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 十二日 ○. 아침을 먹고 함께 머물렀던 윤 석사, 이 석사 등 여러 사람과 작별하였다. 이어 하서(夏瑞)와 길을 떠나 모람치에 이르러 묵었다. 우연히 한 사람을 만났는데 태인(泰人)의 김영택(金永澤)이라는 사람이었다. 그와 함께 머물렀다. ○仍朝飯, 與同留尹、李諸人作別。 仍與夏瑞發程, 抵모람峙留宿。 偶逢一人, 則泰人 金永澤也。 與同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 二十四日 ○아침에 또 비가 와서 일찍 출발할 수 없었다. 너무 늦어져 비를 무릅쓰고 출발하였다. 작은 고개 하나를 넘으니 정자 둘이 있는 큰길이 나왔다. 정자동(亭子洞)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오원천(烏院川)57) 가에 이르니 교량이 전부 부서지고 냇물이 크게 불어 있었다. 월천군(越川軍, 강을 건네주는 인부)을 붙잡고 건너는데 물이 어깨 위를 넘자, 마음이 몹시 위태롭고 두려웠다. 날이 저물어 굴암(屈岩) 객점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70리를 갔다. ○朝又雨, 不得早發。 最晩後, 冒雨發程。 越一小嶺, 出雙亭子大路。 抵亭子洞午飯。 抵烏院川邊, 則橋梁盡破, 川水大漲。 以越川軍扶持以越, 而水過肩上, 心甚危怕矣。 暮抵屈岩店留宿。 行七十里。 오원천(烏院川) 전라북도 임실군에 있는 섬진강 상류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 十三日 ○새벽에 일어나니 말이 잘 먹지를 못해서, 나는 뒤처지고, 하서(夏瑞)와 김영택(金永澤)은 먼저 길을 나섰다. 나는 아침을 먹고 길을 나서 저전우(楮田隅) 주점에 이르니 두 친구가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김영택(金永澤)과 작별하고 길을 나섰는데, 진창길에 무릎까지 빠졌다. 간신히 임실 운남(雲南)에 이르렀다. 하서(夏瑞)가 ▣촌(▣村)에 함께 들어가겠다고 하기에 그와 함께 들어가니 주인 최생(崔生)은 부재중이었다. 그대로 점심을 먹고 나니 하서(夏瑞)가 돈 5전(戔)을 노자로 도와주었다. 곧바로 출발하여 가단(柯斷)에 이르러 묵었다. ○曉起鬣者不善食, 余則落後, 夏瑞與永澤先發程。 余則仍朝飯發程, 抵楮田隅酒店, 兩友待我矣。 與金也作別登程, 泥路沒膝, 艱抵任實 雲南。 夏瑞同入-缺-村云, 故與之同入, 則主人崔生不在。 仍爲午飯, 夏瑞得五戔錢贐行, 故卽發抵柯斷留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 二十三日 ○일찍이 출발하여 부내(府內)의 전성철(全聖哲) 집에 이르러 아침을 먹었다. 북문 밖의 송민수(宋民洙) 집으로 가니 노원(魯源)이 법사산(法司山)에 간 바람에 만나지 못하였다. 그길로 그의 큰형 송약수(宋若洙) 씨 집으로 가서 잠시 이야기를 나누고 주인집으로 돌아왔다. 그길로 출발하여 법사산으로 찾아갔다. 도중에 비를 만나 의관이 쫄딱 젖어 힘겨웠다. 노원의 집에서 유숙하였다. 20리를 갔다. 밤에 비가 내렸다. ○早發, 抵府內全聖哲家朝飯。 往北門外宋民洙家, 則魯源出去法司山, 故不得相見。 