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西川贈高僧玄默 僧言西有臺臺下巖石好奔川萬古洗一壑淨如掃飛輪去不返石室餘丹竈春深松桂香寺古烟霞老臺中一比丘悟得無生道安禪在觀心不必修行苦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斷髮嶺 峩峩斷髮嶺遙望金剛山巉巉白玉峯歷歷雲霄間世人思斷髮而我欲躋攀山靈休謝客客亦謝塵寰我願平臨暘谷攀日馭我欲穩駕雲輧朝帝關獨立發孤嘯天風吹我顔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靑溪遺稿卷之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入長安寺 谷咽流泉激烟沈夕照殘客投松桂院僧坐雨花壇穿樹鳥聲巧擁簷山影寒何人橫鐵笛斗覺洞天寬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蕩春臺書示李汝仁【名再榮】 吾行不及蕩春時出郭銷愁恨太遲仙洞賞心驚白髮故園歸思㥘黃鸝高臺謾有平生夢佳節那無一夕期好向松陰發長嘯傍人莫道愛吟詩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山城早角 樹裏孤城近宵殘畫角鳴風前來有信月下聽多情北麓松濤應南天鴈陣驚秋窓幽夢破曙色漸分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竹谷淸風 千竿如束翠相舂谷口森森一逕通蒼雪欲飛初解籜粉香輕落乍迎風涼生畫閣宜舒嘯爽徹烏紗合倚筇堪嘆四方三伏熱淸陰安得與人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城古跡 往事茫茫古堞存靑山依舊接荒原當年草木經蠻觸衰世干戈幾吐呑雲老斷坡知縣廢日斜孤店見鴉翻頹垣寂寞無人弔唯有寒泉晝自喧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佛臺落照 矗矗奇峯秀亭亭落日低殘霞歛墟市瞑色入山谿古寺疏鍾度深枝宿鳥棲流光繫無術空望鄧林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持平朝天歸路留松京相酬【月沙李廷龜】 千里長程載病還夢中猶伯滯燕山蘭臺柱史如相問離別經秋鬓益班鶴去千年有古城蒼山一帶瞑烟輕行人但見憑欄客那識吟詩愴古情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金笠澤之皇城 白洲李明漢 鴨綠江邊解纜時滿船簫鼓咽斜暉二行紅粉千行淚濕盡朝天御史衣一陽初復地中雷萬物苟萌動甲荄恭賀聖君恩發育玉河何日返行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金校理還鄕作伴同出都門賦長篇 校理金遂 吾聞孔席不暇暖之楚之秦又齊衛斯文已喪世愈下可憐儒術終何爲當年失計下漁磯白首紅塵少相許吾兄曾是不池才詞翰如流往得似憶昔相逢泮林秋氣岸磊落名聲耀龍鍾何幸推知己月殿瓊枝同日取歸耒鄕路太險難猛虎在前蛇在後腥塵鴻洞主辱深城下何堪愧牛耳是時官守失奔問尖望天門千里外除官怱及竢罪餘殷鼎慚非調羹手徵臣不忍負鴻恩匹馬春風渡漢水南庠無策導靑襟素粲何顔招館下況復今添天祿客秋夢先驚雲水地投冠此日返邱墟笠澤行色吾師也凌波遙與錦水通漁相將期百祀江湖誰共進退憂我欲功名弊屣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寄崔德周 寄語崔公子何時展驥才無人買駿骨誰復掃金臺蹀足靑天遠回頭紫燕哀貞心難自變逸氣豈爲獕目送閑雲去襟開故友來浮況傷萬事悲喜倒千盃白雪寒山色淸談夕日頹終然還惜別歸路恨難裁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元日寄崔德周借杜康 一身流落似飄蓬洽淡生涯任短筇惆悵杜康無處覔故人能可乞治聾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佳鷂 神鷹夢澤擊鵬摶佳鷂草間窺鶉居愚者視之雖不侔智者論之無不如蕭條飛逐蓬蒿下終日令人有以娛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韻二首 編茆爲屋竹爲扉更折松梢蔽夕暉臥病月餘來客絶遊天旬五御風飛地偏城府心猶寂迹滯塵寰道豈機歲暮扁舟如可得拂衣遙向海中歸浹旬泥雨擁柴扉陰翳繁雲掩日暉碧蘚含滋欲屐欲滑靑薪帶濕烟不飛貧家炒麥多難事病客哦詩忘亂機枕卷臥茵閑更寂夢隨蝴不知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曺孝伯兼寄季毅 一別三秋久重逢萬死餘扁舟風浪日那意摻衣裾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附】蕭然子詩 樹影陰陰簷影微晴鳩啼了燕交飛可憐多病高冠子此日風光與我違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夏日苦雨獨坐書懷 亂風西南來吹折牕前樹禹稷調一氣陰陽乃驕忤滛霖苦不霽流泉劇倒㴻繁陰旬不開白日無朝暮路濘息來朋洲沒迷下鷺楚客岸烏巾獨立愁自度悠悠故鄕思悒悒誰與訴無酒以吾慰無食以吾餔廚生菌欲長麥生芽欲吐彈劒作悲歌慷慨人莫悟平生伊傳志自期終不負往䝺南風化可令家國富不然拂䇿起躍馬收邊功功成笑千金短帆乘秋風商謳徒自激識者吁其誰風雲久未會君子悲塗泥寧得靑尊醁對君哦新詩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氣齋記 氣齋乎知夫水氣之有淸濁類水之有淸濁其盛大流行亦類水之流行水不以濁不流行氣不以濁不盛大淸者無些滓之混其流至遠濁者有些滓之混其流未遠以其有壅滯之患也若澄其些滓決其壅滯其流行不嘗不復其初也其復與不復在吾所養與否耳至大至剛塞于天地孟夫子所謂浩然者而曰我善養以孟夫子之聖猶爾則學者豈敢不致其養而初可復也向所謂澄些滓決壅滯皆養之之道也氣齋亦嘗有得之矣不必拖長而凡氣之運用惟志之所向耳以一身之主宰統乎氣之充滿者志也以百體之充聽命乎志之主宰者氣也志氣一將卒是將也能盡其已保其國是卒也能親其君死其長噫人不修學夏而夷慾浪滔滔人而禽獸矣蓋氣稟美惡雖萬不齊些滓而壅滯若是之甚歟顧氣齋氣質溫粹學力夙就自戒以養其氣也氣以顔其齋其志可尙矣第念以盡己死長之將卒駕我學海之片舟試我方塘之活源揚揚乎抵東西洋界掃淸宇內彼猾夏之梟獍退守窟宅而滔滔者順流禽獸者乃人矣於是乎可謂氣齋也已齋三從姪文澈讀書所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