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계묘) 二十七日 癸卯 흐림. 눈보라로 매우 추웠다. 陰。風雪極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갑진) 二十八日 甲辰 맑다가 다시 흐림. 매우 추웠다. 陽而復陰。 極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을사) 二十九日 乙巳 흐리고 매우 추움. 陰。極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병인) 二十二日 丙寅 비옴. 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정묘) 二十三日 丁卯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무진) 二十四日 戊辰 맑다가 흐림. 陽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월 十二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을축) 二十一日 乙丑 흐림. 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醉崑崙 【幷誌】 春山金相國弘根家有一奴性喜飮飮輒使氣大吼小嚇全無顧忌相公置而不問忽於一日聞有歐打聲諸傔僕告欲治之公使招而近前麴塵纈眼醢甕衝鼻公遽問曰爾能飮否飮不可獨醉與我飮可乎使升堂奴垂頭不肯强使之升命侍者進酒盖春山酒旨酒也諸所饋餉合置一器更爲燒下俗所謂甘紅露也酌以巨觥先自引飮遞與一巡酬之酢之送爲賓主奴老於濁醪未經此味兼帶宿醺纔到四五酌便昏倒不省公微哂曰此亦能飮者乎何惜餘酒尙存仍自滿飮又使强灌一飮一灌以至傾罌而罷奴痛臥數日闃無一語公笑語左右曰日者痴奴見困于酒庶或斷飮也歟語未幾何奴忽荷一大瓮跪告曰向蒙相公厚德無以爲報粗具不腆敢請沾脣公便不拒絶使荷而升發其瓮乃一大白也酌以大碗轉相遞手相公游於從事不習督郵飮至數三碗不勝飽懣遽使止之奴曰我相公亦不善飮仍獨酌四五十椀倒瓮而出不失寸步公黙然爲之改容過數月奴恭勅自持忽一夜乘醉狂奔不知影響翌朝巷里喧傳有人投井而死拯而視之乃厥奴云厥奴事爲不知何狀而但能以一大白賭勝於善飮相公久而膾炙是亦可取余曾與匏泉酒友庭蘭下海明語及此事蘭下輒停盃愀然曰此奴死矣夫余怪而詢之蘭下曰從古達士安有不善飮者乎此漢生於我國名編奴籍而放狂善飮將安用之死矣夫此奴也盖蘭下以故家子弟富於文詞而氣傲一世澹蕩寡合禿髮窮年落魄而寓飮故其發諸言也極有味嗟夫微吾其孰能聽有味哉海山使者受籠罩十年零落在泥淖猪奴蒱博太尉門往往牛吼輕虎豹七尺贔屭長鬚拂平原督郵相與樂縛草恥作窮家星一生能用黃金鈔如霧杏花春風壚得意來去蜂喧鬧左右健兒墻壁間痴頑一力難爲效磨勒偸花應不學叚獠分竹伊離誰敎醇醪一斗平陽舍大度主翁置不校呼汝只可稱好僕混沌一夢春不覺休作晏門抑損態肯同刁家桀黠貌一笑頓忘將軍貴風吹溷花近稍稍老成典型猶存否可憎頑骨确且磽壯哉鳥鼠都不問舒紏如逢月下佼無何天地坐亡羊堅守埋頭如閉窖與爾何不同出門馬應如船似棹畢竟所得誰最多兩局輸贏相對較賢聖賭賽俱安在其輸非恥贏非恔大人酒德還誤汝死固傷勇生傷孝痛飮奈無消下物楚騷漢書半未斅酒國觴政終何補眼花水眠空自傚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南柯子 【幷誌】 余夢爲邑宰有一小民帶慚黃來擧狀曰父母俱存家且稍饒忽見老父幻作兩身相與喧鬨敺打爭席不已瞥皷巫鈴終未除斷兒啼妻泣實難經過儻沾神明之波永掃災怪之路余戱判曰不可有二不可無一一其足矣再斯可乎兩互傷鬪勢不兩立愛欲其生惡欲其死一則以懼一則以喜一家人兮救之不得但坐嘯者云如之何厥像惟肖謂他人父乎坐不離於房中乃知自有眞也勝固欣然敗亦可喜云云厥氓知其戱已復哀鳴不已余乃招致老兩生立之庭下身體髮膚如印一板語黙動靜秋毫不泛伯楷仲楷難爲兄弟眞皓假皓㧾是神仙堂上堂下觀如堵墻者相顧失笑有一老妓雀躍曰老身曾耳屬於優兒所唱?