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咸豊李氏家乘序 李。東方著姓。別而爲貫者多。而咸豊氏卽其一也。源流洪大。枝幹蕃昌。夫譜者。收族敦親之義。而氏族昌大。苟可同其譜。寧可同其親孚。盖千萬人本於一體。則聖人非不欲千萬人如一體。而其爲之制服也。止於四世者。儅不以情有所不貫。勢有所不行歟。然則今日咸豊氏之擧。得其收族敦親之義哉。凡推恩之道。先篤於近而後及於遠。未有略於近而篤於遠者。則李氏二派旣篤篤於近矣。會通合族。何難之有。牧使公諱世禮三昆季。仲曰世淵。季曰贊成世恒。但以伯季爲兩家分派之祖。修家乘之編者。以其居相近而議相同也。漏其仲派者。非敢有親疎之別。以其距相遠。議不同而不强也。其派系之消詳。條理之謹嚴。牧使公後仍敦植氏有敍述。不必架疊。但吾聞之。牧使公忠義之範俗。侍敎公殷福學問淵深。錦軒公松祚義勇超世。農隱公敦植孝友卓犖。將有以大庇其後者也。贊成公隱德之堅確。節齋公益壽殉義敵慨。監察公龍憲鏟跡山林。亦足以世濟其美者也。編將入梓。農隱公次胤澤憲與其族載春甫。來徵弁卷於光善。顧此病伏窮山。荒廢筆硯。而其鄕井篤好。不得終辭。但頌其世德之已然者。禱其來裔之將然者。以爲之序。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孺人張氏烈孝錄序 祭統曰。無美而稱之。是誣也。有善而不知。不明也。知而不傳。不仁也。三者君子之所恥。周頌曰。無美而稱之。則刻畫無鹽。唐突西施。走於仁同張氏烈孝錄。可知其免得來君子三者之恥。而無所愧於刻畫唐突之譏矣。孝子基燮。仁同世家。文康公諱顯光后。其母夫人吳氏。籍海州。忠烈公諱達濟后。夫人十九喪所天。子基燮生纔七日。夫人遵夫子之遺託。不心其自家下從之心而心其死夫子之心。愛育遺孤。宗事有托。則乃遂其本心。視死如歸。嗚呼烈哉。基燮噬指泣血。殫竭誠意。吁嗟孝矣。是母是子。母死於烈。子篤於孝。可想其光嶽可頹而倫常不墜也。孝子肖胤東珍。懼其遺蹟堙沒無傳。將付剞劂。以玄晏來徵于空山病夫光善。顧此昏眊。不敢操湘東金管。而有激于中者存。塵穢如右云爾。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朝鮮世家號譜序 號是盤孟有銘之意。而盛行唐宋者也。至于東邦。則但以筆譜傳之數百年。眞贋相雜。帝虎易訛。始自中年。誰有印行之擧。而亦未免其疎漏雜錯之恨。譬如繡繪錦毅。衣服之窮美。尺寸而割之。錯而姸之以爲服。則反不若綈繒之全美。誠不足爲傳遠寶玩。爲恨矣。何幸靖山金興基氏。爲懼其後日看過之差誤。與同志諸君子。乃更爲編次修譜。釐正爲四卷。各從氏族而彙類之。於是條理井井。披閱便宜。一開卷而瞭然其源委矣。始知其書之傳不傳。不在于書。而在於傳述之得其人哉。剞劂訖功。猥以玄晏命于光善。顧此積年病廢于鳳山屛廬。安敢穢佛頭。而謹著其前後顚末則足乎云爾。弦窩遺稿卷之五【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嶽降堂記。 於戱欽哉。三光文先生降生于永平東長者池畔大巖上。中世奕葉。繼有敬靖公忠肅公孝惠公忠宣公。或對揚王庭。或普濟生民。或道義文物。自羅迄麗。炳烺國乘。唐之潮陽。立攵公之廟。宋之巴西。建萊公之祠。則以先生嶽降之地。立祠崇奉。不必多讓於中州。而尙今數千載。鞠茂爲荊棘蓬蒿之一荒岡者。豈有待乎其時耶。抑亦有待乎其人耶。徒切志士之興歎。路人之咨嗟矣。何幸京鄕章甫。遂定建祠妥侑之儀。時則先生之遺仍有若誠浩基址買得。