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手抄眉山蒐獵序 余於客夏僑居漢北楓下屋畏景爍爍恒潦淫淫顧無以自娛借主人書籍摘蘇長公事文之散出者手抄爲送夏之資旁有識之者曰子成名而年且衰矣以有限之精力空費於無益之書不其近於淫且愚乎古之杜武庫癖於左氏而子之癖於坡者抑何意見余以詩解嘲曰霧色長霖火色暉百坡於我弗相違抽毫正學蠅頭細運臂猶爭鶻翮飛自笑聞中緣底劇如癡坐上任他譏且書且讀役心欲不妨身家頓忘機居未幾何余出補東郵丞丞舍又寂如僧寺苦難自適搜破篋檢古籍手抄爛藁顧自如也仍復分類精寫間因事東征西馳越明年春正月始克成編凡幾十百條總爲一卷名之曰眉山蒐獵嗟乎昔我先君子恒言聰明不如鈍筆余今而後儘覺前言之不吾欺也余幼少時天資不甚魯鈍經史雜書過眼輒誦自以爲天下無難事忽焉年未半百舊聞新見都付亡羊恍然情神如墮雲霧縱欲收拾而不可得矣今此拭昏眸呵凍手而役役自苦者幸借未老之鈍筆欲以爲餘生之一半分聰明良可一歎後來嗣我者開卷而覽此序則庶或追感於先君子之格言而能使此翁之手澤得無爲蟲鼠之所點汚否唯彼坡翁之文章事實自有先哲定評不欲爲畵蛇之添足而盖文苑百體於斯約而該矣苟能詳味則欲學文章者亦豈曰全然無益也哉歲昭陽赤奮若春正月晦鈍翁書于丹邱之羽化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 二十七日 ○새벽에 출발하였다. 공주 감영에 들어가 산성의 남문으로 들어가서 북문으로 나왔다. 곧바로 나루를 건너기 위해서였다. 모로원(慕露院)103)에 이르러 아침을 먹었다. 광정(廣亭)104)에 이르러 나는 송상철(宋相哲) 집에 들어갔으나, 길보(吉甫)가 마침 집에 없어서 곧바로 나와 주막에서 점심을 먹었다. 차령(車嶺)105)에 못 미쳐서 중도에 길보를 만났다. 한참 동안 이야기를 나누고 그길로 헤어졌다. 차령을 넘어 덕평(德坪)106)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60리를 갔다. ○曉發。 歷公州監營, 入山城南門出北門。 卽爲越津。 抵慕露院朝飯。 抵廣亭, 余則入宋相哲家, 吉甫適不在, 卽爲出來, 酒幕午飯。 未及車嶺, 逢吉甫於中路。 移時談話, 仍爲分袂。 越車嶺, 抵德坪留宿行。 六十里。 모로원(慕露院)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오인리 양달 마을에 있었다. 원래 명칭은 '모로원(毛老院)이다. 광정(廣亭)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광정리이다. 차령(車嶺)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인풍리(仁豊里)와 천안시 광덕면 원덕리(院德里) 사이에 있는 고개이다. 덕평(德坪)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덕평리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 二十八日 ○새벽에 출발하여 도토치(道吐峙) 아래 객점에 이르러 아침을 먹었다. 실음소(失音所)107)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칠원(柒原)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100리를 갔다. ○曉發, 抵道吐峙下店朝飯。 抵失音所午飯。 抵柒原留宿。 行百里。 