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晩翠堂辭 金君奎祥。誦其王大人所居楣扁曰晩翠堂。請余記之。思拙無以應。乃作蕪辭一則以塞其意。彼東園之爛映兮。魏紅姚紫翩反如。豈無一時之好兮。夜來風雨有也無。盍觀夫澗崖千丈翠。亭亭乎鬱鬱乎。而嚴霜不敢虐。獰風不敢威。所以發聖人之歎。所以充志士之庭。吾嘗聞翁之平生。眼前阻搪。不啻風霜勍。貌端溫如玉。精悍氣凌空。視趨羶若將渙。疾染新寔不容。老去愈厲不少挫。錫號其誰眞知翁。詩曰無不爾或承。書云率乃祖攸行。凡爲厥後。視玆勵精。有少豫怠。藤蘿其縈。矧玆象季。履霜而堅氷。我乃作此。庸勖其後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竹下堂辭【癸未】 崔友汝重君子人也。居木浦府之竹洞。署其堂曰竹下。因地名而寓其志也。方壺山人鄭琦爲之辭曰。樹木之愛人各殊兮。斯可觀其由而考其祥。連堤綠滿江紅豈不是嫋麗兮。舍彼取此異夫常。彼萎靡於草亡木卒之區兮。其誰與之短且長。惟主人之豈弟貞直兮。早發軔於儒藪之坰。身處城中卒究業兮。肯將厥美讓漢卿。因地寓趣其思永兮。洵難與不知者知之。對月長嘯非不樂兮。方外淸談非吾宜。且莫道不可居無此君兮。胸中自有四時春。於戱竹於草木猶賢之衆庶兮。香山子其知言哉。亂曰善建不拔。體其確也。中立不倚。體其直也。應用虛受。象其淸也。砥礪各行。象其貞也。竹耶翁耶。鬷仰殆徧。我故作辭。用徵聲韻。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權緩石文 嗚呼。公賦旣豐。報何其嗇。非公之嗇。後輩之厄。公德旣深。命何多錯。非公之錯。斯文之剝。念公平生。庶幾優逸。忠信寬弘。實是天得。風流篤厚。與物無擇。息交絶機。天球未琢。加之以學。闇然斯達。承蹈詩禮。竹翁遺澤。就質奧旨。澹軒傳鉢。早透名關。優哉歇脚。吁彼燁燁。塵空雲邈。我思伊覃。寤寐前哲。拂亂所爲。匪今伊昔。朝簞夕瓢。屢告艱乏。衆皆不堪。公則坦若。世途大舛。時華溢目。莫曰如荼。縞綦聊樂。獨唱寡和。陽春白雪。觀變是堪。長年是祝。衆方瞻注。奈此奄忽。命與道違。壽不稱德。蛻汙返眞。在公云豁。後死凉凉。侯誰可適。念我痴痴。荷愛殊絶。柏社春爛。武夷秋熟。玆忝附驥。二紀星月。一朝告違。永世漠漠。嗚呼。羣羣後出。其誰育之。茫茫殘緖。其誰植之。睠言山河。風悲狐哭。有懷莫訢。有淚空滴。九原有知。可禁蹙蹙。一杯敬奠。辭不盡臆。呼呼我公。庶幾監格。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鄭晩松【致圭】文 於惟晩松。老柏爲兄。用是立世。亦足爲榮。矧公孝義。發之天生。我生差晩。目雖未能。鐺耳有聆。久銘心膺。喪怙餘痛。奉恃竭誠。伯子倡道。溢海令聲。聞風四至。戶屨日盈。公曰循玆。吾責不輕。一身百艱。于市于耕。粤自中歲。家業漂傾。北徙南遷。瑣尾倰僜大小多口。溝壑是驚。公乃鞠瘁。大是登。貸償徵索。米鹽尺升。應之有序。處之若恒。猶恐兄知。有妨業精。兄曰吾弟。獨賢是矜。楊堂日晏。原牖春凝。是兄是弟。藉藉鄕評。秖玆一事。槩厥生平。嗚呼昔我就隣。視異餘人。偏亢是規。貧窶是憐。夤緣商度。餘十數年。山梁雖頹。典型賴存。于以百年。庶同悲懽。公則逝矣。後死誰因。憶舊悲今。雙眶交痕。念公穀似。心血如丹。踰分是懼。每余云云。渠能遵戒。乃謹乃勤。仰俯就緖。足慰九原。陽烏遄飛。練期載臻。笑語如昨。漠漠松塵。情摯奠劣。