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憲宗大王挽詞 肇生符宋祖冲御仿周王冠珮呼千壽謳歌匝八壃艱丁臨履步欣覩恒升光恭黙承 慈敎猷爲率 祖章日勤三晉講歲獲屢豐祥廣選圭巖士周咨繡斧卽赫斯誅巨匿允矣討邪洋惻怛詢西渰懷綏賑北荒 喬陵供汛掃 太廟展蒸嘗臺設籌謨秘灤擅孝思長金科遵夏石 璇幀寓堯墻繼述 三朝鑑怡愉 兩殿觴訓農新令甲策士大更張子惠蠲租戶申明飭政堂捄痒蘇市貢息賂杜燕啇漂舶懷無外楚巢奠有方沛恩全巨室微眚軫遐鄕張弛文而武寬剛紀又綱春秋猗鼎盛民物正咸昌螽羽期蕃衍龜齡祝壽康仁天嗟弗弔妖宿忽生芒莫效金縢策空留玉几香未敷箕聖福不幸漢昭殤蛙沸編氓屋龍鐘衛士裳 三宗無血脉萬事便滄桑百卉愁陰雨羣蟲弔夕陽畵牙聲哽咽靑瑣色凄涼 九廟將誰托 三宮秪自傷泉臺猶有慰匕鬯幸無喪新譽方無斁前休永靡忘菲姿叨耳目薰沐更翶翔言念十年事于嗟一夢傷記言鍮硯捧扈蹕鏤鞬粧蟻蓐終難試 龍驂倏已忙寒雲埋 玉色長夜關 金相惠澤今猶在嘉謨昔孔彰末音千古訣遺像七分煌實錄徵蘭史徽稱攷太常寂寥明政殿怊悵奠 靈床摸畵臣 何敢徒增涕泗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神興寺【自降仙三十里】 景致則遜於洛山而幽閴則差勝神興寺一名禪定門之南題曰雪嶽山神興寺山之東曰達摩南曰雪嶽有眞樂臺西曰白雲北曰天吼此寺又有龍船殿莊獻世子正宗兩聖位板奉安之所也有正廟朝御製御筆屛【咏四時】王春位歲首萬品自然新御國何先務愛民最貴仁○本固邦國寧惟民重爲食三農必也勤后稷敎稼穡○溫解南薰殿御園夏日長頓時自有序日永氣蕩蕩○八方時雨足遍野苗菁菁汗滴田中也豈知王者情○蟋蟀報秋色金風紫陌深仁義如輪兩春秋無一心○瞻野遍黃雲幸乎農事成吾民衣若食專在蚕如耕○本者本乎德永貞是曰功春夏生生理其成秋若冬○廣廈細氈裏宜惟蔀屋民竟歲勤勤業食衣在上人○椒泉翁詩曰雲林到處設禪宮石逕縈廻一線通老釋山中多歲月遊人樓上坐秋風不知極樂今安在頓覺塵思卽此空眞的蓬萊非別有神仙朝暮庶將逢【門樓上木板題名】鬼斤如戱石頭剛未到金剛一破顔海上留連明月客雨中來坐白雲山古龕禪定秋何寂遠壑僊飛水自還寫景無端詩思苦閒人自笑未全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 二十八日 ○주인 하서가 극구 말렸으나 갈 길이 바쁜 관계로 밥을 먹은 뒤 출발하였다. 이현대(李顯大)를 위로할 생각으로 아산(牙山) 번천(樊川) 길을 찾아가려 하니 하서가 길을 안내해 3리쯤 가서 그대로 작별하였다. 번천의 이현대(李顯大) 집을 찾아가 그 궤안에 조문하였다. 점심을 먹은 뒤 출발하려고 하니 주인이 극구 만류하여 그대로 유숙하였다. ○主人夏瑞堅挽不已, 而以行忙之致, 食後發程。 爲慰李顯大之意, 尋牙山樊川路, 則夏瑞指路行至三里許, 仍爲作別。 尋樊川李顯大家, 吊其几筵。 午飯後, 欲爲發程, 則主人堅挽, 仍留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 十四日 ○윤경(允卿)은 출발하여 서울로 갔다. 종일 서원에 남아 서원 설립 문적을 베껴 썼다. ○允卿發向京行。 終日留院, 謄書設院文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기유) 五日 己酉 흐리고 비가 흡족하게 내렸다. 陰。 