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오남집(吾南集) 13卷 7冊 吾南集 吾南先生文集 고서-집부-별집류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문집 표점영인 吾南先生文集 金漢燮 木活字本 7 有界 10行22字 한자 內向2葉花紋魚尾 미상 국립중앙도서관 김한섭(金漢燮, 1838~1894)의 시문집. ■ 형태서지 권수제 吾南先生文集 판심제 吾南先生文集 간종 목활자본(木活字本) 간행년 미상 권책 13권 7책 행자 10행 22자 어미 內向2葉花紋魚尾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선간집수 ■ 저자 성명 김한섭(金漢燮) 생년 1838년(헌종 4) 몰년 1894년(고종 31) 자 치용(致容) 호 오남(吾南) 본관 영광(靈光) 특기사항 동학농민운동 때 강진에서 관군과 수성하다 사망함. ■ 가계도 金台用(시조) 工曺典書 金㻫 吏曹參判 金光遠(13대조) 吏文習讀官 高祖 金夢龍 曾祖 金常衡 祖 金瑗 父 金魯鉉 海南尹氏 尹商說의 女 金漢燮 金仁植 金鳳植 金鶴植 女 李斗林 濟州梁氏 梁相淑의 女 ■ 행력 왕력 서기 간지 연호 연령 기사 헌종 4 1838 戊戌 道光 18 1 장흥 부산면에서 태어났다. 철종 13 1862 壬戌 同治 1 25 아버지의 상을 당하였다. 고종 14 1877 丁丑 光緖 3 40 강진 月角山 大明洞에서 寒泉精舍를 지었다. 고종 16 1879 己卯 光緖 5 42 봄 秋陽契의 일로 영암 道岬寺에서 講會를 열었다. 고종 19 1882 壬午 光緖 8 45 차남 鳳植을 智島의 金平默에게 보내 수학하게 하였다. 고종 20 1883 癸未 光緖 9 46 스승 任憲晦의 문집 간행일로 인해 高敞에서 지냈다. 고종 21 1884 甲申 光緖 10 47 「衣制辨」을 짓고 洋夷가 세상에 날뛰는 것을 한탄했다. 고종 22 1885 乙酉 光緖 11 48 차남 鳳植이 사망했다. 고종 31 1894 甲午 光緖 20 57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관군과 함께 강진을 戍城하다 사망했다. ◎ 강진군 朱雀山에 장사지내고, 장흥 興龍洞에 設壇하여 중암과 함께 제향했다. 1910 庚戌 철향되었다. 1912 壬子 金永根이 비명을 써서 묘소에 비석을 세웠다. ■ 생애 『오남선생문집(五南先生文集)』은 김한섭(金漢燮 : 1838-1894)의 시문집이다. 13권 7책 목활자본으로 간행되었다. 김한섭의 자는 치용(致容)이고, 호는 오남(吾南), 본관은 영광(靈光)이다. 선계(先系)는 신라에서 나왔고, 시조는 고려 현종 때 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한 김심언(金審言)의 후손으로서 고려 때 공조전서(工曹典書)를 지낸 김태용(金台用)이다. 이조참판(吏曹參判)을 지냈던 휘 필(㻫)의 손자로 이문습독관(吏文習讀官)을 지냈으며, 정암(精菴) 조광조(趙光祖)의 문하로 기묘사화 때 안처겸(安處謙)의 옥사에 연루되어 해남에 유배되었던 김광원(金光遠)이 13대조이다. 고조의 휘는 몽룡(夢龍), 증조의 휘는 상형(常衡), 조부의 휘는 원(瑗)이다. 아버지의 휘는 노현(魯鉉)으로 심재(心齋) 송환기(宋煥箕)의 문인이고, 어머니는 해남윤씨(海南尹氏) 윤상열(尹商說)의 딸이다. 김한섭은 1838년(헌종 4년) 5월 23일 장흥 부산(夫山, 현 장흥군 부산면)에서 출생하였다. 타고난 자품이 순수하고 뛰어나 11세에 글을 짓기 시작했고, 18세에 주석가들의 득실을 논평한 「중용차의(中庸箚疑)」를 지으니 어른들이 너무 이르다고 금지하였다. 