文莫輸言。昭昭者存。庶其諒旃。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 初九日 이른 새벽에 길에 올랐는데 산길이 험악하고 산세가 구불구불하였다. 구금천(舊金川) 읍내에 이르자 비로소 날이 밝아왔다. 계정(鷄井)·두석애(豆石崖) 수문(水門)을 지나 옛 금천을 통하여 저제곡교(猪諸谷橋)를 건넜다. 그 다리 길이는 한눈에도 족히 한 마장(馬場)은 되보였으니, 이곳이 바로 경기와 황해 양도의 경계선이다. 냉정점(冷井店)에 이르러 아침을 먹고 말에게 꼴을 먹인 다음 사곡(蛇谷) 칠현(漆峴), 응봉장점(鷹峯場店) 칠현을 지났다. 평산 읍내 앞에는 태백산성(太白山城)44)이 있었다. 남천(南川) 금교역(金郊驛, 현 황해도 금천군의 역명), 석종발소(石宗撥所)45) 총수(蔥秀)46) 55리를 가서 유숙했다. 凌晨上程, 山路險惡, 山勢縈回。 至金川邑內, 日始明。 過鷄井、豆石崖水門, 通舊金川, 渡猪諸谷橋。 其橋延袤爲, 初見洽滿一馬場, 是爲京畿、黃海兩道之界也。 至冷井店, 朝飯秣馬。 過蛇谷漆峴、鷹峯場店漆峴。 平山邑內前, 有太白山城。 南川 金郊驛、石宗撥所、蔥秀五十五里留宿。 태백산성(太白山城) 황해도 평산군 산성리 태백산에 있는 고구려 때의 돌성이다. 성벽의 바깥 부분은 돌로 쌓아서 만들고 내부는 흙을 채워 지었다. 성벽에는 5개의 치(雉)를, 동서남북의 육축(陸築) 위에는 문루를 세웠는데, 현재 남아 있는 동문과 서문은 조선 시대에 세운 것이다 발소(撥所) 서울과 의주 사이의 길가에 군데군데 있던 역참으로, 정류소라고도 한다. 원래 중국의 역(驛)을 뜻하는 몽골어의 한역어(漢譯語)이다. 1864년에 편찬된 《대동지지》에, '석종발소(石宗撥所)'는 보이지 않고 '석우발소(石隅撥所)'라는 명칭이 보인다. 총수(蔥秀) 저본의 '총수(叢數)'는 황해도 평산(平山)의 '총수(蔥秀)'의 오기인 듯하여 고쳐서 번역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제41권 〈황해도(黃海道) 평산도호부(平山都護府)〉에 총수산(蔥秀山)은 부의 북쪽 30리에 있으며 총수관(蔥秀館)은 중국 사신이 머무르던 곳이라고 한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 初七日 새벽안개가 진시(辰時 오전 7~9시)까지도 짙게 깔려 있었다. 해가 뜰 무렵에 조겸(趙傔)·홍 첨지(洪僉知)와 서로(西路)31)로 길을 떠났다. 길을 나설 즈음에 죽을 먹고 술을 마시며 참봉과 백건(伯健) 형제와 작별하였다. 말에 올라 사현(沙峴) 전석치(磚石峙), 창릉(昌陵)32) 여현(礪峴),33) 신원(新院)34) 망실치(望賓峙)를 넘어 고양(高陽)까지 50리를 가서 아침을 먹고 말에게 꼴을 먹였다. 벽제(碧蹄)·헌음령(憲陰嶺)35)·세류점(細柳店)·신점(新店)을 거쳐 파주(波州) 읍내까지 가서 묵었다. 이날 100리를 갔다. 절구 한 수를 읊었다.