藥太華之巓未必有十丈之蓮而會稽之下亦豈有芰荷之水乎惟所謂錦江者是蜀中之水而屢形於草堂之詩無亦有寃禽之啼血乎月白山空如聞其一二聲則侯必悽然而泣下不覺淸興之飜成感緖矣未知侯果然否聊以書問之◌愍忠祠亦在府東三里錦江亭上落花巖傍自莊陵追封後設壇祭端廟朝殉節侍女從人英廟壬戌建祠以寒食及十月二十四日行祭戊寅因特敎改建祠宇賜額愍忠◌落花巖在愍忠祠後十餘步石壁斗絶下有深湫卽端廟侍女從人投江處有短碑刻落花巖江上孤亭似去年登臨客緖更悽然香名萬古空流水往事千家但暮烟杜宇有聲花欲血王孫不返艸如氈傍人莫謾生詩瘦只可今宵帶醉眠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25일 二十五日 ○일찍 출발하여 말치[斗峙]58)를 넘어, 야당(野塘)59)의 송연영(宋延英) 집에 들러 아침을 먹었다. 주인이 1냥을 노자로 주었다. 곧바로 출발하여 국평(菊坪)60)의 하서(夏瑞) 집에 들러 잠시 이야기를 나누었다. 모두 주막으로 와 일행과 잠시 얘기를 나누며, 이에 술을 사서 권하였다. 오수(鰲樹) 최복신(崔福臣) 집에 들러, 오수에게 김수재(金秀才)가 남긴 편지를 전하고 나왔다. 새 객점에서 점심을 먹었다. 주포(周浦) 객점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60리를 갔다. ○早發, 越斗峙, 入野塘宋延英家朝飯。 主人以一兩錢贐行矣。 卽發, 入菊坪夏瑞家暫話。 偕來酒幕, 與同行暫話, 仍以沽酒以勸。 而入鰲樹崔福臣家, 傳鰲樹留金秀才書簡出來。 新店午飯。 抵周浦店留宿。 行六十里。 두치(斗峙) 전라북도 임실과 오수를 잇는 길로 '말재'라고 하였다. 야당(野塘) 전라북도 임실군 남면 야당리이다. 국평(菊坪) 전라북도 임실군 오수면 대명리 국평 마을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26일 二十六日 ○일찍 출발하여 율목정(栗木亭)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입진(笠津)을 건너 율지(聿之)와 여옥(汝玉)은 조막(造幕)으로 들어가고, 나는 자윤과 천평(泉坪)으로 와서 유숙하였다. 90리를 갔다. ○早發, 抵栗木亭午飯。 越笠津, 聿之與汝玉入造幕, 余與子允來泉坪留宿。 行九十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13일 十三日 ○밥을 먹은 뒤 사헌(士憲)과 각교(㰌橋)로 갔다. 송 판서를 만나니, 여산(礪山)의 석회 채굴을 금지하는 일로 전주 부윤에게 서간을 보냈다고 하였다. 또 장단(長湍)의 산소에 떼를 바꾸는 일로 나중에 통문을 보내겠다고 하였다. 그길로 반송방(盤松坊)으로 가서 구관(舊官) 남이형(南履炯)118)을 만나 그 형의 궤연에 조문하였다. 오는 길에 차동에 들러 잠시 이야기를 나누고 -결락- 남묘(南廟)119)에 들러 둘러보고 왔다. ○食後, 與士憲往㰌橋。 見宋判書, 則以礪山禁灰掘事, 折簡於完伯云。 又言長湍山所 改莎草事。 從後發通云矣。 仍往盤松坊。 見舊官南履炯, 吊其兄几筵。 來路入車洞暫話, 而入【缺】 南廟, 周玩而來。 남이형(南履炯) 1780~1854. 자는 광보(光甫)이고, 본관은 의령(宜寧)이다. 1813년(순조 13) 증광시에 입격하였다. 의주 부윤을 지냈다. 남묘(南廟) 서울 용산구 도동 남대문(南大門) 밖에 있는 관우(關羽)를 제사지내는 곳으로 '남관왕묘(南關王廟)'라고도 한다. 