仍往其伯氏若洙氏家暫話, 還來主人家。 仍爲登程, 尋往法司山。 中路逢雨。 衣冠盡濕艱。 魯源家留宿。 行二十里。 夜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 十八日 ○출발하여 주릿재11)를 넘어 추동점(楸洞店)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저녁에 사교(四橋)에 이르러 묵었다. ○發程越周老峙, 抵楸洞店中火。 暮抵四橋留宿。 주릿재 한자로 '주로치(周老峙)'라고도 한다. 벌교읍 추동리 대판이 마을 서쪽에서 존제산(尊帝山)을 넘어 율어면 유신리에 이어지는 고개이다. 긴 밧줄을 풀어놓은 것처럼 구불구불한 모양새라고 하여 주릿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 十九日 ○날씨가 매우 좋지 않아 묵어가려다가 지난달 길을 떠날 때에 천노(千奴)의 병이 위중하였는데, 아직 그 사이 생사가 어떠한지 몰라서 집으로 돌아가는 것을 서둘렀다. 부득이 길을 떠나 구룡정(九龍亭)에 들어가 잠시 이야기를 나눈 뒤에 과역(過驛)에서 점심을 먹었다. 집으로 돌아오니 천노(千奴)의 병이 위급한 지경에 이르러 나를 보고도 말을 하지 못하고 그저 눈물만 삼키는 것이 몹시도 참혹하였다. ○。 風日極不佳, 欲爲留宿, 而去月發行時, 千奴之病危重矣, 姑不知伊間生死之如何, 急於還家。 不得已發程, 入九龍亭暫話後, 抵過驛中火。 還家則千奴之病, 至於危境, 見我不言, 只飮泣之至, 慘矣慘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 二十九日 ○밥을 먹은 뒤 출발하였다. 마을 앞을 나오니 집 아이가 내가 내려온다는 기별을 듣고 며칠 전에 나와서 사교(四橋)에서 기다리고 있었다. 어제 월악에 들어왔다는 기별을 듣고 나온 것이다. 그러므로 함께 사교로 와서 가교(柯橋) 댁에서 유숙하였다. 재동(齋洞) 귀산(龜山)66)이 모두 무고하다니 매우 다행이었다. ○食後發程 出村前。 則家兒聞吾下來之奇, 日前出來, 四橋留待矣。 聞昨入月岳之奇出來。 故仍爲偕來四橋, 留柯橋宅。 齋洞ㆍ龜山皆無故云, 幸幸。 재동(齋洞) 귀산(龜山) 전라남도 고흥군 대서면 화산리에 있는 재동서원을 중심으로 형성된 여산 송씨 파족을 말한다. 재동파는 고흥 대서의 귀산파, 두원의 금성파, 동강의 대강파가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 初五日 ○가아(家兒)를 데리고 과역(過驛) 시장 근처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신정(新亭) 정익후(鄭益垕)가 3전의 돈을 노자로 도와주었다. 오는 길에 구룡정(九龍亭)에 들어가 잠시 이야기를 나누었다. 저녁에 사교(四橋)에 이르러 묵었다. ○率家兒抵過驛市邊中火。 新亭 鄭益垕以三戔錢贐行。 來路入九龍亭暫話, 暮抵四橋留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 二十八日 ○아침을 먹고 비를 무릅쓰고 길을 나섰다. 서령(西嶺)61)에 이르러 고개 아래 주막에서 점심을 먹었다. 여옥은 추동(楸洞)62)에 들를 생각으로 먼저 갔다. 벌교(筏橋)63)에 이르러 여옥을 기다렸다. 얼마 지나지 않아 여옥이 와서 다 같이 동면(東面)64)으로 왔다. 