실음소(失音所)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수헐리이다. 성환에서 국도와 갈라졌던 옛길이 국도와 다시 합류하는 지점에 있는 마을로 한자 이름은 수헐리인데,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수헐원(愁歇院)'으로 되어 있고, 속칭 '실음소(悉音所)'라고 표기하고 있다. 이곳은 동쪽으로 5리 가면 직산 고을이 나타나는 교통의 요충지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國香寺【幷序】 丹邱丞以將事之役入雉岳洞門雪裏砯崖滑如水晶舍馬就便輿迫黃昏一老衲迎候忽見山凹裏蝸角小刹蕭條着地問其名則曰國香卽雉岳祠守護之刹而自國家歲降香祝此寺實主之因以得名云停輿而入經一宿眼界紆鬱別無可賞只有二三老髡其中曰聖益者頗能玄談娓娓可聽古有無錯禪師修戒此山適出山門路傍有母雉方乳忽見一大蠎盤回欲嚼師住杖謂蛇曰汝雖餒可不忍歟彼方乳矣母若見嚼則羣雛亦隨而畫以汝一口欲喫無罪之羣生可乎蛇乃移怒於師仍作人語曰吾實餒矣聽汝之言而欲活羣雉則替啖汝一箇身亦不可乎便張吻欲咬之師脫衣向前蛇更人語曰吾聞汝生佛也多神術云使我能聽法鍾於此地則當釋汝矣能然否盖師之所住刹與此地稍隔而日色方晝正非打鐘之時語未幾何忽聞法鍾之聲函胡鳴動歷歷中節蛇以爲神釋而去師歸問法徒則皆以爲雌雄雙雉俄忽飛來以尖嘴相爭啄鍾血流鍾下實不知其故也師愀然長嘆備述所經始知打鐘者出於乳雉之報恩也山以此錫名雉嶽至今相傳云云此說極涉荒唐而亦足爲山囱下破寂一資故戱錄之【寺名國享而享字不韻故換用香字】寂寥神宇南剝落小僧巢庭砌難容馬四山環而包凍林何紆鬱危石更碻磝只愛雪後景氷綃織江鮫舊號空帶香短壁見斗筲偪側如蝸殼黏着山之凹深鎖一洞門不見十里郊破瓦數間屋正似掩荒茅蕭瑟三兩髡䳡鷯托小梢尙能依神祠堅守太黏膠何處得齋飯供佛銅磬敲辛勤候老丞叉手禮相交今夕免荒凉小廚設大庖冠珮來肅肅桂醑又蘭殽煖堗坐妥怗雪風任颵颵半宵玄談裏賴渠塵念抛荒唐無錯說援古正嘐嘐惜爾頗聰慧未能透理爻緣底守空門大界嗟同胞枯木與死灰終歸一漚泡指證其然否雉山怳解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古文 書者六藝之一而書有六書象形指事會意諧聲轉注假借是也如今學者尠有知其法者易曰上古結繩而治後世聖人易之以書契百官以治萬民以察盖取諸夬史曰宓犧氏造書契以代結繩之政又曰史皇氏見鳥跡始制文字天雨粟鬼夜哭所謂鳥跡篆是也然則宓犧史皇以前無書可徵太古五龍攝提合雒連通叙命循蜚因提等諸紀從何而紀抑或後來浮誕之士增衍敷益創出無名之名矣歟是未可知也五帝三王之書以古文紀之則鳥跡蝌蚪之文後人誠䵝䵝難讀博學如倚相識奇如楊雄者流移摹楷書以誨後人乎否抑未知上世又別有楷書也已古文於今之世旣無所適用然學者亦不可不識倉籒氏古文諸法雖變化不一而其可疑者無可攷豐叔氏金石古文自汗簡文說文演說古經石經夏書古史此干塚石槨文華嶽碑商鼎周彛盤匜簠簋之文籒韻古世本岐陽石鼓大傳切韻集字羣玉古文凡百三十字其文蒼古簡嚴或怪怪奇奇多不可名狀盖自軒轅以來麟鳳龜龍嘉禾雲鳥星文之書特記瑞而已不可用史籒變古文爲籒書曰大篆至秦李斯壞古文爲小篆漢唐來諸作者十四家芝英飛帛金錯玉筋之類七曺劉王衛韋史之作又七皆非古文可見秦漢以降風氣淺薄不能效古嗟乎太昊蒼古之氣亡於秦歷漢氏無餘矣今也秦漢風氣亦難摹法何况古文上古未有文字結繩以記事庖犧氏始造書契謂刻木書字有龍瑞又作龍書史皇氏兄弟三人一造笁國字一造天宮字季曰倉頡造華字所謂始制文字是也見空階鳥跡又作鳥跡書神農氏有嘉禾瑞作穗書黃帝氏有雲瑞作雲書顓頊氏作科斗文字夏禹氏作獸篆務光作倒薤書又有奇字古文蒼古難知漢時楊雄識奇字鳳書龜書皆因古文紀瑞至周媒氏作墳書伯氏因鍾鼎古文作笏記文曰殳書古