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聖玉 阻久承信。深以爲喜。物累之不上心。吾固獨與於賢者。而世益險俗益偸。窮追靡歸。朋友之情。安得不興傷。細味來書。殷殷有刊華遡本意思。四十不惑。非君之謂耶。喜賀無已示諭農巖知覺說。固知有此論。後生末學。何敢容喙。然竊嘗思之。夫人之生也。有是身則凝是氣。有是氣則具是理。氣聚理具。妙用之行。精英之發。自有知覺。是乃智之用也。凡理之見於能然。必資乎氣。如燭火之明。資於脂膏也。故朱子曰理未知覺。理與氣合。便能知覺。蓋智之理之明。固資於水氣之內明。而其發用著顯。亦必資乎火氣之外明。水火之氣。不足以交際。則智之理無所於資。而不得施矣。然則以智與知覺之屬水屬火。而謂之不相干。恐未安。知覺專一心之德。智則居四德之一。泛看外面。則固若相異。然智雖四德之一。而能發出四德。涵藏四德。始萬物而終萬物。故知覺能窮通萬物。周流六合。然則謂智與知覺有體用之分則固可。而謂之兩箇物事則恐不可從也。語類安卿問禮智之智與睿知。想是兩樣。曰便只是這一個物事。禮智是通上下言。睿知是充橫得較大。爐中底便是那禮智。如睿知則示那照天燭地底。此是先生六十四歲以後語。豈不暸然明白乎。至若答潘謙之書之云。蓋智涵兩頭。成始而成終。自成終而言。則炯然涵藏。衆理皆具。自成始而言。則隨感先覺。萬情乃行。此心之知覺所以具此理而行此情者也。其與所謂知覺智之事。有何異同。而獨取此書爲定論也。且知覺如蓍之德圓而神。智如卦之德方而知。乍看似若云然。而卦生於蓍。知覺由於智。蓍卦只是一體。智與知覺。初無二致。以有智之理故。有此知覺。知覺只是知此理覺此事也。知此覺此。別討箇心之知覺而智無與焉。則智之所以知是知非。所知者何事也。蓋智是知覺之體。知覺乃智之用。胡雲峰引或問所論致知知字之說。以釋智字曰。智則心之神明。所以妙衆理而宰萬物者也。其添所以二字於或問本語之外。以其有見於體用之分也。今乃以認心爲性非之。心性其果截然爲二物乎。恐終可疑。農巖集答趙道以書曰。知覺之理旣是智。則謂智之用。亦何不可。今乃謂知覺非惟不可以爲智。亦不可以爲智之用何也。此當更考。蓋知覺爲一心之妙。而其用之發。有從理而言者。有從氣而言者。以其智爲標本而精神魂魄爲其所資故也。故朱子以知覺爲智之用智之事。智有知覺。以智知。此類甚多。而又却曰知覺氣之虛靈處。又曰精神魂魄有知有覺者。皆氣之爲也。又以知覺釋生之謂性。此皆各隨其地頭看。不可混看而疑之也。故先師嘗曰。知覺不可離智而言。然智之爲知。眞而無妄。氣之靈亦自有知覺。而都無準則。易妄而難眞。亦不容無辨。竊觀近世議論。偏主太甚。以知覺爲理者。凡於朱子以氣言處。牽强作解。至以氣之靈。謂氣中之理。以知覺爲氣者。凡於朱子以智言處。一切歸之中年未定之論。噫。恐皆過矣。嘗見艮齋集大全標疑曰。廣仲以乾道九年卒三十八。時先生四十四歲也。此書【答胡廣仲書】。又在其前。則以知覺爲智之事。大抵先生舊說也。中庸序則屬之心矣。及至戊午以後。又指氣之虛靈。見語類僩錄。此乃爲定論。【止此】若知覺以智言。只有此一書。則或無怪其言之如此。凡見於大全語類者。不啻重三複四。姑此略擧。則知覺智之事仁說也。以智知元亨利貞說也。覺自是智之用。答游誠之書也。知覺則智之用而仁者之所兼。答何叔京書也。智知之本。因性有智。故情能知。答張敬夫書也。此皆未詳年月。而其見於語類。則覺自是智之用。楊道夫錄而係己酉以後。禮智智與睿智。只是一個物事。黃義剛錄而係癸丑以後。智之所以爲大。以其有知也。輔廣錄而係甲寅以後。知覺自是智之事。黃幹錄而此則無年月。然中庸序出於己酉三月。則語類諸錄皆係其後。豈可一切歸之舊說耶。且中庸序直曰心之知覺。曷嘗謂氣之知覺。蓋艮集此等牽合處頗多。此恐性理心氣之見爲之祟也。爲吾友孤居。雜陳見聞。張皇至此。