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 二十一日 ○신도(新都)를 둘러볼 생각으로 곧 아침을 먹고 고개 둘을 넘어 신도에 이르렀다. 대궐터를 둘러보니 기둥과 주춧돌이 줄지어 놓여 있었다. 상세히 두루 구경하기도 전에 비가 쏟아졌다. 백암동(白巖洞) 앞 주막으로 들어가 비를 피했다. 한참 있다가 비가 조금 잦아들면서 갤 기미가 있는 듯하였으므로 비를 무릅쓰고 출발하였다. 개태(開泰) 객점에 못 미쳐 들에서 모내기하는 곳을 만나 모내기 밥을 얻어먹었다. 연산(連山) 고을 앞에 이르러 개태정(開泰鼎)54)을 구경하였다. 둘레는 5~6파(把) 정도이고, 깊이는 1장(丈 10척)쯤이었다. 구경을 다하고 나서 출발하였다. 중도에 소나기를 만나 의관이 흠뻑 젖어 몹시 괴로웠다. 간신히 대천(大川)을 건너 은진(恩津) 삼거리에 이르러 잠시 쉬고 나서, 저물녘에 시암(杮岩)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70리를 갔다. ○欲玩新都之意, 仍朝飯, 越二嶺, 抵新都。 翫大闕基址, 則列置柱礎石。 未詳周翫之際, 雨作。 入白巖洞前酒店避雨。 移時少選後。 似有開霽之望, 故冒雨發程。 未及開泰店, 野中逢移秧處, 得食秧飯。 抵連山邑前, 翫開泰鼎。 周可五六把、深可一丈。 翫後登程。 中路驟雨, 衣冠盡濕, 悶悶。 艱越大川, 抵恩津三巨里暫憩後, 暮抵杮岩留宿。 行七十里。 개태정(開泰鼎)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 개태사에 있는 '개태사 철확(鐵鑊)'을 말한다. 이 솥은 태조 왕건이 고려를 세우고 개국사찰로서 개태사를 창건하였을 때 주방에서 사용하던 것으로 전해진다. 충청남도 민속자료 제1호로 직경은 289㎝이고, 높이는 96㎝이며, 둘레는 910㎝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 二十二日 ○일찍 출발하여 여산(礪山)55) 새 객점에 이르러 아침을 먹었다. 능측(陵側)56)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용산교(龍山橋) 객점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70리를 갔다.객방(客房)에 빈대[蝎]가 많아 밤에 잠을 이루지 못했다. 밤에 일어나니 주인이 정주간에 자리를 깔아 주었다. 그래도 새벽까지 잠을 이루지 못해 몹시 짜증이 났다. ○早發, 抵礪山新店朝飯。 抵陵側午飯。 抵龍山橋店留宿。 行七十里。 店房多蝎, 夜不秪睡。 夜起, 主人鋪席廚間。 仍不秪眠達曉, 可憤可憤。 여산(礪山)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이다. 능 전라북도 익산시 석왕동에 있는 익산 쌍릉으로 보인다. 마한(馬韓)의 무강왕 및 왕비의 능이라고도 하고, 백제 무왕과 왕비의 능이라고도 한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 十一日 ○밥을 먹은 뒤 여러 벗과 개간소로 가니, 주인 이호준(李琥俊)이 말하기를 "마침 좋지 않은 조짐이 있으므로 중지하였습니다. '좋지 않은 조짐'이란 고부(古阜)의 김성은(金性溵)117)이 유사를 보내 스스로 그 일을 주관한 것을 말합니다. 자못 좋지 않은 단서가 있다면 중지하는 것만 못하니, 그런 분위기가 잠잠해지고 나서 다시 설치하는 것이 좋겠습니다."라고 하였다. 그의 말을 듣고, 그 일의 형국을 보니, 포기하고 가는 것만 못하였기에 곧장 나와 주인집으로 왔다. ○食後, 與諸益往刊所, 則主人李琥俊曰: "適有爻象, 故中止云。 爻象, 則古阜金性溵, 稱以送有司, 自主其事。 頗有不好之端, 不如停止, 風色寢息, 然後更設爲可。"云。 聽其言觀其事機, 則不如罷意而去, 故卽爲出來主人家。 김성은(金性溵) 자는 성연(聖淵)이고, 호는 인일정(引逸亭)이며, 본관은 광산이다. 전라도 고창 출신으로 황윤석(黃胤錫)ㆍ이직보(李直輔)의 문인이다. 『해동삼강록(海東三綱錄)』을 간행하였고, 『동국문헌록(東國文獻錄)』을 저술하였으며, 『임병창의록(壬丙倡義錄)』을 만들었다. 