文不知作於何世而三代用之史佚作鳥書司星子韋作星書孔氏弟子作麟書皆從龜龍古文史籒變古文作十五篇曰籒書秦壞古文作刻符文字八體丞相斯作小篆始皇帝至以衡石量書文書繁上谷王次仲變古文爲書令隸人佐書曰隸書或云程邈作之邈出於徒隸故曰隸書隸書作而古文廢邈餙小篆作上方篆用之印璽王次仲減隸書作八分文字割隸書去八分法小篆取八分云秦胡毋敬因大篆變小篆漢孝武時甘泉産芝令陳遵作芝英篆曹喜【或作善】作垂露篆又作懸針篆書五經篇目唐時有碧落篆似小篆李陽氷善玉筋篆後世用之焉魯秋胡妻玩蚕作彫虫書【或曰楊雄作雕虫篆】漢時有鵠頭篆韋誕作剪刀篆史游造其極劉德昇觀星文作纓絡篆蔡邕見人以帚求書作飛帛文字韋誕【字仲將】又作金錯古錢等書晉衛瓘三世攻書作柳葉書王羲之以飛字龍爪形作龍爪書【盖古文變爲籒書籒書變爲小篆小篆變爲隸書隸書變爲八分八分變爲楷楷變爲行行變爲草至此而古文掃盡無餘矣章草漢杜伯度所作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18일 十八日 ○일찍 출발하여 부기(富機)47)에 이르러 아침을 먹었다. 목천(木川)48)의 새 주막에 이르러서 개장국을 사서 점심을 먹었다. 김제역(金堤驛) 마을에 이르러 낙안(樂安)으로 가는 일행과 헤어졌다. 일행과 오촌(鰲村)으로 갈 참이라 고동령(高東嶺)을 넘어 전의(全義)49) 읍내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60리를 갔다. ○早發, 抵富機朝飯。 抵木川新酒店, 買狗羹午飯。 抵金堤驛村, 與樂安同行分路。 與同行作鰲村行, 越高東嶺, 抵全義邑內留宿行。 六十里。 부기(富機) 충청남도 서산군 음암면 부장리(富長里)의 옛 지명으로 추정된다. 부장리는 부다리(富多里)와 기촌(機村) 일부 등 세 마을이 합해져 이루어진 마을이다. 목천(木川)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이다. 1413년(조선 태종 13) 목천현(木川縣)이 되었다가, 다시 목천군을 거쳐 1914년 천안군에 통합되면서 목천면이 되었다. 1963년 천안시에 속하였고, 2002년 1월 1일 읍으로 승격해 오늘에 이른다. 전의(全義)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2일 初二日 ○여독으로 몸을 움직일 수가 없어 주인집에 머물렀다. 오후에 대로변으로 나가 요기를 하고, 그길로 관정동(冠井洞)으로 향하였다. 중도에 박상현(朴祥顯)과 공서(公瑞)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나서 헤어져 돌아왔다. ○以路憊不能運動, 留主人家。 午後出去大路邊療飢。 仍向冠井洞矣。 中路逢朴祥顯及公瑞, 談話後, 相分還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4일 初四日 ○아침 전, 공서가 내려가는 김에 김노와 고부의 김 생원을 데리고 출발하였다. 밥을 먹은 뒤 10냥을 가지고 개간소로 가서 냈다. 오후에 나와서 창동의 배진환(裵珍煥)이 머무는 곳에 들렀더니, 배진환은 출타하였다. 남문으로 나와 차동(車洞)115)으로 가니 주인이 출타하였다. 이에 아랫사랑으로 가서 주인 민치명(閔致明)과 잠시 이야기를 나누고, 도로 창동으로 왔는데 배진환은 돌아오지 않았다. 도로 남문으로 나와 율지와 함께 주인집으로 왔다. ○朝前, 公瑞下去次, 率金奴與古阜金生員發程。 