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自警別曲序 自警別曲者。月溪文公所著也。凡十有二篇。篇各數十言。其言皆切實恳至。究古明道。欲援身以措之古道。而于欲勸刺齊整凡今之頹冗散駁者。所謂賢人君子閔時病俗之所爲。而非能言之士所能及者。殆庶幾焉。公歿幾年。其子明浩抱藁徒步。越四百里。踵余泰巖山中。屬以序之。三往還而其請不倦。余惟念詩之亡久矣。正聲微而風雅屢變。一變而爲離騷。再變而爲西漢五言。又變而爲歌行雜體。其間非無可以敦風化矯世俗者。而體格不相類。聲韻不相諧。或因物寓諷而句棘難解。或遇境寫情而旨微難見。雖以老碩儒師。不能盡曉其義。而況閭里童穉。安能聞其說而興起之乎。所以上下千百年之間。作詩詠歌者。反有盛於古昔盛時。而敎化日弛。風俗日敗。馴而至於無父不君。無別無禮。夷狄禽獸之世。而民不知異者。詩敎之不行。亶其由也。夫詩之所以不能行敎者。又非特上之人之不能自反而有以勸懲之。亦由在下者。多尙華藻。搜抉雕鏤。力事句語。而少惻怛感人之意之故也。今此自警曲十二闋。其語恳而莊。其義寬而嚴。其操樸而不俚。其所言者。乃孝親忠君。友兄弟別夫婦。長幼序朋友信。睦於親喪有制。以至婚姻以禮。接人寬厚。鄕里有約。而先之以學文。使之考夫聖賢成法。識夫事理當然。必欲去其惡而行其善焉。蓋其爲言。已足感發懲創。而又復引類排比。雜之邦諺。街童巷穉。亦可使之一聞瞭然陽。幸使協之聲律。用之鄕人邦國。則其有補於風化者。宜不淺小。而顧堂下之言。不書於傳記。扣角之詞。不上於廟堂。乃與下俚巴人。同其沈歇。而人不信焉。則間有知其音者。安得不恨公之不幸而不生於先王采詩之日哉。嗚呼嘻矣。公諱某字某。以孝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承旨高公【大器】墓碣銘。 國朝用人貴京華而賤幽遐。苟衒玉而求售。則其勢雖或易獲。而能守己以正。不與世俯仰。長往無悔者。非卓然有志之士。不能也。若承旨高公。殆其人歟。謹按公諱大器。字大之。高氏系長興。以檢校公諱福林爲中祖。在勝朝甚爀。及麗禪。有諱協。北部尙書。罔僕遯跡。生諱悅。納供不仕。生諱尙德。持平屢傳至諱益深。進士。孝參奉。生諱明進。通德郞。寔公高祖也。曾祖諱鉉。號心齋。生進俱中。祖諱景离。號遯菴。 贈承旨。考諱仁健。號止齋。妣光山金氏。濟民年。有壺範。以 孝廟辛卯生公。公自幼善事父母。志體之養。性而不勉。才敏學問。虛受師訓。及長。識見精明。地步展拓。語默作止。必以法度。不治記問之學。無疾遽言色。孝友行於家。信義著于鄕。固窮守志。不求人知。訓迪子孫。嚴立課程。侍湯迎合極誠。遭艱。柴欒繭梅。令人感動。見人怠惰。懇懇戒喩曰。以孔子之聖。敏而求之。以朱子之賢。銖寸累積。況庸常者。可不百倍致力乎。又常曰。人當以居敬窮理。爲檢身飭行之本。其餘禍福得喪。不須暇論。以 肅廟辛卯十一月二十一日歿。享年六十一。 贈通政大夫承政院右副承旨。葬于和順郡西面細楊洞銅店谷甲坐原。淑夫人礪山宋氏。命夔女。有四德。擧一男二女。男振漢。女適錢昌億金尙鼐。孫男命復。銘曰。節義故家。克趾先美。楸松鬱蒼。永傳萬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 二十日 ○새벽에 일어나 일찍 불을 지펴 밥을 먹었다. 날이 밝을 때까지 기다렸으나 惠吉은 오지 않았다. 해가 점점 높아지도록 끝내 오지 않았다. 저녁 먹을 때까지 끝내 그림자도 비치지 않았다. 몹시 괴로웠다. 주인 영대(永大) 또한 같이 가자고 끊임없이 재촉해댔다. 그래서 너무 늦어지고 나서 어쩔 수 없이 출발하였다. 안주인에게 정동의 이 생원이 꼭 올 테니, 서둘러 쫓아오면 수청거리(需廳巨里)에서 기다렸다가 출발하겠다고 말해두었다.