另加審擇而駁誨之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 二十日 이른 아침에 대묘동(大廟洞)의 공서가 거처하는 곳으로 갔으나 공서가 부재중이었다. 또 구례(求禮) 이지문(李志文)을 만나 돈 문제를 상의하려고 했는데, 이지문도 없어서 어쩔 수 없이 홀로 직방(直房)에 가서 정장(呈狀) 문자(文字)를 부치고 내일 다시 오기로 약속하였다. 난동(蘭洞)의 승지 이광문(李光文)의 집에 갔으나 도승지가 입궐하여서 만나지 못했다. 낙동(駱洞)75)의 참판 광정(光貞) 집에 가서 이야기를 나눈 뒤에 《서재실기(西齋實記)》 한권을 주고, 그에게 큰 형인 승지 댁에 전달해 달라고 말한 뒤에 그의 종씨(從氏)인 보덕(輔德) 광헌(光憲)의 집으로 내려왔다. 잠시 이야기를 나누고 나니 날이 저물었기 때문에 주인집으로 나왔다. 우 참봉 집에 들어가니 주인은 출타하였고, 정 진사와 함께 머물렀다. 早朝往大廟洞 公瑞所住處, 則公瑞不在。 且見求禮 李志文相議錢事矣, 李亦不在, 不得已獨往直房, 付呈狀文字, 而明日更來爲約, 而往蘭洞 李承旨 光文家, 則以都承旨入闕, 不得相面。 往駱洞 參判 光貞家, 敍話後, 仍納《西齋實記》一卷, 使之傳致於其伯氏 承旨宅之意言及後, 下來其從氏輔德 光憲家。 暫話後, 以日暮之致, 不得出來主人家。 入禹參奉家, 則主人出他, 與丁進士同留。 낙동(駱洞)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3가・충무로1가・명동2가에 걸쳐 있던 마을로서, 타락(우유)을 파는 집이 있었으므로 타락골이라고 했으며, 한자명으로 타락동(駝駱洞, 駝酪洞), 줄여서 낙동(駱洞)이라 한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 初吉 일찍 출발하여 용계(龍溪)51)에 이르러 아침을 먹었다. 귀정(歸亭, 영귀정을 말함)에 이르러 잠시 외종수(外從嫂, 외삼촌의 며느리)를 만난 다음, 그길로 출발하여 광천(廣川)52)에 이르러서 점심을 먹었다. 낙안(樂安) 사미정(四美亭)에 이르러 묵었다. 80리를 갔다. 早發至龍溪朝飯。 抵歸亭暫見外從嫂, 仍發抵廣川中火。 抵樂安 四美亭留宿。 行八十里。 용계(龍溪) 전라남도 곡성군 옥과면 근처의 마을 이름이다. 광천(廣川)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광천리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 二十九日 임실(任實) 종인(宗人)이 끝내 오지 않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일찍 출발하여 은진(恩津)의 기촌(機村) 주막에 이르러 아침을 먹었다. 연산읍(連山邑) 상개태(上開泰) 주막에 이르러 말에게 꼴을 먹이고 점심을 먹었다. 주막 문밖을 나서자마자 마침 한 소년을 만났는데, 살고 있는 곳을 물었더니 회덕(懷德) 죽림(竹林)에 사는 익환(益煥) 송치응(宋致應)이라고 하였다. 이에 이야기를 나누며 개태령(開泰嶺) 윗주막을 넘어 대추와 떡을 사서 먹고, 두거리(豆巨里) 저잣거리에 이르러 약주(藥酒)를 사서 마셨다. 송 석사(碩士)는 일이 있어 시장 인근에서 조금 뒤처지고 나 홀로 가다가 저녁에 공주(公州) 유성(油城) 시장 근처 주막에 이르러 묵었다. 100리를 갔다. 밤에 절구 한 수를 읊었다.