食後, 持十兩錢往刊所納錢。 午後出來, 歷訪倉洞裵珍煥所住處, 則裵也出他。 出南門, 往車洞, 則主人出他。 仍往下舍廊, 與主人閔致明暫話, 還來倉洞, 則裵也不來。 還出南門, 與聿之出來主人家。 차동(車洞) 중구 의주로1가ㆍ순화동에 걸쳐 있던 마을로서, 수렛골을 한자명으로 표기한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추모동이라고도 하였는데, 이는 조선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가 태어난 터에 비석을 세우고 그를 추모했던 데서 붙여진 지명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28일 二十八日 ○새벽에 출발하여 도토치(道吐峙) 아래 객점에 이르러 아침을 먹었다. 실음소(失音所)107)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칠원(柒原)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100리를 갔다. ○曉發, 抵道吐峙下店朝飯。 抵失音所午飯。 抵柒原留宿。 行百里。 실음소(失音所)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수헐리이다. 성환에서 국도와 갈라졌던 옛길이 국도와 다시 합류하는 지점에 있는 마을로 한자 이름은 수헐리인데, 《대동지지(大東地志)》에는 '수헐원(愁歇院)'으로 되어 있고, 속칭 '실음소(悉音所)'라고 표기하고 있다. 이곳은 동쪽으로 5리 가면 직산 고을이 나타나는 교통의 요충지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子規樓【幷誌三首】 在寧越賓館側古稱梅竹樓樓之北又揭梅竹扁額端廟臨御時咏子規因以錫名云◌端廟御製月白夜蜀魄啾【一作月欲低蜀魄啼】含愁情【一作相思憶】倚樓頭爾啼悲我聞苦【一作爾聲苦我心哀】無爾聲無我愁寄語世上【一作爲報天下】苦勞【一作惱】人愼莫登春三月子規樓【子規下或有啼明月三字】◌一自寃禽出帝官孤身隻影碧山中假眠夜夜眠無假窮恨年年恨不窮聲斷曉岑殘月白血流春谷落花紅天聾尙未聞哀訴何奈愁人耳獨聰【嘉義大夫江原道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巡察使原州牧使臣尹師國奉敎謹書辛亥三月日刊揭】何處無子規此地獨起樓傷心千古蹟宸藻空淹留未忍高聲讀遶壁只搔頭於乎前王巡遊地不道龍樓與鳳樓多事後人强借子規名大書特書楣上留只今東風寒食節冠蓋愀然立馬頭詞臣好古者生平擬登子規樓如今行遂願行人信宿柰城留可奈管城子不能出奇語悵然還似龜縮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15일 十五日 ○박 상인(喪人, 상중에 있는 사람)이 맡은 일이 아직 해결되지 않는 바람에 일행과 뒤처져 율지, 여옥(汝玉), 자윤과 동행하였다. 아침 먹기 전에 비가 내렸다. 아침을 먹고 난 뒤에 비가 조금 갤 기미가 있어 그냥 짐을 꾸려 출발하였다. 청파(靑坡, 서울 용산구 청파동)의 영대(永大) 집에 이르러 잠시 쉬고 나서 출발하였다. 강가에 이르니 비가 다시 내렸다. 비를 무릅쓰고 강을 건넜다. 승방(僧房)41) 객점에 이르러 잠시 쉬었다. 남태령(南泰嶺)42)을 넘어 과천(果川) 고을 앞 주막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30리를 갔다. ○朴喪人以所營事未決之致, 仍爲落後, 與聿之、汝玉、子允作伴。 