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參峯金公【寅斗】墓碣銘。 聽於塗不若聽於隣。聽於隣不若聽於家。非遠愚而近智。蓋遠者略近者詳。璃也亦勢也。彼塗者隣者。則問焉而不對。叩焉而不詳者有之矣。家人婦子則不然。同分義均休戚。內無所隱。故其情眞。故人不間於父母昆弟之言。若齋郞金公者。可謂得彛性之孝子矣。蓋公之事親。生死葬祭。殫盡誠意。克遵禮制。家人婦子咸服其孝。公諱寅斗。字聖七。金海人。有諱克一。諡節孝。冶隱高弟。持平諱孟。號南溪。從師江湖金先生。與金佔畢齋曺梅溪。爲道義交。執義諱世斤。號押峯。 贈兵參。是公中祖也。高祖諱玹。曾祖諱時潤。祖諱奎煥。 贈嘉善。考諱在平。壽秩同樞。妣淑夫人羅州林氏。父琦澤。有懿行。以 哲廟丁巳。生于光州細洞里第。自少穎悟。語默動靜超凡。嘗自訟曰。人爵係於氣數。事君未易得也。天爵在於自家。事親乃其任也。溫淸之節滌瀡之供。志體俱養。處閨門嚴而有禮。對子弟勉以孝悌。御僮僕思威幷至。不正非禮。未嘗接耳目。靈芝之根醴泉之源。終不誣也。淑夫人患疾。君侍湯不懈。刀圭同功。指血得二日甦。其遭艱。易戚俱至。日所食。不過數合水穀而已。每拜哭于墓。涕淚着地。地不草。同樞公年逾八旬偶失寧。色憂愈切。築壇。後園。每夜祝天。竟得半歲康健。後添㞃下世。初終凡百。哀禮俱至。禪未行。君患厲。戒二子曰。謹愼爾行。無忝爾所生。我則罪逆重。未闋服而逝。難瞑九泉之瞳。遂歿。享年五十二。葬于細洞村後白馬山壬坐原。前後湃光山鄭氏東日女。仁同張氏孟源女。有德性。擧三男二女。男容振容涉。鄭氏出。容洲。張氏出。女全錫浜朴應奎。孫男。明坤溢坤。衡坤容涉出。明坤系容振后。餘幼。容涉以光善謂其鄕井世好。抱德殷宋秉和所撰狀。泣請其牲石之銘。誼不可以病昏辭。遂爲之銘。銘曰。駕洛遺裔。派流久長。德蔭所及。乃發其祥。本于行仁。旣孝且敬。不言以躬。得之彛性。椒聊蕃行。天餉篤厚。銘以述之。永昭厥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蘭圃吳公【永祐】育英碑。 昔程伊川置禮賢齋。以訓諸生而明性理之學。胡安定置經義齋。以引後進而備體用之學矣。蘭圃吳公挺生南陬。學問精邃。造詣明達。一方多士摳衣幷進。難疑問答。公循循然善誘。一滴一凍。鑪錘之傍無刓器。檃括之下無棄材。則其成就人物。使此枳棘之鄕。幻作鸞鳳之集。豈不誠大有功於斯文哉。公諱榮祐。字良三。蘭圃其號。吳氏。同福人。在勝朝平章事諡文櫶諱大陞。尙書諡文孝諱有年。進士諱彬。疏斥權奸。因謫于南。子孫居焉。有諱弘績。寔公顯祖也。公之病也。參請盈門其歿也。號哭接巷。其葬也。執紼赴護。挽奠塞路。群弟子心喪脂哀。方營築壇竪碑。以爲春秋芬苾之享。而案外諸君亦多有瞻慕響應。使尹景夏金爟水陸趼足。來謁其記實之文於鳳山病夫光善。仍問其面籥額字。光善曰。敎育英才乃公實事。則育英字足矣。遂收其語而記之。歸而刻諸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舟谷集跋。 右舟谷集一冊。是忠州朴公進士諱致和號舟谷所著文字。而三分之詩居二焉。自古人物與山水。相爲重輕焉。是以崧嶽生甫及申。淇澳生衛武。山東出相。山西出將。此人物以山水而重也。然則爲名山水。不以生大輅之材九鼎之金連城之壁爲貴。而以挻生英特之人爲貴。公生於瑞石西松鶴極樂山水縈廻之間。得其淸淑以爲性。得其冷淡以爲質。其爲詩也淡而不俚。華而不雕。不用新奇。則彼架虛騁空。矜爲綺談瑰語。誇耀耳目。悅於外而遺其內者。可以渙然有警發哉。公之後仍璋柱。要余寘名于卷端。自顧生後文下。加以病昏。烏可以發潛闡奧。然而元禮門下講世之資。亦有待是卷云爾。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逸軒遺稿跋。 士不得生於唐虞都兪之世。寧得生於孔門言志之日。又不得。