선조(宣祖) 31년(1598)에 세웠으며, 광무(光武) 3년(1889)에 불에 타 버렸다가 3년 뒤에 다시 지었으나, 6ㆍ25 전쟁(戰爭) 때 불타서 1957년에 다시 지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30일 晦日 ○밥을 먹은 뒤 들어왔다. 과역(過驛) 저자 변두리에 이르렀다. 오후에 집으로 돌아왔다. 집안이 우선 무고한 것이 다행이었다. 다만 날이 가문 바람에 모내기를 5마지기만 했다니 몹시 걱정이었다. ○食後入來。 抵過驛市邊。 午後還家。 家中姑無故是則幸矣。 而以日旱之致, 移秧只五斗地, 悶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동행록 同行錄 정효영 율지 계사년(1773) 본관 영광박상현 사원 기축년(1769) 본관 창원송석년 수이 무술년(1778) 본관 여산송 격 내원 신유년(1801) 본관 남양송 호 여옥 을묘년(1795) 본관 남양박종운 병오년(1786) 본관 창원신희록 자윤 을축년(1805) 본관 고령조성령 무진년(1808) -임피(臨陂) 서면(西面)67) 상동촌(尙洞村)에 거주-박영규 여경 계해년(1803) 본관 밀양 丁孝榮聿之, 癸巳, 靈光人。朴祥顯士元, 己丑, 昌原人。宋錫年壽而, 戊戌, 礪山人。宋 格 乃元, 辛酉, 南陽人。宋 琥汝玉, 乙卯, 南陽人。朴宗運, 丙午, 昌原人。申希祿子胤, 乙丑, 高靈人。趙成靈, 戊辰, 人。 【居臨陂西面尙洞村。】朴榮珪汝卿, 癸亥, 密陽人。 서면(西面) 전라북도 군산시 개정면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貞陵仲秋節享兼忌辰享役【神德王后忌辰八月十三日兼秋夕祭】 落月城東聽漏鍾石梯輿馬不從容崖陰兩畔應秋菓澗籟千廻又古松福地洞天緣外至武陵樵客意中逢誰知半夜蒼黃路尙有新詩滿腹濃【右初十日夜出東小門宿典祀廳】老石淸溪曲曲奇漢山形勝止於斯城闉十里無埃境林木千年不老枝端正漸回明月色淸晶又値素秋時東岡藥水緣何厚病肺如今八九醫【右十一日與參奉李承老消日】往蹟珠邱石不移一雙翁仲侍臣儀滄茫柳井浮盂日怊悵林齋聽磬時丹旐颺靈風有驗黃裳叶吉雨如期孝孫世世承先志香祝今秋雨玉墀【右十二日與諸享官叙話】夕陽輕屐上琳宮緩踏松陰可一弓不雨泉聲長逗石未霜秋氣半黏楓紅醪破戒空門裏白䄲供歡法鼓中二十二雙金佛手有何防備揷叢叢【右䀯后與諸享官遊新興寺南一里】穿巖架壑兩三層隙地鷦巢結構能八月山中人欲鶴七星臺上石如僧偸看野色鄕心活靜聽溪聲俗骨澄回笑白頭塵海客尙餘豪興片時乘【右十三日遊奉國寺一名藥師北二里】爲訪僧齋强拂裙朋儔如鴈穿溪雲鳴金伐鼓山應碎誦偈談經月欲分三代威儀何所在一場喧聒不堪聞携笻更向長安去遠客秋懷我獨云【右十四日夜罷享後與享官復遊新興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17일 十七日 ○율지와 함께 종루에 갔다. 나는 《사원록》을 다시 부탁할 생각으로 예조로 가서 아전 배광옥에게 말하였는데 들어주지 않았다. 그래서 묘동(廟洞)의 장번(長番) 집에 들어가 그 본가로 가는 편지를 받았다. 그길로 정동에 가니 혜길이 말하길 "내일 아침 전에 율지와 들어오겠습니다."라고 하였다. 차동으로 들어가니 감찰(민치원)도 왔다. 그길로 그 종형과 작별하고 주인집으로 오니 박상현이 내려가려고 행장을 꾸려서 나왔다. 그와 함께 유숙하였다. ○與聿之往鍾樓。 余則往禮曹《祠院錄》更附4)之意, 言及於裵吏光玉, 則不聽。 