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溫泉精舍倂和 壯遊路出國之南況是江淮解釰男春色堪吞松葉苦秋香滿吸菊花甘工夫此地人能十農者今天雨足三別有漁郎休更覓仙靈護我武夷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其二 人何不士妄求仙一臥煙霞脫俗緣海限東西中有地世關今古外無天英雄可見生生後大義方知死死前此日溫亭寒也否漢南高蹈魯如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旱天獨居 蟬語催耘起夕天家僮恨雨下荼田秋情申月今三日旱態丁寧昔七年湖上無何人失色箕東自是士難緣一聲款乃山空碧漁艇西巖暮泊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看花 江南二月百花遲誰使東風昨夜奇把酒山翁知興晩園頭雨立更占詩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柳 連堤雨色綠生波嫩浴倉庚故不歌豪客佳人如贈別雙雙枝上百巧哦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賞春 春山萬疊疊綾羅昨夜東風細雨俄樵子知吾新興晩斜陽折葉送囉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明性 舜顔同性我何人聖我曾非別箇人將此性明終始敬確然同作聖賢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賞春有感 鳳山春色化龍眼數里芳花數里川樵子歌高漁子答斯翁一夢昔何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塞堪輿欺 有人爲我强牛眠其得名山某破川若使丁寧淸富貴爾先何不葬當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春興 萬樹蒸和日欲陰誰誰佩酒下山陰白鷗如夢黃鸝喚漁子何知但柳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懷 欲哭無隣更笑歌丈夫前路夕陽多一生寧化靑山石萬死無沉白地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醉春【二首】 草色停驢柳送鸎東風幾欲醉書生東山晩興今如古故踏流音更上城乘春漁子滿江歌數曲靑山一夢多啼鳥東風來幾日高飛與渡大洋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懷人 山燈獨夜葉收聲溪上微跫耳際生人影欺人人不見誰敎曉月隔林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船齋感古 流泊仁江問幾年雲林泉石尙居然漁舟且莫春風覓樵客居人摠是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谷城德陽書院復設【二首】 先生院復谷之陽大節亘天化日長箕範吾東尼聖又淵源萬世血詩香院高天德德山陽山下高風水復長知否谷城城上月先生大節萬年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跋(2) 嗚呼此吾先祖紫霞先生府君遺集也府君生國朝彬盛之會擩染於家庭學通天人行著孝悌得牛溪沙溪二先生爲之依歸摳衣請益登巍第歷颺淸顯當光海戊申進疏極諫見忤削黜及丁巳幽閉母後又慷慨抗章此可與日星爭光也不以進取爲念晦養林樊出處正大不幸早于世未得大發揮道妙而其所論述亦逸兵燹迭蕩胤子錦山公蒐輯殘編而戊申二疏亦未收年前吾伯父直峰公鎭文慨然于玆更加增潤而戊申疏亦得於國朝實錄中親爲之後題而又未及入梓俱燼于庚寅禍亂可勝惜哉今族議齊發抄出得二冊四卷幷附錄付諸棗梨實有所兢兢焉爾嗚呼是皆吾後人之所共痛恨於無窮者而數百載之下以此寂寥數編想像其道學德義亦足以壽府君於千古耶不肖猥擔是役謹置一言于卷尾以致曠慕之私嗚呼嘻矣時戊戌仲秋十世孫款淵謹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正字宋公遺稿序 沙溪論松江之賢曰悅公者皆君子也疾公者皆小人也觀於此可知公矣余於公亦云爾悅公者誰河西眉巖是也疾公者誰尹元衡是也公與眉巖講磨道義相期以麗澤之益高峯請朱文錄跋於河西河西讓公以作之初登科也時相元衡要見公公排之曰吾家世清白豈可折腰權好而自辱也故元衡每當選擧而沮之然則元衡非小人乎河西眉巖非君子乎君子悅公小人疾公焉能瞞過後人乎公之遺稿雖曰零星見其詩賦氣足以起虹能使元衡藐其貴富欲得公榮己願見而不可得者也讀其跋言如金秤上秤來可以當河西之讓一頭地者也所以人之汗牛充棟不能多于公也斯余於公感慕之深且惜到樓之早成而以沙溪之論松江稱之亦可謂能知公也書此以塞其後孫玄晏之托也癸酉四月下澣長興高在鵬謹序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望梧臺記 臺獨朝山顔用望梧前寢卽小華忠臣智隱崔公哀國所也嗚呼公之特立如山人指其山曰獨朝公之普慟致廬人題其廬曰望梧其靖忠高義此可槩矣而其身心之死於國固已久矣嘗數彼國之罪長書於彼之政所聲討合邦之逆竟厄於對島明言統府之邪屢困於警署念慮時學之熾拒高校而釘時人之眼其一片衷日星於斥邪衛正之地松竹於扶網秉彝之天耻彼土而不耕耻彼徵而不稅所守惟數升落耕而鄕隣號其田曰朝鮮田春而蕨西山冬而氈北海伯夷中卽於公可想像矣或者曰不死而奚辱爲余曰否否論殷之三仁死者難而難於死者不死以公若死而利於國雖九死而無悔徒死而利於彼寧十生而嘗其膽非公之心乎向哭高宗以讎未雪服不除而奄哭純宗廬于山而哀下玄宮蒼梧之梧其能琴千古罔極之冤恨如當日之解慍而禁獨朝山中孤臣之淚耶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