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 十四日 ○밥을 먹은 뒤 여러 벗과 관정동으로 가서 잠시 얘기를 나누었다. 그길로 종루(鍾樓)로 가서 둘러보았다. 그길로 구 광화문 밖으로 가서 잠시 안희로(安希老)를 만났다. 나는 백운동의 이정하(李正夏)에게 갔으나, 숙부와 조카가 모두 없어서 만나지 못했다. 돌아오는 길에 정동에 들러 잠시 이야기를 나누었다. 각교로 들어갔는데 판서가 대궐에 들어간 바람에 그 아들 지학(持學)하고만 작별하였다. 저물녘에야 주인집으로 돌아왔다. ○食後, 與諸益往冠井洞暫話。 仍往鍾樓周玩。 仍向舊光化門外, 暫見安希老。 余則往白雲洞李正夏, 叔侄皆不在, 不得相面。 來路入貞洞暫話。 入㰌橋, 則判書入內, 只與其子持學作別。 乘暮還主人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衡山神禹碑歌【幷志】 久旅忘家翼輔承帝勞心營知裒事與制泰華之定池瀆其平處水犇麓魚獸發形而罔弗亨伸鬱疎塞明門與庭永食萬國右平水土贊集大禹手篆凡四十八字◌許穆跋曰老人從東海歸明年王孫朗善君寄示衡山神禹碑其文侔天地造化若鳥翔若獸蹌若龍騰虎變靈祥殊狀炳耀威神殆非筆力可摹者與伏羲黃帝書不同誌曰夏后氏作形似篆洪水方割人禽鬼神之居相混禹鑿山注海開九州奠高山大川像物鑄鼎姦怪畢見人得遠害而宅土於是得洛書之瑞叙九疇變鳥跡嘉禾刻石衡山亦像物之文也聖人之跡至今四十年昌黎岣嶁山詩杳然傳述異跡而已劉夢得詩亦然碑盖沒於世久矣嘉靖間衡山嶽麓地中其碑始出聖人之文顯晦天也禹貢岷山之陽至于衡山地誌衡山在長沙九江西岣嶁山衡山南麓別峰云王孫篤好古文前年奉使如燕京得之以老人頗知羲黃古文來問之贊曰夏后氏水土旣平像物制書其書奇而正嚴而不亂史記曰禹身爲度聲爲律左準繩右規矩其文亦有規矩有準繩嗟乎千古聖人之畵萬里衡山之刻奚爲而來留黑岳之刹黑岳者陟州之屬而陟乃許和父所宰邑也得此本於朗善君而剞劂以付于此山傳之至今耶余少游完山得見神禹碑陽刻搨本於人家小屛愛而弗諼昨年冬又見陰刻搨本於吳侍郞別館披玩移日手不忍釋吳公曰此本今在黑岳何不圖搨然而黑岳之於丹邱融在四五百之路而路且險阻實無如之何矣未幾江陵趙君斗年適有事來訪酬應之暇余仍要得此書趙君唯唯而去翌年春趙之家君萬九甫因雒行過余兼致其胤書而黑岳所蕆神禹手篆亦隨而至矣鶴山之於黑岳又過二百里之遠而得踐宿諾趙君亦可謂有信之士也今觀字晝變化若蛟龍翔舞若鸞鳳威如鬼靈駿如獸怪嚴而恭奇而正擾而毅亂而敬溫而厲寬而栗直而不倨曲而不屈綜而不紊九德咸備百度俱密令人可畏可愛千態萬象殆天所爲非人力所可摹擬尙矣哉神聖人之心劃也贊文亦頗奇古來知其出於誰手後來楊子雲蔡伯喈之流集大禹手篆爲此文歟抑漢秦周殷以前之文耶其書脫出不能無後學之訝惑焉遂爲之歌曰上古文字如浮雲龍鳳嘉禾何冥邈可怪南霍一片石風雨弗磨更弗剝神物顯晦終有時政似吳劍與楚璞萬里之土千劫下此本從何來黑岳鶴山騷客書有信東風軒檻忽剝啄主人動色雙手擎米顚拜舞自不覺金蠅鐵索四十八得之怳若千金瑴坐見虹月牕壁流面上纖塵三