故入廟洞長番家, 受其本家所去書簡。 仍往貞洞則惠吉曰: "明日朝前, 與聿之入來。"云 。 入車洞, 則監察亦來。 仍與其從兄作別, 而來主人家, 則朴祥顯下去次, 治裝出來。 與之同留。 附 저본의 '附'는 앞 '5월 3일' 자에는 '付'로 되어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18일 十八日 ○아침 전 율지와 정동으로 가서 거기서 아침을 먹고 오후에 나왔다. 박 상인이 밥을 먹은 뒤 출발하였다. 동향 사람들은 날마다 내려가는데, 나와 율지는 혜길이 함께 가자고 하는 통에 발이 묶여, 함께 가지 못해 몹시 괴로웠다. 혜길은 내일 새벽에 나온다는 뜻으로 약속하고 나왔다. 오전에 정동에 있을 때 안채에서 음식을 한 상 내와서 배불리 먹었다. 참으로 고마웠다. ○朝前, 與聿之往貞洞, 仍爲朝飯, 午後出來。 朴喪人食後發去。 同鄕之人日日下去, 而余與聿之拘於惠吉之同行, 未得同行, 悶悶。 惠吉則明曉出來之意相約而出來。 午前在貞洞時, 自內間食物一床出送, 故飽喫。 可感可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 二十二日 합격자 명단을 발표하면서 입시하라는 명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른 아침에 궐문 밖에 나아가니 입격한 300명이 모두 와서 모였다. 돈화문(敦化門), 진선문(進善門), 숙장문(肅章門)으로 들어가 머물며 기다렸다. 차례로 추창(趨蹌)하여26) 협양문(協陽門)27)으로 들어가 장문(莊門) 세 곳을 지나서 편전(便殿)에 들어가 부복(俯伏)하였다. 지척에서 성상의 얼굴을 보게 되니 그 영광스러움과 행운은 더 말할 것이 없고, 그러한 장관(壯觀) 또한 평생 처음 보는 것이었다. 차상(次上)28)한 100인에게는 상을 나누어 주었는데, 나의 이름도 상을 받는 명단 안에 들어 있어서 조금 씁쓸하였다. 상을 받은 뒤 사배례(四拜禮 네 번 절하는 예)를 행하고 물러갔다. 出榜入格, 因有入侍之命, 故早朝進詣闕門外, 入格三百數, 皆來會矣。 入敦化、進善、肅章門留待。 次第趨入協陽門, 歷莊門三處, 入便殿俯伏, 則咫尺天顔, 其爲榮幸, 已無可言, 而其壯觀, 亦平生初見也。 限次上百人頒賞, 而吾名亦參賜賞中, 頗爲落莫矣。 受賞後, 行四拜禮而退。 추창(趨蹌)하여 예도에 맞게 허리를 굽히고 종종걸음을 치며 걷는 것을 말한다. 임금을 알현할 때나 높은 사람에게 나아갈 때 갖추는 예법이다. 협양문(協陽門) 창덕궁에 있는 왕의 침전인 희정당과 왕비의 침전인 대조전(大造殿) 영역으로 드나드는 정문이다. 창덕궁이 창건되던 1405년(태종5)경에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임진왜란, 이괄의 난 등으로 소실되었다가 다시 복구되어 유지되었다. 일제 강점기에 창덕궁을 개조하던 때에 훼철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고 빈 터만 남아 있다. 차상(次上) 시권(試券)의 성적을 평가하는 등급 가운데 차상은 등수에 들지 못한 것 중에 가장 높은 등급이다. 