『상서(尙書)』를 배울 때 일 년의 날 수를 말한 「요전(堯典)」의 "기삼백육순유육일(朞三百六旬有六日)"을 배울 때 글방 선생이 모른다고 하자, 스스로 연구해 풀이하여 조금도 틀리지 않았다.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에게 나아가 배웠으나 이미 화서가 병중인 상태여서 물러나 그 문인 중암(重菴) 김평묵(金平默)과 성재(星齋) 유중교(柳重敎)와 더불어 도의교(道義交)를 맺었다. 두 번째로 화서에게 찾아갔으나 갑자기 작고하여 그 유문(遺文)을 기록하여 돌아왔다. 이 후부터는 과거 공부를 버리고 오로지 도학에만 힘쓰면서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고산(鼓山) 임헌회(任憲晦)의 문하에 들어가 공부하였다. 1862년 아버지의 상을 당하였는데, 천성이 효성스러워서 삼년상을 치루는 동안 아침마다 반드시 묘소에 가서 곡을 하고 당시 상례를 치루는 예법이 크게 무너짐을 탄식하면서 "중문에 들어가지 않는 것이 예의 큰 예법이니, 이를 삼가지 않으면 다른 것은 볼 것도 없다[不入中門禮之大防也 此而不謹無足觀之]"고 하며 옛 예법을 지킬 것을 중요시하였다. 1877년 금릉 월각산 (月角山, 현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아래 대명동(大明洞)에 한천정사(寒泉精舍)를 짓고 후학들을 양성하였다. 1879년 봄에는 추양계(秋陽契)의 일로 영암 도갑사(道岬寺)에서 관내의 사우들과 모여 강회(講會)를 열었다. 1882년 봄에는 둘째 아들인 봉식(鳳植)을 지도(智島, 현 신안군 지도읍)의 김평묵에게 보내어 그의 문하에서 수학하게 하였다. 1883년에는 스승인 임헌회의 문집을 간행하는 일로 인하여 고창 봉산(蜂山, 현 고창군 고수면 봉산리)에서 오랜 시간 보내게 되었다. 1884년 의복의 제도가 크게 변하자 심의(深衣)를 입고 지내면서 「의제변(衣制辨)을 짓고 양이(洋夷)가 세상에 날뛰는 것을 한탄했고 "근세벽양(近世闢洋)" 문자를 지어 학자들에게 "천지간에 이런 문자들이 없어서는 안된다[天地間 不可無此等文字]"고 했다. 후학들을 지도할 때에도 과거 공부를 배우고자 하는 자가 있으면 허락하지 않고 "과거 공부의 해로움이 사학(邪學)과 다를 것이 없으니, 온 세상이 긴 밤중이 된 것이 이것 때문이다.[科學之害 與邪學無別 擧世長夜職以此也]"라고 하였다. 1885년에는 둘째 아들 봉식이 질병으로 사망하였다. 1894년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진실로 통탄하며 "탁류속의 지주석이요, 어두운 거리에 촛불이라 어찌 평생 자부했던 마음을 저버리리오[濁流底柱昏衢燭 肯負平生自待心]"라고 시를 짓고, 또 「경시적도문(警示賊徒文)」을 지어 "너희 무리들은 하늘에 죄를 얻어 도망갈 곳이 없다. 내가 사는 데가 곧 수양산이니 죽어서 백이숙제(伯夷叔齊)를 따르게 되면 족하다.[爾徒獲罪於天 無所逃也 我之所居則首陽山也 死得從夷齊遊足矣]"고 썼다. 그 해에 동학무리들을 막기 위해 강진의 관군과 함께 수성(戍城)하다 사망하였다. 1894년 12월 7일 주작산(朱雀山, 현 강진군 신전면 수양리 주작산)에 장사지냈다. 그리고 같은 해에 오남의 옛 집인 장흥 흥룡동(興龍洞, 현 장흥군 부산면 내안리)에 설단(設壇)하여 중암과 함께 제향하였다. 그러나 1910년 경술국치 때 철향되니, 장례를 모신지 19년 만에 문인인 경회(景晦) 김영근(金永根)에 의해 명을 지어 묘소에 비석을 세웠다. 