斗撲字軆不類籕與隸天章燁爛雲錦濯萬丈光怪眩人目如夔之股如蛟角飛空夜叉噉虎豹司命星君騎鸑鷟囓斷鞚靱走生馬急不得暇難促搦奪天之巧非人力鬼斤神斧亂搥琢罔象莫遁銘寶鼎追蠡欲斷懸大樂緬昔鴻流懷襄日芒芒天地浮渾濁川澤山林無定界龍蛇鳥獸太斑駁遂令百怪盈人間跳踉頓脚恣嘯嚗咈哉檮杌陻無績羽山黃熊幻形殼崇伯有胤勞其心重華之聖而簡擢大罏鑄出如電斧龍門一腹丁丁斲篠簜桑檿隨地宜巢窟餘生見大墣八載橇梮神有迹海沙聲敎又南朔穀腹絲身民免魚梯航萬國沛鴻渥然後姦怪畢露現會意象形瑤管握獸犇魚駭發爲書縱橫字畵頗犖确廓然掃除生靈害山竄海伏無風雹至今平成伊誰賜大哉神功齊隤確况復手畵毫不訛千秋摸搨嗟後學上可軒頡相唯喏去古未遠風淳朴曠世摩挲興一感不獨字書巍乎卓愚謹按吳越春秋曰禹傷父功不成乃巡衡山血馬以祭之仰天而嘯忽夢男子自稱玄夷蒼水使者謂禹曰欲得我山神書者齋焉禹乃退齋三日遂獲金簡玉字之書得治水之要刻石山之高處韓愈詩曰岣嶁山尖神禹碑字靑石赤形摹奇科斗拳身薤葉披鸞飄鳳泊拏虎螭事嚴跡怪鬼莫窺道人獨上偶見之我來咨嗟涕漣洏千搜萬索何處有森森綠樹猿猱悲然則昌黎所咏岣嶁之碑乃神禹所刻石而今此四十八字其遺迹乎否千古之事茫未可知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 十七日 ○율지와 함께 종루에 갔다. 나는 《사원록》을 다시 부탁할 생각으로 예조로 가서 아전 배광옥에게 말하였는데 들어주지 않았다. 그래서 묘동(廟洞)의 장번(長番) 집에 들어가 그 본가로 가는 편지를 받았다. 그길로 정동에 가니 혜길이 말하길 "내일 아침 전에 율지와 들어오겠습니다."라고 하였다. 차동으로 들어가니 감찰(민치원)도 왔다. 그길로 그 종형과 작별하고 주인집으로 오니 박상현이 내려가려고 행장을 꾸려서 나왔다. 그와 함께 유숙하였다. ○與聿之往鍾樓。 余則往禮曹《祠院錄》更附4)之意, 言及於裵吏光玉, 則不聽。 故入廟洞長番家, 受其本家所去書簡。 仍往貞洞則惠吉曰: "明日朝前, 與聿之入來。"云 。 入車洞, 則監察亦來。 仍與其從兄作別, 而來主人家, 則朴祥顯下去次, 治裝出來。 與之同留。 附 저본의 '附'는 앞 '5월 3일' 자에는 '付'로 되어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 十八日 ○아침 전 율지와 정동으로 가서 거기서 아침을 먹고 오후에 나왔다. 박 상인이 밥을 먹은 뒤 출발하였다. 동향 사람들은 날마다 내려가는데, 나와 율지는 혜길이 함께 가자고 하는 통에 발이 묶여, 함께 가지 못해 몹시 괴로웠다. 혜길은 내일 새벽에 나온다는 뜻으로 약속하고 나왔다. 오전에 정동에 있을 때 안채에서 음식을 한 상 내와서 배불리 먹었다. 참으로 고마웠다. ○朝前, 與聿之往貞洞, 仍爲朝飯, 午後出來。 朴喪人食後發去。 同鄕之人日日下去, 而余與聿之拘於惠吉之同行, 未得同行, 悶悶。 惠吉則明曉出來之意相約而出來。 