정암정(鼎岩亭)에 이르자 비가 내렸다. 여옥은 곧바로 들어가고 우리 일행은 월악(月岳)65)으로 들어가 유숙하였다. 60리를 갔다. ○朝飯, 冒雨登程。 抵西嶺, 嶺下店午飯。 汝玉入楸洞之意先行。 抵筏橋留待汝玉矣。 非久汝玉果來, 偕來東面。 至鼎岩亭雨作。 汝玉則直入, 吾同行入月岳留宿。 行六十里。 서령(西嶺)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추동리 석거리재이다. 벌교에서 서울 방향으로 갈 때 반드시 넘어야 하는 고개이다. 추동(楸洞)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추동리이다. 벌교(筏橋)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이다. 동면(東面) 전라남도 고흥군 동강면이다. 동강면은 옛 대강면(大江面)과 동면이 병합된 것이다. 월악(月岳) 전라남도 고흥군 동강면 오월리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 二十日 아침 전에 문대(文大)씨와 종친들이 찾아와서 만났다. 아침을 먹은 뒤에 길을 나서 구룡정(九龍亭)에 들렀다. 잠시 이야기를 나눈 뒤 길을 나서 과역(過驛) 시장 근처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대곡(大谷)의 형님과 천노(千奴)를 만나 집안 소식을 처음 들었는데, 증아(曾兒)가 순종(唇腫, 입술이 붓는 것)이 아주 심하다고 하였다. 그 말을 들으니 걱정스러운 마음을 견딜 수가 없어 그길로 동행하여 집으로 돌아왔다. 朝前文大氏與諸宗來見。 食後發程, 入九龍亭。 暫敍後登程, 抵過驛市邊中火。 逢大谷兄主及千奴, 始聞家信, 則曾兒以唇腫大端云。 聞不勝悶慮, 仍爲同行歸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 初五日 일찍 출발하여 전석치(磚石峙)를 넘어 오수(鰲樹)에 이르렀다. 나는 소로(小路)로 들어가 평당(坪塘)의 송연영(宋延英) 집에 이르렀으나 주인 부자가 모두 출타하여 만나지 못했다. 주막으로 나와서 점심을 먹고 있으니 뒤따라 당도하여서 다행이었다. 송연영(宋延英) 종형제를 마침 이 주막에서 만난 것은 요행이었다. 이어 작별하고 말치60)를 넘어 굴암(屈岩)에 이르러 묵었다. 早發越磚石峙, 抵鰲樹。 余則入小路, 抵坪塘 宋延英家, 則主人父子皆出他, 不得相面, 出來酒幕, 仍爲中火, 追後來到, 可幸。 延英從兄弟, 適逢此幕乃幸。 仍爲作別, 越斗峙, 抵屈岩留宿。 行七十里。 말치 원문의 '두치(斗峙)'는 전북 완주군 상관면과 임실군 관촌면과 진안군 성수면 사이의 고개이다. 말치 또는 마치(馬峙)로 불리우기도 하는데, 진안 마령 사람들이 말을 타고 가던 길목이어서 '마치'라 칭하였다고 한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 初六日 일찍 출발하여 오원(烏院)61)에 이르러 아침을 먹었다. 한참 밥을 먹고 있을 때에 보성(寶城)의 공서(公瑞) 종인(宗人)이 왔다. 만나서 쉬었다가 그길로 동행하여 쌍정자(雙亭子)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부내(府內)에 도달하여 전성철(全聖哲)의 집에 머물렀다. 70리를 갔다. 