炳九仁煥致晧之營建祠宇。壹煥之盖瓦。炳勳之建築文巖門墻。以及彩成之齊明室。泰鉉之內三門。明眞之廟庭碑。權鎬之長者山。章厚之長者池。第次就緖。而炳九誠浩仁煥致晧址洙主其紏畫籌策。始事於癸亥冬。竣役於粤五年丁卯三月。禮成釋菜。廟曰長淵。隨其地而額之。堂曰嶽降。曠世未遑。今乃始創。則此非有待於其時乎。歷盡百世而得如炳九四五人而乃克竣事。則此非有待於其人乎。人旣應時而來。祠旣得人而成。則豈偶然也哉。適去。時也。適來。亦時也。大矣哉時乎。有其時無其人。不可。有其人無其時。亦不可。人時相得。竣此斯文大事。千載一會。幸孰大焉。噫。炳九諸人之追遠血誠。萬死猶甘。百身不惜。令人興感。故敍次其顚末如右云爾。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晦齋盧公【希瑞】行狀。 公諱希瑞。字鳴玉號晦齋。盧氏系光山。上祖諱穗。唐翰林學士。率九子東來。東之有盧。自此始。九子樹勳勝朝。因各受封。子孫各以其封爲貫。盧氏九貫。於是爲分。光州伯諱垓。其一也。二傳而諱蔓。位政丞。功存宗社。澤庇生民。襲封爲光州君。一世而尙書。二世而平章。七世而連登槐選。有諱俊恭。事親以孝。勤王有節。羽儀當世。 太祖朝累徵不起。 定宗朝下 敎曰。拔乎流俗。守經不回。能盡忠孝。誠可褒揚。 贈諡節孝。特 命旌閭。士林立祠于光州日谷而俎豆之。生諱永國。文科。羅州牧使。入爲兵參。生諱光利。文校理。成均館大司成。號式齋。文章道學矜式于世。生諱珪。奉正大夫稷山郡守。生諱仲崙。兵參。生諱漢經。資憲大夫漢城判尹。寔公五世祖也。高祖諱玉孫。隱德不仕。曾祖諱彭連。參奉。祖諱秀菊。文。吏曹正郞。考諱欣東。以文學 除禮賓寺參奉。妣宜人竹山朴氏。父進士新爀。有婦德。以嘉靖戊午生公。公氣宇慷慨。道義夙著。有濟世安民之略。 萬曆壬午。以韎韋出身。宣傳校尉。 贈兵曹參判。以壬辰七月十日。歿于錦山。諸孤蒼皇號哭。尋骸體而不得。矢復歸葬于光州芝山坊日谷里左文嶝壬坐之原。貞夫人靈光丁氏。父啓泰。甚淑烈。聞公之歿。卽欲下從。而以諸孤之哀慰。强忍僅行初忌。竟遂烈。以是年葬。公墓合封。有碑碣。擧三男。男長應亮。次應濱應平。俱通德郞。應濱男。汝大汝八汝吉汝龍汝宗。皆文學行義。應平男。大龍。有孝行。曾玄以下甚椒衍不殫述。噫。公以遠大之器。忠義之誠。知有國而不知有身。捍禦王家。如手足之捍頭目。竟以殺身成仁。其忠肝義膽。與日月幷朗。固當腏食於祠。而尙未蒙 贈諡衮褒之典。貞夫人懿行特烈。亶合褒旌。而尙今泯沒者。不但爲 朝家之欠典。士林之齎鬱。抑爲子孫零替。不得顯揚其先之致歟。公之實蹟。昭載於湖南節義錄及光州誌。三綱錄文獻續集。則人之未遑。天必陰騭。自昔有此理。曷云遲速。公九世孫鍾龍。與余從예逐有年。且篤世誼。故命其族弟錫灃錫容。來謁其狀德之文。余於公後裔。矢之以竢百世下公議云爾。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逸菴高公【元謙】墓表。 故龍洲之南渴馬洞飄巖千坐之原。穹然有四尺之封。迺逸菴高公衣履之藏也。至今數百年。厖眉深目而髥者。肅恭指點。戒勿樵牧。苟非其流澤餘化八人之深。豈能如是哉。謹按公諱元謙。字仲長。逸菴其號也。高氏。系出長澤。以麗朝北部尙書諱協。爲中祖。四傳有諱雲。號霞川。文佐郞。北門禍作。遂斥還鄕。生諱孟英。號霞軒。副提學。 贈領議政。生敬命。忠烈公霽峯先生。次子毅烈公鶴峯先生諱因厚。於公六世祖也。高祖諱斗興。縣嶺。曾祖諱世泰。世稱養眞齋先生。祖諱應仁。考諱萬宅。妣宜人延日鄭氏。