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월 三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갑오) 二十日 甲午 흐림. 밤까지 비가 내렸다. 陰。雨至夜。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을미) 二十一日 乙未 갬. 종손 용직(容稷)의 어머니 상에 조문했다. 晴。慰問從孫容稷慈親喪。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경인) 十七日 庚寅 흐림. 항상 연계정 아래의 위태로운 돌이 반드시 사람을 상하게 할 것 같아 걱정하였었다. 그런데 오늘 아침에 비로소 돌이 떨어졌다. 문득 '명을 아는 자는 바위나 담장 밑에 서지 않는다.'23)는 뜻이 생각났다. 陰。常憂漣溪亭下危石之必傷人矣。今朝始墜。 輒思'知命者不立岩墻之下'之義。 명을 …… 않는다 ≪맹자≫ 〈진심 상(盡心上)〉에 "명을 아는 자는 위험한 담장 아래에 서지 않는다.[知命者, 不立乎巖墻之下]"라고 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신묘) 十八日 辛卯 맑음. 가잠(佳岑)의 권병귀(權炳貴)가 고향에 돌아간다고 하기에 주다.학문(學問)과 사변(思辨)은,(學問思辨)그대에게 가장 절실한 것.(於君最切)돌아가서 구하면,(歸而求之)반드시 스승이 되고도 남음이 있으리.(必有餘師)홀로 있을 때를 삼가고 두려워하며,(戒愼恐懼)성인을 기약하고 스스로 닦아가면,(期以自修)몸도 강녕해지고,(身且康寧)덕도 더욱 새로워지리라.(德乃維新) 陽。示佳岑權炳貴還鄕。學問思辨。於君最切.歸而求之。必有餘師.戒愼恐懼。期以自修。身且康寧。德乃維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일(무자) 十六日 戊子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임진) 十九日 壬辰 맑음. 종손인 용직(容稷)의 사랑(舍廊)에서 놀았다. 陽。遊於宗孫容稷舍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병술) 十四日 丙戌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정해) 十五日 丁亥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정축) 八日 丁丑 비가 흡족하게 내림. 雨洽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을해) 七日 乙亥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병자) 八日 丙子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정축) 九日 丁丑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계유) 六日 癸酉 맑음. 〈세이가(洗耳歌)〉를 지었다.귀를 씻세32) 귀를 씻세 누가 귀를 씻을까.(洗耳洗耳孰洗耳)바로 영천수에서의 허유라네.(潁川水)인간이여 인간이여 인간을 벗어나니,(人間人間出人間)하상(河上)의 노인이33) 허공에 앉을 수 있구나.(河上老能坐空)인을 이루세 인을 이루세 어떻게 인 이룰까.(成仁成仁孰成仁)멱라수34)이니 어찌 홀로 깊으리.(汨羅水奚獨深)뗏목에 오르세35) 뗏목에 오르세. 