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乃一龍一豬律賦 【韻兩家各生子提孩巧相如】 述夫東西戶庭上下霄壤受胞殼於參三分翼毛於岐兩變化之機莫測雷雨一梭螪蠋之愁自多坑坎千丈粤若肇在髫髧難辨龍豭誇熊夢於北舎憙虎跳於東家榴犀絡繡襦政是看睫之相倣竹馬攔街陌敢曰毫氂之或差俄而頭角嶄嶄志氣落落耽繳鴻於奕枰渺亡羊於臧閣螺蠃之誨式似豈無玆在玆名言騏駑之步漸疎聿見才不才亦各倏然骨骼方壯毛羽已成涵刑神於活水塗耳目於冥行翶翔於雲間鵬程萬里長屈伏於轅下蠖泥一生迺者觀其不同比之何似殊鵠鶩之畵工邁麟驢之楦子登茵落溷莫曰生出一枝淸渭濁涇奚止中分二水惟彼震鱗坎喙乾端坤倪懸高卑於號角判榮悴於雲泥或躍而在淵難可以摸捉旣入于其苙未免乎牽提玆以覿髣髴者善形容哉愀汙渠之涉螪仰亨衢之曝腮其猶龍乎可想李門風裁乃見豚耳堪嘆劉家嬰孩然而均爲生寅曾是同卯紛聚隊於藻魚豈異閭於芝鮑厥初是同人也不圖地分之昇沈其中未大過於俱得天賦之智巧何乃首尾逈絶名目孔彰靈共齊於龜鳳跡不越於犬羊彼何人予何人初若遠近無幾飛之類走之類終然統攝不相嗟乎人盡夫也書固自如參紀官於汗竹混牧奴於戱樗喫辛味於蠹魚是謂氣質能變者 䏞丁眼於亥豕便覺面目可憎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匏洞旅舍逢除夕 【三篇】 紫騮驔驂行何速一瞥便窮若木末羲和自是無情客不肯爲我稅且秣半生纔覺夸父愚千古謾傳嬴皇喝 無可奈何造化翁陽捭陰闔恣推敓此辰亦云良辰否家家經費太紛聒宰牛打餻西復東燦燦鮮服換舊褐 繁華大都無事兒蹴毬飛鳶爲計活四時游衍猶不足喜逢此日更挑達爾儕小人那有識秪令齊傳勞日撻人生難得長少年歲不蹔留如釋括今年今日猶可誇明日明年又回幹縱有壯士齊天力去去來來儘莫遏 若使此生能不老千百除迎肯勞怛可憐人事歲相殊齒髮無端漸童豁漚泡世界所得物 四十一箇餠湯鉢 幾度他鄕逢今夕雲水江南路契濶風雨奔走謾多事自笑塵臼未擺脫耿耿一燈溪上屋銷愁痛飮屠蘇醱太平聖世看有象火星流輝白獸闥其二大風一日簸復舂雪花亂飛如白氎到底玄冥太饕餮放出六癸恣剽刦元來造物好揶揄走若驚蛇飄浪蝶 去者來者相摩軋屯雲漲壒紛稠疊正屬天地更張日千水萬山不妥怗怒濤駿浪鳴匉言卉木浮似搖搖檝 溪屋小扉不敢開擁爐呵凍餘宿㥘尙賴西舍新椒醅借得猩紅印雙頰寥寥客榻支枕臥悵念身家所經涉一年風雨城西北飄迫蓬華復萍葉倥侗奈乏資身策蘇貂蔡釜多躓跲捿捿正似鳥擇林寒暑三遷携短篋可笑漫漶無事客百忙不能定步屧畢竟所獲無半銖車輪馬蹄空追躡千里來擔虞卿簦十日坐彈馮生鋏旅食京華二十載淸風溪上多緣業不知今夕是何夕萬念如蝟懸眉睫此身亦畏三彭否夜深不寐燈燁燁 可堪明朝望五翁旅囱點檢新蓂莢其三七星庵中皷鼕鼕十字街頭漏斷續瞽皷祈歲猶堪聽鷄漏嘂朝苦何促嗟乎人世老大年電邁風飛在轉矚一冷一煖誰使然坐看飜覆棊一局今日明日初無別自在化圈叅亭毒多事千古鳳鳥氏曰冬曰春分而錄年年一度爲鐵限增減不得如縛束迺令浮生勞迎送凋顔禿髮仍相屬稔知人間四時序春日溫和冬寒酷排寒就溫固不惡無味食年太庸碌疆壯去去衰將至差遲一生所大欲此年此日雖重逢餘生百壽猶不足况復百壽難可期萬思汩沒在頹俗已矣不逢希夷子爲我誰擣崑山玉可笑一撮蝸角上飛埃冥濛鬪蠻觸 暑雨祁寒支離愁今宵都付風一燭只喜客槖不甚貪賽年酬夜羔酒綠消除百憂頎然坐浩浩歌成迎新曲四十一年亦曰疆天下萬事尙可勗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무자) 二十四日 戊子 맑음. 