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6년 오동수(吳東洙)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吳東洙 盧鍾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6년 11월 8일에 오동수가 노종룡에게 대전간행 동참을 요청하기 위해 보낸 서간. 1926년 11월 8일, 오동수(吳東洙)가 광주군 본촌면 일곡리에 사는 노종룡(盧鍾龍, 1856~1940)에게 대전(大全) 간행 동참을 요청하기 위해 보낸 서간(書簡)이다. 항상 한번 당신의 집에 찾아가고자 했지만 수년전에 한번 와 주신 것에 감사해하고 개인적으로 가슴속에 맺힌 마음을 말씀드렸을 뿐이라고 인사했다. 자신은 강촌(江村)의 사면(四面)에 살면서 초월(楚越)사람처럼 계획도 세우지 않고 출신(出身)하는 일도 뜻을 이루지 못했다고 했다. 청화(淸和)한 요즘에 고요히 지내시는 당신과 가족이 안녕한지 물었다. 자신은 좋았던 기력이 오랫동안 좋지 않아 답답하다고 말하고 내 자신은 별로 고통스러운 일이 없어 다행이라고 했다. 대전(大全)을 중간(重刊)하는 일은 그 일이 범위가 넓고 복잡해서 일의 착수를 고하는 것조차 기약할 수 없어 간절히 마음을 쓸 뿐이라고 했다. 당신이 사는 광주군의 정득채(鄭得采)의 말을 들으니 월초에 당신이 소제(蘇堤)에 왔고, 이 형과 약속을 하고는 당장 소식을 전했다고 했다는 것, 그래서 소식을 기다렸지만 아직까지 영향이 없어 마음으로만 그리워했다는 것, 그 때 당신께서 교남(嶠南)으로 행차했다고 들었는데 아직 은거지로 돌아오지 않았느냐는 물음, 대전 간행의 일은 본도(本道)와 영남의 유생들 용진(聳珍)에서 설간(設刊)한 것이므로 본도의 일은 본도에서 하겠지만, 이 일은 한번 함으로써 두 곳이 함께 얻는 일이라고 하며 이 형과 약속을 했다고 하면서 나로 하여금 편지를 써서 물어 알려주는 것이 좋겠다고 하기에 이렇게 편지를 쓴다고 했다. 당신께서 자신의 이름으로 이미 함께 참여하기로 도장을 찍었으므로 함께 간행하는 것으로서 본도(本道)의 금(金)과 같은 혜택을 주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회답을 기다리겠다며 편지를 마쳤다. 발신자 오동수(1878~1945)는 후석 오준선(吳駿善,1851~1931)의 아들로 자(字)는 자춘(子春), 호(號)는 도호(道湖)이며, 본관은 나주이다. 기우만의 문인으로, 『도호집(道湖集)』을 남겼다. 당시 편지 봉투에서와 같이 나주군 본량면(本良面) 북창리(北倉里)에 거주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日谷里盧軫永 至孝 哀前(피봉_뒷면)楊林里 朱泰鮮 疏上(簡紙)泰鮮頓首再拜言. 不意凶變,先大夫人奄違 色養, 承 訃驚怛不能已已.伏惟孝心純至, 思慕號絶, 何可堪居? 日月流邁,遽經襄奉, 過成服 哀痛奈何, 罔極奈何. 不審自罹憂故,氣力何似? 伏乞强加疏食, 俯從禮制. 泰鮮職事所縻末由趍慰, 其於憂變, 無任下誠, 謹奉疏. 伏惟鑑察, 不備謹疏.癸亥六月二十三日, 朱泰鮮 疏上.盧軫永 至孝 哀前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蘇海丈之 宅, 日谷.