同中樞徵河女。松江先生澈之后也。以庚申七月八日。生公于三川里第。公生有異質。色粹氣淸。金精玉潤。先府君嘗曰。昌吾家者。必此兒也。命其小字曰昌大。年甫十歲丁謨夫人憂。哭泣奠祭。殫其誠禮。鄕里感嘆之。事繼妣。二養備至。居憂持制。一如前喪。時公年躋七旬矣。子姪懼而諫。公責之曰。居喪盡哀。人子之職。況三年倏忽豈可以老自便重貽無窮之憾乎每忌日。必齊明盛服。明燭待晨。且於朔望。參廟展墓。家法以正倫理。篤恩義爲主。一門之內。和順雍睦。自少讀書。必窮理明義。而小學一部爲主一之工。至於嘉言善行。若已有之。猶恐不及。專致於爲己之學。不屑章句業。敎諸子。不以榮進爲務。常曰。立身修行。當以古人爲法。若科第。乃外事也。昔毅烈先祖。嘗赴庭試。偶題於私稿而不用曰。士君子立身。不可以苟也。以其子孫。何可冒進於科第。以負先祖之志乎。公之四子時臣。以明經登第公戒之曰。人孰不以科宦爲美。吾門則三綱古家。無忝霽峯先祖訓。克繼家聲也。庚申 正廟賓天。別設一壇於家後山。望哭行素於因山前。忠孝一理之義。於公見之矣。以戊寅正月三十日考終。享年七十有九。遠近士友里巷隷儓。莫不敬悼嗟嘆。配廣州李氏。充僖公仁孫后。廷煒之女。貞淑珷違。梱範得宜。墓公同塋。擧六男三女。男長時博。次時五。尸彦。時臣。文同副承旨。時尹。通德郞。時和。通德郞。女長適李平銓。次適生員邊有容。次適進士安相緝。其餘椒蕃不殫述。嗚呼。公器宇英拔。天姿近道。孝友斤天。渾然成德。庸言庸行。不設畦畛。處家。事不言而敎自行。門庭之內。肅然如公廷。以公之德之行。旣不求知於人。而每式年。多有鄕邑之薦。其學文之力。尤不可誣也。噫。古造詣深遠。踐履篤實。可以矜式於後。而況來仍之紹述。世濟厥美。使此潛德懿行。久而不泯。天道與善之徵。不在斯歟。此可與知公者道。不可與不知公者言。公之五代孫光勳光瓚。抱烏川鄭進士敎煥所撰狀德文。來謁其隧道之記。遂刪略其本狀。歸而刻諸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農隱李公【起卓】墓表。 世有以行蹟受旌賞者。率多以一善一節成名。自不器之君子。志於道德。如農隱李公而受此名。則誠甚未安哉。謹按公諱起卓。家哉衡。農隱其號。李氏。系全州。孝寧大君諱補諡靖孝后。完山府院君諱?號沙村十二世孫。自後世襲簪組。曾祖諱時益。號南溪。同僉知通禮門事。祖諱錫楷。考諱昶圭。號溯源堂。知行俱至。妣慶州金氏。父彦基。壺儀間靜。以 純廟癸亥一月九日。生公于南原靈溪坊大卜里第。公天性純仁。德器魁偉。學究天人。見識高邁。爲子盡其誠孝。爲父兄克其嚴慈。聞人善言。若已有之。聞人惡言。若無痕。一生接濟。薄於己而厚於人。固窮律。爲世推重。早抛擧業。不屑名利。徜徉於水石。逍遙於林泉ㅡ雲中別墅。燈下古書。捿嵒數椽。迢絶城塵。其道義也彷彿乎鹿洞遺規。其詩禮也有若乎鵝湖餘韻。矜式士林。模楷後世。宜其闡褒之擧。而尙此寂寥。殊甚慨惜。辛未九月二日卒。享年六十九。墓東面上俗隱里後大谷立石坪午坐原。夫人密陽朴氏。父宗禧。甚慈惠。有四德。乙巳七月十八一歿。墓同面引月里下舞童谷巳坐原。擧二男一女。男長康壽。次康元。密陽朴在聖。壻也。孫男。奎宰建宰炳宰希宰良宰。長房出。廣宰。二房出。曾玄甚椒蕃不殫述。噫。仁善基厚。其得天餉將無艾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신축) 二十七日 辛丑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기해) 二十五日 己亥 맑다가 흐림. 