朝前雨。 朝飯後, 稍有開霽之望, 仍治發。 抵靑坡永大家, 暫憩後, 仍爲發程。 抵江頭, 則雨更作。 冒雨越江。 抵僧房店暫憩。 越南泰嶺, 抵果川邑前酒店留宿。 行三十里。 승방(僧房) 승방평(僧房坪)으로 보인다. 서울 동작구 사당동에 있던 마을로서, 마을 뒷산에 관음사라는 절이 있고, 그 절 앞들에 있던 마을인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승방뚤ㆍ심방뜰이라고도 불렀다. 남태령(南泰嶺) 서울에서 과천을 지나 수원으로 가던 길로, 삼남대로의 첫 번째 큰고개이다. 이 고개의 원래 이름은 호현(狐峴)인데 정조가 사도세자 묘를 참배하러 가는 도중에 이 고개 이름을 물었을 때 '여우고개'라는 이름을 요망스럽다 여겨 거명하지 못했는데 과천 아전이 "남태령"이라고 대답하였다. 이후 '남태령'으로 개명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27일 二十七日 ○새벽에 출발하였다. 공주 감영에 들어가 산성의 남문으로 들어가서 북문으로 나왔다. 곧바로 나루를 건너기 위해서였다. 모로원(慕露院)103)에 이르러 아침을 먹었다. 광정(廣亭)104)에 이르러 나는 송상철(宋相哲) 집에 들어갔으나, 길보(吉甫)가 마침 집에 없어서 곧바로 나와 주막에서 점심을 먹었다. 차령(車嶺)105)에 못 미쳐서 중도에 길보를 만났다. 한참 동안 이야기를 나누고 그길로 헤어졌다. 차령을 넘어 덕평(德坪)106)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60리를 갔다. ○曉發。 歷公州監營, 入山城南門出北門。 卽爲越津。 抵慕露院朝飯。 抵廣亭, 余則入宋相哲家, 吉甫適不在, 卽爲出來, 酒幕午飯。 未及車嶺, 逢吉甫於中路。 移時談話, 仍爲分袂。 越車嶺, 抵德坪留宿行。 六十里。 모로원(慕露院)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오인리 양달 마을에 있었다. 원래 명칭은 '모로원(毛老院)이다. 광정(廣亭)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광정리이다. 차령(車嶺)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인풍리(仁豊里)와 천안시 광덕면 원덕리(院德里) 사이에 있는 고개이다. 덕평(德坪)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덕평리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翌日雨後又拈淸律得五篇永同沈【霞村】宜煥亦會 炎雲四月忽驚寒急雨昏昏不辨山膏麥潤苗應未已跳珠碎玉太無端浮生樂事斜陽外造物工夫昨夜間從此可占秋有熟主人盃酒快登盤一倍淸晶白板扉水聲高動市聲稀樓空詩境浮玄始巷僻身家坐翠微林抄雨痕鴉漠漠藥欄春意鷰依依漏鳴烟歇茶香夕禿首方知五十非近水依山舊色樓十年妥恬在皇州垂垂巷柳風無力歷歷墻花雨不愁梅子頓添金兩頰竹孫應長玉千頭逍遙楚客終何業多負往歌接輿流小山幽暗小星明雨迹迢迢路太淸塵緖百千無客緖漏聲三四答人聲當樽輸膽江南語挑燭掀髥石下情時月徜能成此會吾人未必號浮生畵月摹畵未了心平明捲箔墨廚臨床㜎慣業茶經讀庭鳥知時麥熟吟山意太玄留怪石雨痕儱翠在脩林輪贏萬事何須較不妨書中話古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昭寧園端午享官紀行【五月初三日發程】 