유성의 객점에 홀로 머물러 있자니(獨宿油城店)마음을 끝내 진정시킬 수가 없구나(心懷竟未收)어찌하여 밤 깊도록 비는 내리는지(如何深夜雨)객지살이 나의 근심 더해만 가네(添我客中愁)밤새 비가 내려 흐릿하였는데, 아침에 일어나 보니 비가 그치지 않았다.6) 任實宗人, 終不來到, 故不得已早發, 至恩津 機村酒幕朝飯。 抵連山邑上開泰酒幕, 秣馬中火。 纔出幕們外, 適逢一少年, 問其所居, 則懷德 竹林居宋益煥 致應也。 仍爲談話, 越開泰嶺上酒幕, 賣棗餠相喫, 抵豆巨里市邊, 賣藥酒相飮。 宋碩士有事市邊落後, 余則獨行, 暮抵公州 油城市邊酒幕留宿。 行百里。 夜吟一絶曰: "獨宿油城店, 心懷竟未收。 如何深夜雨, 添我客中愁。" 夜雨晦晦, 朝起視之, 雨不止。 밤새……않았다 내용상 29일의 기록이 아니라 다음날 아침의 기록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宋道永家禮問目 序文兩病。尤菴曰然其存於今。至不宜於世。是一病。然亦或詳。至及於禮也。是一病。鏡湖曰雖酌以古今之變。而詳略無所折衷。則好禮者不能擧要。是一病也。務本急文。則貧寠者不能及禮。是一病也。當從何說。序文兩病。增解說似圓轉。然觀下文古今二字。與上文兩然字相照應。則其爲兩病之如尤翁說。是正義。沙溪先生亦嘗以是謂尤翁曰。此意獨張維鄭經世知之。此尤可見。凡拜婦人四拜。生子滿月而見廟再拜。以子拜故耶。南溪謂蒙上俠拜之文。明齋謂是偶然。恐皆未然。內則云子生三月。見於父。然則此拜是子見父之拜也。故只行再拜。事神之禮。恐不當有揖。而先儒解瞻禮謂揖。未知如何。揖之爲義非讓也。乃屈而致敬之意。則拜之煩而不宜處從簡以揖之。恐不可曰事神之不當有揖也。但瞻禮二字。輯覽云猶言揖。考證云瞻仰而致禮。以文義求之。則考證似得之。大宗始祖是不遷之位。親盡則藏其主於墓所何也。墓所藏主誠可疑。今但以家禮本意。則所謂歲一祭者。只是墓祭之謂也。附註所謂始祖之墓。想亦只存得墓祭者以此也。然朱子嘗曰神依人。不可離外做廟。今藏主於墓所者。得無離外之嫌否。雲坪曰別子藏主。家禮是朱子初年所作。而晩年編成通解。却致嚴於宗廟之制。祖不可遷而廟不可外。此沙翁所以不敢從遷于墓所之論也。此言恐當。醮禮席前祭。席末啐。何意。席前之前。增解謂中字之訛者是也。席末席西頭也。祭酒敬其物。故必於席中。啐酒入於己。故於席末。此鄕飮酒義所謂貴禮而賤財者也。有官者公服。此有官者。指冠者之父耶。指冠者耶。指冠者而言。宋時朝官。或郊祀覃思。或遺表思澤。子孫雖在襁褓。得以授官。故云有官。遂醮其子註。皆稱壻字。何意。原文稱子。以見父之醮命之義。註之稱壻。以見此禮爲迎婦而設也。恐無別意。主人迎壻。儀禮有拜。家禮無拜。抑朱子損略耶。尤菴以家禮之損略爲正。然揆之以古人重大昏之義。則依儀禮賓主再拜恐當。但今人或有苟簡從俗。不行親迎。而此獨用古禮者。亦所謂緦功之察者也。正寢退溪曰今之待賓客之處。南溪曰安穩之寢室。何說爲是。正寢增解圖式可據。退溪云云恐未然。尤菴曰妣位不書鄕貫。自銘旌神主誌石石碑皆然。備要銘旌式某封某貫。未知如何。尤庵亦不曰本朝李姓娶李。金姓娶金。故不得已書鄕貫以別之乎。且書貫成俗。非獨婦人爲然。丈夫亦書之。蓋不害於義者。從俗亦何妨。襲斂男不冠女不笄。則長爲地下無冠無笄之人。以生時言。則豈非無容儀之甚耶。死者不冠。果如來疑。冠制磊嵬。妨於斂束。若其頹貼。則又失貌樣故不用歟。今依家禮備要。男用幅巾。女用揜。則恐無可議。小斂盥帨巾有臺者。與祠堂冠禮不同何也。參禮冠禮祭禮。則設盥帨于阼階東南。而有臺架者在西。虞祭則設于西階西南。而有臺架者在東。蓋以凡序次在東者西上。在西者東上故也。小斂則盥帨設于阼階。而有臺架者還在東。此果無義。愚意東西二字。恐互換。更商之。小斂註以餘衣掩尸。左衽不紐。上下必有闕文。掩尸者猶云覆尸也。掩覆於尸上。則衽自向左。而無事於結帶也。