엊그제 어린 손자를 데리고 와서 유숙(柳塾)에 입학시켰다. 그(손자)의 아비가 오자 애친지심(愛親之心)이 더욱 도타워져서 배움을 버리고 가버렸다. 거연히 기술한다.내가 배움으로 이끈 것은 성(性)의 욕구이며, 네가 부모를 그리워하는 것은 성(性)의 이치이다. 성의 욕구란 것은 배우는 것을 좋아하고 선(善)을 좋아하며, 성의 이치란 것은 양지양능(良知良能)1)함이다. 나와 너 사이에는 추구하는 것[趨向]이 같지 않으니, 나의 뜻대로 하고자하면 너의 뜻을 어기는 것이고, 너의 뜻대로 하고자하면 나의 뜻을 어기게 된다.대저 일찍이 위인지리(爲人之理)에 대해 논했으니, 공자는 이르기를, "일음 일양을 도라고 하니, 그것을 잇는[발하는] 것이 선이고 그것을 이룬 것이 성이다.[一陰一陽之謂道, 繼之者善也, 成之者性也.]"2)라고 했다. 성(性)이란 것은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인데, 맹자는 사단(四端)으로 끄집어내어 말하였고, 정자(程子)3)는 이것을 미루어 상달(上達)4)하였다. 지극히 고요한 가운데 이르러서 원래부터 이 이치가 있으며, 무성무취(無聲無臭)하고 혼연히 온전하게 갖추어져 있다. 진실 무망5)한 것이 성(誠)이다. 때문에 성(誠)이 속에 있는 것을 신단(信端)으로 끄집어내어 말한 것이다. 이것 또한 맹자의 본래 뜻이다.그러나 얕은 견문과 지식으로는 두루 알기가 쉽지 않다. 가만히 ≪근사록(近思錄)≫의 한 단락을 생각해보니, 인(仁)에는 자애(慈愛)하고 온화(溫和)하다는 의미가 있고, 의(義)에는 참렬(慘㤠)하게 결단한다는 의미가 있다. 예(禮)에는 선저(宣著, 드러냄)하고 발휘(發揮)한다는 의미가 있고, 지(智)에는 수렴(收斂)하되 흔적이 없게 하는 의미가 있다.6) 이 네 가지의 의미는 곧 춘하추동(春夏秋冬)의 사계절이 유행하는 기상이다.음양(陰陽)으로 총괄해보면, 온화하고 선저한 것은 양이고, 참렬하고 수렴한 것은 음이다. 오행(五行)에 해당시켜 보면, 온화·선저는 목(木)과 화(火)에 해당하고, 참렬과 수렴은 금(金)과 수(水)에 해당한다. 이 네 가지에 기왕(寄旺, 붙어서 왕성함)하여 성실(誠實)한 것이 토(土)이다. 천도(天道)의 원형이정(元亨利貞)은 곧 이것일 뿐이다. 주자(朱子)가 말하기를 "원형이정은 천도의 떳떳함이요, 인의예지는 인성의 벼리이다.[元亨利貞, 天道之常. 仁義禮智, 人性之綱]"7)라고 하였다. 이는 실로 하늘과 사람의 이치로, 꼭 맞아떨어져 흠잡을 데 없는 말이다.하늘과 사람 사이에 소이연(所以然, 그렇게 되는 까닭)은 태극(太極)이요, 소연(所然, 그렇게 되는 현상)은 음양오행(陰陽五行)이다. 그렇다면 태극은 이(理)요, 음양오행은 기(氣)이다. 다만 이러한 이와 기가 엉기고 교감하여 천지가 처음 열렸으니, 천지 사이에 가득한 것은 모두가 이와 기로, 만고(萬古)토록 유행(流行)하고 만물(萬物)을 화생(化生)한다.