수소거리(需所巨里)에 이르러 한참을 기다렸지만 오지 않았다. 그길로 나루를 건너 승방점(勝房店)에 이르러 기다렸으나 끝내 오지 않았다. 천천히 걸어서 사근천(肆覲川)120) 객점에 이르러 유숙하였으나 끝내 오지 않아 몹시 괴이쩍었다. 50리를 갔다. ○曉起, 早炊仍食。 平明以待而不來。 日漸高而終不來。 至於晩食時, 終無影形。 可悶可悶。 主人永大亦爲同行, 而摧促不已。 故最晩後。 不得已發程。 而言於內主人貞洞李生員必來, 急急追來, 則待之需廳巨里而發。 抵需所巨里, 移時待之, 而不來。 仍爲越津, 抵勝房店待之, 而終不來。 徐徐緩步, 抵肆覲川店留宿, 而終不來。 可怪可怪。 行五十里。 사근천(肆覲川) 경기도 안양시에 있으며 '사근내'라고도 칭한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 十七日 ○일찍 출발하여 사교(沙橋)에 이르러 아침을 먹고 수월점(水越店)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판치(板峙)를 넘어 효포(孝浦)에 채 못가서, 마침 성찬(聖燦)과 이 석사(李碩士)를 만났다. 이들은 신파(新波)에서 내려오는 사람들로 도중에 잠시 이야기를 나누었다. 저녁에 고대도(高大道)에 이르러 묵었다. 80리를 갔다.-밥값으로 한 냥을 냈다.- ○早發抵沙橋朝飯, 抵水越店中火。 越板峙, 未及孝浦, 適逢聖燦及李碩士。 自新波下來之人, 路中暫話, 暮抵高大道留宿。 行八十里【飯錢一兩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동행록 同行錄 정효영 율지 계사년(1773) 본관 영광박상현 사원 기축년(1769) 본관 창원송석년 수이 무술년(1778) 본관 여산송 격 내원 신유년(1801) 본관 남양송 호 여옥 을묘년(1795) 본관 남양박종운 병오년(1786) 본관 창원신희록 자윤 을축년(1805) 본관 고령조성령 무진년(1808) -임피(臨陂) 서면(西面)67) 상동촌(尙洞村)에 거주-박영규 여경 계해년(1803) 본관 밀양 丁孝榮聿之, 癸巳, 靈光人。朴祥顯士元, 己丑, 昌原人。宋錫年壽而, 戊戌, 礪山人。宋 格 乃元, 辛酉, 南陽人。宋 琥汝玉, 乙卯, 南陽人。朴宗運, 丙午, 昌原人。申希祿子胤, 乙丑, 高靈人。趙成靈, 戊辰, 人。 【居臨陂西面尙洞村。】朴榮珪汝卿, 癸亥, 密陽人。 서면(西面) 전라북도 군산시 개정면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 十一日 올여름 4월에 《성원현보(姓苑賢譜)》 발간 관련 일로 친구들과 상경하였다. 다만 단자(單子, 명단)만 받고, 예물(例物)은 받지 않아, 가을을 기약하고 돌아왔다. 올해 곡식이 비록 익지 않았지만, 어쩔 수 없이 가서 보는 것이 좋겠기에 율지(聿之) 형과 동행하였다. 是年之夏四月, 以《姓苑賢譜》事, 與諸益上京。 只納單子, 不納例物, 故以秋爲期而來矣。 今年穡事, 雖云不登, 不得已往觀爲可, 故與聿之兄作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 十九日 ○어제 혜길이 이른 아침에 나온다고 하였으므로 아침밥을 일찍 짓게 해서 일찍이 먹고 기다렸지만, 해가 이미 정오가 되었는데도 아직 오지 않아 몹시 괴로웠다. 