此與結絞不紐之文不同。上下必有闕文。未知何謂。大斂註留婦人兩人守之。此或是因書儀文。而宋朝有此禮否。主人以下各歸喪次。則殯廳將無人留侍。故留婦人守之。蓋以婦人喪次在內或殯側故也。然古禮無據。恐是宋時俗例。而書儀載之。家禮因之耳。小斂乃奠註。卑幼者皆再拜。備要儀節謂孝子不拜。未知如何。丘儀之孝子不拜。恐未然。前輩有謂孝子荒迷號絶。未遑拜跪之節。只使卑幼替伸。然此時主人尙拜賓。賓可拜而獨不遑於拜奠乎。若倣古禮。孝子於奠前都不拜則已。今遵家禮。朝夕奠有拜。則不可獨於此闕之。沙翁所謂言卑幼。則孝子在其中者。恐得之。爲人後者服所後父。與妻爲夫。儀禮喪服圖式爲正服斬。而家禮爲義服。此朱子損益之義耶。抑其未及再修之致耶。開元禮以所後父爲義服。而家禮因之。果可疑。旣爲所後者之子。五屬皆正服。而獨於父不服正服之衰可乎。此恐家禮之未及再修處。但妻爲夫。恐不可以此相準。在家天父。而適人始天夫。似在義服之科。祠后土無香盒香爐。而儀節備要補八何也。愚聞之師曰。土地之神陰。故無焚香求諸陽之義。然亦無截然爲陰爲陽之理。陰中亦自有陽。此備要所以補八也。遵用爲宜。凡讀祝祭者皆跪。祠后土告者立何也。告者立。恐無別義。時際悲遑。祭不備儀。不可以平時相準。自遷柩至設遣奠。皆無焚香之節何也。朝奠旣有焚香。自遷柩至遣奠。皆謂饌如朝奠。而更不別言行之之儀。則其儀如朝奠可知。不可以無焚香字而疑之也。自虞至禫。無參神之節。【獨祔祭有參】儀節補八可從否。三年內無參神之節。以其常侍而用事生之禮故也。丘儀補八。未知其得。卒哭主人主婦進饌。祔祭復祝進饌如虞祭。似誤。祔祭使祝進饌。先儒所論不一。恐不敢專輒。大山曰祔祭竝祭祖考。不敢輒以衰絰之身。親自將事於祖考之位。故不免。只依虞祭之儀。使祝代之。此說恐似然。祔祭告曾祖考妣祝辭。自稱孝子何也。明齊曰古禮以一祝。竝告祖孫之位。欲其祔合。而合辭兩告。家禮始分而爲二祝。而於曾祖亦稱孝子者。似因儀禮本文。而未及修潤。此說爲是。但一祝兩告於祖及考。而專以子稱者。退溪曰此祭主於升祔考妣而設。故只稱孝子也。告祖位。今當稱孝曾孫。襲後執友親厚之人至是八哭註。臨尸哭盡哀。出拜靈座。奔喪條入門詣柩前哭再拜云云。子之於親。與他人自不同。開塋域祠后土無三獻。而墓祭祭后土三獻何意祀后土三獻禮也。葬時悲遑。不能備禮。故旣不焚香。又以酹酒代奠爵而止。及祭墓之時。始備禮耳。家禮意本自如此。始祖設饌。兩位幷之。先祖設饌分之何也。祭始祖以妣配祭。只一位者。夫婦同享也。祭先祖。先祖者自始祖而高祖而上。非一人也。故設二位。祖妣二位者。舅婦不同享也。先祖考妣設饌。首心肝肺脊脅各異何也。等穀之義。醋與醬同乎異乎。若同則竝設之何意。醋醬。以醋水爲醬而調和羹菜者。曲禮所謂酒醬處肉是也。與豆醬有別。然要訣備要之竝用。恐似無義。鄙家遵尤翁說。依士昏禮。和醋於醬。而只用一器。未知如何。啓飯蓋進饌時行之可乎。初獻後行之可乎。依儀禮。進饌時啓之似當。而備要便覽皆補八于初獻三祭之後可疑。三祭是代神祭。以古人每種各出少許之義推之。恐不當合飯蓋而祭也。斯義也吾聞諸西岡翁。飯東羹西爲右設。飯西羹東爲左設。左右之分。必以大羹爲主何義。特性饋食禮。設大羹湆于醢北【薦左】。公食大夫禮及士昏禮。大羹皆在薦右。士虞禮大羹設鉶南在右。蓋羹左則飯不得不右矣。羹右則飯不得不左矣。以此見左右之分。故曰主於羹而言。恐別無他義。受昨時。實于左袂。掛于季指。是何爲。實于左袂。便右手也。掛于季指。便卒爵也。飮酒之時。恐遺落故。掛以小指。註疏說如此。陶菴曰父在母喪。服禫服以終禫月。禫月旣盡。來哭於墓前除之。終禫同者。自喪至此凡二十七月。除服於墓。則於神主全然無事。豈非未安乎。生人除服。於神主何關。無事於神主。故不得不哭於墓所而除之。然除於墓所。亦有非使者。設虛位哭除之。似不妨。忌祭無竝祭之文。而我東先賢行之已久。果合於禮之正義乎。忌祭竝設。晦齋栗谷亦有本情安心之訓。然忌是喪之餘。念是日所喪之親而爲之。