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정유) 三日 丁酉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工僭羅公【文經】墓碣銘。 公嘗爲文純公遂菴權先生門下高足。則淵源端的。學問精邃。此可槪矣。謹按公諱文經。字成淑。羅氏系羅州。以高麗正議大夫監衛上將軍諱富爲上祖。諱逸孫直長。 贈通政承旨兼經筵參贊官。生諱昶。文湖堂。翰林。世子侍講院弼善。寔公七世祖也。高祖諱天紀。司僕正。扈 駕龍灣。錄勳。曾祖諱義生。參奉。連參寧國原從勳。祖諱德麟。掌樂院正。考諱尙佶。 贈左承旨。妣 贈淑夫人順興安氏。奉直郞佑女。貞淑有禮。以 孝廟庚寅七月二十日。生公于羅州西部面錦溪里第。公幼有至行甫十歲。祖母金氏八耋之年。病在床褥。公暫不離側。糜粥之供藥餌之奉。盡其誠意。祖母所思食物之非時冬瓜臘菜。極力辨進。逮事父母。誠孝益篤。家窶。不嫌借貸。甘旨之供未嘗乏。每値新物。不先入口。嘗負親入山避毒癘而還。鯉湯雀炙。使親癠得差。隣婦蔬菜之供。魚啇新之進。皆誠孝中一端事。前後喪。哀毁踰禮。情文俱摯。旣葬。日三哭墓。啜粥三霜。親戚婚喪及人之老。極力救護。以 肅廟己丑歿。享年六十。墓在文平坊白龍山巖嶝庚原。以子以享貴。躋同樞 贈嘉善。配貞夫人漢陽趙氏。參奉玎女。漢平府院君涓后。墓祔公墓右。三男。長以璧。 贈工參。次以亨。中樞府事。以大。壽秩同樞。長房男學勛副護軍。學昌學尹。學泳受學于性潭宋先生門。錦溪察訪。二房男學亮。季房男學孝。餘甚蕃。餘力齋張公以公彌甥。狀公事行甚詳。百世可徵。公之七世孫鍾仁。抱其狀謁銘。銘曰。惟公誠孝。得於天賦。惟公學問。師門警悟。終老林下。時乎不遇。龍岩之阡。百世景慕。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무술) 四日 戊戌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東坡曰月出於東山之上山谷曰左邱明詩 水累緩歌東野望夜高瓊宮秋景淸星周霄漢四皓光風謝江楊一淸聲圓弦高出半山左假以相如仍錫名 東臯舟泊倚相望遠岳雲散宜生明風歸綠林放疎韻霧罷蒼顔含晩晴匏樽擧之問靑天篷戶東開方有情 停盃少許遠生色玉宇正高蟾輪盈空江添白起銀波斷壁露朱浮金精遙看天左太冲漠皎然明色丹邱生 峰羅隱若半江炤雲薄昭然一天晶今宵剩得最高適一江淹留相笑迎鳧江萬里弄新影鶴田千秋留宿盟 靑山初夜冷嚴光何許人名與可並江南太白亦失格峽西孔明非眞評羣山周處最先東左史高名難弟兄 平田廣漠八指點遠岑參差露崢嶸何曾看月問主人坐高澄江一葦輕寒山濤落磵谷永大陸雲收野田撗 團欒盈座弄玉簫客亦由余仙趣成風蕭引帆自去疾浪淘潛沙頻屈平淸光若水凈無塵一張蒼天祥氣縈 龍遊巖窟弄光吟贗髓何洲顧影鳴仙琴高聽水聲洋佛圖澄看人影傾明光漏泄柳邊岸素輪浮張華外城 當時換羊滑嵇語一任飜脣四座傾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3일 初三日 겨우 21냥의 돈만 받고 마필(馬匹)을 팔아 보청(譜廳)에 지급하였다. 남은 돈은 천노에게 보내려고 하였는데 날이 저물어서 보내지 못했다. 나와 화옥(華玉)은 각각 헤어졌다. 只捧二十一兩錢, 放賣馬匹, 以給譜廳, 零錢資送千奴, 而以日暮不得發送。 余與華玉, 各各分張。