부인은 제주양씨(濟州梁氏) 양상숙(梁相淑)의 딸로 3남 1녀를 낳았다. 아들은 인식(麟植), 봉식(鳳植), 학식(學植)이고 딸은 이두림(李斗林)에게 출가했다. ■ 구성과 내용 『오남선생문집(吾南先生文集)』은 서(序)와 발(跋)이 없어 자세한 간행시기와 간행인 간행경위 등을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 전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있다. 13권 7책 목활자본이다. 1권에는 시(詩) 119편이 실려 있고, 2권에는 상량문(上樑文) 3편, 명(銘) 6편, 잠(箴) 3편 기(記) 5편이 실려 있고, 3권에는 서(序) 5편, 발(跋) 5편, 행장(行狀) 7편, 묘갈명(墓碣銘) 1편이 수록되어 있고, 4권에는 전(傳) 3편, 찬(贊) 2편, 제문(祭文) 15편, 5권부터 7권까지는 서(書) 98편, 8권에는 서증(書贈), 9편, 잡저 8편이 실려 있고, 9권부터 13권까지는 잡저(雜著) 37편이 수록되어있다. 1권은 시집인데 부(賦)가 5편이고 금조(琴操) 1편, 고시(古詩) 8편, 오언고시(五言古詩) 8편, 칠언고시(七言古詩) 7편, 오언절구(五言絶句) 32편, 칠언절구(七言絶句) 21편, 오언율시(五言律詩) 12편, 칠언율시(七言律詩) 25편이 수록되어있다. 부 중에는 주희의 「감춘부(感春賦)」에 차운한 「근차주자감춘부(謹次朱子感春賦)」, 성리학의 중요 명제중 하나인 이일분수론(理一分殊論)을 주제로 한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이일분수부(理一分殊賦)」를 차운한 「근차율곡선생이일분수부(謹次栗谷先生理一分殊賦)」 등이 있다. 시는 대체로 「총국(叢菊)」 , 「설중송(雪中松)」, 「영원중잡훼(詠園中雜卉)」, 「옥매화(玉梅花)」, 「산거(山居)」, 「춘우(春雨)」, 「산중즉사(山中卽事)」 와 같은 산수영물을 노래한 시들이 다수이며, 「근차중암김장무안야교운(謹次重菴金丈務安野橋韻)」, 「증김익경(贈金翼卿)」 등과 같은 동문이나 후학들에게 주거나 차운한 시들도 많다. 이외에도 「등월출산(登月出山)」, 「등무등산(登無等山)」, 「여대언등주작산(與大彦登朱雀山)」과 같은 주변의 명산을 기행한 기행시들,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을 때 나주와 강진이 동학군을 막아냈던 것을 쓴 고시 「금릉의사(金陵義事)」와 「금성행(錦城行)」도 있다. 또한 왜구와 양적이 인근 연해에 자주 출몰하며 나라를 위태롭게 하는 것을 걱정하는 우국의 감정이 담긴 「근문양적거흥양삼도인왕래연해 이심형세도박우강진남포 기의소재 효연가지 오인불행 당차조석 험화불가무정 견성인소위독신호학수사선도 차성제일의체 인송선사고산선생병인팔월 서시오당절구설 여서사제생경보기운 (近聞洋賊據興陽三島因往來沿海 以審形勢到泊于康津南浦 其意所在 曉然可知 吾人不幸 當此朝夕 險禍不可無定 見聖人所謂篤信好學守死善道 此誠第一義諦 因誦先師鼓山先生丙寅八月 書示吾黨絶句說 與書社諸生敬步其韻)」, 「문왜양추유력람연해제읍(聞倭洋醜類歷覽沿海諸邑)」 등도 있다. 2권에는 상량문(上樑文) 2편, 명(銘) 6편, 잠(箴) 3편 기(記) 5편이 실려 있다. 상량문은 「대명동사당상량문(大明洞祠堂上樑文)」, 「봉양정사상량문(鳳陽精舍上樑文)」으로 모두 1877년 이후 강진 대명동에서 우거하며 후학들을 길렀던 공간에 지었던 건물들의 상량문이다. 