午前在貞洞時, 自內間食物一床出送, 故飽喫。 可感可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橫城路中【幷志五首】 巡使旬宣之行回過橫城余以公例往候于邑風雨路中口述所懷時春三月二十五日甲子也重尋舊跡拂蔥裙小輿周流鳳水濆白白楊花飄似雪靑靑黍麥嫩於雲不遑人事今三載欲盡春光已十分自笑虛名兼太守雨中迎候爲誰勤其二獰颷打雨太顚狂飄蕩輕輿泛小航啼鳥風流何寂寞落花消息正紛忙暢情一日猶關數如夢三春易束裝可奈計程奔汩客竹扉荒店乍徊徨其三東風乍歇雨霏霏水北行人霧眼微十里溪山懸墨帖百家林木掩紗幃芹曰逈聽靑蛙呌草店偸看紫燕飛不辨棲臺新物色二年重到是耶非其四溪雲欲薄郭烟疎快活家家午景舒郊草十分看雨後巷花千點覺春餘山中突出蚩氓牒天上飛來刺使車休道督郵閒寂寂疲於酬接果何如其五官道長林聽暮烏行人戒駕又南隅何山榾柮開村店某水橋梁信僕夫狂走雨風亦整暇浮生朝晝在須臾橫城花柳應饒笑百里肩輿寂寂吾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瓊春碑【幷記】 前面刻曰越妓瓊春殉節之處後面記曰越妓瓊春故李侍郞【萬恢】莅越時所眄以其初許身也故欲自潔以守及後官之來衙內人有强之者數被箠楚殆不能堪一日盛服而入言笑自如曰倘無數日呼喚當調病軀一聽所欲翌朝遂往訣其父墳歸爲諸弟梳仍起往錦障江邊坐陡絶石崖歌數闋泣下霑裳悲恨不自勝時稚弟在傍乃詒而使之去卽奮身投死歲壬辰十月其年十六家人奔往拯之衣襟有隱暎物裂縫視之乃李侍郞筆鳴呼其死也視古之從容就義者何如哉今都巡察使異庵李公【秉鼎】以大冢宰出按關東節行部過越州聞而奇之曰以賤籍而乃能辨此此眞烈女也烏可無樹風聲之道乎遂捐俸屬越守俾堅一片石識其處又屬余記其顚末余惟瓊春之死距今位二十四年始得表顯之微我公瓊春之節其將湮沒而已也乙卯八月平昌郡守南羲老記寧越府使韓鼎運書蒼璧西頭短碣香落花巖畔結隣芳固知鸞液三生結不惜鴻毛一死忙溪草孰云常濕雨籬英終看獨凌霜可憐江上啾啾鬼應怨無情李侍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酒泉石【幷志】 誌曰酒泉縣東南路傍有石狀如半破石槽世傳石槽舊在西川邊有酒湧出味極熏醲就而飮者無不足焉邑吏憚於往來欲轉置於縣衆共移之忽大雷震石碑爲三一沈於淵一不知所在一卽此石也云今在淸虛樓南階下○姜希孟詩曰星君以酒名於天坤靈釀液流爲泉鄙俗寧知皆假稱騁以怪談猶流傳原城部曲古縣石斷峯突兀臨蒼然崖下泓澄瞰黝碧石槽破碎橫江堧人言槽在蒼崖巓淸濁自湧休論錢千鍾爲澆百斛洗玉山自倒春風前天工意在合自然何人强欲村中遷羣靈爲恕猜神物劈取槽石歸重淵靈波雖渴石猶頑至今遺跡管河邊我聞此語乍信疑臨淵恐有神蛟涎正欲鼓浪溯淸吟打起霹靂如當年幷取途中一片石盡輸水府供謫仙〇成任詩曰不是無懷卽葛天有酒有酒如湧泉滴瀝纔從巖石注瀲灩已向罇罍傳醞釀非用麴蘖力至味不和皎自然一飮神游泬㵳上再飮夢到蓬萊堧源源自是用不竭但應取醉何論錢當時名縣意有在玆靈赫赫眞無前終是山下鬼神惜雷雨倏忽中夜遷不爲玉檢開深壑定貯金甕藏重淵遺跡寥寥不復見惟有新石橫道邊我欲回天返舊脈莫敎世人流饞涎願羞蟠桃薦明主應須一酌當