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贈通政大夫承政院左副承旨者光緖十八年十月 日[施命之寶]通政大夫行敦寧府都正 祖考依法典追 贈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戊歲已換 尤切慕仰之私 冲悵者懷 耿耿于中而 料外○貴邊星奴來到詳探安否 則不淨之說聞甚駭然 貢慮曷已 未審夜間愼候得無添損 渾節均慶否 仰溸區區 不任勞祝之至 査弟姑依昨狀 婦阿率幼無恙 甚幸甚幸 家兒曾有一番問候 而事多矛盾故尙今遷稽 祗自汗騂今徃問候 而所聞如右 未果 其或恕諒耶餘惟冀勿藥自效之端耳 不備伏惟己未正月二十八日 査弟 崔世徽 拜上(皮封)査兄 棣案前 入納謹拜候狀 謹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瑞日稍長 惠風和暢 謹未審玆者春暮棣床震艮 連衛萬相庇廡均吉 仰溸不任勞祝之至 査弟姑依昨狀 迷豚近極安過 餘外無煩 而轉聞村落快淨之境可賀可賀 望須賁然一駕以叙婦阿渴望之思 且攄襞積之懷 如何如何 餘在家兒口悉耳 不備 伏惟尊照己未三月初一日 査弟 崔世徽 拜上(皮封)玉溪 棣案 入納謹拜候狀 謹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向者霎面 已歲前事矣伊後悵黯 尤切耿耿 謹未審新寒棣床震艮 迓新增祉 閤節均慶 幷庸區區之至 査弟僅保拙狀 而方値疫憂 八九諸兒中 順經者已過半 而令杵孫尤益順順 慶幸之私何可盡斗 餘從近枉駕以攄情緖 如何如何 便忙不備狀禮庚申正月初五日 査弟 崔世徽 拜拜(皮封)玉溪 棣案 傳納石洞候狀 謹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0년 김명학(金明學)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1870 羅州牧使 金明學 牧使<押> 羅州牧使之印(7.2x7.5), 周俠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789 1870년 나주목에서 호주 김명학에게 동년의 호적대장에서 해당 부분을 등서하여 발급한 준호구 1870년(고종 7) 나주목(羅州牧)에서 호주 김명학에게 동년(同年)의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하여 발급해 준 등본 성격의 준호구로 열서(列書) 형식으로 기재되어 있다. 준호구 발급년, 호주 김명학의 주소와 인적사항, 아버지의 인적사항 부분이 결락되었다. 김명학의 사조(四祖) 중 할아버지는 한량 필봉(弼奉), 증조(曾祖) 한량 상건(尙巾), 외조(外祖) 한량 이숙문(李淑文)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김명학의 아내 박씨는 나이 67세 갑자생(甲子生)이고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박씨의 사조는 아버지 한량 고올(高兀), 할아버지 한량 치울(致欝), 증조(曾祖) 한량 창옥(昌屋), 외조 한량 최부지(崔扶智) 본관은 밀양이다. 이외 가족으로 아들 승록(昇祿)이 있으며, 나이 45세 병술생(丙戌生)이다. 