잠은 「주일재잠(主一齋箴)」, 「지척잠(紙尺箴)」, 「독서잠(讀書箴)」 3편이며 기는 총 5편으로 대체로 대명동에서 후학들을 길렀던 한천정사에 대한 기문인 「한천정사기(寒泉精舍記)」, 문인인 경회 김영근의 서실에 쓴 기문인 「경회당기(景晦堂記)」 등이 있다. 3권에는 서(序) 5편, 발(跋) 5편, 행장(行狀) 7편, 묘지명(墓誌銘)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서는 「존양신론서(尊攘新論序)」, 「강릉유씨종회안서(江陵劉氏宗會案序)」, 「백우후육심이연행향음례서(白虞候六十宴行鄕飮禮序)」 등 5편, 행장은 선고(先考) 휘 원(瑗)의 행장인 「선고삼산부군가장(先考三山府君家狀)」과 둘째 아들 봉식(鳳植)의 행장인 「차자봉식행록(次子鳳植行錄)」, 「차자봉식정종언행(次子鳳植正終言行)」을 비롯해 7편이 있다. 묘갈명은 괴은(槐蔭) 문사구(文思九)의 묘지명인 「괴은문공묘지명(槐蔭文公墓誌銘)」 1편이 있다. 4권은 전(傳) 3편, 찬(贊) 2편, 제문(祭文) 15편이 수록되어 있다. 전인 「효자안공전(孝子安公傳)」, 「열부유인이씨전(烈婦孺人李氏傳)」, 「김경독재전(金耕讀齋傳)」 3편은 모두 효자와 열부에 대한 것이다. 찬은 화서 이항로 선생 화상(畫像) 대한 찬인 「선사화서이선생화상찬(先師華西李先生畫像贊)」과 제갈공명, 황패(黃霸), 육수부(陸秀夫), 윤곡(尹穀) 4명의 일화에 대한 찬인 「사현찬(四賢贊)」 2편이다. 제문은 스승 화서의 제문인 「제화서선생문(祭華西先生文)」, 「재제화서선생문(再祭華西先生文)」, 역시 스승인 고산의 제문인 「제고산선생문(祭鼓山先生文)」, 「재제고산선생문(再祭鼓山先生文)」, 스승 노사의 제문인 「제노사기선생문(祭蘆沙奇先生文)」, 동문인 중암의 제문인「제중암선생문(祭重菴先生文)」을 비롯하여 총 15편이 있다. 5권부터 7권까지는 서(書) 98편이 있다. 5권에는 스승인 화서, 고산, 노사에게 올린 서간인 「상화서선생(上華西先生)」「상고산선생(上鼓山先生)」, 「상노사선생(上蘆沙先生)」과 동문인 중암에게 보낸 서간인 「상중암(上重菴)」 4편이 있고, 6권에는 사우 및 동문들에게 보낸 서간이 29편이 있으며, 7권에도 역시 사우와 족제 등에게 보낸 서간이 14편이 수록되어 있다. 그 중 「답이복여(答李服汝)」에서는 성과 의(意), 정(情)과의 관계에 대한 그림을 그리고 "성(性)은 심(心) 중에 갖추어진 이(理)이자 아직 발현하지 않은 것이고, 정은 성(性)의 발현이요 심(心)의 쓰임이다. 의(意)는 정(情)에 묶여 계교상량(計校商量)하는 것이다[性者心中所具之理而未發者 情者性之發而心之用也 意者緣情計校商量者也]"라고 하여 서로의 관계를 정립하여 설명하고 있고, 간재 전우에게 보낸 「여전자명(與田子明)」에서는 간재의 성위심재설(性爲心宰說)을 반박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외의 서간에서도 경학이나 성리학적인 내용이 많아서 오남의 철학적인 견해를 엿볼 수 있다. 8권에는 「지지설서증한천재제생(知止說書贈寒泉齋諸生)」, 「서증문충렬(書贈文忠烈)」 등 서증(書贈) 9편, 잡저 8편이 실려 있다. 잡저는 이후 9권부터 13권까지 29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9권에는 「경리관견(經理管見)」1편, 10권에는 「삼극도설(三極圖說)」, 「형이상하도변설(形而上下圖辨說)」 등 14편, 11권에는 「일감문답(一鑑問答)」 1편, 12권에는 「산중촉화(山中燭話)」, 「심자신지소주설(心者身之所主說)」 등 7편, 13권에는 「벽사설(闢邪說)」, 「통화변답(通貨辨答)」, 「농정신서서주변(農政新書序條辨)」 등 6편이 수록되어 있다. 