서관의 아름다운 풍광 들은 적 있어(西關佳麗飽曾聞)안개 속 채찍을 울리며 백문36)을 나왔네(霧裡鳴鞭出白門)지금 떠나는 향산 천 리 길(此去香山千里路)풍광이 어찌 그리 듣던 대로인가(風光何似所云云)해가 질 무렵에 일행이 상재(喪災)가 생겨 머물 객점에 들어갔는데, 고을 수령이 또한 나와 창 하나를 사이에 두고 있었다. 그런데 홍 첨지가 하루 종일 크게 취하여 속된 말을 지껄이니 그 고민스럽고 위태로운 상황을 이루 말할 수가 없었다. 간신히 주인집 안방을 얻어 피하여 잠을 잤다. 다행히 별 탈이 없었다. 曉霧至辰時量大塞矣。 平明與趙傔及洪僉知, 作西路之行。 登程之際, 食粥飮酒, 遂別參奉及伯健兄弟。 上馬踰沙峴 磚石峙、昌陵 礪峴、新院 望賓峙, 至高陽五十里, 朝飯秣馬。 自碧蹄、憲陰嶺、細柳店、新店, 至波州邑內留宿。 是日行百里。 口吟一絶, "西關佳麗飽曾聞, 霧裡鳴鞭出白門。 此去香山千里路, 風光何似所云云。" 黃昏時分, 有一行喪災, 入所住之店, 而主官亦出來, 只隔一牕, 而洪也終日大醉, 肆發俚語, 其苦悶危凜之狀, 不可言。 艱得主者內房避宿, 幸得無事耳。 서로(西路) 평안도와 황해도, 즉 관서(關西)와 해서(海西)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창릉(昌陵) 예종(睿宗)과 그의 계비 한씨의 능으로, 경기도 고양시 신도읍 용두리(龍頭里)에 있다. 여현(礪峴) 홍은동네거리에서 은평구 녹번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로서, 이 고개 석벽에 자연동(自然銅)인 속칭 산골이 산출되므로 산골고개라 하고, 여현이라고도 불렀다. 신원(新院) 서울 서초구 원지동과 신원동에 걸쳐 있던 마을로서, 조선시대에 새로 이곳에 원(院)을 설치한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신원동의 서북쪽에 위치하였으며, 새원이라고도 하였다. 헌음령(憲陰嶺) 1864년에 편찬된 《대동지지》에 따르면, 한양에서 의주까지 연결된 간선도로인 의주로(義州路)는 병전거리를 지나 유대소록반현(踰大小綠礬峴)-양철평(梁鐵坪)……벽제역(碧蹄驛)- 헌음령(憲陰嶺)-세류점(細柳店)……. 등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저본의 '瑞'는 '憲'의 오기로 보고 고쳐서 번역하였다. 백문(白門) 본래 서남방의 별칭으로, 도성의 서문이나 남문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이백(李白)의 시 〈양반아(楊叛兒)〉에 "어느 곳이 사람들 맘 가장 끄는가, 까마귀가 우는 백문 버들이라네.[何許最關人, 烏啼白門柳.]"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 初八日 이른 새벽에 말에게 꼴을 먹이고 길을 나서 10리 임진강에 이르니 날이 비로소 밝았다. 말 위에서 시 한 절구를 읊었다.