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계미) 十九日 癸未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임오) 十八日 壬午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갑신) 二十日 甲申 맑음. 밤에 눈이 내렸다. 陽。夜雪。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을유) 二十一日 乙酉 흐리고 눈. 陰雪。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經書辨疑 或問萬章曰父母使舜完廩捐階瞽瞍焚廩上稱父母而下稱瞽瞍者何也對曰完廩捐階者恐是父母俱使而俱爲之也故上稱父母焚廩者瞽瞍獨爲之也故下稱瞽瞍曰然則不曰父焚廩而曰瞽瞍焚廩者何也 曰焚廩者非父母之所可爲而乃瞽瞍之所可爲故特揭瞽瞍之名而彰其惡也曰捐階亦是父母之所可爲歟 曰焚廩惡之已形也捐階惡之未形也問孟子曰丹朱之不肖舜之子亦不肖不曰堯之子而曰丹朱不曰啇均而曰舜之子者何也曰堯之子九也泛稱堯之子則難辨丹朱之不肖舜之子一也只稱舜之子則可認啇均之不肖然而丹朱之不肖有載典謨 啇均之名號無徵文獻而然耶意者經傳中此等文字亦是聖賢之下筆成章處也歟問孟子曰詩云憂心悄悄慍于群小孔子也肆不殄厥慍亦不隕厥問文王也先孔子而後文王者何也曰文王孔子雖有年代前後而國風大雅亦無編次上下耶此等句語初無湥意不必多辨而抑有上文論士而先引孔子論多口而遂及文王之事也歟問論語子曰有德者必有言又曰仁者必有勇有德者之言仁者之勇皆可指證之歟曰閔子仲弓之以德行稱而夫子之許閔子則曰夫人不言言必有中許仲弓則曰雍之言然南敬叔之問禹稷羿奡而稱之以尙德哉若人此皆有德者之言也三仁之或去或爲奴或諫而死皆勇決之事也夷齊之求仁得仁卽遜國而逃諫伐而餓終無怨悔也謂之仁而不謂之勇可乎顔淵之三月不違仁而其言曰舜何人也予何人也有爲者亦若是此非仁者之志必勇歟問論語子不語怪力亂神而春秋之書載怪力亂者不可勝摟周易十翼多說鬼神中庸十六章極贊鬼神之德何也曰春秋紀事之筆也易庸析理之文也紀事之筆嚴析理之文微紀而不嚴則無以誅世之亂賊析而不微則無以闡道之軆用此皆吾夫子不費言語而於方策上發揮丁寧處也論語之不語云者盖夫子平居 此等乖理之事窮理之迹未嘗對人說道與春秋紀事之筆易庸析理之文便不可一轍看過讀大學古之欲明明德前註'欲其必自慊之慊字與孟子浩然章行有不慊之慊字相同而與誠意章此之謂自謙之謙字亦同讀之當作二音【孟子慊字音兼大學謙肩邑切】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무술) 三日 戊戌 흐리고 눈이 강산에 가득 내렸다. 陰雪滿江山。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 四日 陽 맑음. 집에 돌아왔다. 문암리에서 조카 결혼식을 거행하였다. 還巢。行門岩里侄婚。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신묘.) 二十七日 辛卯 〈느낌이 있어서(有感)〉옛날의 향촌옹(香村翁)6)을 생각하니(憶昔香村翁)나에게 천질(天秩)7)의 가르침을 보였었지(示吾天秩敎)깨우침에 항상 능하지 못했으니(得聞常未能)어느 날에나 작은 효과를 볼까나(何日見微效) 有感憶昔香村翁。 示吾天秩敎。 得聞常未能。 何日見微效。 향촌옹(香村翁) 김영숙(金永璹, 1827~?)을 말한 듯하다. 자는(貫一), 호는 향촌(香村), 본관은 광산이다. 노사 기정진의 제자이며, 담양에서 살았다. 천질(天秩) 하늘의 질서, 즉 예법과 제도 등을 말한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기축) 二十五日 己丑 눈비가 펄펄 내렸다. 雨雪霏霏。