年年萬酌更期萬萬歲長御法宮朝羣仙風味麴生淼先天怪事幻石隱於泉往跡浮雲一千載齊東野人流相傳一拳破槽忝左契淸虛樓下尙宛然當時縣名豈徒爲至今云云鶴城堧信若有靈名不虛杏村未售一文錢杜康手法將安用空壺只可掛車前人間不解造物意謾道愚夫用力遷安知酒國椰楡物頃刻打破藏之淵淵有毒龍何黝黝杭葦終難到郍邊但留一片寘路傍空敎行客坐流涎嗟我于今始得之五登名樓屬三年風雨百劫然疑說西歸欲質鍊丹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黙齋記 【長城新村林相基德亨自號】 客有從萬里來者以林黙齋齋號叩于鈍人曰黙齋其黙乎曰否然則是虛名乎曰否曰虛實相反物之理也實則不虛虛則不實而黙與不黙皆曰否否何也曰嗟乎客徒鮮黙之爲黙而不鮮不黙之亦爲黙也黙然後曰黙則衛公叔之不言終不言也李太初之無口眞無口也以公叔與太初之賢而目之以不言無口則一箇是病暗人也安有當時之可稱道而亦安有後人之可傳述者乎夫托烏有而稱子虛者如楚狂之狂愚溪之愚是也惟彼黙翁之黙不然可黙則嚜不可黙則不黙名利之士躁於進趍而 白首窮巷坐如泥塑者嚜翁之可黙而黙也耕叟釣徒酒朋詩伴草野相逢會心適意則談笑諧謔娓娓相忘者嚜翁之不可黙而不黙也風雨荒屋簞瓢枵然而怡顔自若不以爲懷者黙翁之不可黙而黙也癡騃之童左右聒聒有難領會而晝夜孜孜敎誨不怠者黙翁之可黙而不黙也黙翁之黙虛乎實乎歸視其家客曰唯唯因爲之記庚戌暮春上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咏圃菜十六種 ❍葑菲桑陰二畝半纖雨下東風旨畜玄冬後蔬香滿屋中❍葵不愁食無囱措置小園葵淸淡如摩詰露中手折之❍芥可笑齊諧子拗舟謾說荒不知淸爽氣斤鼻且鍼腸❍薑憐爾性之天高强老逾辣纔於齒舌間頓覺靈臺豁❍葱方寸屋西畦細絲春理碧匏瓜與結芳侑我盤中麥❍蒜休把忌靑囊贏看利疏滯濁醪四月床百倍於椒桂❍芋世稱能辟穀餌可坐成僊獨愛如君子天然地上蓮❍菘舞風大如蓆沐雨軟於雲痴婢不勝妬較看皴幅裙❍裳草靑葉裹寒飱一生業吾嗜千思都付灰更快招甘睡❍尺蓏着地蒂難爲托籬方莚蔓始識升沈間短長分尺寸❍南蓏層層蒼玉嫩滋味野人家留待霜花節黃甛老更嘉❍瓠白團月千顆錯落短簷茆措大五音口善鳴又一匏❍東蓏阿誰傳此種盈架大於甕若使博望知應先西域貢❍茄子垂垂似木蓮結蒂無虛朶澹味主人廚羹菹靡不可❍古椒似花紅爗爛霜後耀山居味色能兼得華滋佐百蔬❍蘿葍魚稻百年身賴渠恒少疾信宜中國人謂我服葠朮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계사) 十七日 癸巳 흐림. 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갑오) 十八日 甲午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계축) 九日 癸丑 흐리고 비. 陰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갑인) 十日 甲寅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신묘) 十五日 辛卯 맑음. 