西雲如夢境漠漠更征鞍樹老花猶少巖危鳥自安二年山北客五月道中官蕭散林風動披襟强作歡【右過慕華峴自敦義門五里】風流弘濟院起我少年心夾道黃茅店連堤綠柳林寂寥南國士疏鬯北山陰自頻今非昔悽然一短吟【右過弘濟院自慕華峴二里】野色生驢背軟靑雜硬黃占秋方熟麥隨水或分秧始覺居停久翻驚代謝忙登高能賦否觸物感懷長【右過鹿樊峴自弘濟院三里】野闊通眉睫詩緖更繽紛路或佳人店山多貴客墳古岩凄似雨新草嫩於雲王事還如束春醪未敢醺【右過磚石峴自鹿樊峴五里】三叉沙上路荒店白笆門西驛雲千里南風酒一罇長藤扶老石遠樹補孤村令節知相近秋千在綠原【右過舊擺撥自磚石峴五里】蒼蒼西走路舊院借新名小峴平於砥遙林擁若城百年生面客一日賞心行隨處瀏聣久溪山似有情【右過新院自舊擺撥十里】小山如斗郡春樹掩貧寒客店雙行整郵塗五丈寬狂生衰且甚騎士遇何難北价誠多惠衙樓拭目看【右過高陽邑自新院十里〇燕勅春過時郡衙一新故尾句語戱及之】石嶺何磽确疲驢去莫留碧蹄猶係戀白髮更添愁伐木空聞斧燔茅或理疇西園餘幾里問路住溪頭【右驀升瓢嶺自高陽邑十三里〇邑西數里有碧蹄館過此而入園路路狹且險故顩聯云】永陵杳何處遺恨白雲濱林暗眠溪鳥苔深老石橉杉松終可慰萱草近相親一瓣淸香在鵑花歲歲春【右綏吉園過境自升瓢嶺七里〇靖嬪李氏園所在昭寧園之東岡◦永陵卽眞宗大王陵靖嬪卽眞宗所生母】福地留仙枕蒼然未了峰靈源占活澗寶蔭證喬松協夢神籌定騰謠淑氣濃百年堂宇在孺慕仰仰英宗【右賦昭寧園毓祥宮崔氏園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일 十六日 일찍 출발하여 40리를 가서 영변(寧邊)에 이르렀다. 철옹성(鉄甕城)63) 만노문(萬弩門)64)으로 들어가 곧바로 관문에 이르러 통자(通刺, 명함을 내놓고 면회를 청함)하고, 곧바로 대아(大衙)에 들어갔다. 그 성지(城池)를 보니, 참으로 천참(天塹, 천연의 요충지)의 관사(官舍)이며 웅장한 고을이었다. 早發行四十里, 抵寧邊。 入鉄瓮城萬弩門, 直至官門通刺, 卽入大衙。 觀其城池, 儘天塹官舍, 眞雄府也。 철옹성(鐵甕城) 고구려 때 처음 쌓은 본성·약산성과 조선 시대 때 쌓은 신성·북성 등 4개의 부분 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구려 때 처음 쌓은 이래 조선 시대까지 서북 방위의 중요한 거점 역할을 하였다. 네 방향이 깎아지른 낭떠러지로, 항아리 입구와 같이 생긴 까닭에 철옹성(鐵甕城)이란 이름이 붙었다. 만노문(萬弩門) 영변 철옹성의 정문인 남문으로, 완월문, 고연주성문, 은주루라고도 불린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 十九日 아침 전에 관아에서 사람과 말을 보내왔다. 아침을 먹은 뒤에 동대(東臺)72)에 올라 좌우를 두루 살펴보았다. 대개 장대(將臺)73)와 다름이 없었는데, 그 석벽이 우뚝 솟아 대를 깎아 만든 것 같으니 그 빼어난 경치를 말로 다할 수가 없었다. 다만 천지가 온통 눈밭이고 날씨마저 추워서 오래 앉아 끝까지 구경할 수가 없으니 안타까웠다. 마침내 천주사로 내려갔다가 그길로 돌아왔다. 朝前自衙中送人馬。 食後登東臺, 周觀左右, 盖與將臺無異, 而其石壁斗起, 奄成削臺, 其勝槩不可盡言, 而但雪滿乾坤, 日氣又寒, 不得久坐終遊, 可歎。 遂下天柱寺, 因爲下來。 