오전에 직접 정동으로 가 보니, 혜길이 밤새 갑자기 몸에 병이 나서 출발할 수가 없었다며 내일은 일찍 출발하자고 약속하고 나왔다. 오후에 혜길이 나와서 말하기를 "내일 새벽에 나오면, 이 마을 사람들이 일어나기 전이라 이 집을 찾기 어려울 듯해서 그저 집을 알아둘 생각으로 나왔습니다."라고 하였다. 내일 새벽 일찍이 나올 생각이라며 누누이 말하고 갔다. ○昨日惠吉早朝出來云。 故朝飯使之早作早食以待, 而日已午矣, 而尙不出來, 苦悶苦悶。 午前躬往貞洞, 則惠吉夜間, 猝發身病不得發程, 明日則早發爲言。 故相約而出來矣。 午後惠吉出來曰: "明曉出來, 此村人未起之前, 尋此家似難, 故專爲知家之意出來。"云。 明曉早早出來之意, 累累言托而去。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 十五日 ○아들을 데리고 추동으로 오니 율지가 와서 기다리고 있었다. 수동(壽洞)에서 아들을 돌려보내고, 나는 그길로 출발하여 정문등(旌門登)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50리를 갔다. ○率家兒出來楸洞, 則聿之來待矣。 送家兒于壽洞, 余則仍爲登程, 抵旌門登留宿。 行五十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 二十三日 ○새벽에 출발하여 덕평(德坪)에 이르러 아침을 먹었다. 차령을 넘어 광정(廣亭)에 이르렀다. 상철(相喆)의 집에 들러 잠시 이야기를 나누었다. 모로원(慕露院) 아래 객점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85리를 갔다. ○曉發, 抵德坪朝飯。 越車嶺。 抵廣亭入相喆家暫話。 抵慕露院下店留宿。 行八十五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4일 二十四日 ○새벽에 출발하여 금강(錦江)을 건너니 막 동이 터 올랐다. 널티[板峙]125)에 이르러 아침을 먹었다. 노성(魯城)126) 읍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사교(沙橋)127)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90리를 갔다. ○曉發, 越錦江, 則始開東矣。 抵板峙朝飯。 抵魯城邑午飯。 抵沙橋留宿。 行九十里。 널티[板峙]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월암리에 있는 야트막한 고개이다. 노성(魯城)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이다. 사교(沙橋)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신교리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喜雨歌【幷小序】 