祭則他親之不於是日喪者。豈其當祭之時乎。是以朱子退溪皆斷之以非禮之正。但行之已久。有難猝變。退陶嘗謂吾非宗子。故不敢擅改。而吾子孫當令勿似之也。近聞其後孫。亦皆竝祭。成俗之難變有如是矣。家禮墓祭先參後降。而要訣先降後參。當從何說。墓祭之先參後降。觀下文祭后土先降後參而註曰同上。則增解所謂板本訛者是也。沙溪曰設位而無主。則先降後參。墓祭亦然。要訣又如是。先賢定論。固不敢更議。然體魄所在。非紙榜標記之比。而一例作虛位看。尋常可疑。后土設飯羹乎否乎。若不設則設匙何也。朱子於家禮只用四器盤。而至戒子書則曰。可與墓前一樣。菜果鮓脯飯茶湯各一器云云。故尤翁有從此從彼無所妨之說。惟在行者之所擇。若無飯羹。則匙筯不必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詩(1)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到靑川謁楠谷宋相公【近洙】 韙哉楠谷丈。勇退急流間。畎畝愛君切。林泉樂志間。心期淸似水。德望重如山。渾是團和氣。登筵喜接顔。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奉別關西金進士【龍鉉】楊斯文【基承】 千里去留恨。其如未挽何。相思他夜月。應照大同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拜尤菴宋先生墓 乾坤有正氣。鍾以爲先生。身抱春秋義。道如日月明。及門縱未炙。謁墓用伸誠。山水遺風在。千秋玉振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題鄭籣坡【錫珍】碑閣二首 將軍當日擬干城。膽氣爭推間世英。麟閣千秋齊盛蹟。螭頭四尺勒高名。芬芬長與榮江活。丹雘同瞻錦岳晴。多少行人應指點。峴碑隨淚較誰輕。八朔守城身作城。豊碑偉蹟世推英。漢水雲烟長護閣。錦山草木尙知名。烈烈精靈應不昧。冥冥風雨未全晴。當時少緩將軍死。夷虜何曾問鼎輕。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林錦愚【相煕】明字韻 醒時屈子醉淵明。一曲林泉送此生。每有良朋勞遠訪。自無濁世近浮名。眼纈書燈睡魔引。塵埋劒匣壯心驚。煩君更約重陽會。亂酌黃花酒數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挽鄭江沙【在健】 松老淸風舊巷園。貞臣載誕與時關。十年屛廢心懸闕。一死從容義重山。應有忠魂朝列祖。忍看禮俗變諸蠻。殷夷齊蠋堂堂節。異代同歸伯仲間。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金應一【源中】迎狂亭韻 慕古嘐嘐立志初。晩來嘉遯傍山居。巖危時有尋巢鶴。潭古應潛識字魚。四海風塵翁已老。一區泉石地無餘。主人最愛淸狂趣。樽酒邀朋座每虛。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金陵文氏上谷祠壇享韻 祠墟壇設禮容眞。先哲遺風後學遵。庶見斯文未墜地。追思往蹟自沾巾。享儀不與滄桑變。名節長留月岳隣。尙德崇賢今有所。士林景慕舊維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 十九日 ○일찍 출발하여 돌치고개 아래 객점에 이르러 아침을 먹고, 직산(稷山) 삼거리(三巨里)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성환(成歡)에 이르러 김노(金奴)가 짐이 무거운 탓에 그대로 뒤처지기에 동행과 짐을 나누어 소사(素沙)에 이르러 묵었다. 80리를 갔다.-밥값으로 돈 한 냥을 내었다.