시권의 성적을 평가하는 등급은 상상(上上)·상중(上中)·상하(上下), 이상(二上)·이중(二中)·이하(二下), 삼상(三上)·삼중(三中)·삼하(三下), 차상(次上)·차중(次中)·차하(次下)로 나뉜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 初二日 벗 백건이 이조 정랑 윤기에게 통언(通言)하여 답한 내용이 자못 의향이 있다고 하니, 다행스럽다. 다만 나의 병이 이와 같아 가서 얼굴을 보지 못하고, 저들이 생각하는 것이 어떠한지를 모르겠으니, 이것이 유감스럽지만 어찌하겠는가. 健友通言於尹吏郞, 所答頗向意云, 可幸。 但吾病如此, 不得往見面, 請彼之所料, 未知何如, 是可恨也, 奈何?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 二十九日 날이 밝기 전에 길을 나서 노구암(老狗巖)에 이르러 아침을 먹고 잠시 말에게 꼴을 먹였다. 임실(任實) 굴암(窟巖)에 이르러 말에게 꼴을 먹이고 증산(甑山)에 이르러 묵었다. 未明登程, 至老狗巖朝飯, 暫爲秣馬。 至任實 窟巖秣馬, 至甑山留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 二十三日 아침에 맑았다가 저녁에 눈이 내렸다. 일찍 밥을 먹고 길에 올랐다. 백정(白亭)에 이르러 약노(若魯) 씨와 잠깐 이야기를 나누고 즉시 출발하여 추동(楸洞)에 이르러 말에게 꼴을 먹이고 요기하였다. 눈바람이 크게 일어났지만 눈을 맞으며 길을 나서 가까스로 무동정(茂童亭)에 이르니, 날이 이미 어두워졌다. 이날 60리 길을 갔다. 朝晴暮雪。 早飯登程, 至白亭, 與若魯氏暫話, 卽發至楸洞, 秣馬療飢。 風雪大作, 冒雪登道, 艱到茂童亭, 日已昏矣。 是日行六十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 二十四日 맑았다. 이른 새벽에 사람을 고용해 우산(牛山)1)의 안덕로(安德老) 집에 보내 서간(書簡)을 전하게 하고 돌아오는 편을 기다렸다가 길에 올랐는데, 날이 이미 저물었다. 천평(泉坪)2)에 이르러 묵었다. 노잣돈 1냥이 들어왔다. 이날 30리 길을 갔다. 晴。 凌晨雇人, 送牛山 安德老家傳書簡, 待回便上程, 日已晩矣。 至泉坪留宿。 路資錢一兩入。 是日行三十里。 우산(牛山)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우산리이다. 천평(泉坪)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천평마을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14일 十四日 ○밥을 먹은 뒤 여러 벗과 관정동으로 가서 잠시 얘기를 나누었다. 그길로 종루(鍾樓)로 가서 둘러보았다. 그길로 구 광화문 밖으로 가서 잠시 안희로(安希老)를 만났다. 나는 백운동의 이정하(李正夏)에게 갔으나, 숙부와 조카가 모두 없어서 만나지 못했다. 돌아오는 길에 정동에 들러 잠시 이야기를 나누었다. 각교로 들어갔는데 판서가 대궐에 들어간 바람에 그 아들 지학(持學)하고만 작별하였다. 저물녘에야 주인집으로 돌아왔다. ○食後, 與諸益往冠井洞暫話。 仍往鍾樓周玩。 仍向舊光化門外, 暫見安希老。 余則往白雲洞李正夏, 叔侄皆不在, 不得相面。 來路入貞洞暫話。 入㰌橋, 則判書入內, 只與其子持學作別。 乘暮還主人家。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