早發抵烏院朝飯。 方食之際, 寶城 公瑞宗人來, 相逢息後, 仍爲同行, 抵雙亭子中火。 得達府內, 留全聖哲家。 行七十里。 오원(烏院) 관촌(館村)의 옛 지명이다. 고문헌에 관촌(館村)은 등장하지 않고, 임실의 북쪽 경계 지점에 있었던 상북면·하북면과 '오원역(烏原驛)' 또는 '오원(烏院)'이 기록되어 있다. 《고려사지리지》에 오원이 임실의 역으로 수록되어 있고,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역(驛)이 2이니, 오원(烏原)·갈담(葛潭)이다. "라고 하였다. 관촌은 객지에서 묵는 숙소라는 뜻인 객관(客館)의 뒷 글자에서 유래가 됐으며, 원(院)이나 역(驛)은 상당히 큰 규모의 국립 여행자 숙소를 뜻한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 十一日 ○아침을 먹은 뒤에 선화당(宣化堂)에 들어갔더니 순상(巡相)이 내아(內衙, 지방관아에 있던 안채)에 들어갔다고 하여 책방(冊房)으로 들어가 각처의 책객(冊客)8)과 이야기하였다. 오후에 순상(巡相)이 선화당(宣化堂)에 나왔으므로 선화당(宣化堂)에 들어가 남겨 둔 서간(書簡)과 《충효록(忠孝錄)》을 찾은 다음 하직하고 나오니 날이 이미 저물었다. 길을 나서지 못하고 그대로 머물렀다. ○食後入宣化堂, 則巡相入內衙云, 入冊房與各處冊客談話。 午後巡相出宣化堂, 故入宣化堂, 推尋所留簡牘與《忠孝錄》, 仍爲下直而出來, 日已夕矣。 不得發程仍留。 책객(冊客) 고을 수령의 비서(秘書) 사무를 맡아보던 사람으로 관제에 있는 것이 아니고 사사로이 임용하였다. 책방(冊房)이라고도 한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 初十日 ○밤에 비가 내렸다. 순상(巡相) 내행(內行)이 들어왔다고 하였다. 아침을 먹은 뒤에 보은(報恩) 윤 석사(尹碩士, 윤제대(尹濟大)), 연산(連山)의 이 석사(李碩士)와 공북루(拱北樓)7) 아래에 가서 구경하고 왔다. ○夜雨。 巡相內行入來云, 故食後與報恩 尹碩士及連山 李碩士, 往拱北樓下, 觀光而來。 공북루(拱北樓) 전라북도 전주시에 있었던 누각을 말한다. 조정에서 조령(朝令)을 받들고 사람이 내려올 때 부윤(府尹)이 나가 맞던 곳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 十三日 ○밥을 먹은 뒤 사헌(士憲)과 각교(㰌橋)로 갔다. 송 판서를 만나니, 여산(礪山)의 석회 채굴을 금지하는 일로 전주 부윤에게 서간을 보냈다고 하였다. 또 장단(長湍)의 산소에 떼를 바꾸는 일로 나중에 통문을 보내겠다고 하였다. 그길로 반송방(盤松坊)으로 가서 구관(舊官) 남이형(南履炯)118)을 만나 그 형의 궤연에 조문하였다. 오는 길에 차동에 들러 잠시 이야기를 나누고 -결락- 남묘(南廟)119)에 들러 둘러보고 왔다. ○食後, 與士憲往㰌橋。 見宋判書, 則以礪山禁灰掘事, 折簡於完伯云。 又言長湍山所 改莎草事。 從後發通云矣。 仍往盤松坊。 見舊官南履炯, 吊其兄几筵。 來路入車洞暫話, 而入【缺】 南廟, 周玩而來。 남이형(南履炯) 1780~1854. 자는 광보(光甫)이고, 본관은 의령(宜寧)이다. 1813년(순조 13) 증광시에 입격하였다. 의주 부윤을 지냈다. 