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再遊瑞石吟 憶昔笻鞋躡無等至今往往魂夢冷墨痕淋灕留几案伏枕一讀塵念醒篁齋三月谷風煖花氣熏人春酩酊 春服初成春酒熟曉天無雲水如瀅踏星出門前游續同志六七行相並刺使牧伯俄經過石逕如虹跨絶頂 携手信步行且息着力前進頗肯綮往事前跡剖如縷不向招提更叅訂紅日轉出扶桑頭萬象呈露鏡面炯迢迢坐臨苐一層俯瞰下界煙塵逈剩水殘山紛縈絡片片大陸浮如艇簌簌淸風生石竇空山萬竅發咳謦喘汗盡八毛孔去步屧軒輊餘鶴脛行到泉林石上憩一罇松醪一椀茗向陽孤花懸斷崖摘之染糕煮石鼎定睛茫茫看宇宙囫圇一氣浮溟涬蒼顔綠髮恰收歛丈人風稜獨秀挺渾然一團春和面不作輕薄小夫怒 悻悻羣孫拱揖列參差嶄然無數露頭▣錯落玉碁排紋楸尖凸鑾刀抽琫鞞大洋七山羣烏沒長城萬里疋馬拯蓬萊方丈不敢爭其高區區平鋪同畦町裊裊憑虛如蛻殼劃然一笑褰裳褧面上六塵三斗撲人間萬念蕉鹿鍵山寒谷淸疑九月春酒一斗不能酩苦海幾處浮生愁除非煙瘴㧾泥濘野客聽此眩暈發掉頭縮 族來不肯噫噫名山多被貴人汚磈磊蹊徑仍俓健歲歲皇華秋復春老石鑿鑿戴軺輂樵竪牧客仍追隨幽花茂林被鞭楗醉墨題名字如斗石面平滑削圭珽黃昏忽報山寺鍾數聲風便蒼茫打城市鼓角遙相和澗籟松濤聽熒熒忽驚明月齊眉尖跂脚上摘星辰煩春山記跡太恍惚安得詩家大手如蘇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南方之山巍然高而大者以百數獨衡山爲宗詩 【排律三十韻 癸巳】 我昔南登嘿禱還雲開突丌見眞顔少年朱筆仙經秘使者金符鬼牒慳峰列荊揚皆下麓嶽宗衡霍儃南蠻 一元氣自崐崙脈萬古名傳岣嶁山中立東南吳楚野下臨七百洞庭灣最能衛護中州鎭所以齊名北斗閑 白首無成今博士玄談未了送歸轘雲邊野濶羣山小嶺外天長去路艱名勝地形聊可語蒼茫山色杳然覵 遙憐南國千年闢何限諸峰一境環辨國咸封周畵揭分州隨奠夏書頒星羅霧列蒼千疊春笑冬眠綠四圜 隨處崇巒凡幾許比諸衡岳㧾爲孱扶輿之氣於斯盡磅礴其形不可攀石菌花開雲際揷金芙蓉出劍頭刪橘紅篠綠傷心麗金白砂丹滿目斑不獨名材稱厥産許多賢俊出其間禀精皆是魁奇輩乘運能爲碩輔班 隱道彌明吟石鼎學仙李泌住藍關幾多翠峀環三奧最是朱陵擅八寰羽客舞迴丹鶴頂夸娥粧點碧螺鬟 七千百丈雲容屹三十八泉水勢潺峰秀平看迴鴈輩谷深晝聽子規▣奇如玉女銅奩掛儼若武夫錦甲環鬱鬱精光躋薈蔚英英佳氣露苐菅或多奇士遊仙佛時有高人隱市闤良餌奚徒鍾乳滴奇容不必石容頑野分翼軫遙盤遶地接甌蠻遠控彎重壤寒鍾諧律呂九潭明水瀉潺湲送君歸去南郴嶺萉遯幾年養得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갑신) 十四日 甲申 맑음. ≪도산급문록(陶山及文錄)≫을 보고 기록한다. 김학봉(金鶴峯)의 휘는 성일(誠一)이고, 자는 사순(士純)인데, 안동(安東)에서 살았다. 이른 나이에 등제(登第)하여 청현(淸顯, 청환과 현직)을 지냈으며, 노산묘(魯山墓, 단종의 묘)을 봉하고 사육신의 관작을 복귀시키자는 상소를 올렸다. 퇴계선생이 성현이 전수한 심법을 낱낱이 서술하여 〈병명(屛銘)〉73)으로 만들고서 정사(淨寫)해서 주었다.〈병명(屛銘)〉공경과 정일로서 덕 이룬 이 요순(堯舜)이고,(堯欽舜一)두려움과 공경으로 덕 닦은 이 우탕(禹湯)이네.(禹祗湯慄)공손하고 삼감은 마음 지킨 문왕(文王)이고,(翼翼文心)호호탕탕 드넓음은 법도 지킨 무왕(武王)이네.(蕩蕩武極)노력하고 조심하라 말한 이 주공(周公)이고,(周稱乾惕)발분망식 즐겁다고 말한 이 공자(孔子)였네.(孔云憤樂)자신을 반성하며 조심한 이 증자(曾子)이고,(曾省戰兢)사욕 잊고 예(禮)를 회복한 이 안자(顔子)였네.(顔事克復)경계하며 조심하고 혼자 있을 때 삼가니,(戒懼愼獨)명성74)으로 지극한 도 이룬 이 자사(子思)이고,(明誠凝道)조존75)하여 하늘을 섬기며,(操存事天)바른 의로 호연지기를 기른 것은 맹자였네.