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落魄荊圍之後留心桑楡之西自四月念間住齋洞洪監察耆燮【字壽卿號蒼軒】家與其胤碩士在龍【字景見號石虎】同業做讀遷延時月家信渺茫兼得耳聾之病數四朔矇矓度了鬱鬱欲狂兼以秋風蕭颯旅雁酸嘶中夜獨坐展轉思鄕拈得一朝字續成三首律令人寓矚可想捧腹【三首】 夕枕無端歎暮朝初來心事摠虛料功名欲拾身先拙談笑如愚世共嘲祗似羈禽遙夢越幾多賢駿幸逢堯衷腸九曲終難瀉强引狂歌響碧霄夜枕書空計暮朝如今自愧臆生料霜林雁呌頃驚夢露草蛩吟怳解嘲容易世華經冷煥汗漫工業讀羲堯秋風忽又添愁思淅瀝寒聲撼玉霄曉枕憮然惜暮朝莫如歸去更何料仰瞻皇矣聊無語臥誦簡兮空自嘲蔑學還思趨孔鯉不才堪愧値唐堯夢中猶作南柯事好把雲梯上九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경인) 二十六日 庚寅 흐림. 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仁政必自經界始賦 【戊子二月二十七日鎭安東堂入格京試官李校理憲兢】 夏后則以三壤周人徹其百畝恒産均於野民穀祿平於君子仁必自於正界始一字爲元符推均施之至化指迺疆之先務原仁君之發政必有自於井地畝九百而民業稅十一而王制仁風降而戰塗噫無人於修擧迨畢戰之問井攬仁政而將行欽嘉制於上世講至治於偏壤先王政而欲擧子之君兮仁哉斯養民之至道果何法以爲始於薄歛而不論在班祿而姑舍惟經界之一正最所繫於井區均野業猶以彼制田祿亦由此雖有瘠而有肥庶無小而無大畦町平而永頼科條燦而捋修治庶民如脈田始不均則無秋逌迺理之得定耆大化之咸被疆遠近而可平地濶狹而宜均治人在於養人羌不可以或慢遵溝洫之井井致疆域之翼翼今天下而是政子其勉哉潤澤由均界而化行以正經而仁敷顧王道之易易在定域之如何分九區而克平囿萬姓而咸溱登遺經而鏡考仰鄒聖之徽謨懷做世之至意語治井之大槩仁其推而政行遐不始乎疆理斯可觀於聖制有如自於田疇台千載而景仰綴蕪辭而遐吁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을축) 二十日 乙丑 맑다가 흐림. 陽而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병인) 二十一日 丙寅 맑음. 집으로 돌아왔다. 陽。還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무자) 十四日 戊子 맑음. 미암선생 유고를 보고, 선생의 사실을 기록하였다.〈미암선생사실(眉巖先生事實)〉미암선생의 성은 유(柳)요, 선산인(善山人)이다. 휘는 희춘(希春)이고, 벼슬은 부제학(副提學)을 지냈으며, 시호(諡號)는 문절공(文節公)이다. 숭정대부(崇政大夫)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에 증직되었다. 세 조정을 내리 섬겼고, 관직이 2품에 이르렀다.≪육서부주(六書附註)≫・≪헌근록(獻芹錄)≫11) 등의 책으로 계옥(啓沃)12)하였고, ≪주자대전(朱子大全)≫・≪주자어류(朱子語類)≫ 등의 여러 편을 교정하였다. '반무(半畝)의 방당(方塘)'13)에 뜬 달빛처럼 마음속이 쇄락(灑落)하였고, 완심도(玩心圖)와 감흥시(感興詩)는 연원이 뚜렷하고 발랐다.선조 10년(1577) 정축에 왕이 "학문은 정밀하고 전일했으며 고금에 두루 통하였다."라고 하고 가묘에 치제하게 하였다. 현종 10년(1669) 기유에 찬에 이르기를 "전수된 도를 터득하고, 선현들에게 인정을 받았다."라고 하고, 서원을 사액(賜額)하였다. 선조가 특별히 어의(御衣)와 어혜(御鞋)를 하사하여 지금까지 전하고, 정조가 특별히 ≪춘추(春秋)≫와 ≪시경[雅頌]≫14)을 하사하여 지금까지 전한다. 의암서원(義巖書院)은 훼철되었지만 집은 장동에 전하는데 장동에는 영령을 모신 사당이 있고, 정자가 연계(漣溪)의 물가에 의지해 있다. 陽。見眉巖先生遺稿。 記先生事實。眉巖先生事實。眉巖先生姓柳。 善山人。諱希春。 官副提學。 諡文節公。贈崇政大夫。 議政府左贊成。歷事三朝。 職至二品。≪六書附註≫ ≪獻芹錄≫等書之啓沃。 ≪朱子大全≫與 ≪語類≫諸篇之校正。半畝塘中秋月。 胸襟之灑落。 玩心圖。 感興詩。 淵源之的正。宣廟十年丁丑若曰。 "學究精一。 融貫古今"。 致祭家廟。顯宗十年己酉贊曰 "道得其傳。 見許先正"。 賜額書院。宣廟特賜御衣御鞋。 以今尙傳。正宗特賜 ≪春秋≫ ≪雅頌≫。 於是尙存。院毁義巖。 家傳獐洞。 