蒲坪謹慰狀(피봉_뒷면)甲子七月四日謹緘(簡紙)淳黙白.令孫之慘, 是豈夢想所到也. 以德門厚蔭鴻福, 安有逆境如是哉. 所謂理者誠難測, 而天者不可必也. 伏惟慈愛之深, 何可堪遣. 伏乞節哀順變,體氣支持, 以慰 門戶與朋友遠邇之望也. 事到於此, 從上聖賢, 亦皆理遣而已. 淳黙慈癠室憂媳病身疾多日綿連, 而外他無他耳. 病愈暑减, 則謹當進拜矣. 訃使促發, 略此,不備謹狀上.甲子七月四日, 査生 鄭淳黙 再拜.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光日谷里盧珍永氏殿(피봉_뒷면)長德星里李文亮付呈(簡紙)省稽拜言. 阻久甚悵, 謹詢伊來制體候安支, 渾節均慶否?仰祝仰祝耳. 兄媳兒勸歸以來, 但仰屋長吁而已. 老妻向隅垂泣而已. 就悚兩件物今纔送呈, 何爾悚悶哉. 又況更物兩足之欠, 實是罪悶處. 惟願 賢弟下燭,後須勿深責, 此企此企耳. 餘在宋雅口達, 不備疏禮.乙丑三月八日, 兄 李文亮 拜疏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피봉_앞면)光州郡 東村面 日谷里盧軫永 侍座下甫村謹謝函(簡紙)省禮言. 千萬之外 惠書得拜,以知前日慰問之闕罪, 而况下 示中自愧自憐一句, 實是戒我之至辞也.生亦趁時躬進以叙伊來之懷矣. 緣於生涯之一端, 至今拙意未遂, 所愧到顔, 獻 告無譯耳. 謹承審淸和,侍餘體候以時支安云, 以副平日區區深祝, 仰頌仰頌. 生率育觕安, 幸私幸私. 就悚 惠物拜受, 始覺平日愛護之極也. 然而冒廉拜領, 無一粒之還償, 悚至悚至. 或可 恕諒耶否.餘在日後面拜. 不備謝禮.乙丑四月三日, 生 張正極 拜謝.鷄一首,金五圓, 謹領耳.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舊誼旣篤 新媾孔嘉 欣瀉叵測 而禮筵奉話 擾閣未穩 歸有餘悵耿結于中 情固如是耶 憑詢棣案起居連護湛穆 胤奇次第善健 尊少節色色均迪 溸仰區區 査弟歸視家累 平昔度了 庸幸何溷 第新人之閒靜容儀 允洽婦德 則宜室之慶 孰大於是耶 雀悅無比 而迷瞀素蔑敎方應對之節 一無可合 則幸望兄甚勿見憎 而善爲指導 俾知成人之道則自附之誼 豈不偉哉 以是爲恃 而就拱餪儀 豊侈眩眼 所謂答物乾沒巴鼻 自誦愧赧則深矣 兄以知仲之誼 或可恕諒 而勿貽哂唾耶 餘從此續候 怱擾不備狀禮丙寅三月十三日 査弟朴珵坤拜上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省禮白令伯氏丈喪事 實出夢想之外 承訃驚怛 不能已已伏惟友愛隆篤 悲痛何堪 且聞襄禮尙未得克行令咸氏哀能免生病 而兄亦悲慘中庸慮 尤切悶迫 爲之仰念 近日漸寒兄體無損 僉節更何如 仰溯區區 弟功服人 月前遭堂叔喪事 慘廓何言咸氏兄阻餘蹔奉 旋卽相別 悵慰交摯 爲探近節 暫此狀儀 不備上己未至月初三 功服弟 朴天球 狀上【피봉】〈前面〉狀上李生員朞服座前 省式謹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省式令允之喪 此何變也此何事也 侍奉之下情地日倍 其何以堪遣 一自承訃以後 心寒骨冷 不忍向人提道 望須十分寬譬以慰堂上如何 卽問此際侍餘棣履晏重 區區溯仰 不啻尋常 弟侍事粗安 幸外何喩 迷兒之行 以村警退之 從勢固然矣 早晩何關 旣有坪城信便而又此專伻 似是衍文 稍遠程長何如 是勤念耶 餘姑不備狀上壬辰臘月卄六 朴天欽拜【피봉】〈前面〉玉山侍案入納蓬谷狀上 省式謹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向於○貴鎭便付候 