雨洽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경자) 二十九日 庚子 맑음. 요사이 날씨가 봄과 같다. 陽。近日日氣如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월 十二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신축) 初一日 辛丑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계사) 二十三日 癸巳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갑오) 二十四日 甲午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경인) 二十一日 庚寅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신묘) 二十二日 辛卯 비. 요사이 삼월 초부터 불행히도 질병에 걸려 지금에야 겨우 나았다. 雨。近日自三月初不幸有疾。 自今纔蘇。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을미) 二十五日 乙未 흐림. 비가 흡족히 적심. 陰。雨洽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병신) 二十六日 丙申 흐림. 눈이 내려 추워짐. 陰。雪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12)(기축) 二十日 己丑 흐리고 비. 陰雨。 20일 원문에 '二十'으로 '日'字가 누락되어 있으며, 22일과 24일도 '日'字가 누락되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12일 十二日 ○밥을 먹은 뒤 개간소에 가서 잠시 이야기를 나누고 나서 사헌과 회동으로 갔다. 송 장성을 만나 전주로 가는 편지를 받았다. 잠시 송지순의 집에 들러 이야기를 나누고 왔다. ○食後, 往刊所暫話後, 與士憲往晦洞。 見宋長城, 受全州所去書簡。 暫訪持淳家, 相話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燕賀【幷識】 聖上十年己未春正月二十日卽潁漁金尙書萱堂貞敬夫人愼氏晬甲之辰而於潁樵尙書亦生庭之慶也尙書弟季位兼文武憲是百辟國家倚若砥柱士庶仰若山斗夫人之純▣非徒一室之慶彼行路人亦所攢祝況震休於兩尙書受知有素自謂不後於人矣縱欲無賀烏得已乎係之以詩曰惠風和煦春甕盎壽域煙花畵有狀最是吉祥君子室南枸北梗動高唱西河老僊人間在六十一年坐無恙晩福漸與年俱大如川方至未可量膝下怡婉兩尙書凞代聯武早蜚颺瑞鳳祥獜參化囿昇平有跡萬目仰百辟之憲文且武濟濟上卿與上將戎壇仗銊鞱鈴整文苑秉筆波濤壯溯源推本詩善頌毋道坤厚有素養十稔墨張仁山屋參連粉擣也勉强德門受報如影響箕疇鍚福九曰嚮北堂萱草還舊春日長可愛舒以暢餙喜華佩環一闈秩秩獻壽萃少長藹藹需雲動簾幙烹龍爲灸玉爲釀獜脯擘來麻姑床蟠桃摘取金母帳賀語絡繹騰萬口翩翩客燕主人訪肯艶丹鼎飛昇天不羡白衣超作相但祝堂上龜蓮壽年年似今身康旺佇看兒孫森似竹鷰停鵠跱好相向定應雙着老萊脤繞膝長做兒啼樣與國同休喬木家際會重宸又震鬯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宣陵瑞陽享役紀行【前期二日五月初三日發行】 