파평관 밖 새벽 닭 우는 소리에(坡平館外聽晨鷄)첫 새벽 찬 서리 밟고 십리 길 갔네(冥踏寒霜十里蹊)채찍질하며 곧장 임진강을 건너는데(鳴鞭直渡臨津水)고개 돌려 고향 바라보니 시야가 아득하네(回首鄕關望眼迷)또 한 수를 읊었다.왕성을 보장37)하는 백 리 고을(保障王城百里州)서쪽 경기에 진을 쳐 거대한 요새로세38)(西畿鎭作大咽喉)하늘은 뜻이 있어 기이한 형세 늘어놓았는데(天應有意排奇勢)땅은 어찌 무심히 명승지를 묻는가(地豈無心問勝區)어지러운 세상엔 산하가 나라의 보배요(世亂山河爲國寶)화평한 시절엔 풍물이 사람을 노닐게 하네(時和風物供人遊)긴 강은 참호요 바위는 성가퀴가 되니(長江爲塹巖爲堞)북쪽 오랑캐 황금 채찍 던지지 못하노라(北虜金鞭不敢投)동파(東坡)를 지나 장단(長端)에 이르렀다. 대개 그 산천의 기세가 매우 밝고 고와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경치가 뛰어난 고장이니 정승 집안의 분묘가 곳곳에 있었다. 덕수(德水)39)와 도라(道羅),40) 진봉(進鳳)41)의 산을 바라보니, 여러 백악이 모두 완만하고 부드러워 사랑스러웠다. 멀리 송악산(松嶽山)을 바라보니 웅려하고 삼엄하여 하늘을 찌를 기세가 삼각산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장대하고 원대한 기운은 나은 듯하였다. 오산(烏山)에 이르니 안개가 주막에서 50리까지 짙게 깔려 있었다.아침을 먹고 말에게 꼴을 먹인 다음 판문(板門) 취적교(吹笛橋)와 탁타교(橐駞橋)를 건너 남대문으로 들어갔다. 인가가 즐비하였으나 집들이 매우 좁았다. 주막집에 들어가 탁주 한 사발을 마시고 바로 만월대(滿月臺)42)에 올랐는데, 그 무너진 담과 부서진 주춧돌 등 보이는 것마다 온통 황량하였다. 마침내 절구 한 수를 읊었다.오백년 전 고려의 궁궐 만월대에(五百前朝滿月臺)풀 시든 저물녘 멀리서 지팡이 짚고 왔네(夕陽衰草遠笻來)백마 타고 주나라로 조회 가는 길 아니지만(雖非白馬朝周路)가던 길 멈추고 옛 슬픔에 젖어보네(留作行人感古哀)채찍을 재촉하여 청석동(靑石洞)43)에 이르러 묵었다. 이날 100리를 갔다. 凌晨秣馬登程, 至十里臨津江, 日始開東矣。 馬上口占一絶, "坡平館外聽晨鷄, 冥踏寒霜十里蹊。 鳴鞭直渡臨津水, 回首鄕關望眼迷。" 又吟一律, "保障王城百里州, 西畿鎭作大咽喉。 天應有意排奇勢, 地豈無心問勝區。 世亂山河爲國寶, 時和風物供人遊。 長江爲塹巖爲堞, 北虜金鞭不敢投。" 過東坡, 至長端。 盖其山川氣勢, 極甚明麗, 爲吾東之第一勝鄕, 相家墳墓, 處處有之。 望見德水、道羅、進鳳, 諸白岳諸婉軟, 可愛。 遙見松嶽, 雄麗森嚴, 其揷天氣勢, 似不及三角, 而長遠之氣似勝矣。 至烏山, 交烟撥所幕五十里。 朝飯秣馬, 過板門, 至吹笛橋橐駞橋, 入南大門。 人家雖擳比, 而但其家舍制度, 甚狹窄矣。 入酒家飮一盃濁醪, 直上滿月臺, 見其類垣敗礎, 滿目荒凉矣。 遂吟一絶, "五百前朝滿月臺, 夕陽衰草遠笻來。 雖非白馬朝周路, 留作行人感古哀。" 催鞭至靑石洞留宿。 是日行百里。 