想必○入覽矣 伊后月累虧節已變 更詢比來靜養體宇 連護萬重仰溸區區 不任頂禱 弟狀病衰日甚 作一老頭佗〖陀〗入定僧而有知舊來訪 則對棋局應變 精神倍淸 志氣快闊 便作少年人 此可謂益壯者哉 好呵好呵 聞鄭友作那中之行 故玆付數字探候不備禮戊陽初六 弟 憲昭 拜拜(皮封)謹上謝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庭杏岸柳 忽見春光 懷故人 尤不可忘而際玆滿幅情翰 俾開如結 旣慰且感 不欲釋手 矧謹審辰下體居晏重 尤何等欣祝之至 弟業欲往歸果已得由於舊伯丈而結之作伕 還之作納 皆係歉民生死所關也 若以此付之他手 而乃曰吾所不知 則亦非五載玉山爲官 近民之道 故尙此未發而安之 今晦來初 則可能勘歸矣老兄書中 若有棄我之意 而不肯與我言別 是亦情外也諒之如何 萬萬非書可盡 不備 上謝甲二旬二 病老漢 敢不名 拜拜(皮封)玉山仁叟兄 靜座 執事平湖 謹候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이헌▣(李憲▣) 간찰별지(簡札別紙) 1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李憲▣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713 평성에 거주하는 이헌▣이 옥계에 사는 어버이 상중인 노형에게 요사이 상대방과 그의 조카 사이에 발생한 갈등에 대해 충고하는 내용 및 자신이 출발하기 전에 상대방이 찾아온다면 이 일에 대해 언급하지 않겠다는 약속 등을 전한 간찰 협지 평성(坪城)에 거주하는 이헌▣이 옥계(玉溪)에 사는 어버이 상중인 노형에게 요사이 상대방과 그의 조카 사이에 발생한 갈등에 대해 충고하는 내용 및 자신이 출발하기 전에 상대방이 찾아온다면 이 일에 대해 언급하지 않겠다는 약속 등을 전한 간찰 협지이다. 상대방이 간찰의 협지에 장황하게 말한 것은 참으로 무슨 까닭인지 알지 못하겠다고 의아함을 표하고, 자신이 이웃 현(縣)에 오랫동안 머물러 있으면서 날마다 상대방 집안의 재앙을 들었는데, 이 일은 상대방 문중의 변고일 뿐만이 아니라 참으로 친구 사이의 큰 수치라고 그 심각성을 언급한 뒤, 숙질(叔姪) 두 사람 사이에 처하여 그 숙질을 보면 숙질의 잘못이고 그 조카를 보면 조카의 허물이니 지난번에 모 어른에게 편지를 한 것이 어찌 자신이 좋아서 한 것이었겠느냐는 내용, 사정을 모르는 입장에서는 비록 자기의 일이라 하더라도 편지해서는 안되는데, 하물며 다른 집안에 관계된 것을 오죽하면 그 집안의 높은 항렬의 어른에게 번거롭게 아뢰었겠느냐는 내용, 자신도 칠십여 년을 산 사람인데 어찌 광범위한 귀결을 몰랐겠는가마는 어쩔 수 없이 이렇게까지 한 까닭은 실은 부득이한 사정에서 나온 것이라는 자신의 처사를 설명한 뒤, 차라리 대중의 조롱을 받을지언정 스스로 변명하고 싶지는 않지만, 이 일을 가지고 논하자면 상대방의 처사(處事)는 『맹자』에서 말한 '죄가 크지 않을 뿐이지 어찌 죄가 없다고 할 수 있겠는가'라는 경우에 해당한다는 내용, 하늘과 땅사이에 본래 아비 없는 자식은 없으니 아비의 형제는 곧 자질(子侄)들의 어버이므로 그 어버이 된 자가 자질의 죄를 본다면 꾸짖고 매 드는 것이 어찌 안 될 것이 있기에 이것을 행하지 못하고, 매번 '조카가 만약 와서 항복한다면 마음이 개운하게 풀릴 것이다'라고 말하니, 이것이 어찌 명망 있는 양반가에서 입 밖에 낼 수 있는 것이냐고 질책하는 내용, 지금 상대방의 남은 생이 얼마 남지 않았으니 이 일로 인하여 삶을 해칠 필요가 없을 듯하고, 또한 굳이 틀어박혀서 속을 썩이지 말고 대나무 지팡이에 짚신 신고 혹 산에 오르고 물가에 가거나 벗들을 찾아 다니며 삶을 마치되 절대 집안의 누가 옳고 누가 그른지 말하지 말아야 한다는 내용, 자신이 출발하기 전에 상대방이 한번 찾아와 준다면 상대방 집의 근래 일에 대해 말하지 않겠다고 약속한다는 내용 등을 담았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898년 박해열(朴海烈) 등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朴海烈 南原鄕校 □…□ (흑색, 직방형, 7.8×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8년 7월 20일에 모 향교의 장의 박해열·서지열과 재임 김규석·안종윤이 통문이 도착하면 바로 천만리 후손 천성일이 교안에서 나가는 것을 허락하겠다는 내용으로 남원향교에 답한 통문 1898년(광무 2) 7월 20일에 모 향교의 장의(掌議) 박해열·서지열(徐之烈)과 재임(齋任) 김규석(金奎錫)·안종윤(安宗潤)이 통문이 도착하면 바로 천만리 후손 천성일(千成日)이 교안(校案)에서 나가는 것을 허락하겠다는 내용으로 남원향교(南原鄕校)에 답한 통문이다. 남원향교에서 보낸 통문을 받았는데 명장(名將) 화산군(花山君) 천만리(千萬里, 1543~?)의 큰 공훈을 우리나라 사람이 모두 흠모하고 열성조의 수교(受敎) 또한 뚜렷하게 있어서 그의 후손들이 우리 고을에 타향살이를 했더라도 떳떳한 본성이 있는 곳이라 돌보고 보호했다고 하였다. 하지만 우리 향교의 유생으로 들어온 것은 귤이 회수(淮水)를 건너면 탱자가 되고 오물로 떨어진 꽃에 비유할 수 있다고 하면서 통문이 도착하면 바로 천성일이 교안에서 나가는 것을 허락하겠으니 헤아려주길 바란다고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28년 김병주(金柄周)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金柄周 盧軫永 金柄周神(원형)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28년 3월 4일, 죄제 김병주가 노진영에게 안부를 전하고 돈을 빌려 줄 것을 부탁한 내용의 서간. 1928년 3월 4일, 죄제(罪弟) 김병주(金柄周)가 노진영(盧軫永)에게 안부를 전하고 돈을 빌려 줄 것을 부탁한 내용의 서간(書簡)이다. 해가 지나도록 편지하지 못했다며 음력 2월의 날씨에 어버이 모시고 있는 상대와 여러 가족들이 잘 지내는지 물었다. 자신은 지난 가을 엄친이 별세하신 뒤로 병에 걸렸다가 최근 겨우 효과를 보고 있다고 했다. 드릴 말씀은 매번 누를 끼친다며 그래서 편치 않은 마음이 막심하다고 했다. 오랫동안 출입하지 못하던 중에 또 병마로 인해 곤란을 받았고, 저간에 정리하는 글의 건수(件數)가 적지 않아 다소간에 소비가 매우 긴급하게 되었다며 형의 높으신 우의로 자신의 아이 성환(星煥)에게 금50원을 모조로 주선하여 빌려주시기를 바란다고 했다. 