남묘(南廟) 서울 용산구 도동 남대문(南大門) 밖에 있는 관우(關羽)를 제사지내는 곳으로 '남관왕묘(南關王廟)'라고도 한다. 선조(宣祖) 31년(1598)에 세웠으며, 광무(光武) 3년(1889)에 불에 타 버렸다가 3년 뒤에 다시 지었으나, 6ㆍ25 전쟁(戰爭) 때 불타서 1957년에 다시 지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 十四日 ○밥을 먹은 뒤 여러 벗과 관정동으로 가서 잠시 얘기를 나누었다. 그길로 종루(鍾樓)로 가서 둘러보았다. 그길로 구 광화문 밖으로 가서 잠시 안희로(安希老)를 만났다. 나는 백운동의 이정하(李正夏)에게 갔으나, 숙부와 조카가 모두 없어서 만나지 못했다. 돌아오는 길에 정동에 들러 잠시 이야기를 나누었다. 각교로 들어갔는데 판서가 대궐에 들어간 바람에 그 아들 지학(持學)하고만 작별하였다. 저물녘에야 주인집으로 돌아왔다. ○食後, 與諸益往冠井洞暫話。 仍往鍾樓周玩。 仍向舊光化門外, 暫見安希老。 余則往白雲洞李正夏, 叔侄皆不在, 不得相面。 來路入貞洞暫話。 入㰌橋, 則判書入內, 只與其子持學作別。 乘暮還主人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衡山神禹碑歌【幷志】 久旅忘家翼輔承帝勞心營知裒事與制泰華之定池瀆其平處水犇麓魚獸發形而罔弗亨伸鬱疎塞明門與庭永食萬國右平水土贊集大禹手篆凡四十八字◌許穆跋曰老人從東海歸明年王孫朗善君寄示衡山神禹碑其文侔天地造化若鳥翔若獸蹌若龍騰虎變靈祥殊狀炳耀威神殆非筆力可摹者與伏羲黃帝書不同誌曰夏后氏作形似篆洪水方割人禽鬼神之居相混禹鑿山注海開九州奠高山大川像物鑄鼎姦怪畢見人得遠害而宅土於是得洛書之瑞叙九疇變鳥跡嘉禾刻石衡山亦像物之文也聖人之跡至今四十年昌黎岣嶁山詩杳然傳述異跡而已劉夢得詩亦然碑盖沒於世久矣嘉靖間衡山嶽麓地中其碑始出聖人之文顯晦天也禹貢岷山之陽至于衡山地誌衡山在長沙九江西岣嶁山衡山南麓別峰云王孫篤好古文前年奉使如燕京得之以老人頗知羲黃古文來問之贊曰夏后氏水土旣平像物制書其書奇而正嚴而不亂史記曰禹身爲度聲爲律左準繩右規矩其文亦有規矩有準繩嗟乎千古聖人之畵萬里衡山之刻奚爲而來留黑岳之刹黑岳者陟州之屬而陟乃許和父所宰邑也得此本於朗善君而剞劂以付于此山傳之至今耶余少游完山得見神禹碑陽刻搨本於人家小屛愛而弗諼昨年冬又見陰刻搨本於吳侍郞別館披玩移日手不忍釋吳公曰此本今在黑岳何不圖搨然而黑岳之於丹邱融在四五百之路而路且險阻實無如之何矣未幾江陵趙君斗年適有事來訪酬應之暇余仍要得此書趙君唯唯而去翌年春趙之家君萬九甫因雒行過余兼致其胤書而黑岳所蕆神禹手篆亦隨而至矣鶴山之於黑岳又過二百里之遠而得踐宿諾趙君亦可謂有信之士也今觀字晝變化若蛟龍翔舞若鸞鳳威如鬼靈駿如獸怪嚴而恭奇而正擾而毅亂而敬溫而厲寬而栗直而不倨曲而不屈綜而不紊九德咸備百度俱密令人可畏可愛千態萬象殆天所爲非人力所可摹擬尙矣哉神聖人之心劃也贊文亦頗奇古來知其出於誰手後來楊子雲蔡伯喈之流集大禹手篆爲此文歟抑漢秦周殷以前之文耶其書脫出不能無後學之訝惑焉遂爲之歌曰上古文字如浮雲龍鳳嘉禾何冥邈可怪南霍一片石風雨弗磨更弗剝神物顯晦終有時政似吳劍與楚璞萬里之土千劫下此本從何來黑岳鶴山騷客書有信東風軒檻忽剝啄主人動色雙手擎米顚拜舞自不覺金蠅鐵索四十八得之怳若千金瑴坐見虹月牕壁流面上纖塵三斗撲字軆不類籕與隸天章燁爛雲錦濯萬丈光怪眩人目如夔之股如蛟角飛空夜叉噉虎豹司命星君騎鸑鷟囓斷鞚靱走生馬急不得暇難促搦奪天之巧非人力鬼斤神斧亂搥琢罔象莫遁銘寶鼎追蠡欲斷懸大樂緬昔鴻流懷襄日芒芒天地浮渾濁川澤山林無定界龍蛇鳥獸太斑駁遂令百怪盈人間跳踉頓脚恣嘯嚗咈哉檮杌陻無績羽山黃熊幻形殼崇伯有胤勞其心重華之聖而簡擢大罏鑄出如