朴座首之歌而未嘗不捧腹大噱也生未百年目擊此怪侏儒雜劇亦非虛談也時適有功曺朴姓者見在傍余笑道曰藁朴座首於君得無咄咄逼人之嫌乎余因黙然思想忽復猛省密囑左右使之遍搜城中覓三足犬又暗備鏡面砂鐵絲網諸種物豫爲排置更命兩老物使近前詢其前後履歷內外系派一老語不可了一老隨答如響細述無遺余乃排閤大叱曰善談辯之老奸何不速縛雷吼一聲無數囉卒躍如也飛也似捽曳老奸蛙張于地紅絲鐵網上下緊束一大碗朱砂筆塗抹全額厥老物大呌曰彼固大奸之物我乃無辜之人明府何不審克枉自丕蔽押良爲賊尙云抉目把人作鬼敢望全身余聽若不聞仍命放三足犬徘徊庭陰嗅嗅數口氣直向老奸囓破命中豁然一聲流血而斃乃老白狐也左右環瞻無不吐舌嘖嘖咸頌太守神明厥氓父子百拜稱謝余問于小民曰汝學書乎曰粗解記誦曰汝家業何如曰不甚貧窶忽有告課吏微告曰厥氓自其父治家富甲一邑而不事賙恤專務饕飱嘑蹴乞人已無可論窮親冷族率多怨詈而父子承襲同惡相濟頗有大小蹠之名稱故恐有此一場揶揄之報也余喟然太息曰誠然乎哉誠然乎哉仍復整責厥氓曰汝粗解文字則想應讀少微通鑑矣不曰倉廩實而知禮節衣食足而知榮辱乎汝實倉廩足衣食而不知人間有禮節有榮辱則與禽獸何異四隣呼庚少不假貸一族喫辛全無顧念造物之戱良有以也余之此擧實有乖於造物者之心而欲開汝悔過遷善之一條路故不獲已而然也汝須訟諐改轍折節學禮散廩而卹窮推食而賙急頓洗今時之辱更邀後日之榮則笑之者罵之者安知不復爲賀客乎厥氓父子垂頭而恧蹙拱手而遜謝曰明府之德如海如山明府之言如金如玉銘肺鏤肝烏敢忘諸從今以往當分散餘財以爲不報之施云余命少者負斃狐而出老者隨後而去余手執周易顧語座客曰解之獲狐貞吉同人之先咷後笑家人之有嚴君焉此之謂也客啞然笑曰解之獲狐同人後笑爲老物地可供一賀而家人嚴君爲少者地不足深賀余曰何也客掩口而對曰痴漢得一父失一父眞可謂一則以喜一則以疚余亦大笑兒子隼在傍寢聞余笑驚而攪余迺翻然而覺夢中事了然可記戲作南柯子一篇吁嗟夫子半九旬誰敎坐堂稱使君鵲衣儓人蜂似蜚朱梃白枷簇紛紛忽何蚩蚩來叩閽老物揶揄駭瞻聞天下人皆頭一天獨戴二天太泯棼鶩椽鸚婢瞠且呿白日侯門墜疑雲黎邱夜魅形跡詭漆園春蝶魂夢醺一色齊混雌雄烏離侏之目儘難分神明太守才不羣片言能折蕕與薰神劍莫煩張仙師寶鏡不借雷將軍丹砂塗額鐵鎖項鼎足一狵嘷狺狺眼珠燭如牛渚犀叢狐破膽收妖氛問渠緣何致此怪籝金箱穀家孔殷恤窮周急都不解一生捫腹飫羶葷多事造翁能簸弄萬口嘲笑騰紛紜從今穩洗前染否赧汗如雨滴衣裙固知人間無惡性我有頂針寄殷勤導竅斲堊高手叚不減庖刃與郢斤且莫稱頌明府惠歸家可讀聖賢文力於六行賓而興轉災爲祥還更欣貽語一世千金子休把先生烏有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手鈔瓌林序 華圃先生懶臥草屋形影相答苦無送日之資人有以坡蕉見遺而尾附西湖志餘海岳志林文章軆評等書先生得而喜之目寓而手鈔殆忘寢食但屢閱人手訛舛如鍾籥缺漏如彛皷先生叅互考訂繩墨而苴補且捃拾其散出於他書者增添而圈點仍總名曰瓌林惟其無徵而脫誤處終未免具眼家嘅惜然不知盖闕如先師垂誨亦不甚求解前哲詒語復何憾焉或者曰東坡滑嵇者也海岳顚狂者也西湖山水之此於尤物者也先生何取焉先生曰西湖之此於尤物咎在乎人而非山水之罪也海岳之顚是亦一道不足爲海岳之病也至若東坡不可但以滑嵇目座談僊釋與伊川角立不無儒家之雌黃然而觀其事君立朝敢言無諱九死炎瘴終始靡悔滄洲翁猶有取焉後生烏敢贅說盖東坡滑嵇便是文章門路欲學東坡文章舍滑嵇奚以又曰斷簡之煨燼糟粕便同窺豹一斑奚足尙哉先生曰片鱗絢爛想蛟龍之全體一羽璀璨認鵷雛之精采瓌林之煨燼糟粕亦可以觀大家文章何必廣蒐而褎稡然後稱奇歟若其廣蒐而褎稡則太史氏之職也又何求乎莘圃先生辛亥閏八月初吉鈍翁書于莘圃老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기미) 十四日 己未 흐리고 바람이 불어 춥다가 밤에 눈이 옴. 