그러면 윤달 2월 말일까지 마땅히 찾아뵙고 다 갚겠다며 꼭 은혜를 내려주기를 바란다고 했다. 또한 추신으로 작년 가을에 보낸 부고는 전해 보았느냐고 묻고 전기(前記)는 대략 말씀드렸는데, 모든 수에 다 전하지 못했다며 형이 가급적 주선을 해주어 보급(補給)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청했다. 발신자 김병주는 광주군(光州郡) 평저리(坪底里)에 살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1935년 임이택(林二澤) 서간(書簡)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林二澤 盧軫永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35년 5월 23일에 시생 임이택이 노진영에게 경성 유학생활의 안부와 포부를 전한 국한문 혼용 서간. 1935년 5월 23일, 시생(侍生) 임이택(林二澤)이 존장(尊丈)이신 노진영(盧軫永)에게 경성 유학생활의 안부와 포부를 전한 국한문 혼용 서간이다. 남쪽에서 훈풍이 부는 이때 농촌은 이앙으로 분주할 것인데 가뭄이 심하여 걱정이 많으실 것이라는 인사로 편지를 시작했다. 이즈음 상대와 집안 안부를 묻고 자신의 안부를 전했다. 자신은 객지에서 먹고 지냄이 여전하다며 다행이라고 했다. 드릴 말씀은 상경을 하면서 의당 찾아가 인사드렸어야 하는데 시간이 없어 편지도 드리지 못하고 2개월이 지난 뒤에야 간신히 편지 한다며 죄송하다고 했다. 객지를 떠나 지내니 부모의 은혜가 바다와 산과 같음을 알겠다며 어찌 갚아야 할지 모르겠다고 했다. 자신은 고시에서 말한 '남자가 뜻을 세워 고향을 떠나 관학(關學)을 함에 성공하지 않는다면 죽어도 돌아가지 않고, 뼈도 묻지 않는다. 인간세상 도처에는 청산(靑山)이 있다.'라고 한 대로 자신이 성공을 하지 않는다면 고향에 돌아가지 않기로 맹세 했다며 자신의 빈약한 집안 형편은 당신이 잘 살펴서 부조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인사했다. 발신자 임이택이 당시 거주했던 곳은 경성부 계동(桂洞) 15-11을 주소로 하는 극동연예공론사(極東硏藝公論社)였다. 그곳에서 발행한 세로줄 규격편지지 2장을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便后更阻候 常切伏悵不審高秋侍餘棣候萬安姑母主體候亦萬康 而允從安侍篤課耶 幷切伏溯之至 婦侄今月十一日遭沙阜仲父喪事 實是家運之孔酷 而摧隕之慟 如何盡喩 且叔父又患二日瘧 逐次欠寧 伏爲之煎悶而已 沙阜訃告 緣此遷延 而且下人盡入於沙阜 今纔?