옥전(玉田)5)리의 김참봉 댁에 도착하였다. 밤에 눈이 내렸다. 陽。到玉田金參奉宅。夜雪。 옥전(玉田) 곡성군 옥과면 옥과리 옥전 마을에 해당된다. 원래는 옥전(獄前)이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感夢黃牛廟賦 【完營公都會魁擢監司曺判書鳳振】 牛拜像於叢隍范寄詩於茶肆若有人兮古峽謇須誰兮荒祠診予夢兮感遇像在玆而足徵旣興想於古昔所發嘅於徊徨何年事兮溯江曾有夢於牛廟搴芳杜而襲香集土木而爲骸行出門而歷覽馬胡爲乎隻耳迨夷陵之出守適余來夫黃牛峰月吐而有約峽雲曖而如待偕元珍而緩步遂漸入於佳境悄然立而有覺覿彷彿於遺形殊叢林之古圖判竹隍之神蹟伊門外兮壁上皆可記於歷歷分明夢於昔時到于今而方覺翻驚眼於此夕彼遺像兮如期顧元友而笑道感歎長於徘徊奚無知於偶塑若有故於夢現繽東顧而西眺十年跡兮今看非鎔祠之木刻豈河宅之茅結今而浚而有驗留眞跡於牛峽忽反顧而流睇夢亦不爲無助回甛鄕之偶發感眞境之親對身是初而眼重聿相合於前後嗟吾人兮若夢信有命於前定泥塑儼其不語怳解嘲於今行拚往跡而笑陳夢中人兮相逢良無由而忽到何若是其相符愀相對於永夕有眞緣於今古神亦知夫我乎夢固非其虛也登歐文而更考綴一賦而興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擬漢羣臣賀龔遂治渤海之日勸民農桑使民持刀劍者賣劒買牛賣刀買犢表 【丙戌人日 製御 題通方外】 雲從龍風從虎方仰聖主得人才之休刀買犢劒買牛聿覩賢守化民俗之盛焉用刀也彼牽牛乎欽惟皇帝陛下地節年間天臨宇內拜守相而輒親見問擢用朱邑之務寬興閭閻而已知艱難崇禮黃霸之從簡屬當北宸務稼穡之日乃有東民佩刀劒之風聖后軫勸鳸之工方懋溝洫之盡力蚩氓帶健牛之價遂致潢池之弄兵時無牧牛羊之才未見感豚之美害及達鷄犬之境奈此喁魚之嘆幸明朝擇佩虎之賢而今日盡馴雉之術盖我聖天子之神化克簡芻牧之任故此賢太守之治謨爰革帶犢之習單車敎撫循之道實見游刃之克恢十畝勉耕耨之勤復有良耟之載俶果於巡于郡之際聿見變其俗之功賣劒賣刀何爲纍纍而佩勸農勸種終也恢恢而容桑麻一都旣多牛牧之衆黍稷千廩且有狼戻之榮是可謂大小畜各存孰復有業家人不事春以耕秋以穫克致觀感之規小曰犢大曰牛遂有解佩之俗奸猾自戢寧有直千金之鋩寬猛得中擧感恢一網之治伏念臣等俱以駑質幸荷龍光斷斷無他縱乏牛刀之譽欣欣有喜庶殫鰲抃之忱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讀書內元庵記 【丁亥】 丁亥春二月余與本鄕宗人琦衡平極甫秋城宗人源公進甫約日伴讀於秋城之內元庵從弟濟休與村秀才兩李童亦從余庵之爲庵懸在千仞岡上不過是一撮土地而中有數三屋子十餘衲子不甚孤寂但山上石徑崎嶇碻硧殆非人跡所到而前後書人之不相棄者有所取於幽闃淸絶而然耶山之名不知何許而以其尖如笠冒故庵之僧强名曰笠冒峰峰之西峽有笠店村村有賣酒之壚峰之東峽有淨元庵庵是治遊之園前後書人之稱以不草草者亦有取於斯歟余一日笑語於庵之僧致玉曰吾儕之淹留於此庵者非徒爲習業而止實欲爲榮顯之基鞏他日以靑衫玉篴殷勤扣訪則爲此庵之主人者不亦榮乎致玉愕然不怡曰 