甲寅夏大旱川澤斷脉畦畛坼背秧苗之未移與已移者均垂焦槁盖恒暘之杲杲將爲一月有半民情騷擾大可憂虞五月二十五日癸亥余以鶴城兼任操文往禱于白雲山之龍湫欲雨而不雨【兼邑吏隸未能致恪俎豆之豕弗潔牝牡之馬相逸抑或由於兼太守之故耶可嘆】越三日乙丑更設醮于雉岳祠南風長吹陰雲四合將事之夜四更始雨淋灕而徹曉滂沱而終日一晝夜所得恰爲二犁巷陌川瀆皆有活活之聲於是乎憂者以憙病者以蘇人皆舞蹈而秧事百忙擔犁鞭牛而出者溢乎郊街昔者愁恨之聲須史之頃變作歌謠和氣瀜瀜一雨之功若是其博且大乎雖使雨珠雨玉民之歡欣奚至於斯愚夫愚婦之塡街塞路者擧皆攢手而賀歸之於兼太守良可一哂我聖上憂民之念上格于天而封內嶽瀆之靈魚鼈之長咸仰德化冥冥之中雨師風伯轉相扶護以救生靈所謂兼太守者東西奔走適與相値耳有何勩勞之可紀造化中物只可以與民共樂而已遂爲之歌曰曰肅時若休明世恒暘五旬而何徵商羊斂跡寂安在秧馬愆期愁不勝抽牙綠鍼爛欲萎杲杲紅日鬱如蒸健丁鬪水拳又脚公門訴牒頻相仍辛苦鶴城兼太守爲民祈雨雉山登虔恭伏祝四更夕一穗香煙其上升驀地南風吹不盡陣陣黑雲焂飛騰有若冥應桴鼓捷須臾一雨祁祁興田間活水聽有聲碎玉跳珠下層層隨處慰我三農望夜晝不斷續如繩正是人間田事忙烏牸黃犢匝郊塍轉憂爲喜伊誰賜造化之天雨所能山東士女太多事上功都歸羽化丞塡街咽巷歡如雷萬口藉藉香名稱獻味猶川千畦菜繡面何惜百幅繪是時光價藍田客浮虹萬丈雲霄凌此雨出於祈禳否只可一笑軒眉稜曷以呵電蘇常山偶然反風劉江陵請看春臺懸玉燭聖主如天撫黎蒸雉山亦是化中物千古未了奇氣凝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鶴南飛【幷小序】 夏六月二十五日壬辰余以持平見遞郵職【吏判尹定鉉】三十日丁酉又以軍職順遞臺啣秋七月初九日丙午釐裝南歸三年羈絆之跡一朝解脫而向田園其快活之心正似下羊腸而步平郊離瞿塘而溯安流矣戱賦鶴南飛一曲其詞曰撫瑤徽兮冷冷望南雲兮幽杳湖之山兮楚色靑萬古兮未了超羣翮兮獨立彼昂昂者何鳥鍾沆瀣之麗藻兮抱崐閬之淸標頂孤華兮凝紫睫雙星兮流瞭頓脩趾兮洪姱引圓吭兮纖嬥揚磬音兮露淒振玉羽兮霜皎窮天步兮月域渺九煙之塵擾愀稻田之鷺汚兮笑麥壟之雉鷕强名之曰胎僊兮神邈邈兮玄肇鼂將戱兮芝田夕可飮乎璚沼忽臨聣夫鴻都兮鬲江海之緲溔胡塵網之誤落兮嘅人間之矰繳遂沈淪兮山東鬱覊緖兮悄悄愁猿坐兮棘端歎松下之蘿蔦秋復秋兮帷歲晏怨落花兮多少魂漾漾兮雨葉目黯黯兮烟杪蕉帷掩兮月夕茶竈冷兮霜曉驚羽毛之易悴兮顧形影亦何小羌不蜚又不鳴兮但雉山之圍繞悄低頭而拊心兮睇鴈鶩兮眇眇鳧何戱兮聚藻鳳自在兮䕺篠籠沈沈兮隻影夢徒勞兮華表君平蓍兮易林彼孚二兮何兆浮邱翁兮一去闃白雲兮窈窕悵遐躅於蓬瀛兮厭悲音於燕趙長風掃兮翳陰得天日之重曒乍躑躅而徊徨兮翅如刷而如矯凌霄氣兮不摧頫湖海之淼淼終非物於紲絆兮雲一毛兮縹緲倏推枕兮龜玆李委篴兮嫋嫋歌曰鶴東游兮身何貘昔之旟斯今反爲旐兮鶴南飛兮海天渺昔者黝黝今焉皛皛兮南有山兮閒雲色黃緗綠縹南有水兮淡月影白蘋紅蓼鶴兮鶴兮愼莫向暮朝市其尾搖其臂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11일 十一日 올여름 4월에 《성원현보(姓苑賢譜)》 발간 관련 일로 친구들과 상경하였다. 다만 단자(單子, 명단)만 받고, 예물(例物)은 받지 않아, 가을을 기약하고 돌아왔다. 올해 곡식이 비록 익지 않았지만, 어쩔 수 없이 가서 보는 것이 좋겠기에 율지(聿之) 형과 동행하였다. 是年之夏四月, 以《姓苑賢譜》事, 與諸益上京。 只納單子, 不納例物, 故以秋爲期而來矣。 今年穡事, 雖云不登, 不得已往觀爲可, 故與聿之兄作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崔瑩傳 崔瑩者高麗司空崔惟淸五世孫也狀貌魁偉以膂力少隸楊廣軍爲列士恭愍王元年趙日新作亂瑩與安祐崔源擊斬之拜護軍三年從元丞相脫脫伐高郵三十七戰皆勝之又禦賊于准安和泗之間大戰斬首虜甚衆還擊倭大破於西海八年紅頭陷西京瑩爲西北邊兵馬使伐賊有功拜西京尹十一年合諸將兵二十萬人伐沙劉關先生斬之賊衆死者十餘萬人遂復京城十二年金鏞謀擧兵犯興王行宮瑩急擊賊盡殺之拜門下贊成辛旽嫉之讚王貶爲鷄林尹尋削官放流之二十年有倭寇急召拜六道都巡察掌點陟諸將不用命者皆令自斷明年爲楊廣全羅慶尙諸都統使發三道兵二萬五千伐濟州叛者胡石迭里必思古肖禿不花觀音甫等平之禑二年擊倭於鴻山破之又大戰於