則生於國朝 明 宣之際。展布經綸。亦非其時乎。逸軒先生生於其際。一擧而升庠。再擧而中第。以文章鳴。尋常所著詞章。辭近理遠。沖淡淵永。不事雕飭。早得風雅之體。足以警後學。當壬燹。與金健齋高霽峯諸先生同盟。而以老病未得遂。平日蘊抱忠義。每慷慨諷詠者。匪風下泉之詩。而有國破山河在之句。運歟命歟。嗚呼。惟我霽峯先祖和逸軒詩曰。桑麻以外言無雜。蘊抱之餘事不求。谷口高名動京國。此可以槩先生七分。而非敢後生之所窺測者也。先生葆命於平日。則身後文字之不傳。雖謂無傷可也。然而後人之欲觀古樂者。旣失追蠡之鍾。烏從而尋其大音哉。後孫遇善收遺稿爲略干卷。付之剞劂以永其傳。其嗣述之孝言足聽聞。遂爲之說以殿其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永追齋上梁文。 鹿峯嵂屼而聚氣。卜幽宅於萬年。龍江逶迤而毓精。收明靈於百里。善繼志而善述。肯作基而肯堂。緬惟店嶝彼窈窕之阡。迺是金氏先祖妣之墓。岡牛眼而山水環合。早有稱其吉瑩。河魴食而世德作述。已無疆其福蔭。追遠孝思。庶不廢殷薦之需。裸將誠心。豈可無夏屋之禮。玆基也仁人之宅。其制也君子之居。新甫栢徂徠松。是斷是度是尋是尺。離婁繩公輸墨。乃左乃右乃慰乃宣。帷房寢廳宛如儀。先定齊明之所。椳臬楣宇各具制。可防風雨之憂。經始勿亟而子姓來。從此惟新而丙舍刱。樹木爲人愛。必有勿翦伐之謨。春秋隨序遷。那無履霜露之感。桑梓必恭敬。鑑不遠於詩人。蘋蘩誰奠湘。誠愈切於祭主。此蓋由於秉彝之孝。何莫非其追慕之忱。感而遂通。天地之氣是人之氣。誠無不格。祖考之神卽我之神。詠斯干而爲歌。如斯翬如斯革。招張老而作頌。美哉奐美哉輸。遂使昔年之嘉規。快睹今日之盛擧。恭疏短引。載擧脩梁。兒郞偉抛梁東。鳳山一抹碧磨空。每起虛靈恭敬意。肅焉展墓愼其終。兒郞偉抛梁南。僧峯深秀八晴嵐。克家恐負遺先法。篤世貞心水淡淡。兒郞偉抛梁西。笏外錦城爽氣隮。濟孝願言終不替。四時芬苾感還悽。兒郞偉抛梁北。虎峯蒼蒼倍生色。鬼護神慳淑氣凝。許多鍾出人才德。兒郞偉抛梁上。纈空香火求精爽。燕翼貽謨裕後昆。永言多福宜天享。兒郞偉抛梁下。禮樂彬彬君子野。悠久無疆盡至誠。精靈降福純如也。伏願上梁之後。山雲棲簷。水月照檻。無忝厥祖。永保京兆之阡。傳及後仍。不墜靑氈之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追遠齋上梁文。 春秋迭遷。後孫切霜露之感。松栢森鬱。先賢有衣履之藏。謀旣協於同人。象蓋取於大壯。緬維羅州之望族。迺有林氏之澹翁。判司宰之勳功。非一代之可誦。監務公之節義。傳百世而不渝。睠彼山川。淸淑之氣攸聚。矧玆邱壟。肅敬之情何弛。陟降而其有思乎。悠遠而不可諼也。蓋世代之已久。雲仍寔蕃然。齋閤之未遑。墓貌有闕。其在愼追之道。不廢殷薦之儀。每當裸將之時。可無齊宿之所。玆焉胥于。適又協謀。輪焉奐焉。離婁繩而公輸墨。斧彼鉅彼。新甫柏而徂徠松。擧嬴云乎。黙運經綸於心上。不日成也。遽見突兀於眼前。惟子姓之殫誠。幸丙舍之新刱。芬苾式薦。會見君子之居。黍稷是馨。曰有孝孫之慶。寔惟春雨之澤。傍流後承。庶幾秋霜之凄。如見先祖。恭疏短引。載擧脩梁。兒郞偉抛梁東。一帶龍江去不窮。來續往過奚所取。兒孫福祿世重重。兒郞偉抛梁西。落日蒼蒼錦峀低。永言孝思應無替。每逢時節倍悵悽。兒郞偉抛梁南。伽倻山色八晴嵐。群山赴處遺孫列。仰止千秋元氣含。兒郞偉抛梁北。雲外伏龍垂五色。鬼護神慳淑氣停。知應鍾出人才德。兒郞偉抛梁上。滿山拱木森相向。登山拜墓下山齋。感慕年年見孝享。兒郞偉抛梁下。禾稻穰穰被遠野。供進粢盛誠不衰。香烟篆纈藹然也。伏願上梁之後。香火無替。棟宇長存。維孝維忠。繼述亶在於此。致愛致慤。著存不忘于心。