보장 '보장(保障)'은 국가를 보위(保衛)하는 성벽이나 기반이 되는 지역이란 뜻으로, 위정자가 백성을 잘 보호함으로써 백성들이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쳐 든든한 울타리로 삼을 수 있게 하는 공적을 가리킨다. 거대한 요새로세 원문의 '인후(咽喉)'는 목구멍과 같은 곳으로, 매우 중요한 요새(要塞)의 땅인 요충지를 말한다. 덕수(德水) 강원도 평창군 방림면과 대화면에 걸쳐 있는 덕수산을 말한다. 도라(道羅) 옛 장단군 중서면(中西面), 진남면(津南面)에 있는 도라산을 말한다. 임진강을 경계로 북한지역이며 고려 왕조의 수도 개경(開京)과 이웃하는 곳에 위치해 고려문화권에 속한 지역이다. 도라산에 대한 명칭은 《신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동국여지리(東國輿地志)》등의 문헌상에는 '都羅山'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는 '道羅山'으로 표기되어 있다. 도라산과 관련된 구전 기록에, 고려 충렬왕이 때때로 이 산에 올라가 놀이를 즐겼는데 그 때마다 꼭 궁인(宮人) 무비(無比)를 데리고 갔으므로 사람들은 무비를 가리켜 '도라산(都羅山)'이라 불렀다고 한다. 진봉(進鳳) 개성의 동남쪽에 있는 진봉산을 말한다. 저본의 '封'은 '鳳'의 오기로 보고 고쳐서 번역하였다. 만월대(滿月臺) 경기도 개성시 송악산(松嶽山)에 있는 고려 시대의 궁궐터이다. 919년(태조2) 정월에 태조가 송악산 남쪽 기슭에 도읍을 정하고 궁궐을 창건한 이래 1361년(공민왕10) 홍건적의 침입으로 소실될 때까지 고려 왕들의 주된 거처였다. 청석동(靑石洞) 황해도 금천군(金川郡) 고동면(古東面)에 있는 청석골[靑石峴]을 말한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馬蔡峴【自雀臺洞三里】 石路炎塵擁馬頭洞天霞氣正幽幽登高忽望長江色頓減行人一半愁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泛舟昭陽江【毛津江下流自武陵潭十里】 錦繡江山表裏參錯平原廣野漠漠無涯【卽牛頭坪】周流海山又一壯觀信可謂東都好風水嗟乎古之貊人亦能有眼目也夫但漠漠廣野不能種稻只以黍粟爲業可欠津頭有春川外倉距邑十餘里云江柳瘦疎秋色多輕舠不住疾如梭昭陽亭上歸心急一任篙人蕩槳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昭陽亭 亭在山腰下臨長江飛甍矗棟縹渺如畵楣上題江山第一亭憑危檻聽江聲飄然有雲外想北望牛頭之野漠漠蒼蒼詩家眼目更覺一層快活所過樓臺之勝殆無過於此者淸陰先生評品儘是着題壁上又多昔賢題咏〇梅月堂詩曰鳥外【缺】將盡吟邊恨不休山【缺】從北轉江自向西流【缺】下沙汀遠舟迴古岸留何時抛世綱乘興此重游〇白洲詩曰扁舟笳鼔下昭陽按使歸裝錦一囊借問水邊觀我者古來曾有此猖狂〇退漁詩曰昭陽江水抱高樓十月樓讀客子游百里郊原臨故國千家山郭背雄州搜羅景物三杯酒滌蕩興亡萬古愁更喜泉甘兼土美移家擬卜瀼西頭〇次楣上韻秋江停棹上危樓借得行人半日游從古沃饒稱貊國至今佳麗在春州平分大野千牛健倦過遙山百鳥愁謝眺不來謫仙去空欄怊悵坐搔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飛仙亭 