海豊大破之倭中相戒曰畏避白首崔萬戶云十年拜侍中謝病上都統印綬乞解兵柄禑不許十四年我太上回軍以瑩決策攻遼囚巡軍鞫之流忠州竟斬之瑩初居鐵原年十六父元直臨終戒曰見金如石瑩佩服遺訓不事産業服食儉素其視乘肥衣輕者如犬豕然每臨陣對敵神氣安閒矢石交於左右略無懼色戰士却一步者斬之期以必勝以故御軍三十年大小百餘戰所向有功未嘗一敗國賴以安民受其惠久爲將相手握重兵而關節不到世服其淸務持大體不究細理終身掌兵麾下軍士所識面者不過數十每赴都堂正色直言不少隱左右無應者獨自唏噓而已嘗語人曰吾於國事中夜思之詰朝語同列則旡與我同志者不如致仕閒居然性少戇不學無術凡事斷以己意及其衰耗識慮顚錯妄興攻遼之師尹紹宗論曰功盖一國罪滿天下世以爲名言臨刑辭色自若嘆息曰我生不作惡業無過而死我死草不生塚死之日都人爲之罷市遠近聞者至街童巷女皆爲之流涕棄屍於道行者皆下馬而過之都堂賻米豆百五十石布百五十疋其塚在高陽謂之赤塚洪州三峯有崔瑩祠其神最靈能作禍福殃慶有慢不敬者立死鄕之人驚恐嚴祀之又立迎神望神之祠瑩死之年禑亦見廢四年麗氏遂不祀後謚武愍贊曰麗之典法卽舍上疏論崔瑩曰事我玄陵定亂興王驅僧北鄙逮奉上王却倭寇于昇天以存社稷盪羣匈於今春以濟生民誠社稷之臣也然闇於大體不顧羣議決策攻遼獲罪天子幾至覆國前功盡棄願殿下斷以大義亟命決罪云是疎也果出於輿憤乎或者以爲瑩不死麗亦不亡抑未可知也中朝官人語李穡曰汝國崔瑩將精兵十萬而李某執之易如捕蠅李某罔極之德汝國之民何以報之云瑩雖不死其如天何雖然瑩百戰百克未嘗一挫盡心所事正色直諫節儉淸素家無儋石及死之日使遠近之人罷市巷哭苟非大過於人其能若是乎吁崔武愍其亦人傑也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南北十二驛 丹邱驛在營門南五里原州仇火督郵所住處東軒曰羽化堂門樓曰挾仙樓官橋曰駕鶴橋橋之北十餘步有鍊丹亭亭廢有址村居可過數百餘戶士庶良賤雜錯相隣良田膏沃宜禾稌木棉女紅尙蠶桑雉岳在東白雲在南前後左右多士族家邱墓之地上等馬二疋中等馬一疋下等馬七疋【吏額十五馬戶十通引五六閑散吏四十急唱奴二使令奴四庫直奴一房子二婢子四】神林驛在丹邱南四十里原州仇火有院宇冷落路傍人家不過十數戶西北五里許有營門屯倉南數十里許有橫嶺卽湖西提川縣境橫嶺外椵嶺其南義林池云東十里杻嶺走酒泉之路下等馬三疋新興驛在神林東四十里原州仇火峽間村宇纔爲十餘戶東五里有酒泉淸虛樓臨江照耀村有原州東倉及士族家甍宇民物鮮硏新興賴酒泉而頗不草草然而沿路支站多受其害云上等馬一疋楊淵驛在新興東南六十里寧越仇火村有寧越西倉賴而頗不蕭條人居可爲三十餘戶東五里許有角汗峙峙下卽淸冷浦登峙而可望魯陵火巢村後山西往往有石窟深暗不見底問諸郵人皆不能知上等馬二疋中等馬一疋下等馬五疋延平驛在楊淵東三十里寧越仇火距邑治十里村居纔爲八九戶而峽中計活甚貧薄云自越東走旌善三陟之路上等馬一疋藥水驛在新興東五十里自延平西北三十里平昌仇火東居邑十里西五里有叱馬峙十里有去時利峙山下十室未免蕭條以蕎麻爲業北三十里有舟峙走江綾之路上等馬一疋下等馬五疋平安驛在藥水東四十里平昌仇火峽裏計活稍優於藥水云十餘里有山篝火縋石可治爲硯卽平昌石硯是也下等馬二疋碧灘驛在平安東三十里旌善仇火山中村樣稍勝云下等馬三疋好善驛在碧灘東二十里旌善仇火去邑相近而郵樣酸薄云下等馬二疋餘粮驛在好善東三十里旌善仇火南化外驛中最優者而去年有回祿之災人物産業多被燬燼云山有石可治爲磨巖下往往多蜂筒大抵山東之俗以釀蜜漚麻爲生涯云上等馬二疋下等馬四疋臨溪驛在餘粮東三十里江陵仇火民物不甚殘薄云上等馬一疋下等馬二疋高丹驛在餘粮東北三十里自臨溪相距十里江陵仇火郵樣頗遜於臨溪而亦不甚簫冷云中等馬一疋下等馬二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 十七日 새벽녘에 아침을 먹고 낙안(樂安) 읍내에 이르러 약노(若老) 씨를 만난 다음 곧바로 길을 나서 유점(鍮店) 주막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천평(泉坪)2)에 이르니 이미 해가 저물었다. 