雨色歸空鳥語濃小輿如屋劇從容離離半熟千疇麥颯颯微凉十里松歲久迷蹤笻下石天開慣面馬前峰湫塵巷北棲棲客忽見燈江一洗胸【右過栗峴自南門七里】官舟平穩坐胡床水氣連天五月凉草色雨邊村黯黯鳥聲林外路蒼蒼淸眸乍拭憐孤店白鬢重過悵十霜堪笑此行王事賴梢工不似舊尋常【右渡西氷湖自栗峴五里】背水孤村掩綠楊沙田麥穗過身長魚懸層架猶變浦犬吠疎籬卽外鄕杜宇前宵酬冷節榴花此日賦瑞陽回頭一舍江南去稍慰三年遠客腸【右過沙坪店自西氷湖越江相望】野酒醇醲峽蔌香開懷不妨坐康莊嶠音錯雜穿南路店色麤疎落下方莽蒼斧聲應伐木軟菁針樣或分秧二陵松柏知相近日午山僮袛候忙【右憩彦九非自沙坪五里】前游悵憶月中盃萬木濃陰復踏來山幕欲隨巫島泛洞門爲納漢江開荷塘日煖靑錢出板殿雲開貝葉堆惟有老禪堪共語爐香半日斷纖埃【右遊奉恩寺自彦九非十里有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兵曹參判尙州李三億祭文【代趙監役龍熙作五月十九日】 洛迤匯東赴海于朝宗毓爲人超乎倫灝氣鍾世蹈襲儼操執孚有顒繹春秋頂服周郁乎從【三億高祖丁丑下城後詩曰換着周衣冠蔽陽眞言惟誦大明王】刹與巖名殊凡巨蹈蹤【三億曾祖處東海寺依日月巖】泣滄桑甲停觴廚不供【三億祖甲年不受諸子壽宴】賦六簙悲響托戱墨濃【三億父作博戱傳此紅於明此靑於淸】公克肖特高妙挺如松樓䢖議額弘治仰瞻恭下結茅寄鷦巢雙膝容灸儒宮辦魚熊賁章縫護星紼威不屈排羣兇【尙州南樓重修三億立議書弘治扁額又構數間屋於弘治樓下以居從遊於成秋潭門夢窩金相昌集受後命於星州三億隨成秋潭共護喪】噫潢堅暗嘯聚窺我墉燭秘計折僞契挫其鋒逮涒灘敢肆亂熾狼烽衙官出鎭帥怵衆情洶奮如踊激忠勇萬甲胸【朴弼顯李獜佐俱居尙州釀凶謀誘愚民設契案三億破其案逮戊申賊變尙牧受由在京營將韓㻋惶㤼失措】揭義旗血淋灕字衡縱彼鳥嶺倉餉領兒如龍訣父子樂就死疇敢慵士如雷賊銳摧斬鯢封獲漏魚智有餘毖螯蜂草除根息黎元倣老農【三億擧義諭衆嚼指指出血書旗面又使其子分守鳥嶺倉獜弼餘黨走躱本州三億設計而捕】口不伐齒其沒憩一笻芬未沫輿言會叫九重褒休蹟慰毅魄辰有逢夏官啣貳而參聖渥醲華誥榮書崇禎椽筆彤祠在彼洛之涘集芙蓉夐裁箋替鷄綿聞風儂【三億贈騎參其子又贈騎議貤贈誥牒幷書崇禎年號尙人建祀腏享三億父子】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 初八日 주인 영감이 지영(祗迎)2)하는 일로 의금부(義禁府)에서 추고3) 중에 있었기 때문에 이 석사(李碩士) 형제 및 귀악(龜岳)과 함께 의금부의 의막(依幕)에 함께 가서 종일 이야기를 나누었다. 돌아오는 길에 정동(貞洞)에 들러 종인(宗人) 익상(翼庠)을 만나 잠시 이야기를 나누다가 왔다. 감기가 끝내 쾌차하지 않았으니 한탄스럽다. 主人令監, 以祗迎事, 在禁推故, 與李碩士兄弟及龜岳, 同往禁府依幕, 終日談話, 而來路入貞洞, 見宗人翼庠, 暫話而來。 感氣終不快差, 可歎。 지영(祗迎) 아래 관원이 아침에 윗 관원을 공손히 맞이하던 예(禮)를 말한다. 의금부(義禁府)에서 추고 '금추(禁推)'는 의금부에서 죄인을 심문하던 일을 말한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