대체로 후학의 교육에 관련된 내용이나 태극설(太極說)이나 성리설(性理說)과 같은 성리학적 견해를 논설한 것들이 많다. 또 「벽사설(闢邪說)」, 「통화변답(通貨辨答)」, 「농정신서서조변(農政新書序條辨)」처럼 정책적 견해를 논설한 것도 있다. 세부목차 卷 1 賦 : 謹次朱子感春賦, 謹次栗谷先生理一分殊賦, 述懷賦, 肅艾賦, 菊花賦 琴操 : 明洞琴操 古詩 : 民之初生十四章, 大田三章, 南山四章, 採薇七章, 淸湖三章, 小兒歌習, 經業要辭, 金陵義辭 五言古詩 : 續遠遊, 甲申三月十九日, 次紫極官韻, 新元吟贈小學諸童子, 偶吟示齋中諸生, 李兄白受(錫采)挽, 憶亡友文亮叔(基潁), 贈別崔秀才采佑 七言古詩 : 次李无悶(喜冕)大明洞行, 大明紅, 題義僧靈圭碑, 題丁兄舜和(炫)鳳岡千洙堂, 自警吟, 落齒嘆, 錦城行 五言絶句 : 山居(四首), 春日偶吟, 遣懷, 花樹亭次諸生韻, 叢菊, 雪中松, 遊修仁山謹次族祖放湖公(喜祖)韻, 除草(二首), 玉梅花, 登月出山(二首), 省坡州先墓, 明悶蒼碧亭謹次鼓山任先生韻(二首), 用韋蘇州韻詠夜, 聞書院毁薇之報, 詠園中雜卉, 大明洞山泉精舍雜詠(十二首), 大明洞林卉雜詠(二十六首), 明洞會事, 贈新谷主人(金璣烈), 山中卽事(二首), 春雨, 題張慶先畵卷, 謹次重菴金丈務安野橋韻, 謹次重菴丈惠贈大明洞韻(二首), 白虞侯(基虎)挽(十首), 上天吟(五首), 寒泉齋與諸生和吟(三首), 過長水洞悼亡友宣敬集(翼欽), 偶吟, 立春雨後偶吟(二首), 無題, 送金德文(永奎)兼寄韓守奉官敬熙(昌壽) 七言絶句 : 錄先考三山府君家狀志感, 石實道中作, 過麻貴坪, 仲秋月夜聞長兒麟植誦濂洛風雅, 和族弟新齋(漢驥), 見童子雙廊喜感而吟, 智海別重庵文丈, 姜處士(禹永)挽(四首), 贈別黃萄鍾五, 壁上揭日月二字, 近聞洋賊據興陽三島因往來沿海以審形勢到泊于康津南浦其意所在曉然可知吾人不幸富此朝夕險禍不可無定見聖人所謂篤信好學守死善道此誠第一義諦因誦先師鼓山先生丙寅八月書示吾黨絶句說與書社諸生敬步其韻(二首), 書社諸生俱讀孟子喜成一絶(時殷景乃範子見聖則文五同處), 草堂卽事, 鳳陽精舍雜詠(五首), 姑堊鳥(二首), 送大彦(魏琫植)乃晦(金永根)之雲潭, 贈任萄吾東(二首), 次重菴遺塚韻贈羅聖敎(有英三首), 題鳳岡精舍, 山家獨作, 和河巳千(正秀)之字韻 五言律詩 : 偶吟, 書示諸生, 己丑立春感吟, 壬辰立春翌日吟, 贈心漁堂主人(金道淳), 贈魏大彦, 贈丁文玉(璨壽), 贈金翼卿(世輔), 庚寅陽月哉生明入處鳳陽精舍, 中元憶重菴先生, 仲秋上弦大彦來言所懷, 剝月望朝書示吳禮中(時榮)丁瑩汝(玟壽)金直卿(在植)李祥元(思圈) 七言律詩 : 己卯暮春興省內諸賢會講道岬寺到大明洞和吟, 集古人詩句示諸生, 癸未至月謹次朱子寞灘韻, 謹次重翁贈別正三(金台漢)益進(韓學淵)韻, 到笛坪謹次南坡李丈(僖錫)書示韻, 奉和无悶李兄用其韻, 步錦坡李兄(秉燮)寄示韻, 遊舍人亭敬次原韻, 花樹亭次諸丈韻, 靜潭齋次主翁聞倭洋魏類歷覽沿海諸邑, 林德洪(炳鏞)來訪, 致圖(馬鍾河)讀心經汝仁(金世鉉)讀近思錄文萄忠烈讀論(高彦在)韻, 次崔氏(奎文)龍湖亭韻, 寄題心漁堂, 寄吳大集(成模), 登無等山, 贈別姨弟羅賢守, 語及諸隣兒讀小學作此志喜, 新元逢朗西諸友, 病中强吟, 輿大彦登朱雀山, 知足翁嘉顯(尹樂浩)誦退溪呈尹安東詩因命和之謹忘拙構呈 卷 2 上樑文 : 大明洞祠堂上樑文, 鳳陽精舍上樑文 銘 : 約軒銘, 隧齋銘, 止一齋銘, 持敬齋銘, 母贊室銘, 復軒銘 箴 : 主一齋箴, 紙尺箴, 讀書箴 記 : 寒泉精舍實記, 首陽精舍記, 敬齋箴板重刊實記, 弘毅齋記, 景晦堂記 卷 3 序 : 尊攘新編序, 送陳子平(禹錫)歸皇朝村序, 江陵劉氏宗會案序, 寶巖坊約序, 白虞侯六十一宴行鄕飮禮序 跋 : 敬題 永曆大統曆後, 敬題朱子五倫筆帖後, 敬畏箴跋, 書晩悔集後, 題河君巳千自敍賦後 行狀 : 先考三山府君家狀, 再從叔仁山公(德鉉)行狀, 刑曹參議金公(相勉)行狀, 學生金公(鯨錫)行狀, 次子鳳植狀錄, 次子鳳植正終言行, 十一代祖月峯府君謚狀本草 墓誌銘 : 槐蔭文公(思九)墓誌銘(幷序). 