문서에는 나주목사(羅州牧使)의 관인(官印)과 서압(署押) 및 주협자개인(周俠字改印)이 찍혀있으며, 1867년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정묘호구상준(丁卯戶口相凖)'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向日惠書 尙稽修謝 因於家故而然矣 悚悚何旣 近遭妻父喪 五日後歸家 事無頭緖 浩歎奈何 二百円金卽注給於金煥相 則緊感爲言 春享祭需預料矣 何等感祝者也 先生事 庶有希望 而另力爲圖矣通狀則善作云矣 速整后 弟當出脚計耳 以先生事近得大夢矣 而射峕陳達矣 謹從審兄體萬旺 寶節均休 仰頌且慰耳矣 弟功服人 方以寒感 委席呌苦 自憐耳 餘擾不備謝上甲申二月八日 弟功服人 金成基拜謝【피봉】〈前面〉光州府大正町一一二▣…▣軫永殿〈後面〉井邑郡七寶面二里 金成基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向月相別 於心茹悵 有如呑物未化 謹未審昊天酷甚侍體候增衛萬康 閤內諸儀 一如枚迪 伏爲賀拱祝 弟近以暑感 數日呌苦 今纔稍效耳 第土地事 盛唾如是珍重 而鄙地近坪五斗落 賣渡處有之 則價文七百四拾五圓予定也 其於親切間情悅 何以任語耶 如有意向 則來月初旬間 如何間回示 伏望伏望 餘立俟德音 謹不備伏惟六月二十五日 高光說 弟百拜上【피봉】〈前面〉光州府大正町一一二番地盧軫永氏宅羅州郡旺谷面新院里 黃龍基方〈後面〉長城郡東化面松溪里高光說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六月十七日盧軫永 殿 光州驛前 金柄周 弟 二拜於焉 愆候何至一序萬綠遷紅 令人痛感耳 謹維庚天侍餘體宇 隨序萬福椿丈令起居 一如康寧 倂仰素區區不任誠禱 弟狀客况辛酸中 惟以鄕奇無間爲幸 就悚急以躳進擬慰這間之愆懷矣 不况病魔之餘出入不便中 期有絮絮之仰議件 以此專告農機之煩 省侍之情况 想以難便不無 幸須暫限一宿之預定 惠啓枉 以副仰望千切企企耳 餘爲此不備謹候【피봉】〈前面〉日谷盧軫永例哥親展〈後面〉邑內城底里緘 金柄周六月十七日 專仰專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省式言 月前惠書 尙未仰覄 只切懷想 不審霜令兄棣候動靖 連護湛和眷節勻善耶 向奉○令咸槩聞 慰溸之至 弟省狀依遣 兒少各保 餘無足仰聞者 而歉荒惱人 寧欲遠走 不在人間也 窃想日間兄或有南面省楸之行 必不致逝梁之怨矣 方懸榻而待耳 俯托{魚+民}脯 未爲善品 只增愧汗耳 幸或恕領耶 餘留 姑不備禮癸丑陽月望 珽和 弟 拜西來消息 令人走狂 幸使吾人復見天日耶 相門致謝之行 不可不有 而所議多岐 可歎可歎(皮封)玉山東上宅棣座 傳納芳邨 謝候狀 省式謹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六月十八日盧軫永殿 光州驛前 金柄周 弟 二拜昨賜惠復 今更鄭重之敎 又以賜訪 感悚無量耳 謹審侍餘愼候 向以蘇寧 寶節均仁 仰慰仰慰 弟狀依保已耳 就悚昨以專仰件 係在面議之事 而非拜難爲傳告 以此紙存問 以近郊旅行 保健上 亦爲無妨 稟告于令椿丈後少待愼候之平復 一賜光寵 若何若何 餘在拜不備謹謝【피봉】〈前面〉日谷盧軫永大兄〈後面〉邑內城底里謹 金柄周六月十八日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阻懷此久 歲色垂盡 方此耿耿意中 承拜惠札 欣倒之餘 謹審侍餘棣履晏重 已極慰賀而覆科之嵬參 尤用仰忭 記末所患瘧疾 中間似有離却之漸矣 自去月望後 又此復發 逐直苦痛 百藥無效 憂悶可言 歲儀荷此專送極用感僕 而春秋享禮 一未進參 每切不安 鄙病若得差可於春和 則享礼時必擬進參耳 歲除不遠 惟冀餞迓增休 不宣謝儀尊照甲辰臘月卄三日 記末{土+翕}拜謝家兒適値出外耳【피봉】章山 李碩士侍座回納中坪謝狀 謹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歲色紗薄 懷仰益切謹詢際玆臘寒棣床啓居珍謐 大小家節宣均慶 允郞穩侍篤課 村井之間亦淸淨否 仰溸區區且祝 査弟劣狀依遣 諸集無頉 侄阿亦荷庇善過 是可爲幸 而第恨此世奔擾 凡百沒無頭緖 將何爲哉 坐待枉臨 雖是未安 未知那間得穩攄底懷耶 再邀例也當前此送伻而依敎 今邀或可量恕否 餘不宣式己未臘月二十四日 査弟金炯鎭二拜【피봉】謹拜上候書 謹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歲色垂窮悵懷尤勤此時體事伏惟萬重遠旆平安往返而得失何層?