뗏목에 오르고 싶은 것은,(乘桴乘桴欲乘桴)구이(九夷)36)에 살고자 함이니 곧 우리 동방이라네.(九夷居卽吾東)우리 동방이여 우리 동방이여 우리 동방이로다(吾東吾東吾東兮)바로 하늘이 구획해준 별천지로다.(天區別)저 동방에 살지 않은 자들이 어찌하여 분분히 혼탁함을 따라서,(彼無東如何紛紛隨混濁)우리 동방으로 하여금 애가 끊어지게 하는가?(使吾東堪斷腸) 陽。作〈洗耳歌〉。洗耳洗耳孰洗耳.潁川水.人間人間出人間。河上老能坐空.成仁成仁孰成仁.汨羅水奚獨深.乘桴乘桴欲乘桴。九夷居卽吾東.吾東吾東吾東兮.天區別.彼無東如何紛紛隨混濁。使吾東堪斷腸. 귀를 씻세 요(堯) 임금 당시 은사인 허유(許由)가 천하를 물려받아 다스려달라는 요 임금의 요구를 거절하고 영수(潁水) 남쪽에 은거하던 중에 요 임금이 또 불러 구주장(九州長)이 되어달라고 하자, 더러운 소리를 들었다 하여 영수 물에 귀를 씻었다는 데서 인용한 것이다.(≪고사전(高士傳)≫) 하상(河上)의 노인 한 문제(漢文帝) 때에 살았다는 신선. 문제가 노자경(老子經)을 읽다가 의문이 있으면 물었다고 한다. 멱라수(汨羅水) 굴원이 빠져죽은 물의 이름. 굴원은 초(楚)나라의 충신으로, 양왕(襄王)이 참소를 믿고 장사(長沙)로 추장되자 〈어부사(漁父辭)〉를 지어 자신의 뜻을 밝히고 울분을 참지 못해 멱라수에 빠져 죽었다. 뗏목을 타고 ≪논어≫ 〈공야장(公冶長)〉에, 공자(孔子)가 난세를 개탄하면서 "도가 행해지지 않으니, 뗏목을 타고 바다로나 나갈까 보다.[道不行, 乘桴浮于海.]"라고 말한 내용이 실려 있다. 구이(九夷) 동이(東夷)의 아홉 부족을 말한다. 공자가 일찍이 그곳이 군자가 살고 있기 때문에 가서 살고 싶다는 뜻을 피력한 바가 있다.(≪논어≫ 〈자한(子罕)〉)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무인) 十日 戊寅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병자) 九日 丙子 흐림. 조카를 데리고 집에 돌아왔다. 陰。率侄歸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承旨尹公【諸鎭】墓碣銘。 錦城南榮山坊安城洞枕坎之阡。 贈通政大夫承政院左承旨尹公之藏也。謹按公諱諸鎭。字諸秉。尹氏。系坡平。自勝國甚爀。 太廟朝有諱坤。封坡平君。諡昭靖。爲中祖。三傳諱師淵護軍。生諱夢龍。奉事。號退南堂。燕山朝。棄官南遯。杜門績學。寔南土始基之祖。生諱{王+善}。參奉。號退隱。生諱潑。號松山。 贈吏判。諡忠靖。夫人金氏。聞變亦自裁。倂蒙 旌。生諱永男。 贈戶參。生諱祖殷。承旨。博學誠孝。三傳諱世徵。卽公之高祖也。曾祖諱老寬。祖諱光得。考諱日圭。世有隱德。妣河東鄭氏。父某。以 純廟甲戌九月七日生公。公天姿溫潔端粹。學問淵深。矜式士林。孝愛尤至。性而不勉。丁外憂。毁戚甚。負土營壙。廬墓奉饋。山鼠斃甔。飛雉八幕。飮淡糜處冷地。不言病。人異之。母夫人嘗病疽。親吮之。禱天獲鷹。遭內艱。年旣斑白。或以傷生爲戒。公曰。因毁沒身。獨非命歟。怙恃俱失。生且何依。願勿復言。一日雪深丈餘。環墓無一點。孝惑之驗也。公臨終戒子姪曰。吾不能事君。惟一擧足一出言。不敢忘父母。全其體而歸之。是職也。 哲廟乙卯二月十五日歿。享年五十二。淑夫人全州李氏。京三女。有壺範。墓公墓下窆。擧二男。男長滋根。 贈嘉善。次滋巖。滋根男。相殷。蔭同樞。公之貴。以孫貴追榮。曾孫男。成炳。以孝聞。成炳以公墓牲石銘。來謁于光善。不得以病昏三辭。檃括其本狀。爲之銘。銘曰。惟公之孝。寔根於天。求諸往史。孰能居先。惟烈李氏。無愧公婦。之孝之烈。庇前光後。楸松蒼鬱。厚夜幽宅。永傳百世。戒乎樵牧。