電斧龍門一腹丁丁斲篠簜桑檿隨地宜巢窟餘生見大墣八載橇梮神有迹海沙聲敎又南朔穀腹絲身民免魚梯航萬國沛鴻渥然後姦怪畢露現會意象形瑤管握獸犇魚駭發爲書縱橫字畵頗犖确廓然掃除生靈害山竄海伏無風雹至今平成伊誰賜大哉神功齊隤確况復手畵毫不訛千秋摸搨嗟後學上可軒頡相唯喏去古未遠風淳朴曠世摩挲興一感不獨字書巍乎卓愚謹按吳越春秋曰禹傷父功不成乃巡衡山血馬以祭之仰天而嘯忽夢男子自稱玄夷蒼水使者謂禹曰欲得我山神書者齋焉禹乃退齋三日遂獲金簡玉字之書得治水之要刻石山之高處韓愈詩曰岣嶁山尖神禹碑字靑石赤形摹奇科斗拳身薤葉披鸞飄鳳泊拏虎螭事嚴跡怪鬼莫窺道人獨上偶見之我來咨嗟涕漣洏千搜萬索何處有森森綠樹猿猱悲然則昌黎所咏岣嶁之碑乃神禹所刻石而今此四十八字其遺迹乎否千古之事茫未可知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 十七日 ○율지와 함께 종루에 갔다. 나는 《사원록》을 다시 부탁할 생각으로 예조로 가서 아전 배광옥에게 말하였는데 들어주지 않았다. 그래서 묘동(廟洞)의 장번(長番) 집에 들어가 그 본가로 가는 편지를 받았다. 그길로 정동에 가니 혜길이 말하길 "내일 아침 전에 율지와 들어오겠습니다."라고 하였다. 차동으로 들어가니 감찰(민치원)도 왔다. 그길로 그 종형과 작별하고 주인집으로 오니 박상현이 내려가려고 행장을 꾸려서 나왔다. 그와 함께 유숙하였다. ○與聿之往鍾樓。 余則往禮曹《祠院錄》更附4)之意, 言及於裵吏光玉, 則不聽。 故入廟洞長番家, 受其本家所去書簡。 仍往貞洞則惠吉曰: "明日朝前, 與聿之入來。"云 。 入車洞, 則監察亦來。 仍與其從兄作別, 而來主人家, 則朴祥顯下去次, 治裝出來。 與之同留。 附 저본의 '附'는 앞 '5월 3일' 자에는 '付'로 되어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 十八日 ○아침 전 율지와 정동으로 가서 거기서 아침을 먹고 오후에 나왔다. 박 상인이 밥을 먹은 뒤 출발하였다. 동향 사람들은 날마다 내려가는데, 나와 율지는 혜길이 함께 가자고 하는 통에 발이 묶여, 함께 가지 못해 몹시 괴로웠다. 혜길은 내일 새벽에 나온다는 뜻으로 약속하고 나왔다. 오전에 정동에 있을 때 안채에서 음식을 한 상 내와서 배불리 먹었다. 참으로 고마웠다. ○朝前, 與聿之往貞洞, 仍爲朝飯, 午後出來。 朴喪人食後發去。 同鄕之人日日下去, 而余與聿之拘於惠吉之同行, 未得同行, 悶悶。 惠吉則明曉出來之意相約而出來。 午前在貞洞時, 自內間食物一床出送, 故飽喫。 可感可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橫城路中【幷志五首】 巡使旬宣之行回過橫城余以公例往候于邑風雨路中口述所懷時春三月二十五日甲子也重尋舊跡拂蔥裙小輿周流鳳水濆白白楊花飄似雪靑靑黍麥嫩於雲不遑人事今三載欲盡春光已十分自笑虛名兼太守雨中迎候爲誰勤其二獰颷打雨太顚狂飄蕩輕輿泛小航啼鳥風流何寂寞落花消息正紛忙暢情一日猶關數如夢三春易束裝可奈計程奔汩客竹扉荒店乍徊徨其三東風乍歇雨霏霏水北行人霧眼微十里溪山懸墨帖百家林木掩紗幃芹曰逈聽靑蛙呌草店偸看紫燕飛不辨棲臺新物色二年重到是耶非其四溪雲欲薄郭烟疎快活家家午景舒郊草十分看雨後巷花千點覺春餘山中突出蚩氓牒天上飛來刺使車休道督郵閒寂寂疲於酬接果何如其五官道長林聽暮烏行人戒駕又南隅何山榾柮開村店某水橋梁信僕夫狂走雨風亦整暇浮生朝晝在須臾橫城花柳應饒笑百里肩輿寂寂吾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