昭陽亭之西一層蒼壁間又有六角亭曰飛仙如䳡鷯借一枝捿甚偪窄僅可容身而眼光與昭陽亭不殊使人登臨亦可謂飄飄有遺世之想〇次梅月堂昭陽亭韻無主淸虛境任吾行且休遠山能蘊藉疎柳尙風流往跡雲何在逝光水不留飛仙寧有別只可借遨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憩保安驛【丹邱屬郵自昭陽亭五里】 所謂丹邱屬郵㧾何蕭蕭瑟瑟忽見春川候吏來饋廚饌或懲於曩日安昌站而然耶冷淡荒郵過去丞怪他廚供客盤登迺知前鑑安昌在欲作良醫可折肱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錦江亭和壁上韻【在邑東一里許】 石壁崔巀縹渺一亭阧臨大江楣上多前修題咏而唯曺夏望詩獨步云其詩曰淸冷浦口鳥飛還梅竹難尋野草間從古越中三讓地秪今江上九疑山梨花且莫春添月杜宇應悲夜度關白世人情如昨日無心天地太虛閒錦水無情去不還小亭依舊住人間落花危石層層壁古木寒雲黯黯山往事有塵終未滅浮生與酒且相關今宵只幸東風早杜宇寥寥客夢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愍忠祠【幷誌】 在錦江亭之北與亭相接端廟時從死諸人餟享之所欲說滄桑劫傷心不可詳天涯無限恨日夜錦流長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瓊春碑【幷誌】 瓊春者本府妓名也有色藝曾以童妓爲前官所眄新倅之來衙內人欲納之堅不從命至被刑訊自知其終不免則佯許而以他事出外仍走往錦江上石壁作歌言志書于壁上遂投水而死後人憐之爲竪碑表實其下石壁又刻彰烈巖三字碑在錦江亭之東相去未滿百步云如人石白立堂堂風雨江頭數尺長絶妙好辭誰可寫於今難得蔡中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泛舟錦江【幷識】 主倅府使成好謙原判尹滋一同舟翌日又與旌善守李溭平昌守申檍同舟遡迴三邑倅亦以享官來會云小櫓搖搖日欲曛西陵回首望夫君㜫人遠浦無邊草帝子長洲不盡雲嶺樹詩篇何處在巖花消息舊時聞名區往跡還悽悵韻思無端減一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致善 承翰已數月。溯戀可已。況內旣終鮮。外無交憑。寤辟有摽之時耶。際玆道況何如。探索何義。琦自仲氏喪逝。伏枕摧痛。萬念雲空。不知山外更作何歲月也。來諭陳北溪理與氣合云云。非惟栗翁駁之。沙老尤翁亦皆斥之後學不敢容議。然朱子亦曰。理與氣合。所以成性。又曰理與氣合。便能知覺。此類頗多。蓋理氣雖不相離。而決非一物。謂之合者。有何足病。盛敎云云。甚是甚是。沙翁所駁理氣各在一處。始與之合。如男女之爲。恐斥之過當。尤翁則曰。所斥非以此一句而已。其上得理又得氣之說。甚不是。因以先後兩番之嫌。張皇駁之。然北溪之意。豈今日得理。明日又得氣之謂耶。但語自有次序耳。北溪亦曰理不外乎氣。若說截然在陰陽五行之先。及在陰陽五行之中。便成理與氣爲二矣。此不是較然乎。理氣先後。自源頭而言。則曰理先而氣後亦得。【朱子曰推其所從來。則須說先有是理。】自稟受而言。則曰氣先而理後亦得。【中庸註曰氣以成形。理亦賦焉。】曷謂都無先後之可言乎。若以先言理責之。則北溪亦曰人生得天地之氣成這形。