之顒祝而使於伎倆氷程論場不憚煩惱還不愧白髮耶窃爲執事不取也少弟自秋以後首尾四朔鱗層憂故秩相告劇開霽無日自憐自悶耳餘伏祝餞迓多休不備候禮新蓂一件伻呈耳己巳臘月念六 少弟金祜永拜手【피봉】玉山靜座執事坪城謹候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壑蛇急景 瞻悵倍常際承惠書 稍慰襞積 謹伏審靜體事萬重 伏慰區區 允符願聞 少弟姑遣向日樣子 無足道哉 所謂發解釀出無中之事 何莫非滄浪耶 近爲頭重 而已通諭事 果非穩當者挽之不得 極爲不幸也 春間枉臨之敎預庸揚榻之企耳 餘惟冀餞迓蔓祉 不備謝上壬申臘月念七 少弟金祜永拜手靑粧曆一件送呈耳【피봉】玉山靖座執事坪城謹謝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4년 고광련(高光璉) 간찰별지(簡札別紙) 2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高光璉 盧鍾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289 1934년 11월 19일, 생 고광련이 노종룡에게 『어우야담』 중에 있는 노수신일기를 베껴 적어 보낸 등서본 문건. 1934년 11월 19일, 생(生) 고광련(高光璉)이 노종룡(盧鍾龍)에게 보낸 간찰 별지로 『어우야담(於于野談)』 중 노수신일기(盧守愼實記)를 베껴 적어 보낸 문건이다. 관련 본 편지가 남아 있어 발신일자를 확인할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盧穌齋相國, 謫居珍島. 十九年冬, 則爲窘室, 以讀書於書, 無所不讀, 而偏讀論語及杜詩, 至二千周於柳文偏好非國語及爲丞相, 亦不廢讀書 性儉素且嗜酒, 喚侍婢冒夜寒點, 燈煖酒爲不安于心, 求佛寺點火蔓荊【俗名明可木】, 滋油挿之, 壁於寢房, 置銅爐, 酒缸銅斟, 夜長無眠, 則起取蔓荊, 自撥爐火, 一吹便燃燈自酌銅斟加爐上熱歠之, 抽架上書, 滿意讀之, 每一夜酒一甁, 書數十卷, 抵老死不輟, 年幾八十二終, 少時以玉堂封事, 被譴直聲, 動於士林, 及還朝作相建白無異事, 守愚堂崔永慶譏之曰, 盧相國之唾, 宜用于治腫, 盖治腫用未言, 前唾爲良故也.蘇齋嘗燕居有朴光前者, 自山寺, 而來蘇齋曰, 在山寺讀何書, 曰韓文讀幾筭曰五十, 筭所讀何其尠耶. 曰精心玩味, 是以遲也. 曰然則一一皆着於心, 無虛筭乎. 曰讀書之時一行十念, 雖收放念虛筭過半, 曰然是人人通有是患, 凡讀書放念而讀至千萬筭所讀, 雖不精終爲吾有,雖精心而讀之所讀只五十, 畢竟不爲吾有讀書之法. 太上多筭, 余因公事,謁西崖相國柳成龍, 西崖曰, 吾見子文章甚高, 讀何書相與畣問,余道蘇齋之言西崖曰, 大不然思者田心也. 讀書以心如耕田者寸尺起土也. 兩相國之言, 各有所得, 而余嘗試之收放心工夫之最難者,蘇齋之言近之矣.