(直義養浩)고요함을 주로 하며 욕심 없이 지내면서,(主靜無欲)밝은 바람 비 갠 뒤 달과 같은 이 염계(濂溪)이고,(光風霽月)풍월을 읊조리며 돌아오는 기상에,(吟弄歸來)온화하고 우뚝한 기상 지닌 명도(明道)였네.76)(揚休山立)정제된 몸가짐에 엄숙한 기상으로,(整齊嚴肅)전일을 주로 하여 변동 없음은 이천(伊川)이고,(主一無適)박문에다 약례까지 양쪽 다 지극하여,(博約兩至)연원 정통 이어받은 그분은 주자였네.(淵源正脈)〈도산서원상향축문〉(陶山書院常享祝文)공맹의 심법을 전수하고,(心傳孔孟)정주의 도학을 이었도다.(道紹閩洛)대동의 학문 집대성하니,(集成大東)우리 사문의 표준이셨네.(斯文準極) 陽。觀〈陶山及文錄〉記。金鶴峯。 諱誠一字士純。 居安東。早年登第。 歷敭淸顯。上疏請封魯山墓。 復六臣官。退溪先生歷叙聖賢傳受心。 爲〈屛銘〉。 淨寫與之。〈屛銘〉堯欽舜一。禹祗湯慄.翼翼文心。蕩蕩武極.周稱乾惕。孔云憤樂.曾省戰兢。顔事克復.戒懼愼獨。明誠凝道。操存事天。直義養浩.主靜無欲。光風霽月。吟弄歸來。揚休山立.整齊嚴肅。主一無適。博約兩至。淵源正脈.〈陶山書院常享祝文〉心傳孔孟。道紹閩洛.集成大東。斯文準極. 병명(屛銘) ≪퇴계집≫ 권44에 실려 있는 〈제김사순병명(題金士純屛銘)〉을 가리킨다. ≪학봉선생문집(鶴峯先生文集)≫에도 보인다. 명성(明誠) ≪중용장구≫ 제21장에 "성(誠)으로 말미암아 밝아지는 것을 성(性)이라 하고 명(明)으로 말미암아 성(誠)해지는 것을 교(敎)라 이르니, 성(誠)하면 밝아지고 밝아지면 성(誠)해진다.[自誠明 謂之性 自明誠 謂之敎 誠則明矣 明則誠矣]"라고 한 대목을 가리킨다. 조존(操存) 인간의 본연(本然)한 선심(善心)을 단단히 잘 잡고 있음을 이름. ≪맹자(孟子)≫ 〈고자상(告子上)〉에서 "꽉 잡으면 있지만 버리면 없어지고, 때없이 출입하고 어느 곳에 있는지도 모른다고 하였으니, 생각하건대 이것은 마음을 두고 한 말이 아니겠는가?[操則存, 舍則亡, 出入無時, 莫知其鄕, 惟心之謂.]"라고 하였다. 온화 …… 명도였네 주희(朱熹)의 〈정명도 찬(程明道贊)〉에 "양기로 만물을 다습게 하듯 하고 산처럼 우뚝 섰으며, 옥빛처럼 아름답고 종소리처럼 쟁쟁했다.[揚休山立, 玉色金聲]"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임오) 十七日 壬午 간혹 흐리고 간혹 맑았다. 或陰或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을유) 二十日 乙酉 흐리다가 맑아졌고, 석양에 바람이 불었다. 陰而陽。 夕陽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계미) 十八日 癸未 흐림. 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갑신) 十九日 甲申 흐리다 밤에 비가 내렸다. 陰雨夜。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임진) 二十六日 壬辰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기해) 二日 己亥 흐림. 밤에 큰 비가 왔다. 陰。夜大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경자) 三日 庚子 갬. 