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갑진) 十日 甲辰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15일 十五日 이른 아침 잠에서 깨기도 전에 영감(令監)이 일어나라고 하여서 옷깃을 끌고 올라갔더니, 김 동지가 생일이라 하여 술과 음식을 성대하게 갖추어 가지고 왔다. 함께 먹고 마시다가 문득 절구 한 수를 읊어 하례하였다.인생 칠십은 예로부터 드물었다며5)(人生七十古來稀)두 공부6) 시 속에 부러움과 감탄 자아냈네(工部詩辭艶歎唏)더구나 우리 영감 장수의 복록 더하시니(況我令公增壽福)뜰 가득 채색 찬란한 노래자의 옷이로세7)(滿庭斑爛摠萊衣)인하여 역대의 일을 이야기하다가 파하였다. 早朝未起, 令監要起, 故牽衣上去, 則金同知以其壽日, 盛具酒饌而來, 同與飮啖, 猝吟一絶以賀曰: "人生七十古來稀, 工部詩辭艶歎唏。 況我令公增壽福, 滿庭斑爛摠萊衣。" 因穩話歷代事而罷。 인생……드물었다며 두보의 〈곡강(曲江)〉 시에 나오는 구절을 가리킨다. "퇴청해서는 날마다 봄옷을 전당잡히고, 강나루에서 실컷 취해 돌아오네. 술빚은 가는 곳마다 있어도, 인생의 칠십은 예로부터 드물다네.[朝回日日典春衣, 每日江頭盡醉歸. 酒債尋常行處有, 人生七十古來稀.]"라고 읊었다. 두 공부 공부(工部)는 검교 공부 원외랑(檢校工部員外郞)을 지낸 두보(杜甫, 712~770)의 별칭이다. 두보는 70세까지 살지는 못하고 59세에 세상을 떠났다. 노래자의 옷이로세 원문의 '내의(萊衣)'는 노래자(老萊子)의 옷이라는 말이다. 춘추 시대 초(楚)나라 사람인 노래자는 효성으로 어버이를 섬기어, 일흔 살의 나이에도 색동옷을 입고 어린아이의 놀이를 하며 어버이를 기쁘게 하였다고 한다. 《小學 稽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沈石愚樂疇 別何容易遇何難自笑人間染燠寒那日重磨塵面鑑與君齊步尺頭竿深燈發省鐘聲聽凈几收心雪色看 動靜元來無二致閒忙到此兩分端懷人更背別人難禁樹如烟二月寒肯把賢才韜蠖木自慙身世學鮎竿烏笻蠟屐何由得洋水峨山好與看 雪後茅亭無恙否拄頣南望白雲端歲色行難駐奔忙互煖寒誰家方一夢高日已三竿浩氣禽聲聽仁心木杪看撞鐘如可再爲我叩玆端願將狂島瘦仍對老郊寒喚月敲詩橐乘春訪酒竿興來幽抱發動處活機看到此徒勞想悄然歛膝端雌黃事業㧾言難掩卷臨風發嘯寒寄語二三同志友幸留東瀨一絲竿芝臭蘭言欲忘難至今潭月照心寒吾南庶見中興緖賴子師門赤幟竿尺素圭三復璚琚苦未看噴飡難有得復瓿奈無斷想應好奇者傳手競相看欲作懸楣貨仍忘載幅端【石愚寄書有曰寄七律二首以呈兩極爲鄙拙未免覆瓿可想噴飯云而傳書者遺却二律只以一書送呈故兩五絶戱用其語以遺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拈十二月卦咏十二月令 春王建月正六氣休回泰吉士得中行明廷紆際會蠢蠕溢地膏菩蕾噓天籟大德與無爭陽陰分內外【泰】一夜發天雷四陽方少壯寅賓晷刻分甲坼華荄放擧趾迨時殷躍鱗乘運旺須尋聖戒存羝觸而羊喪【大壯】淸明月屬辰和健占逢夬動植各陶甄山河一爐鞴花風卄四番穀雨三千界君子旅王庭昇平春似畫【夬】六龍乘一氣行健大哉乾漸進賢才革咸亨物性全仁天雲降雨壽域日如年長養君爲德明堂夏令宣【乾】品物自成章陰陽相與姤繫金賾聖心包杞孚天佑解阜舜絃調革因堯曆授四方風動之恩誥有元后【姤】歲功垂告成陽德筮肥遯鬱奧味初登林鍾魂更返烟條蚻鬧多夕草牛眠穩君子戒陰長明時春機鍵【遯】九六互推移逢申卦爲否乾坤義氣回草木啇聲起葵菜嫩仍靑菣華香欲紫包桑見大人百事終歸喜【否】歲德丁西秩平成大可觀省方敷惠綍賓國萃峨冠物性歸和合人時適煖寒風行君子以神道底治安【觀】時早屋茅綯序經村棗剝羲鞭迫鴈翔啇籟饕羊角鞠綻鷅鶹衣稻登鸚鵡啄上頭碩果懸君子猗重較【剝】品形隨變化貞利見隤坤老圃禾麻納寒床蟋蟀喧息肩謠麥雪炙背愛桑暾邃古稱陽月扶傾聖意存【坤】呀然半夜雷一理陽來復地脈動幽泉天根萌晦木觀星曆象頒解角山麋伏克已軆顔工中行君子獨【復】萬物垂更始亨貞大知臨鑿氷堅澤腹征鳥斡天心臘雪寒梅信朔風變羽音豳詩歌栗烈容保聖思深【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정묘) 