◯ 관련문서1934년 고광련(高光璉) 서간(書簡)1934년 고광련(高光璉) 간찰별지(簡札別紙) 1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4년 김성기(金成基) 서간(書簡)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金成基 盧軫永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293 1934년 9월 9일, 제 김성기가 노진영에게 원지의 간행 중 미리 언급했던 보충 후원비를 보내주기를 청하는 내용으로 보낸 서간. 1934년 9월 9일, 제(弟) 김성기(金成基)가 원지(院誌)의 간행 일정을 전하고 전의 편지에서 언급했던 보충 후원비를 보내주기를 청하는 내용으로 노진영(盧軫永)에게 전한 편지이다. 지난번의 답장에 감사하다고 전한 후 9월인 지금의 선생 되시는 아버님과 상대 및 가족의 안부를 물었다. 자신은 여전히 못난 모습으로 지낸다며 인사하고 현재 원지(院誌)를 교정하는 일에 골몰하고 있다고 했다. 간비(刊費)로 곤란을 겪어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며 다음 달 말일내로 간행에 들어가 장책(粧冊)할 계획이라고 했다. 지난번 형의 편지에서 많은 금액을 보충해 주겠다고 했던 것을 언급하며 지난번에 말씀하셨던 10엔(円)의 돈을 이달 20일 내로 보내주시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光州郡 本村面 日谷盧軫永 殿(피봉_뒷면)井邑郡 七寶面 二里 院誌重刊所內金成基(簡紙)前日惠答, 旣感且賀. 謹更請菊令,春府先生氣候康寗, 而侍中棣體萬旺, 寶節亦爲均吉, 仰頌且祝. 弟依劣, 而方以院誌校正事, 汨沒擾惱中, 困於刊費, 實難進行, 而來月末日內入刊粧冊爲計矣, 然此將奈何奈何. 向 兄書中, 多數補費云者, 未嘗不歎鬱者也. 所爲十円金 令春府先生四件單金猶爲大不足中裵漢道三許旣爲盜難, 而此条咎實, 在我不必煩隙, 是亦弟之擔當見困也. 又爲拾円金, 仁兄幷單金也. 有何爲助耶. 比於他人, 則十分五条未及也. 蔽一言, 依記載件一金拾円金, 今月二十日內惠送, 如何如何.海諒持念此漢之情形, 大望大望耳. 餘立竢, 不備候禮.甲戌菊月九日, 弟 金成基 二拜.○ 관련 문서1934년 김성기(金成基) 서간(書簡) 2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光州)郡 芝山面 日谷里…▣(盧掌)議 軫永 殿至急至急(피봉_뒷면)井邑郡 七寶面 二里院誌刊所 金成基[赤色正方印: 金成基印](簡紙)前日付郵書類, 仰想入覽矣.謹不審春殷春府先生氣候康寗, 而侍餘體度萬旺, 寶節亦爲均吉, 仰頌且祝. 弟依劣, 而方以院誌校正之汨沒, 無暇度之, 良悶耳. 就昨臘 仁兄許自作付道掌議后, 只到舊院誌, 無有回答, 故質問於裵道漢, 則言內,兄與小室夫人寓居於光州邑,不在未淂答來云, 則依其言信之后 兄許數次更書, 良爾此也. 而去月裵漢以單金收捧次,興德高敞三四處傳之矣. 胸獰那漢四十円金橫領, 暗夜率家逃走, 卽爲告訴於本駐在所, 使警官搜索那漢家, 則推出五六人回答書中發見 兄書, 則只存單金十円與單子奉安韻無有矣. 一則未安, 一則憤歎, 而是以方南北道大搜索矣. 不勝??. 安敢望厚恕否. 那漢二月在家時, 弟書兄看答, 則其時那末督推, 不然則捉囚, 而何無回答耶? 漢罪狀永失耳. 憤歎憤歎. 五十餘円金損失后, 院誌費用葛藤, 姑爲停止耳. 諒裁如何如何. 弟因於此事, 生病一朔, 出沒鬼關, 今纔起於矣. 自憐自憐耳. 餘邙眩. 不備候上.甲戌二月卄六日, 弟 金成基 二拜.○ 관련 문서1934년 김성기(金成基) 서간(書簡) 1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敎旨李圭行爲通政大夫敦寧府都正者光緖十八年十月 日[施命之寶]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