卷 4 傳 : 孝子安公(世龍)傳, 烈婦孺人李氏傳, 金耕讀齋(日淳)傳 贊 : 先師華西李先生畵像贊, 四賢贊 祭文 : 祭華西先生文, 再祭華西先生文, 祭鼓山先生文, 再祭鼓山先生文, 祭蘆沙奇先生文祭重菴先生文, 祭族大父同知公(瑾)文, 祭齋鄭公(在弼)文, 祭茶欄魏兄(榮馥)文, 祭梧軒丁公(炫)文, 祭族弟新齋文, 祭剛軒丁君(炳序)文, 祭亡次子鳳植文, 祭亡長子婦丁氏文, 祭族孫鍾煥文 卷 5 書 : 上華西先生, 上鼓山先生(三), 上蘆沙先生, 上重菴(十三) 卷 6 書 : 上李黃溪(璞), 上李朗海(烋二), 與柳穉程(重敎四), 與崔參判(益鉉與二答一), 與宋祭酒(秉璿二), 答鄭國彦(在弼), 與魏芳瑞(榮馥), 答金子元(勳), 與洪汝章(大憲與一答一), 答李服汝(喜冕五), 答李敬述(孝植), 與田子明, 與洪思伯(任龜與一答二), 答柳聖存(基一), 與奇會一(宇萬三), 與宋燦五(鍾雲), 答朴應瑞(在麟), 與李致道(秉龜), 答族弟民受(永澤), 答宋致承(鎭鳳答一與一), 答金景三(在珪), 答崔德汝(潤燦), 答李進夏(三遠), 答金亨善(泰瑀), 答丁采文(炳序), 答尹士奎(柱璨), 答金贊炯(水), 答玄士明(在昇二), 答朴子善(熙元) 卷 7 書 : 答族弟台漢, 答魏衡良(三), 答郭洪翊趙宗九, 答魏琫植, 答族弟漢文(三), 答金永根(三), 答吳成模, 答崔根完(二), 答金世輔, 答白永昇(答一與一), 答金世鉉, 答黃明奎, 與天台山講會諸生, 寄長兒麟植 卷 8 書贈 : 知止說書贈寒泉齋諸生, 書贈郭昌欽, 讀禮說書贈朴秉洙, 書贈吳成模, 學顔說書贈韓學淵, 陽復說書贈黃明奎, 讀論語說書贈崔采佑, 書贈羅有英, 書贈文忠烈 雜著 : 論天台講說, 寒泉齋夜講略辨, 寒泉齋約規, 寒泉精舍學規, 小學箚疑, 處巳常則, 寶巖坊契約, 小齋志喜 卷 9 雜著 : 經理管見 卷 10 雜著 : 三極圖說, 形而上下圖辨說, 朞圖解說, 日月會朔圖辨說, 土圭地中圖辨說, 律呂相生圖辨說, 卦變改正圖說, 心統性情圖辨說, 人物性同異圖辨說, 費隱圖辨說, 明德圖辨說, 大學全圖後說, 聖賢闢邪圖說, 聖賢傳敬圖說 卷 11 雜著 : 一鑑問答 卷 12 雜著 : 山中燭話, 心說集解上, 心說集解下, 心者身之所主說, 儒釋心學不同辨, 衣制辨答, 衣制辨說 卷 13 雜著 : 寅字說, 闢邪說, 通貨辨答, 異端總辨, 農政新書序條辨, 警示賊徒文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目錄 卷之一賦謹次朱子感春賦【己巳】謹次栗谷先生理一分殊賦述懷賦蕭艾賦菊花賦琴操明洞琴操古詩民之初生十四章大田三章南山四章採薇七章淸湖三章小兒歌習經業要辭金陵義辭五言古詩續遠遊甲申三月十九日次紫極宮韻新元吟贈小學諸童子偶吟示齋中諸生李兄白受【錫采】挽憶亡友文亮叔【基穎】贈別崔秀才【采佑】七言古詩次李无悶【喜冕】大明洞行大明紅題義僧靈圭碑題丁兄舜和【炫】鳳岡千仞堂自警吟落齒歎錦城行五言絶句山居【四首】春日偶吟遣懷花樹亭次諸生韻叢菊雪中松遊修仁山謹次族祖放湖公【喜祖】韻除草【二首】玉梅花登月出山【二首】省坡州先墓明岡蒼碧亭,謹次鼓山任先生韻【二首】用韋蘇州韻詠夜聞書院毁撤之報詠園中雜卉大明洞山泉精舍雜詠【十二首】精舍果育齋正養齋麗澤軒一鑑亭寒泉齋竹澗杏壇百丈磴潛心臺蓮塘石塢大明洞林卉雜詠【二十六首】梅拱北花牧丹芍藥桃葵花四季花柳梧杏桑芹栗柹梨棗榴木果橘蘭蓮菊楓檜竹松明洞會事贈新谷主人【金璣烈】山中卽事【二首】春雨題張慶先【錫文】畫卷謹次重菴金丈務安野橋韻謹次重菴丈惠贈大明洞韻【二首】白虞侯【基虎】挽【十首】上天吟【五首】寒泉齋與諸生和吟【三首】過長水洞悼亡友宣敬集【翼欽】偶吟立春雨後,偶吟【二首