陰風寒。 夜雪。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정사) 十二日 丁巳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무오) 十三日 戊午 흐림. 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경신) 十五日 庚申 개었으나 추움. 晴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경진) 六日 庚辰 흐림. 비가 흡족하게 내렸다. 陰。雨洽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신사) 七日 辛巳 개임. 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임오) 八日 壬午 맑음. 아이들 가르치는 운을 써서 한가로이 읊조렸다.독서로서 지(知)를 이루고,9)(讀書以致知)성인은 배움으로써 기약할 수 있네.(聖可學爲期)덕을 이루는 것은 다른 방법이 없으니,(成德無他法)행하는 바가 곳에 따라 마땅해야 하리.(所行隨處宜) 陽。用敎兒韻閑吟。讀書以致知。聖可學爲期.成德無他法。所行隨處宜. 지를 이루고 격물치지(格物致知). ≪대학(大學)≫의 팔조목(八條目) 가운데 첫 조목으로,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궁극의 지식에 도달한다는 뜻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신사) 九日 辛巳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0일(신미) 三十日 辛未 맑음. 어떤 이가 '명(命), 성(性), 정(情), 심(心), 의(意), 염(念), 려(慮), 사(思)의 구별'에 대해서 물었다. 네가 응답하기를 "하늘이 부여한 것을 내가 품수 받아서 전수해주는 이치를 명(命)이라고 하고, 내가 부여받은 하늘의 이치를 성(性)이라고 하며, 성이 발한 것을 정(情)이라 한다. 성정을 총괄하고 일신(一身)을 주재하며 허령불매한 것을 심(心)이라고 한다. 심이 발한 것을 의(意)라고 하며, 그 추향을 정하는 것을 지(志)라고 한다. 염(念)에는 잊지 못하는 뜻이 있고, 려(慮)에는 걱정하며 헤아리는 뜻이 있으며, 사(思)에는 따지고 견주는 뜻이 있다."라고 하였다. 陽。或問。 '命性情心意念慮思之別'。余應之曰。 "天賦予我稟受傳授之理謂命。 我稟受天之理謂性。 性發者謂情。統性情。 而主宰於一身。 虛靈不昧者謂心。心之所發謂意。 定其趨向者謂志。念有不忘之意。 慮有憂度之意。 思有計較之意。"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