동대(東臺) 영변의 약산(藥山)에 있다. 약산은 철옹성의 진산(鎭山)으로 주위의 다른 산에 비하여 가장 험준하며 경관이 뛰어난 승지(勝地)이다. 약산 제일봉을 중심으로 동쪽에 기암괴석이 층층이 쌓여 있는 가운데 5m가량 높은 곳에 주위가 20여m 정도의 반석이 마치 대(臺)와 같이 되어 약산동대(藥山東臺)라 이름한다. 관서팔경(關西八景)의 하나이다. 장대(將臺) 산성이나 성곽 등의 동쪽에 만들어 놓은 대(臺)를 말한다. 산성에는 대체로 동서남북의 네 군데에 장대(將臺)가 있고, 장수들은 각 장대에서 자기 휘하의 군사들을 지휘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 初四日 일찍 송현(松峴)29)으로 가서 안 교리(安校理)를 조문하고, 그길로 민 진사 집에 갔더니 부재중이었다. 그래서 예조에 갔는데 안리(安吏)는 궐에 들어가서 만나지 못했다. 다시 호동(壺洞)30)으로 갔으나 자직(子直)이 선산에 성묘를 가서 만나지 못하고, 그 아들만 보고서 돌아왔다. 다시 예조에 들어가 안리(安吏)를 만났는데, 다시 의논할 일이 전혀 없을 것이라고 하니 가탄스럽다. 곧바로 나와 버렸다. 早往松峴, 吊安校理, 因往閔進士家, 則不在, 故往禮曹, 則安吏入闕不遇。 轉往壺洞則子直作楸行未遇, 只見其子, 因爲回來。 更入禮曹見安吏, 則決無更議之擧云, 可歎。 卽爲出來。 송현(松峴) 종로구 중학동 한국일보사와 건너편 종로문화원 사이에 있던 고개로서, 소나무가 울창하여 솔재라 하고 한자명으로 송현이라고 하였다. 호동(壺洞) 종로구 원남동에 있던 마을로서, 황참의다리 동북쪽에 있는데 모양이 호리병과 같던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竹僑老人韓錫斅醮甲讌【幷小序】 乙卯三月十三日卽竹僑老人醮甲也古云巹禮不賀回巹之禮亦可賀乎齒雖回巹琴瑟不調則不可賀也琴瑟雖調庭蘭不茁則不可賀也琴瑟調庭蘭茁而家甚窶無以爲禮則亦不可以受人之賀也今竹僑翁齒屆七十有六家室康寧兒孫林立亦有以庠捷鄕貢翩翻貽悅而家且不甚寠矣然則不可以不賀上以賀竹僑翁之享嘏下以賀羣子姓之衍慶云六十年前十六年二姓相姤卽靑春十六年後六十年白首重逢舊吉辰堂中琴瑟樂如何其舊孔嘉復若新春物與人亦孔嘉舊種庭樹花繽繽大兒年紀六十幾中男少男俱五旬孫曾無數立如竹頭角箇箇玉猉麐書櫓筆巢籍有聲餘事桑麻家不貧上堂獻壽餘波足斗酒十千聚比鄰煥苬凉簟錯文綺濶袍長帬圍六親南陔玉樹能餙慶禮云禮云速嘉賓烹炮龍鳳玉爲脂紫駝之峯水精鱗瓊章珠什堆滿床瑞石與之爭嶙峋人間此樂固罕有膾炙羊棗騰萬脣布衣作相不足貴白日昇僊難與倫擧世之人所大欲翁獨不廉享其純借向翁何如脫屣僑坐竹樹寂寥濱耕翁樵叟相低仰不求聞達甘沈淪百家禮䟽探根柢一部山林付經綸苟非得道寧如彼㶊神養氣自有眞韶顔雅齒期不老七十六年康彊身誰道十六加六十猶是先甲靑春人問豐年係生民之大本關國家之永命則豊年之爲瑞顧不大歟易著豊享之象詩有豊年之頌則取象作頌之義皆可明言歟神農敎耕後稷播穀則豊年果是人事之必致歟元日祈穀豊年之爲始也秋成報賽豊年之告功也其始其終皆有其道歟貢賦撤助豊年之定制也茨梁京坻豊年之爲樂也旣有其制則豊年必致於每歲旣有其樂則豊年果在於何時歟春秋之書有年者凡幾大武之樂屢豊者何由上古聖人之世未皆豊年後世昏亂之時或多有豊年則果是天數之適然歟豊年之謂天數則不稼不穡而亦可致豊年歟豊年由人事則或旱或澇而亦可致豊年歟大抵豊年者天之所以養斯民也聖人所以財成出治也粒我烝民由於豊年國有蓄積賴於豊年若是乎豊年之爲美也惟我東方盖自箕聖井田之後雖羅麗之際素稱富厚而徛我祖宗朝治法必以豊年爲先務逮我當宁以來歲致豊年黎民不飢克享大有之慶至於今年邦慶荐疊豊穰無前奈之何夏旱爲愆移秧失節雖賴圭璧之擧旋得慰洽之喜不失爲豊年而不無被災之處已登之處固可足食而受災之處將待拯救廟堂之籌藩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邑之政將何以盡其方而得其要均豊年之慶歟諸生必有講究于中願聞其說 