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기축) 二十三日 己丑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경인) 二十四日 庚寅 맑음. 듣자니 우리나라 부인 중에 문장가(文章家)가 3명 있는데, 정경부인(貞敬夫人) 송덕봉(宋德峯)77) -자 성중(成仲), 미암 선생의 아내- 와, 정경부인 이옥산(李玉山) -임천조씨(林川趙氏) 원(瑗)78)의 별실(別室)- 과, 난설(蘭說) -허하곡(許霞谷, 허균(許筠))의 누이- 가 그들이다.〈덕봉시〉(德峯詩)걷고 걸어 드디어 마천령79)에 이르니,(行行遂至磨鐵嶺)끝없는 동해 바다 거울처럼 평평하네.(東海無涯鏡面平)부인의 몸으로 만 리 길 무슨 일로 왔는가,(萬里夫人何事到)삼종의 의리 무겁고 일신은 가볍다네.(三從義重一身輕)〈이옥산이 영월을 지나면서 지은 시〉80)(李玉山遏寧越詩)이 몸도 또한 왕손의 혈통이라,(妾身自是王孫骨)이곳의 두견새 소리 차마 들을 수 없다네.(此地鵑聲不忍聞) 陽。仄聞我國有夫人文章者三。 曰貞敬夫人宋德峯。 字成仲。 眉岩先生室內也。 曰貞敬夫人李玉山。 林川趙氏瑗別室也。 又曰蘭說。 許霞谷妹也。〈德峯詩〉行行遂至磨鐵嶺。東海無涯鏡面平.萬里夫人何事到。三從義重一身輕.〈李玉山遏寧越詩〉妾身自是王孫骨。此地鵑聲不忍聞. 송덕봉(宋德峯) 미암 유희춘의 부인으로, 미암이 을사사화 때 종성에서 19년 동안 귀양살이하였는데, 그의 부인이 홀로 만 리 길을 걸어 종성까지 따랐다. 그 부인은 마천령을 지날 때 시를 지었다.(≪대동야승(大東野乘)≫ 〈부계기문(涪溪記聞)〉) 조원(趙瑗, 1544~1595) 자는 백옥(伯玉), 호는 운강(雲江), 본관은 임천(林川)이다. 조원경(趙元卿)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익(趙翊)이고, 아버지는 조응공(趙應恭)이며, 어머니는 민세경(閔世卿)의 딸이다. 조응관(趙應寬)에게 입양되었다. 판서 이준민(李俊民)의 사위이고, 조식(曺植)의 문인이다. 유고로 ≪가림세고(嘉林世稿)≫가 있다. 마천령(摩天嶺) 함경남도 단천시에서 함경북도 김책시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일기 원문에는 마철령(磨鐵嶺)으로 되어 있다. 이옥산이 영월을 지나면서 지은 시 허균(許筠 1569~1618)의 시문집인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제25권 〈설부(說部)〉에 이옥봉(李玉峯)이 영월(寧越)로 가는 도중에 지은 시를 기록했는데, 이르기를 "五日長干三日越, 哀歌唱斷魯陵雲. 妾身亦是王孫女, 此地鵑聲不忍聞."라고 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신묘) 二十五日 辛卯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기유) 十二日 己酉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경술) 十三日 庚戌 갬. 晴。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