】無題送金德文【永奎】兼寄韓守奉官敬煕【昌洙】菊花【三首】七言絶句錄先考三山府君家狀志感石室道中作過麻貴坪仲秋月夜聞長兒麟植誦濂洛風雅和族弟新齋【漢驥】見童子雙髻喜感而吟智海別重菴文丈姜處士【禹永】挽【四首】贈別黃丱鍾五壁上揭日月二字近聞洋賊據興陽三島因往來沿海以審形勢到泊于康津南浦其意所在曉然可知吾人不幸當此朝夕險禍不可無定見聖人所謂篤信好學守死善道此誠第一義諦因誦先師鼓山先生丙寅八月書示吾黨絶句說與書社諸生敬步其韻【二首】書社諸生俱讀孟子喜成一絶草堂卽事鳳陽精舍雜詠【五首】鳳岡朝陽龍嶽暮雲山下寒泉東湖明月西山淸風姑惡鳥【二首】送大彦【魏琫植】乃晦【金永根】之雲潭贈任丱吾東【二首】次重菴遺躅韻贈羅聖敎【有英三首】題鳳岡精舍山家獨作和河已千【正秀】之字韻五言律詩偶吟書示諸生己丑立春感吟壬辰立春翌日吟贈心漁堂主人【金道淳】贈魏大彦贈丁文玉【璨壽】贈金翼卿【世輔】庚寅陽月哉生明入處鳳陽精舍中元,憶重菴先生【甲午】仲秋上弦大彦來言所懷【甲午】剝月望朝,書示吳禮中【庸在】丁瑩汝【玟壽】金直卿【在植】李祥元【思皥 甲午】七言律詩己卯暮春與省內諸賢會講於道岬寺到大明洞和吟集古人詩句示諸生癸未至月謹次朱子涒灘韻謹次重翁贈別正三【金台漢】益進【韓學淵】韻到笛坪謹次南坡李丈【僖錫】書示韻奉和无悶李兄用其韻步錦坡李兄【秉燮】寄示韻遊舍人亭敬次原韻花樹亭次諸丈韻靜潭齋次主翁【高焉柱】韻次崔氏【奎文】龍湖亭韻寄題心漁堂寄吳大集【成模】登無等山【一名瑞石】贈別姨弟羅賢守聞倭洋醜類歷覽沿海諸邑林德洪【炳鏞】來訪致圖【馬鍾河】讀心經汝仁【金世鉉】讀近思錄文丱忠烈讀論語及諸隣兒讀小學作此志喜新元逢朗西諸友病中强吟【甲午】與大彦登朱雀山【甲午】知足翁嘉顯【尹樂浩】誦退溪呈尹安東詩因命和之謹忘拙構呈卷之二上樑文大明洞祠堂上樑文鳳陽精舍上樑文銘約軒銘訒齋銘止一齋銘持敬齋銘母忝室銘復軒銘箴主一齋箴紙尺箴讀書箴記寒泉精舍實記首陽精舍記敬齋箴板重刊實記弘毅齋記景晦堂記卷之三序尊攘新編序送陳子平【禹錫】歸皇朝村序江陵劉氏宗會案序寶巖坊約序白虞侯六十一宴行鄕飮禮序跋敬題永曆大統曆後敬題朱子五倫筆帖後敬畏箴跋書晩悔集後題河君已千自敍賦後行狀先考三山府君家狀再從叔仁山公【德鉉】行狀刑曹參議金公【相勉】行狀學生金公【鯨錫】行狀次子鳳植狀錄次子鳳植正終言行十二代祖月峯府君諡狀本草墓誌銘槐蔭文公【思九】墓誌銘 【幷序】卷之四傳孝子安公【世龍】傳烈婦孺人李氏傳金耕讀齋【曰淳】傳贊先師華西李先生書像贊四賢贊祭文祭華西先生文再祭華西先生文祭鼓山先生文再祭鼓山先生文祭蘆沙奇先生文祭重菴先生文祭族大父同知公【瑾】文祭薇齋鄭公【在弼】文祭茶嵒魏兄【榮馥】文祭梧軒丁公【炫】文祭族弟新齋文祭剛軒丁君【炳序】文祭亡次子鳳植文祭亡長子婦丁氏文祭族孫鍾煥文卷之五書上華西先生上鼓山先生上鼓山先生上鼓山先生上蘆沙先生上重菴上重菴上重菴上重菴上重菴上重菴上重菴上重菴別紙上重菴上重菴上重菴上重菴上重菴別紙卷之六書上李黃溪【墣】上李朗海【烋】上李朗海與柳穉程【重敎】與柳穉程與柳穉程與柳穉程與崔參判【益鉉】與崔參判答崔參判與宋祭酒【秉璿】與宋祭酒答鄭國彦【在弼】與魏芳瑞【榮馥】答金子元【勳】與洪汝章【大憲】答洪汝章答李服汝【喜冕】答李服汝答李服汝答李服汝答李服汝答李敬述【孝植】與田子明【愚】與田子明答田子明與洪思伯【在龜】答洪思伯答洪思伯答柳聖存【基一】與奇會一【宇萬】與奇會一與奇會一與宋燦五【鍾雲】答朴應瑞【在麟】與李致道【秉龜】答族弟民受【永澤】答宋致承【鎭鳳】答金景三【在珪】與崔德汝【潤燦】答李進夏【三遠】答金亨善【泰瑀】答丁采文【炳序】答尹士奎【在璨】答金贊炯【永煥】答玄士明【在昇】答玄士明答朴子善【煕元】卷之七書答族弟台漢答魏衡良答魏衡良答魏衡良答郭洪翊趙完九答魏琫植答族弟漢文答漢文答金永根答金永根別紙答金永根答吳成模答崔根完答崔根完答金世輔答白永昇與白永昇答金世鉉答黃明奎與天台山講會諸生寄長兒麟植卷之八書贈知止說書贈寒泉齋諸生書贈郭昌欽讀禮說書贈朴秉洙書贈吳成模學顔說書贈韓學淵陽復說書贈黃明奎讀論語說書贈崔采佑書贈羅有英書贈文忠烈雜著論天台講說寒泉齋夜講略辨寒泉齋約規寒泉精舍學規小學箚疑處己常則寶巖坊契約山齋志喜卷之九雜著經理管見卷之十雜著三極圖說形而上下圖辨說朞圖解說日月會朔圖辨說土圭地中圖辨說律呂相生圖辨說卦變改正圖說心統性情圖辨說人物性同異圖辨說費隱圖辨說明德圖辨說大學全圖後說聖賢闢邪圖說聖賢傳敬圖說卷之十一雜著一鑑問答卷之十二雜著山中燭話心說集解上心說集解下心者身之所王說儒釋心學不同辨衣制辨答衣制辨說卷之十三雜著寅字說闢邪說通貨辨答異端總辨農政新書序條辨警示賊徒文聿修齋遺稿 目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上李黃溪【墣】 漢燮白燮無祿。