陽。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일(임진) 十六日 壬辰 흐림. 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21일 二十一日 ○신도(新都)를 둘러볼 생각으로 곧 아침을 먹고 고개 둘을 넘어 신도에 이르렀다. 대궐터를 둘러보니 기둥과 주춧돌이 줄지어 놓여 있었다. 상세히 두루 구경하기도 전에 비가 쏟아졌다. 백암동(白巖洞) 앞 주막으로 들어가 비를 피했다. 한참 있다가 비가 조금 잦아들면서 갤 기미가 있는 듯하였으므로 비를 무릅쓰고 출발하였다. 개태(開泰) 객점에 못 미쳐 들에서 모내기하는 곳을 만나 모내기 밥을 얻어먹었다. 연산(連山) 고을 앞에 이르러 개태정(開泰鼎)54)을 구경하였다. 둘레는 5~6파(把) 정도이고, 깊이는 1장(丈 10척)쯤이었다. 구경을 다하고 나서 출발하였다. 중도에 소나기를 만나 의관이 흠뻑 젖어 몹시 괴로웠다. 간신히 대천(大川)을 건너 은진(恩津) 삼거리에 이르러 잠시 쉬고 나서, 저물녘에 시암(杮岩)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70리를 갔다. ○欲玩新都之意, 仍朝飯, 越二嶺, 抵新都。 翫大闕基址, 則列置柱礎石。 未詳周翫之際, 雨作。 入白巖洞前酒店避雨。 移時少選後。 似有開霽之望, 故冒雨發程。 未及開泰店, 野中逢移秧處, 得食秧飯。 抵連山邑前, 翫開泰鼎。 周可五六把、深可一丈。 翫後登程。 中路驟雨, 衣冠盡濕, 悶悶。 艱越大川, 抵恩津三巨里暫憩後, 暮抵杮岩留宿。 行七十里。 개태정(開泰鼎)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 개태사에 있는 '개태사 철확(鐵鑊)'을 말한다. 이 솥은 태조 왕건이 고려를 세우고 개국사찰로서 개태사를 창건하였을 때 주방에서 사용하던 것으로 전해진다. 충청남도 민속자료 제1호로 직경은 289㎝이고, 높이는 96㎝이며, 둘레는 910㎝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姜睡隱看羊錄後【甲寅】 林觀海【檜】公直祭睡隱姜太初【沆】文曰萬曆戊午秋冬之交嶺外遷客友人某聞斯文姜太初之喪於道路將信而疑以爲太初禀天地精英之氣其生於此世天必有所爲而生無所爲而死似非天之意故終不以太初爲死逮是年十二月有鄕書來報則太初之死信矣天地精英之氣卷而歸矣天之有意於世卒難特矣遂哭而慟之乃書而爲文以己未七月初三日致之于鄕居從孫崙以鷄悉薄具俾奠于吾亡友太初之靈曰鳴呼好惡者人之所必同也而有好善而惡惡者好惡而惡善者則人之性異也非人之本性有異也利祿鑠其外而貪慾煎其內也正直醇粹之自立貪愚險狠之縱恣其所好不同故取舍亦異天下善者少而惡者多故正直純