得天地之理成這性云。而此處未及說成形成性之分。故泛言之耳。未知然否。來敎中。理氣雖非二物。亦非一物之諭。礙於淺見。二而一。一而二者。有之矣。天下安有非二物非一物之物耶。理氣決是二物。非朱子語耶。奚獨謂之非二物耶。未知兄所創言耶。取用栗翁語耶。栗翁則非二物非一物。下設爲問答以足之曰。妙合之中。理自理氣自氣。不相挾雜故非一物。雖理自理氣自氣。而渾淪無間。不見其爲二物故非二物。如是自解。故其說易明。兄則突說雖非二物亦非一物。豈非難明之言乎。如曰理氣雖相離不得。而亦非一物。則恐辭順而理明。不審如何。友松公物故。甚怛然。其醇謹白直。樂善好義。于何復覿。宜有挽語。而適膠擾。留竢後便。兒也云將歷拜屛幪。畧畧草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崔强齋【東煥○乙巳】 先施之未能。聖人亦云。拜書感怍無已。至以無聞無學無所短長於人者。責之以可與適道之列。則尤不知所以仰對也。尾陳云云。幸不鄙同歸。勉之以克終。亦可見服勤之誠。然以此爲閑聖衛道。則恐迂疏之甚者也。今大勢已傾。元氣消鑠。豺虎蟊賊。嘬食外內。形氣旺而性命決矣。吾門一線之傳。將無地可植。必須胥告胥勉。握拳努眼。勵宿志務實心。有以眞見其性命形氣之分。而嚴之於念慮事爲之間。庶可扶植得一分半分。若以區區形迹之時有時無者。爲閑衛之道則末矣。以高明之慷慨篤實。宜有定算之出人萬萬者矣。幸波及於同門之列否。特眷發衷。恕察爲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文謙山【鏞○丙辰】 勉慕風義。昔非不切。況今日暮道窮。林中老碩。次第零落。進無依退無歸之時耶。一叩雲扄。仰謝疇昔左顧。獲聽高論。恒切于中而莫之遂。誠之薄矣。愧何如之。伏惟邇者養靜蓄德。起居神相。收拾後輩。至樂充裕否。聞胤兄還尋舊業。俛首進進。沛然有不可禦之勢。非直爲高門賀。實吾林之幸。不覺向慕之益勤也。琦山棲以來。絶無間是非。若可以不敗舊業。而悠悠成習。身心收拾不上。仁愛如吾丈。或可以矜憐而警敎之否。下惠諸什。調淸辭婉。有若陽春流徵。迭奏雲中。短楣蝸簷。賴而生華。感荷之極。旋恐此區區無狀。不能承當其至意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尙三【鼎運○甲子】 惠書出自春中。而八月念日始拜領。雖甚遲延。而複水重雲。間關幾人手。竟不浮沈。仰認心力攸曁。淺膚朽物。何槪於高懷。而寵之華翰。副以刻藤。綢繆繾綣一至此哉。至若景賢錄之惠。尤荷寵幸。琦雖無狀。妄自托於老先生後徒。而牽於傷哉。未曾尊閣之爲恨。今獲擎跪莊讀。如親承謦欬於光風霽月之中。先生之大全。旣不可得見。先生之學之道。此足以一班矣。奉以周旋。庶將不迷。而性愚難移。操懈不固。恐將負見惠之至意。是可愧也。世道之嘆。誠如來敎。風潮日高。登岸無期。寂寞山燈。獨守耿耿。其誰憐我。陽九之果。世自有任其責者。豈暴棄滅裂所可擬耶。元郁近做何事。其姿貌才知。尙森然于目而不能已也。七禩相別。無一字信。渠雖忘我。我何能忘。每因風側耳。庶幾有遂初之日。從古賢達。多自橫走中却回來。勿以始迷而難悟。諄諄于過庭之際如何。老先生衛鬚一著。在今日尤宜到底。講守者人皆然。況後晜於先生者乎。愛渠之至。敢陳昭陵之見。恕察幸甚。地步闊遠。承拜渺然。一鞭渡江。當在何日。臨紙徒有忡忡。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