己卯六月奄遭先妣喪。縷命苟存。而日月奔駟。終制已久。實不堪風木之悲也。所謂緖餘。離索荒廢。夙夜忉怛。竊計此身之拜侍於座下。今幾許歲。烏頭之力。自驗已盡。愧懼何可量。伏惟道體康寧。令從孫造詣。想必日進於高明之域矣。遠外景仰。曷容名喩。竊惟先師立心制事。與夫苦心發明者。無一非明天理正人心者也。見今邪說橫行。人獸莫辨。不必聖人。人人可以能言距之矣矧在師門後嗣。尤不可惕念繼述耶。重菴文丈。智海之行。亦可謂暮年光華。何必嗟勞哉。所欲陳者何限。只此不備。伏惟俯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姑惡鳥【二首】 反哺慈烏極孝誠。鳥中曾聖世皆名。今來胡爲啼姑惡。不似當年反哺情。設令姑惡爾當誠。豈向他人說此名。彰惡知渠尤甚惡。世間難掩是非情。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送大彦【魏琫植】乃晦【金永根】之雲潭 天生重老又何喪。遽使吾生泣恨長。世路伊來多百險。二君行矣戒關梁。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任丱吾東【二首】 寰宇蝕陽又颶風。幸今周禮在吾東。仁爲己任非高遠。斯道元來理甚公。康成三載在扶風。論易歸來道亦東。願言賢秀須勤學。米賊猶知誦鄭公。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重菴遺躅韻。贈羅聖敎【有英三首】 先生高躅躡頭流。往事於焉十四秋。珍重勉翁巖面筆。摩挲墮淚後人遊。嶽頹安仰衆奔流。斯道昏濛鬼藪秋。可愛羅君能篤信。羹墻遺躅日優遊。難以寸膠止濁流。此生無地讀春秋。回思智海依如夢。幾度親陪杖屨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詩(1)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太極 南儀未判處。萬化本原時。動靜無窮理。須從這裏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窮達 窮亦不須悲。達亦不須喜。窮達摠由天。林泉安素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後石韻呈松沙【二首】 流長可見本源深。南士靡然想德音。洞澈心期無點滓。恨潭秋月炯照臨。新刊遺稿永圖終。認得吾賢積累功。撫念此生誠意深。分勞恨未夙宵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呈梁栢下相衡【三首】 白雲白如白人白。偏向魚登山上白。山下有人高莫攀。蕭然虛室便生白。白鷗飛下龍江水。江水分成洛兩涯。縱愧吾心元非石。毋將溫玉爾音遐。長楸難學展蹄騏。泥道堪憐曳尾龜。惟有朝陽臺上鳳。含章留待聖明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澹對軒講會夕感題 山頹樑折已十秋。蕭瑟寒烟鎖長洲。更有賢孫能繼述。全湖文物便揚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敬次叔父晩谷原韻 溫古工夫牖後知。胸中自有大施爲。年逾伯玉知非日。學慕尼翁喜易時。黃花老圃秋容淡。玉樹中庭厚蔭垂。收拾桑楡餘景富。人間此樂最能奇。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