粹者則爲人所惡而貪愚險狠者乃爲人所好惡之也則排陷擯抑而使不得容迹好之也則獎餙振拂而引之於世道朱輪華盖光彩眩人閭里慕之道路榮之接跡而旁午者以類聚焉鳴呼善人之生世其亦厄矣往在丙戌丁亥之間湖南士類一時盛會爲一國英俊之域於是太初以弱冠之年汎觀博識種學績文矯矯牛耳於吾儕矣及其世綱橫加輩流星散太初之家亦罹酷禍而太初孝悌之行因之益著矣忽忽數十年間吾流漂西海無意還鄕而太初亦渾舍被掠牧羝日本盖其忠義之節爲黑齒所服華人所嘆而及其全節而歸出力而排之者誰歟巧舌而毁之者誰歟鳴呼太初之生世初不偶然文章冠當代若將以賁餙王猷矣才局脫凡流若將以幹裁世務矣孝悌出古道若將以感化惡人矣而文只爲一家之言才不得少施於世薰其德而善良者亦無幾人壽止於五十官止於郞僚則天之生此人何意窮此人何意不令壽此人亦何意非天之無意於此人乃無意於此世也鳴呼自吾竄謫以來太初盖一致書而報以身丁內艱諸季同廬吾未有以書弔而居然數載矣誠不意太初函厭世之溷濁也百年知已永相違矣千古文章孰與論矣太初有弟以續其文有子以繼其善則自餘悠悠可暝目矣排之毁之終始窮之者可一笑於地下足矣惟白髮之故人望天涯而緘辭昔山川而猶阻今九泉而何知顧平生之心肝常洞照而無疑庶厥誠之可徹想精靈之在玆寓鷄絮於千里聊以舒夫余悲旦先後於大歸終會合之有期鳴呼哀哉云林觀海乃顔常山之流觀其對誣獄罵适賊之語泉臺之下凜凜猶有生氣以若氣節之人決非阿私所好者而其於姜睡隱推詡之若是則睡隱翁之貞忠孤節足可以俟百世而不惑矣夫尙而論之以姜外卽方之蘇中卽亦未必爲僭而于嗟我國遜於西漢旣無典屬一官且無猉獜閣末之畵而但有如簧之巧舌使此需世之器枯項而黃馘可爲千古一太息也歲崇禎紀元後四甲寅後學光山金震休謹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漂海錄叙 余在原從吳侍郞【顯相】游一日吳公抽一小冊子示余曰此耽羅客漂海錄也子其寓目以爲破寂之資也余受而披覽曰嗟乎人生一死亦自不易而朝鮮國一紅紙固有天定也耶當其時風濤簸盪一片孤舟載沈載浮魚腹之葬政在呼吸之頃而宕巾也張盖也素娥之進食也先發於昏夢夜潮忽落五十餘步之陡海石豚借與一條生路令人追想不覺毛骨之俱竦也以若萬死一生之身收拾殘魂細述所經歷如此之詳而文字頗不草草政認一國之車書同軌而不料海島之上亦能有此等文字也漢拏之石槽琉球之虎山俱是聞所未聞奇哉安南舟中與皇明人問答能使蠻貊起敬而香▣島之朝鮮村尤覺可䙡安南太子之被害云云足以破浮世之惑而抑未知琉球太子亦遭此境也否以若吳公之好古其所褒賞亶其然乎况以吳學士之孫而匪風下泉之念倍它人萬萬者乎靑山島之美人終無下落處他日得意之後倘復有破鏡之重圓否此吳侍郞之所以重惜也但斯人也駕海餘悸想應寤宿難諼矣似不當揚颿向北而終復有鼓篋歌鹿之行宕巾張盖自有前定而天之所命不得自由而然歟噫彼蒼蒼海島之人政欲一見王城而文字之如是淋漓者竟不欲向風一鳴乎非唯技癢之所使男子弧矢之志正不可因噎而廢食也歟此與宦海中喫風波而溺不返者差有間焉而亦可爲慾海浮沈者之一大戒也蘇長公之在儋耳也戱筆自書云始吾至南海環視天水無際悽然自傷曰何時得出此島乎已而思之天地在積水中九州在大瀛中中國在小海中有生者孰不在島覆杯水於地芥浮於水蟻浮於芥茫然不知所濟少焉水凅蟻卽徑出見其類出涕曰幾不復與子相見豈知俯仰之間有此方軌八達之路乎念可以一笑耳斯人也儻得見老坡此書否閼逢攝提格春正月飮薄酒帶微醺信筆戱爲之書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錦江亭次退溪先生韻【幷志】 