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泉谷安公【斗生】墓碣銘。 禮記曰。觀其器而知其工之巧。觀其發而知其㢟智。今觀泉谷處士安公伸救先正。隱居求志。可知其公之爲公矣。謹按公諱斗生。字汝長。號泉谷。系興州。以勝國神虎衛上護軍諱子美爲肇祖。三傳有諱裕。諡文成。號晦軒。世所稱安子者也。四傳有諱元崇。文科政堂文學藝文館大提學。封錞城君。諡文惠。是生諱瑗。文工曹典書。麗季以鄭圃隱黨。 太祖朝以刑曹典書。累徵不起。九傳有諱世琛。號望華堂。司果。享金谷祠。寔公高祖也。曾祖諱夢省。號鐵川。以行義聞。 贈司憲府執義。祖諱兢龍。考諱厚傑。號淑菴。受學于尤齋宋先生門。以文章著世。妣河東鄭氏。宣武原從勳鎰生女。以 顯廟戊申二月五日。生公于永平竹谷坊臥谷里第。公賦性㷀卓。擩染家庭。志笙篤確文藝餘事。及長。遊于庠舍學校及遠近長德之門。有難疑。往復權遂菴金農楠李寒圃齋諸賢。皆以父執多有所奬詡。見黨禍層激。邪正混淸。乃賦遂初。屛居林泉。自扁泉谷。其意有在也。 肅廟甲午病諸先正被誣。與道儒生陳章。不止一再。以戊戌三月八日歿。享年五十一。葬于該坊恒泉洞枕子原。配固城金氏。父錪。墓盤岩甲坐。擧二南二女。男長壽麟。進士。壽鰲。金冑三金鼎壽。壻也。壽麟男。濯。次泳。隱德不仕。以孫達得貴。 贈司僕寺正。壽鰲無育。嗚呼。天之所賦畀於公者。何其厚且全。而其所報施於公者。何其嗇且薄耶。無乃氣數使然。而於公有何盈朒哉。八世孫哲魯抱公狀德。來謁其牲石之銘於光善。以人微文下三辭不獲。遂爲之銘。銘曰。晦軒家世。積累遺昆。終老林樊。如玉其溫。墓梓旣老。流傳徽績。揭銘竁口。用垂來百。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雪堂李公【惟杞】墓碣銘。 東方著姓。李氏居多。淸㸦侍其一也。淸安氏有石灘。與鄭松江爲道義交。石灘再從曾孫有雪堂。濡染家庭。服師藥軒羅公。學識超邁。宋尤翁奬詡以南州鉅儒。閔公維重擬之以趙倚樓。光善竊嘗自語於心曰。夫學之所益者淺。體之所安者深。閑習禮度。不如式瞻儀形。諷詠遺言。不如親承音旨。使光先不得生於公之世。聽得咡詔。爲恨矣。日公七世孫在憲在成。抱公行錄一通。來徵其牲石之銘。伏讀屢回。可知其芳處幽而彌馨。寶在夜而逾光。謹按公諱惟杞。字聖用。號雪堂。以勝國忠簡公諱漢蕃爲上祖。有諱光慶。我 太宗朝判書。生諱存學。蔭縣令。 贈參判。生諱崇文。習讀官。生諱堤。玉浦萬戶。寔公五世祖也。高苽諱德秀。節度使。曾祖諱强。固城縣監。祖褘之白。成均生員。考諱澮。受學于愼尤兩先生。號錦溪。妣慶州崔氏。進士岦女。妣文化柳氏。克曾女。閨們貞淑。夢呑日有身。以 顯廟壬子三月生公。公性度嚴正。動靜語默超常。十歲能屬文。繩趨尺步。一小學中人。丁內外憂。易慽俱至。手植松構亭。日與村秀。吟哦棲息。公之歿。松亦自枯。異矣。又嘗蓮鳳山下建堂。藏修遊息。卽雪堂也。以 肅宗乙卯五月一日歿。享年六十四。葬于羅州艅艎坊湧珍山西南寺淸洞丑坐。配和順林氏。進士留春女。綿城朴氏。縣監東稷女。有壺儀。一男。泰錫。娶坡平尹氏。參奉亨逸女。孫曾椒蕃。銘曰。維公操履。湧珍益高。矜式來許。人中之。遺風餘韻。用質流峙。羨門尺碣。永傳百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新堂記。 堂曰又新。則旣新可知。旣新於前。又新於後。則必有長長地新其新。何可量哉。堂何嘗自新。而堂之主翁翊柱日新之工。銘諸堂而日夕觀省者也。以成湯之大聖。日新之德。何嘗待盤之銘。而其盤銘曰。日日新。又日新。今日主翁日新之工。卽湯盤有銘之意。松沙奇先生旣命名而新之。余又記之而新之。凡天下事。不日新則必日退。而況人之一心。日用應物之本。而苟不日新而振作。何以達乎寡遇之地。隨事省察。終始惟一。日新又新。而若其日新之本。必自割斷一箇私字而始。果能私慾退聽。天君泰然。則德進業修。功效日新。庶乎其不悖於命名之義。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