靑衫玉篴大君子所大欲而殷勤扣訪者非小僧之所願也此庵素甚淸寒計朝暮而畵饘粥課日月而治楮麻恒懼朽落不全何况一經貴客則擔舁也餽餉也贐行也難可周匝而如或蹉跌則騶徒之詬罵鞭搖輒隨而至嗟乎如大君子者寧有此乎扣訪前跡雖出於相愛之情而一迎送之間恐致有不相稱矣此等句語敢請束閣何如如不得已而有相愛不相捨之情則爲一小記揭于今日壁上者反不榮於靑衫玉篴之後日相訪也哉余乃愀然良久曰誠然乎哉誠然乎哉因爲之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醉狂齋記 【同福舟坪宗丈顯奎燦甫自號】 齊有愚公而管夷吾不以爲愚晉有癡叔而王武子不以爲癡以其無實疵而借虛稱也夫失儀之謂醉喪德之謂狂而夫子平日性不喜飮動無悖禮處家也雍睦接物也周洽有德可述無儀可選則醉狂之稱不同歸 於愚公之愚癡叔之癡乎若乃美人絲竹謝東山之風流嘉客盃樽孔北海之豪爽馳騁弋獵彷佛乎陳季常之暢情田宅園林模擬乎仲山陽之樂志登山臨水逍遙忘歸則歐醉翁之逸趣耶不事王侯高尙其志則嚴狂奴之本態耶夫子之一平生盡是前修軓轍則曰醉曰狂適足爲子虛涎沫而惟其好事者藉口之實恐不可以終免夫子以簪組之裔値昇平之會才辯特達無適不可而迺者托跡方外疏放自縱芥鍾鼎而掉頭泥軒冕而歛蹤荒郊窮山之濱樂與耕樵漁釣之徒俯仰歌嘯至老而靡悔者此實夫子之不醉亦醉不狂亦狂而非徒夫子之自詡抑亦後生之不敢强辨然而夫子之醉狂淸而高者也與俗士之醉狂於名利者相去不翅若鴻鵠之於壤虫則余以爲醉狂非夫子之惡號乃美稱也夫子以爲何如使余欲學醉狂捨夫子其誰而 受膏盲於俗士願從而未果者今爲四十餘年所夫子其賜鍼砭否嗟乎夫子與吾先君子同卯而 年今七十有八精神氣力與少年無異異哉余嘗聞東南山水間往往多異人陽狂托醉難得而從夫子庶幾遇之而學種楚狂之芋得醉茅君之酒也歟著雍涒灘扶醉之夏莘圃居史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갑신) 十日 甲申 흐림. 비가 흡족하게 적셨다. 陰。雨洽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계미) 九日 癸未 흐렸다가 맑고 맑았다가 다시 흐림. 본가에 다녀왔다. 陰而陽。 陽而陰。往還本第。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을유) 十一日 乙酉 개었다가 흐림. 晴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무인) 五日 戊寅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기묘) 六日 己卯 흐림. 집에 돌아왔다. 陰。還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병자) 四日 丙子 흐림. ≪대학≫혈구장(絜矩章)을 보았다. 세 번 득실(得失)을 말하였는데, '충과 신으로써 얻고, 교만함과 방자함으로써 잃는다[忠信而得之, 驕泰而失之]'라는 구절에 이르러서, 장구(章句)에서 말하길 "천리(天理)가 보존되고 멸망하는 기미가 결정된다.[天理存亡之幾, 決矣]"라고 하였다. 주자(朱子)가 또 말하기를, "충신은 천리가 보존되는 까닭이고, 교태는 천리가 상실되는 까닭이다.