亭在府東三里愍忠祠下錦障江絶壁上宣德戊申知郡事金復恒創建◌退溪李先生詩曰鵑啼山裂豈窮年蜀水名同非偶然明滅曉簷迎海旭飄蕭晩瓦掃秋烟碧潭楓動魚游錦靑壁雲生鶴踏氈更約道人携鐵笛爲來吹罷老龍眠◌尤庵宋先生記曰李侯子三嘗立朝正言廢錮累年矣旣而時事更新羣賢彙征而侯又抹摋於時世與君平相棄之矣侯性好山水間寧越有蓬萊太華會稽錦江之勝悠然有句漏之興求出爲郡守其江山淸趣果愜宿願而所謂錦江亭者老而支柱殆不可徙倚矣遂割淸俸將以新之則監司魚侯翼之聞而嘉之亦助事力未幾而良構屹然改觀則以上諸山擧入於拄笏之中而十里淸流暎帶于憑檻之外矣侯樂其地僻事簡日哦其間盖屋未就而詩已成矣夫江山之名固有不約而冥會者人之覽之者因之而起其遐想焉然而蓬萊之上未必有不死之藥太華之巓未必有十丈之蓮而會稽之下亦豈有芰荷之水乎惟所謂錦江者是蜀中之水而屢形於草堂之詩無亦有寃禽之啼血乎月白山空如聞其一二聲則侯必悽然而泣下不覺淸興之飜成感緖矣未知侯果然否聊以書問之◌愍忠祠亦在府東三里錦江亭上落花巖傍自莊陵追封後設壇祭端廟朝殉節侍女從人英廟壬戌建祠以寒食及十月二十四日行祭戊寅因特敎改建祠宇賜額愍忠◌落花巖在愍忠祠後十餘步石壁斗絶下有深湫卽端廟侍女從人投江處有短碑刻落花巖江上孤亭似去年登臨客緖更悽然香名萬古空流水往事千家但暮烟杜宇有聲花欲血王孫不返艸如氈傍人莫謾生詩瘦只可今宵帶醉眠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25일 二十五日 ○일찍 출발하여 말치[斗峙]58)를 넘어, 야당(野塘)59)의 송연영(宋延英) 집에 들러 아침을 먹었다. 주인이 1냥을 노자로 주었다. 곧바로 출발하여 국평(菊坪)60)의 하서(夏瑞) 집에 들러 잠시 이야기를 나누었다. 모두 주막으로 와 일행과 잠시 얘기를 나누며, 이에 술을 사서 권하였다. 오수(鰲樹) 최복신(崔福臣) 집에 들러, 오수에게 김수재(金秀才)가 남긴 편지를 전하고 나왔다. 새 객점에서 점심을 먹었다. 주포(周浦) 객점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60리를 갔다. ○早發, 越斗峙, 入野塘宋延英家朝飯。 主人以一兩錢贐行矣。 卽發, 入菊坪夏瑞家暫話。 偕來酒幕, 與同行暫話, 仍以沽酒以勸。 而入鰲樹崔福臣家, 傳鰲樹留金秀才書簡出來。 新店午飯。 抵周浦店留宿。 行六十里。 두치(斗峙) 전라북도 임실과 오수를 잇는 길로 '말재'라고 하였다. 야당(野塘) 전라북도 임실군 남면 야당리이다. 국평(菊坪) 전라북도 임실군 오수면 대명리 국평 마을이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