이날 70리를 갔다. 曉頭朝飯, 至樂安邑內, 見若老氏, 卽爲上程, 至鍮店酒幕中火。 至泉坪, 已黃昏矣。 是日行七十里。 천평(泉坪)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에 있는 천평마을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15일 十五日 ○아들을 데리고 추동으로 오니 율지가 와서 기다리고 있었다. 수동(壽洞)에서 아들을 돌려보내고, 나는 그길로 출발하여 정문등(旌門登)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50리를 갔다. ○率家兒出來楸洞, 則聿之來待矣。 送家兒于壽洞, 余則仍爲登程, 抵旌門登留宿。 行五十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16일 十六日 ○일찍 출발하여 사미정(四美亭)에 이르러 아침을 먹었다. 광천(廣川)74)에 이르러 요기를 하였다. 귀정(歸亭)에 들러 잠시 외종 형수를 보고, 대초정(大抄亭)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70리를 갔다. ○早發, 抵四美亭朝飯。 抵廣川療飢。 入歸亭暫見外從嫂, 抵大抄亭留宿。 行七十里。 광천(廣川)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광천리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24일 二十四日 ○새벽에 출발하여 금강(錦江)을 건너니 막 동이 터 올랐다. 널티[板峙]125)에 이르러 아침을 먹었다. 노성(魯城)126) 읍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사교(沙橋)127)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90리를 갔다. ○曉發, 越錦江, 則始開東矣。 抵板峙朝飯。 抵魯城邑午飯。 抵沙橋留宿。 行九十里。 널티[板峙]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월암리에 있는 야트막한 고개이다. 노성(魯城)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이다. 사교(沙橋)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신교리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23일 二十三日 ○새벽에 출발하여 덕평(德坪)에 이르러 아침을 먹었다. 차령을 넘어 광정(廣亭)에 이르렀다. 상철(相喆)의 집에 들러 잠시 이야기를 나누었다. 모로원(慕露院) 아래 객점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85리를 갔다. ○曉發, 抵德坪朝飯。 越車嶺。 抵廣亭入相喆家暫話。 抵慕露院下店留宿。 行八十五里。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