初一日 丁卯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임술) 二十六日 壬戌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신유) 二十五日 辛酉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계해) 二十七日 癸亥 맑음. 오늘은 소설(小雪)이다.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중 〈일재에게 보낸 편지〉를 보고 기록한다.기(奇)군에게 준 편지에는 감히 이의를 달 수 없습니다만, 대개 이(理)와 기(氣)가 혼합하여 천지 사이에 가득한 것은 그 가운데서 나오지 않음이 없고, 각기 갖추지 않음이 없으니, 태극이 음양을 떠났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도(道)와 기(器)의 나뉩에는 한계가 없지 아니하니, 태극과 음양은 아마도 일물(一物)이라고 말할 수 없을 것입니다. 주자가 "태극이 음양을 탄 것은 사람이 말을 탄 것과 같다.[太極之乘陰陽, 如人之乘馬]"라고 하였으니, 결코 사람으로써 말이라 하는 것은 불가합니다. 병이 중하여 다하지 못합니다.遺奇君之柬, 不敢議爲, 蓋理氣混合, 盈天地之間者, 無不自其中出, 而無不各具, 不可謂太極之離乎陰陽也。然道器之分, 不能無界限, 則太極陰陽, 恐不可謂一物也。朱子曰 '太極之乘陰陽, 如人之乘馬' 則決不可以人爲馬也。病重不盡。고요한 밤에 한가로이 담소를 나누던 중 희적(羲迪)이 묻기를, "노사선생이 율곡선생의 글에서 '양이 동하고 음이 정하는 것은 시키는 것이 있는 것이 아니고 그 기기(氣機)가 스스로 그러한 것이다.96) 소이연(所以然)한 것이 이(理)이다.[陽動陰靜, 非有使之, 其機自爾. 所以然者理也]'는 한 단락을 의론하여 말하기를 '만약 그 기기가 스스로 그러한 것이라면 소이연(所以然) 세 글자는 퇴축(退逐)시키지 않을 수 없다.'라고 하였으니, 어떻게 생각하는가?"라고 하였다.내가 응답하여 말하기를 "노사선생의 말은 아마도 이와 기를 양물(兩物)로 판별하여, 이가 여기에 있으면, 기는 저기에 있고, 이가 갑에 있으면, 기는 을에 있다고 여겼기 때문에 이 말을 한 것이다. '양이 동하고 음이 정하는 것은 시키는 것이 있는 것이 아니고 기기(氣機)가 스스로 그러하다'는 것은 기이고, 소이연지고(所以然之故, 그렇게 되게 한 까닭)는 이인데, 소이연 세 글자를 어찌 퇴축시킬 것인가? 이기는 본래 하나이며 둘이고, 둘이면서 하나이다. 이가 있으면 기가 있고, 기가 있으면 이가 있으니, 있으면 함께 있고 없으면 함께 없으며, 선후도 없고 이합(離合)도 없다. 기는 자취가 있으나 이는 형체가 없다. 형체가 없으므로 무성무취(無聲無臭)하다. 충막무짐(冲漠無朕)하고 신묘불측(神妙不測)한 것이 바로 '소이연지고(所以然之故)'이다. 또 공중에 매달려 있는 물건이 아니고, 항상 기를 타고 행하니, (이것이) 곧 소이연이다. 