[忠信乃天理之所以存, 驕泰天理所以亡]"라고 하였다. 한 단락을 기록해 둔다. 陰。看 ≪大學≫絜矩章。三言得失。 而至於'忠信而得之 驕泰而失之'章句曰。 "天理存亡之幾。 決矣。" 朱子又曰。 "忠信乃天理之所以存。 驕泰天理所以亡"。一段記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경진) 七日 庚辰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신사) 八日 辛巳 맑음. 밤에 비가 왔다, 우레소리가 크게 진동하였다. 陽。夜雨。雷聲大震。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을해) 三日 乙亥 흐림. 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갑술) 三日 甲戌 맑음. 집에 다녀왔다. 陽。往還于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을해) 四日 乙亥 맑음.혹자가 "역의 태극에 대해 요임금은 '윤집궐중(允執厥中)이다'고 하였고, 순임금은 '도심이다'고 하였으며, 탕 임금은 '항성이다'고 하였고, 공자께서는 '내 도는 하나로써 꿰뚫는다'고 하였습니다. ≪대학≫에서의 명덕(明德), ≪중용≫에서의 중용(中庸), ≪서경≫ 서문에서의 '건중건극(建中建極, 중도를 세우고 표준을 세우라)'과 '덕(德)이라 하고, 인(仁)이라 하며, 경(敬)이라 하고, 성(誠)이라고 한 것들, 주자(周子, 주염계)의 무극(無極)과 주자(朱子)가 말한 이(理)와 ≪모시(毛詩)≫의 사무사(思無邪, 생각함에 사특함이 없다)와 〈곡례(曲禮)〉의 무불경(無不敬, 공경하지 않음이 없다)과 주역의 '시지의(時之義)'82)에 대해서 들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물었다. 내가 말하기를 "성도(聖道)의 요체로 말은 비록 다르나 이치는 한가지이다."라고 하였다. 陽。 或問。 "易之太極也。 堯曰。 '允執厥中也'。 舜曰。 '道心也'。 湯曰。 '恒性也'。 孔子曰。 '吾道一以貫之也'。大學之明德。 中庸之中庸。 書序 '建中建極' '曰德。 曰仁。 曰敬。 曰誠。' 周子之無極。 朱子之言理。 毛詩之思無邪。 曲禮之無不敬。 易之時之義。 可得聞歟?" 曰。 "聖道之要。 而言雖殊。 理則一也歟" 시지의 ≪주역≫ 〈수괘(隨卦)〉 단(彖)에, "상황에 따라 알맞게 대처하는 의미가 크다.[随時之義, 大矣哉]"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병자) 五日 丙子 맑음. 채신지우(採薪之憂)가 있었다. 陽。有採薪之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16년(병진) 1916年(丙辰)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