返 故今報通訃 瞻聆姑舍 情禮可謂慙如矣 伯氏丈洛旆間▣…或返程耶 未得聞知 伏菀 餘不備候己巳八月二十六日 婦侄金極永上書沙阜襄日 定在十月十九日耳綿花二十斤仰呈考納如何科事貴中參榜幾人鄙處一門沒落耳【피봉】玉溪侍案下執事坪城婦侄上候書 省式謹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積年阻晤 豈勝耿悵 謹審臘冱侍餘棣候 對時淸毖 第聞節惠嘉賞之典 致賀萬萬 繼以追感之懷歎抑也 切念貴門慶祿 實有淵源 安得不然乎 未能此時趍仰 亦一歎惜也 弟身姑無恙 而今才歸在京舍 隨處愁痛之事多矣 人生於世 若是困苦耶良覺同人 吾兄其間或有璋瓦之慶否 弟則將爲五十 而無一塊肉 烏得免三不孝中之一乎 直欲下去 而抽身之道 異於近方歸期 卒難的定 此非心不足也勢所使然也 且男兒未成功 而不可見妻子則死何足惜自歎可已也餘歲色薄如紗 惟冀餞迓蔓祉姑不備禮甲辰臘月念一日 弟金卿仁拜【피봉】玉山靜座執事坪湖謹候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吾先生使此無可言者 面諭書示 伏惶萬萬 未知何如而所謝者也 然姑舍僣越 敢將一言而上 將命者亦聽之 或有試納乎 燾相當此叔季 必意於秉正黜私之域 執几從之 讀書之月餘 未精於㴠泳操存 有恐其荒失之 及天環之運 不復萬事 重庭之大欠中 前程之天 恾然成晦 幸期櫛翔之復 兩眼開花雖然 一邊有憂世之歎 而無救末流之術 不知如何 而猶以有一杯水 救一車薪之火 況如荒誕浮虛之說乎 願將後天之晴 一有得見明鑑之月 緣是下諒焉 餘在明日之趨達 故不備 上 統希氣體候幸復春風上和氣 而與下率有無憂之地丙辰十一月二十四日 門下生 鄭燾相 謹謝上白雪夜違○命 不進於提撕門 而謹構鳴吠音竹風細動牗雪月高晴天孤念悠悠線向其北雁傳臘月夜 門下生 鄭燾相 再拜稿上(皮封)內洞齊 先生主 軒屛下 入納水閣里 謹謝上圅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次面雖承 而○眞範未接 新好地耿悵 難以容喩 謹未審烟花節棣床啓處候衛重 ○允友侍彩佳相仰溸不任區區 弟合下蒲柳之質 不秋先衰 嘆且奈何 惟迷嬌遠蒙下庇 無事穩過 是可幸也 今於從氏晬辰 相應來臨做慶 而弟則適病未果 恨何如之 允君今才邀來爲計 ○尊座從此帶枉 如何如何 餘不備 候上戊子三月二十三日 査弟 鄭致憲 拜拜(皮封)李生員 棣座執事謹候上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炳倫等叩首言 不意凶變先王大夫人舅母主 奄忽違世 驚怛之外 夫復何言 窃念積年宿患曾所知 而靡日不危慮然那意今忽承實音耶 痛哭痛哭 痛哭之外 何以爲言也 想應初終之具 雖或有歲月之備 而營樹百凡 亦安能無憾而恔也否 痛慕迫切之情 於是焉無謂矣 此際苫體履如何 惟願深自寬抑 以軆平日體○慈念之萬一也 訃書不記○襄禮月日 已過耶 在前耶 此何事而訃連月承也 思來萬念成灰 經歲侍病餘 家事之沒 無頭端 無所底定 則何以理緖也 此亦無用之說 烏得無遠慮也 悲溸切切不已 朞服人表從叔承訃 而固當匍匐徃哭於平日愛我戀我之懃意 去秋喪亂以來 頓沒於人事上合行底道理者多矣 現今不死是生而已 剪燭拭目 不能備狀甲辰八月二十三日 表從叔 蔡炳倫蔡炳載等 謹狀(皮封)李○承重○至孝○苫次䟽上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簡札)頓首言 阻餘○先施 忙手開緘 欣感難量 備審菊秋哀兄棣履體度支相 允玉無頉善長 慰賀區區 實愜所祝 弟府侍粗寧私幸 而身家近以阿睹之症 數旬苦叫 多方藥治 終無示效 自歎年數而已 今年農形 初謂有秋 而收後告歉窃爲如吾窮儒者代悶 草堤辛哀事 不可以筆舌窮道 故早晏間相對穩討計耳 妹兄阻餘委訪 誠甚慰瀉而纔宿一日旋別 猶不若不奉之爲愈也 前後兄書 只有一○枉之○敎 而竟孤所望 祗增臨楮之悵耳 餘不備䟽禮庚戌菊月晦 世夏 弟 拜謝席資一笠具 付送耳(皮封)玉溪 李○喪人○哀前○回納橫溪謝䟽 省式謹封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