소이연을 어찌 퇴축시키겠는가? 만일 소이연지고가 아니라면 그 기기가 스스로 그러하다는 것은 누가 시켜서 그런 것이겠는가? 율곡 선생은 진실로 나면서부터 알고 있는[生而知之]97) 성인으로, 소견이 명경지수(明鏡止水)와 같아 도를 봄이 분명하다. 간추려서 말하면, 발하는 것은 기이고 발하게 하는 소이(所以)는 이이니, 기가 아니면 발할 수 없고, 이가 아니면 발할 것이 없으며, 선후가 없고 이합도 없다. 이와 같은 말은 비록 성인이 다시 나와도 바꿀 수 없다."라고 하였다. 陽。是日小雪也。看 ≪河西先生集≫ 〈與一齋書〉記之。靜夜閒談羲迪問 "蘆沙先生議栗谷先生文 '陽動陰靜。 非有使之。 其機自爾。 所以然者理也' 一段曰 '若其機自爾。 則所以然三字。 不得不退逐' 何如也?" 余應之曰 "蘆沙先生之言。 疑是以理氣。 辦爲兩物。 理在此而氣在彼。 理在甲而氣在乙。 故有是說焉。'陽動陰靜。 非有使之。 其機自爾'者氣也。 所以然之故理也。 所以然三字。 何以退逐乎? 理氣本是一而二。 二而一者也。有是理則有是氣。 有是氣則有是理。 有則俱有。 無則俱無。 無先後無離合。氣有適而理無形。無形故無聲無臭。 冲漠無朕。 神妙不測者。 卽所以然之故。又非懸空之物。 常爲乘氣而行。 卽所以然。 所以然何如退逐乎? 若非所以然之故。 其機自爾者。 孰使之然耶? 栗谷先生。 眞生知之聖也。 所見如明鏡止水。 見道分明。略曰。 發之者氣也。 所以發者理也。 非氣不能發。 非理無所發。 無先後。 無離合。如此之言。 雖聖人復起。 不能易矣。" 음이 …… 그러한 것이다 일기 원문에는 '陽動陰靜, 非有使之, 其機自爾'라 쓰여 있는데, 율곡전서에는 '陽動陰靜, 其機自爾, 非有使之'라고 되어 있다. 나면서부터 알고 있는[生而知之] ≪논어≫ 〈술이(述而)〉에 "나는 나면서부터 저절로 잘 알게 된 사람이 아니다. 나는 옛것을 좋아하여 부지런히 찾아서 배운 사람이다.[我非生而知之者, 好古敏以求之者也.]"라는 공자의 말이 나온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갑자) 二十八日 甲子 맑음. 남원 사촌(沙村)98)에 사는 기석사(奇碩士) 낙도(洛度)99)의 아버지 송사공(松沙公, 기우만)께서 돌아가셨다. 陽。南原沙村奇碩士洛度大人松沙公卒。 사촌(沙村)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 사석리 사촌마을을 이른다. 송사 기우만이 만년에 은거한 곳이다. 기낙도(奇洛度, 1880~1930) 자는 원용(元用)이고, 호는 호상(湖上)이다. 송사 기우만의 아들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신유) 二十七日 辛酉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임술) 二十八日 壬戌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기유) 十五日 己酉 맑음. 집에 돌아왔다. 밤에 비가 왔다. 陽。還巢。夜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기미) 二十五日 己未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경신) 二十六日 庚申 맑음. 陽。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