사람이 이 이치의 온전함을 품부 받아서 선으로 발현하고 성으로 이룬다.8) 성의 양지양능을 누가 그것을 막을 수 있으며, 누가 그것을 빼앗을 수 있겠는가? 너의 능한 것을 따르고 나의 인도한 바를 생각하여 지키고 잃지 말지어다. 陽而陰。再昨率穉孫以來。 入學于柳塾。渠父之來。 愛親之心尤篤。 捨學以去。居然述之。余之引學者。 性之欲也。 汝之戀親者。 性之理也。性之欲者。 好學好善也。 性之理者。 良知良能也。余汝之間。 趨向不同。 欲遂余志。 咈汝志也。 欲遂汝志。 咈余志也。盖嘗論乎爲人之理。子曰。 "一陰一陽之謂道。 繼之者善也。 成之者性也。" 性也者。 仁義禮智信也。 孟子剔出四端而言之。程子推此上達。以至於至靜之中。 元有此理。 無聲無臭。 渾然全具。眞實無妄者誠也。故以誠在中者。 惹出信端而言之。此亦孟子之本意也。然淺見薄識。 難可容易周識矣。竊想 ≪近思≫一段。 仁有慈愛溫和底意思。 義有慘㤠强斷意思。 禮有宣著發揮底意思。 智有收斂無痕跡意思。此四意思。 卽春夏秋冬四時流行底氣象也。總之於陰陽。 則溫和宣著者陽也。 慘烈收斂者陰也。敷之於五行。 則溫和宣著者木火也。 慘烈收斂者金水也。寄旺於四者。 以誠實者土也。天道之元亨利貞。 卽此而已。朱子曰 "元亨之利貞。 天道之常。 仁義禮智。 人性之綱。" 此實天人之理。 脗合無間之語也。天人之際。 所以然者。 太極也。 所然者。 陰陽五行也。然則。 太極者。 理也。 陰陽五行者。 氣也。只此理氣。 絪縕交感。 肇判天地。 則塞于天地間者。 都是理氣。 而流行万古。 化生万物。人禀此理之全。 而繼以善。 成以性也。性之良知良能。 孰能禦之。 孰能奪之。從汝所能。 思余所引。 守以勿失也。 양지양능(良知良能) 양지는 저절로 아는 것, 양능은 저절로 능한 것을 말한다. 맹자가 이르기를 "사람이 배우지 않고도 능한 것은 양능이요, 생각하지 않고도 아는 것은 양지이다.[人之所不學而能者, 其良能也. 所不慮而知者, 其良知也.]"라고 하였다.(≪맹자≫ 〈진심상(盡心上)〉) 일음일양을 …… 이다 ≪주역≫ 〈계사 상(繫辭上)〉 제5장에 있는 구절이다. 정자(程子) 중국 송나라의 정명도(程明道, 1032~1085)와 정이천(程伊川, 1033~1107) 두 형제를 말한다. 상달(上達) 공자는 "군자는 상달(上達)하고 소인은 하달(下達)한다."라고 하였고, 또 "나는 아래로 인간의 일을 배우면서 위로 천리(天理)를 체득하는 사람이다.[下學而上達]"라고 하였다.(≪논어≫ 〈헌문(憲問)〉) 진실무망(眞實無妄) 주자(朱子)가 ≪중용≫ 제16장 "무릇 미세한 것이 나타나니, 정성을 가릴 수 없는 것이 이와 같다.[夫微之顯, 誠之不可揜, 如此夫!]"에서의 '성(誠)' 자를 풀이하면서 "진실하여 허망함이 없는 것이다.[眞實无妄]"라고 하였다. 인에는 …… 의미가 있다 주자의 말로, ≪주자어류≫ 권6 〈성리(性理)3〉과 ≪성리대전서≫ 권30 〈성리(性理) 8〉에 나온다. 원형이정은 …… 벼리이다 ≪소학집주(小學集註)≫ 〈소학제사(小學題辭)〉에 나온다. 일기 원문에서는 '元亨利貞'에 대해 '元亨之利貞'이라고 잘못 표기하고 있다. 선으로 …… 이룬다 ≪주역≫ 〈계사전 상〉에 "한 번 양(陽)하고 한 번 음(陰)하는 것이 도이니, 이것을 잇는[발현하는] 것이 선(善)이고 이것을 이루는 것이 성(性)이다."