- 내일은 왕고(王考) 제삿날인데, 집에 별 탈이 없이 편안히 지내는지 모르겠다. 서글픈 마음을 어찌 다 말할 수 있겠는가. ○早發抵乭峙嶺下店朝飯, 抵稷山三巨里中火。 抵成歡 金奴以卜重之致, 仍爲落後, 故分卜於同行, 抵素沙留宿。 行八十里【飯錢一兩出】。 明日卽王考諱日也, 未知家中無故安行耶。 心懷之愴然, 何可盡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 二十一日 ○지지대 고개에 이르러 아침을 먹고, 과천(果川) 읍내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남태령(南泰嶺)을 넘고 강을 건너 청파동(靑波洞) 박영대(朴永大)의 집에 이르렀다. 영대는 입번(入番)하였는데, 별탈이 없었다. ○抵遲遲峴朝飯, 抵果川邑內中火。 越南泰嶺越江, 至靑波洞 永大家, 則永大入番, 而別無故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 十二日 ○출발하여 과역(過驛)68)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율지는 마륜(馬輪)69)으로 들어가고, 나는 침교(沈橋)70)로 들어가 경우(敬祐) 씨 집에서 유숙하였다. ○發程, 抵過驛中火。 聿之入馬輪, 余則入沈橋, 留敬祐氏家。 과역(過驛) 전라남도 고흥군 과역면이다. 마륜(馬輪) 전라남도 고흥군 동강면 마륜리이다. 침교(沈橋) 전라남도 고흥군 남양면 침교리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 十三日 ○경우 씨와 함께 사교(四橋)로 가니 문중 형편 때문에 올해는 거듭 여장을 꾸리는 것이 안 된다고 하여 고민이었다. 그대로 유숙하였다. 율지는 먼저 낙안 동림(同林)71)으로 갔다. ○與敬祐氏同往四橋, 則門中物情以如今之年, 再次治行不可云云, 悶悶。 仍留。 聿之先去樂安同林。 동림(同林)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신기리 동림 마을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1일 二十一日 ○새벽에 출발하여 화성(華城)에 이르니 막 동이 텄다. 대황교(大皇橋)121)에 이르러 아침을 먹고 오매(烏梅)122)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진위(振威) 읍내를 지나 소동(蘇洞)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70리를 갔다. ○曉發, 抵華城, 則始開東矣。 抵大皇橋朝飯, 抵烏梅午飯。 過振威邑內, 抵蘇洞留宿。 行七十里。 대황교(大皇橋) 수원시 권선구 대황교동을 말한다. 대황교는 융릉(隆陵)으로 들어가는 다리인데 대황교 근처에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한다. 오매(烏梅) 경기도 수원시 오산동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金仲志【榮春】聽天堂韻 是非榮辱付先天。秋往春來合自然。居必由仁方得智。事皆合義率無愆。忘機心穩三間屋。帶雨身耕數畝田。肇錫喜名因坐臥。楚騷芳草續餘篇。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