저서로 『인일정유고(引逸亭遺稿)』 2권이 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7일 二十七日 팔도의 문중 모임이 있는 날이다. 아침을 먹은 뒤에 주동(鑄洞) 보소(譜所)35)에 가니 동종(同宗)들이 일제히 모여 있었다. 납부하지 않은 명전(名錢)36)을 모두가 책임지기로 하였기에 견책당할 뻔한 것을 다행히 면할 수 있었다. 다음 달 20일까지로 기한을 정하여 간행하기로 하였다. 문경(文經)도 와서 모였다. 乃八道門會日也。 食後往鑄洞譜所, 則同宗齊會矣。 擧皆□責名錢之不納, 幾乎見責, 幸而得免, 以來月念日定限入梓。 文經亦來會矣。 보소(譜所) 족보를 만들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한 사무소를 말한다. 명전(名錢) 족보를 간행할 때 종중(宗中) 남자 사람의 이름에 붙이는 돈으로, 대개 수단(收單)과 편집, 간행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명전으로 충당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 初十日 이른 아침에 흥양(興陽)의 본댁(本宅)에 갔는데, 사랑은 모두 봉하여 닫혀 있고 인적이 없이 고요하였으므로 하인을 불러 물어보았더니, 온 집안 식구들이 벽제(碧蹄)로 갔다고 하기에 즉시 내려왔다. 얼마 뒤에 영감이 풀려났다. 早朝往興陽本宅, 則舍廊盡封閉, 而寂無人跡, 故呼僮問之, 則渾眷往碧蹄云, 故卽爲下來。 移時餘令監蒙放出來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 十二日 대가(大駕)가 수원(水原)의 원소(園所)5)에 행차하였다. 이날 주동(鑄洞)에 가서 상언(上言)6)할 내용을 정서(正書)7)하였는데, 미처 다 베껴 쓰지 못하여 남겨 두고 왔다. 大駕幸水原園所。 是日往鑄洞, 正書上言, 而未及盡寫, 故留置而來。 수원(水原)의 원소(園所) 장조(莊祖:사도세자)의 묘소인 현릉원을 가리킨다. 장조의 장지는 처음에는 경기도 양주시의 배봉산(拜峰山)에 있었던 영우원(永祐園)이었다. 정조가 즉위 후 수원 화산(花山)으로 이장하여 현륭원(顯隆園)이라 하였고, 그 뒤 융릉(隆陵)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상언(上言) 위로는 관원으로부터 아래로는 공사천(公私賤)에 이르는 모든 사람들이 쓸 수 있는 문서이다. 상언의 내용은 효자·충신·열녀의 정려·정문과 효자·충신·학행자(學行者)의 증직(贈職)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다. 상언은 사림들이 하는 경우도 있고, 자손들이 조상을 위하여 올리는 경우도 있다. 정서(正書) 초잡았던 글을 정식으로 베껴 쓰는 일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 二十六日 출제한 "문무 겸비한 길보여.[文武吉甫]"33)를 지어 올렸는데, 오늘은 바로 알성일(謁聖日)34)이다. 날이 저물었을 때 출방(出榜)하였고 과장(科場)에서 나와 즉시 차동(車洞)으로 와서 묵었다. 出題製進"文武吉甫", 是日乃謁聖日也。 日暮時出榜, 出場卽來車洞留宿。 문무 겸비한 길보(吉甫)여 《시경》 〈유월(六月)〉에 나오는 구절로, "잠깐 험윤을 정벌하여 태원에 이르도다. 문무 겸비한 길보여, 만방이 법으로 삼도다.[薄伐玁狁, 至于大原. 文武吉甫, 萬邦爲憲.]" 하였다. 이 시는 주(周)나라 왕실이 쇠미해진 틈을 타서 험윤(玁狁)이 서울까지 쳐들어오자 선왕(宣王)이 윤길보(尹吉甫)에게 험윤을 정벌하도록 명하여, 윤길보가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공을 세우고 돌아왔다는 내용이다. 알성일(謁聖日) 임금이 문묘에 참배하는 날을 말한다. 《일성록》 정조 18년 갑인(1794) 2월 26일(갑신)의 기사에, "춘당대(春塘臺)에 나아가 알성시 문무과를 시취하였다."라는 기록이 보인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 初六日 바로 한식일(寒食日)38)이다. 