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갑오) 二十一日 甲午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임인) 二十八日 壬寅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병신) 二十二日 丙申 우연히 흥을 느껴서 시를 썼다.성인의 도에는 종지가 있으니,(聖道有其宗)성선은 그 가운데서 유래하였네.(由來性善中)공공함은 하늘과 합해지니,(共公天與合)만고토록 저절로 상통하리라.(萬古自相通)경전과 제가의 책들은(經傳與諸子)필경에는 귀결처가 같다네.(必竟歸趣同)사람은 누구나 배울 수 있지만,(人皆可以學)주경(主敬)만이 뛰어난 공로 드러나네.(主敬見奇功)본원이 광대해지면,(本源自廣大)더러운 찌꺼기 다 녹아버리네.(査滓盡消融)지극하다 자양15)의 계책이여,(至哉紫陽謨)천년을 몽매한 무리와 짝하였네.(千載伴群蒙)훈고와 장구는,(訓詁與章句)의리가 무궁함을 다 하였으니,(義理儘無窮)아침부터 밤까지 학습하여,(朝益暮以習)함양하고 확충해가야 하리.(涵養擴而充)마음을 거두고 정좌하니,(神心收斂坐)태극이 나의 몸에 있고,(太極在余躬)사단이 느낌에 따라 드러나니,(四端隨感見)새로운 덕이 자연히 숭고해지네.(新德自然崇) 偶然感興。聖道有其宗。由來性善中.共公天與合。萬古自相通.經傳與諸子。必竟歸趣同.人皆可以學。主敬見奇功.本源自廣大。査滓盡消融.至哉紫陽謨。千載伴群蒙.訓詁與章句。義理儘無窮。朝益暮以習。涵養擴而充.神心收斂坐。太極在余躬。四端隨感見。新德自然崇. 자양(紫陽) 송(宋)나라 학자 주희(朱熹)의 별호이다. 주희의 부친 주송(朱松)이 자양산(紫陽山)에서 독서하였는데, 후에 주희가 복건(福建) 숭안(崇安)에서 살면서 정사의 이름을 자양서실(紫陽書室)이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정유) 二十三日 丁酉 흐림. 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무술) 二十四日 戊戌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계사) 二十日 癸巳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임인) 二十九日 壬寅 비. 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월 八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무자) 十七日 戊子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초 1일(계묘) 初一日 癸卯 흐리고 비. 집으로 돌아왔다. 陰雨。還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기해) 二十七日 己亥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