洞有妥靈之廟。 亭依漣溪之沼。 헌근록(獻芹錄) 유희춘이 1570년에 선조에게 바친 책이다. 계옥(啓沃) 정성을 다해 임금을 개도(開導)함을 이른다. 상(商)나라 고종(高宗)이 재상 부열(傅說)에게 "그대 마음속의 물줄기를 터서 나의 마음속으로 흘러들여 적시게 하라.[啓乃心, 沃朕心.]"라고 부탁한 말에서 유래하였다. 반무(半畝)의 방당(方塘) 주희의 〈관서유감(觀書有感)〉 시에 '반 이랑 네모진 못에 거울 하나가 열렸나니, 하늘빛과 구름 그림자가 다 함께 배회하네.[半畝方塘一鑑開, 天光雲影共徘徊]"라는 구절이 나온다. 아송(雅頌) 아(雅)는 조정의 악곡(樂曲)이고, 송(頌)은 종묘의 악곡인데, ≪시경≫에 이들 노래가 실려 있으므로, 전하여 ≪시경≫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정묘) 二十二日 丁卯 흐림. 성하게 눈 올 뜻이 있었다. 陰。有森影雪。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무진) 二十三日 戊辰 흐림. 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병술) 十二日 丙戌 맑음. 기암(冀巖)과 함께 치포관(緇布冠)10)을 만들었다. 陽。與冀巖成緇布冠。 치포관(緇布冠) 유생(儒生)들이 평거(平居)시에 쓰던 관이다. 검은 베로 상투를 쌀 정도의 크기로 만들어 쓴 관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醉蓬萊 【幷誌】 余家居一夕忽夢至 天闕 聖上陪 大王大妃殿御暎花堂命震休入侍問前後仕宦履歷震休俯伏對曰登科十有八年一經騎郞一經憲府父母生時未能榮養父母歿後十年無官居家云上及 大王大妃殿皆有嘅惜之念 上顧侍臣曰見今六房俱空可除吏職侍臣曰未經準職未可遽擬云 大王大妃殿曰然則擬副末望以入云云仍命震休退出震休北向曲拜而出傍有着紅團領一小吏曰 大王大妃殿在不可一拜而止震休更西向曲拜而出夢中事歷歷可記戲作醉蓬萊一闋卽 當宁踐阼之二年辛亥七月九日也白玉層欄樓十二香風微動凉如水五雲蓬萊何處是弱水不隔三萬里玉皇紫袍星日紋金母碧窓烟霧薰金母解顏玉皇欣爛爛仙桃春十分銅硏璚管春復秋翶翔玉局記前游潦倒十年耕樵流一朝薰沐藕花洲稽首叨謝仍降陛渾身雨露淨如洗淼茫下界生眼底江南草色迷衡蠡白茅莘田烟耒鎖碧柳磻磯月鉤墮忽向蕉鹿相對坐不辨今我與故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朴訥齋遺集後 笠巖墜裙聲如雷厥初妣夢降兆朕千年武州瑞石山元氣滾滾流不盡收斂剛大爲胸宇固天賦也才且敏有才不必守窮谷親老更兼家計窘纔經弱冠擧孝廉肇發鴻匠大繩準二十有八歲辛酉錦袍天門射中埻生丁周道委荊榛風雨宮塒鬧羣牝按廉直斧錦城館狗屠妖竪霜下殞天敎正人免桁楊斑駁貓兒前路引堂堂義檄丙寅年擁立帝宣希伊尹正路乍展天馬步柏臺徽垣又玉筍謇謇諤諤匪躬故搏擊豪强若鷹隼致君堯舜終無術頹波砥柱多矛盾可惜明時廊廟器牛刀下邑治黎蠢三勳倒持太阿柄觸斷坤維是可忍噤烏飢鳳寂無言天地悽慘朔風緊疊疊災怪乙亥春側席求言宸念軫潭州太守獨慷慨眞節聳空如蒼箘漠漠剛川三印臺冲庵故人同肺腎赤血瀉出琅玕腹萬死排雲呌陛楯九閽虎豹磨牙吼楚士抱玉終見臏炎雲瘴海烏林驛阨窮之極而不悶旱魃忽媒金鷄信 唯有彼蒼垂矜愍道之不行固知矣欲答涓埃猶勉僶藥石難售醫國手膏肓病脈熟所診 乞養求補誠有以不將丹田露畦畛己卯一網超獨免優作完人蹈中允林宗私慟豈曰 無遯翁焚疏相與脗踽踽獨如浮江木山水文酒徒瀉損五十三年一緋玉白頭重試應自哂一縣二府三州間去留犢車空絆紖雲雨不惜神龍便淤泥蟠伏同蚯蚓甲午適來庚寅去潦倒一生存乎疢蒼茫遺址芳荷洞鳳鳳山色靑嶾嶙一朝之屈千載伸芳名爗爗傳不泯廣川文章文山節態使藻鑑生衣純文簡之謚不祧典曠世天褒如袞袗詞家元帥獨推詡旗銊崇壇坐受脤我思伊人不可遘晩獲遺藁只摩揗讀之漸覺雙目眩矯若翔蛟雄踞贙盛代風韻鳴瀏亮大雅鍾皷懸簴簨强欲摸捉終難爲空中樓閣噓海蜃畵脂鏤氷凡幾家等是夏蟲與朝菌朗然吟誦因想像風稜氣節凛不隕滄洲寡鶴杳無踪亂山稠疊如雲鬒安得朝暮陪杖屨雅歌浩蕩酒如澠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