對愚謹按貨殖傳曰金穰木飢穰則病農蘇子亦曰穀太賤則傷農然則病農傷農固可爲上瑞歟粒米狼戻終有狗彘之不檢商賈遊食乃致蟊蠹之爲弊一斗之價三錢而難酬子母之贏息一畝之出千種而難起雇傭之惰慢以至編戶之持梁富家之連陌未嘗不由於豊則愚以爲無德之豊竟致無災之災矣雖然民農則樸樸則易用易用則四境安主位尊民農則重重則少私義少私義則公法立力專一民農則其産復産復則重徙重徙則死其處而無二慮民舍本而事末則不令不令則不可以守不可以戰后稷曰所以務耕織者以爲本敎也則農者天下之本食者小民之天先王旣思所以厚其生又思所以利其用旣思所以興其利又思所以除其害拳拳致豊之意如此百姓豈有不從事南畝而能致西成哉畢命之資富能訓指其豊也箕範之旣富方穀亦以豊也由此言之則年之爲豊無負於人而享豊之道不以其義則反以爲病農傷農矣愚生長於畎畝之中執此說而以待明問久矣何幸明問之及此耶迺言四年之大有曰豊盖稼穡小人之所依農作終歲之所苦五穀皆登然後可無艱食之患萬物均成然後始有恒産之樂靈芝鳳凰之瑞莫過於占豊景星慶雲之祥不踰於有年有是哉豊年之爲上瑞也是以自古聖君仁主政必先於務農治必貴於獲稔十日雨五日風調順陰陽之氣千斯倉滿斯箱占驗豐登之祥苟有一穀之不登一稼之不成謂有欠於大熟若有匹夫之或飢匹婦之或寒必自反於仁政然而和氣至而雨露風霜得其時則百穀用成乖氣降而旱蝗水澇不得其平則百穀用不成徒知農事之作在乎人而不知農功之成在乎天惟知災祥之降在於天而不知災祥之致由於人則吾之氣不順而天地之氣不順天地之氣不順而農事之祥無以致矣傳曰致中和天地位萬物育後之欲享豊登之樂者盍於致中和三字上勉旃請曰明問而臚列之易之上雷下火盖取豊亨之義詩之多黍多稌斯有豊年之慶若非羲皇之聖德則何以致豊亨乎苟非周王之晟化則曷以臻豊穰乎噫炎皇之耒耨以利天下邰后之播藝粒我烝民則此果由人事也噫元日祈穀年之始也秋成報賽歲之終也其始其終皆循其序也噫貢賦徹助三代之捐益也茨梁坻京曾孫之稼庾也則其制其時不必架床噫魯史之書有年當春秋之際其可多乎周樂之咏屢豊克殷商之餘豈無徵乎噫上古聖世未必皆豊後世亂世亦多有豊則或有天數之適然矣雖曰天數而不稼不穡則何以致豊乎專委人事則或旱或澇而豈可爲災乎大抵豊者天之所以養民也民者國之所託爲本也民事曰農而農者王業之本也故聖王所以財成出治而粒我烝民實由於豊國有蓄積亦賴於豊若是乎豊年之爲美也惟我東方粤自箕聖井田之後八家同井千里通烟洎于羅麗民知食力地無遺利徛歟我祖宗朝聖治以豊爲先務逮我當宁以來歲致屢豊黎民不飢克享大有之慶奈之何今年夏旱爲愆馬不載秧牛不服田終賴圭璧之擧旋致珠玉之慰不失爲豊年之慶而普天之下猶有憾焉則廟堂之籌當議發實藩邑之政必思捐廩救荒之策似不踰於此矣篇將終矣豊年之瑞不可諉之天數亦不可諉之人事惟在得其道而道在中和矣中者天下之大本也和者天下之達道也苟致中和之治則小康之休固不暇論大有之慶亦不足以致矣謹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 初六日 먼 길에 지치고 동상례(東床禮)14)도 치렀기 때문에 이날 마침내 차동(車洞)에서 사도(蛇渡) 하인 편에 집으로 보낼 편지를 써서 부쳤다. 以路困及設東床禮, 故是日終車洞書付家信於蛇渡下人便。 동상례(東牀禮) 혼례를 치른 뒤에 신랑이 신부집에서 마을 사람이나 친구들에게 음식을 대접하는 일로, 동상례(東床禮)라고도 한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