객지살이 중의 한식이라 마음이 갑절이나 근심스럽다. 백건(伯健)이 만나자고 하기에 잠깐 근동(芹洞)39)에 갔더니 술과 떡을 대접하였다. 한참 동안 이야기를 나눈 뒤에 고령(高嶺)에 올라왔다. 화류(花柳)를 보고 싶었는데 아직은 꽃 소식이 까마득하였다. 내려와서 차동(車洞)으로 곧장 왔다. 卽寒食日也。 客中冷節, 懷思倍切悶悶。 伯健要見, 故暫往芹洞, 則饋以酒餠矣。 移時談話後, 上登高嶺, 欲觀花柳, 而尙杳然矣。 卽爲下來, 直來車洞。 한식일(寒食日) 원문의 '냉절(冷節)'은 한식(寒食)을 달리 이르는 말이다. 근동(芹洞) 중구 을지로5가에 있던 마을로서, 미나리를 재배하는 논이 넓게 자리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지역을 미나릿골로 불렀으며, 이를 한자명으로 표기한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 十一日 이조에서 숙직하던 중에 급보(急報)하기를, "2일은 또한 국기일(國忌日, 군주나 왕후의 제삿날)이므로 감히 입계(入啓, 계장을 왕에게 올림)할 수 없으니 급히 고쳐 택일하라."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4일로 다시 택하여 들여보냈더니 또 와서 "이날도 또 국기일이다."라고 하므로 다시 택일할 예정이다. 自吏曹直中急報 "初二日亦國忌, 不敢入啓, 急急改擇"云, 故以初四日, 改擇入送, 則又來云 "又是國忌", 故更擇爲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 初六日 추웠다. 아침을 먹기 전에 칠패(七牌)에 가서 생원 윤열(尹烈)을 만나 우리 집안의 세덕(世德)을 언급하고, 오는 길에 곧바로 근동(芹洞)으로 가서 벗 이건(李健)〮·이순(李順) 형제를 만났다. 또 이 흥양(李興陽)을 만나고 왔다. 寒。 食前往七牌見尹生員 烈, 言及吾家世德, 而來路直向芹洞, 見李友健順伯仲。 又見李興陽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 初七日 요통(腰痛)이 매우 심했으나 가까스로 근동(芹洞)에 가서 이 흥양(李興陽)을 만났다. 또 칠패(七牌)에 갔으나 윤 생원(尹生員)을 만나지 못하고 왔다. 이날은 몹시 추웠다. 腰痛大發, 艱往芹洞見李興陽。 又往七牌, 不見尹生員而來。 是日極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 初八日 또 몹시 추웠다. 대체로 금년의 추위에 대해 모두들 근래에 처음 있는 추위라고 했다. 요통이 그치지 않았는데, 또 감기까지 겹쳐 몸이 오한으로 심하게 떨렸다. 이에 어쩔 수 없이 팔선(八仙)의 집을 청해 얻어서 불을 많이 때고 땀을 흘리자 한기는 조금 줄어들었으나 허리 병은 그대로였다. 又極寒。 大抵今年之寒, 皆云近來初有云。 腰痛不止, 又患感氣大寒戰, 故不得已, 請得八仙家, 多爇取汗, 寒氣小減, 而腰病自如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2일(임진) 二十二日 壬辰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병술) 十七日 丙戌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정해) 十八日 丁亥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무자) 十九日 戊子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을유) 十七日 乙酉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정해) 十九日 丁亥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무자) 二十日 戊子 흐림. 비 온 흔적이 있었다. 陰。雨痕。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을유) 十八日 乙酉 맑음. 陽。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