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賡 人間五月卽艮辰長得乾坤不老春金母碧桃東海上垂垂寶蔭幾回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宣陵享役渡氷江舟中口占【十二月二十九日南至】 禿首榮銜典祀郞年年佳節送途傍經寒忽喜黃綿襖破寂堪憐綠錦裳桑柘夢邊雲萬里梅楂影下月三霜關心一夜消瀜雪江水蒼蒼尺許長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足成夢聯【臘月初三日夜夢得一韻頷聯記甚分明仍成全篇上三韻鴻筒風亦夢中韻【尾句隨意足成】】 寄似鷦鷯意慾鴻市中朝暮笑郵筒越尨亂吠應南雪胡馬長嘶但北風不醉那能抛俗陋雖艱亦可濟貧窮人間倚伏終難曉且把殘詩問塞翁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御製【五月十五日大王大妃殿誕辰】 寶曆東朝賀慶辰庭萱抽綠駐長春登筵耆耈旡疆祝南極延年壽曜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輓梁黙齊必弘【丁巳】 六旬經籍坐林樊瀟灑園翁有令孫餘事文章投鞚勒故家詩禮訪淵源和鳴五鴈門聲暢善護雙麟世業敦脫屣人間焂何去無端使我惱心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荷屋金相公晬宴【十二月初四日】 聞說泰世百莖萫上繚瑞雲下神龜玉井寶荷龜爲屋藕可千年花四時太乙道人葉以舟龍驤萬斛穩游嬉海外東邱君子邦手植靑藜降棲遲留相大冶噓鞴炭陶唐鑄虞慾無爲鳳兮覽德翔而下百鳥環集羽爲儀較如堂上堂下樂允諧庶尹足一夔聖主好生揚休命和風甘雨萬彙滋十年佐理歸造物寂斂神功坐無思但看八埏煙月下林蔥形色㧾凞凞而今又値降嶽辰春酒瀲灔綠盈巵雨露有香拜宮壺梨園絲筦復相隨冠蓋聯翩傾洛杜紛紛賀鷰入簾帷劈獜爲脯龍爲煮▣桃更摘海上枝擎天浴日世德家集盞獻禱有餘辭但願遐齡南斗齊宗祏磐泰長維持庭下玉樹又趾美爲棟爲柱大廈支也見孫竹森無數不盡醴泉與靈芝豈徒一室鳧葆樂野人亦應祝介眉民物萬年其永賴太平蓍黽昭在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荷屋相公懸燈韻【懸燈山名在加平地山上石間泉夜飮可以療病云臘月十三日】 相門苓朮用功多濟得蒼生挽泰和玉燭金膏今壽域千瘡百瘵歸家家雨露承流惠施多尋常卉木帶春和三年顑頷長安店自愧明時一病家原韻巖巖起自一拳多露潤蒼顔夜氣和神敎金液高巓出醫得人間百病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 初六日 차동에 머물렀다. 留車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表訓寺【在正陽寺東五里】 金剛外兩刹曰神溪楡岾內兩刹曰表訓長安而四寺中表訓最貧雖多有梵宇僧房而傾頹蕭條一無可觀寺中有百斗炊甑以鐵爲之如楡岾所藏大法堂有金身兩立佛寺門外有凌波樓◌椒泉翁詩曰携笻向表訓寺日照人明危棧緣崖仄流川觸石鳴步艱游客倦情款老僧迎夕供香蔬潔上房打磬聲表訓古名僧山樓擇地勝勝區傳相守禮佛叩鐘磬塔宇何荒凉風雨搖不定蕭瑟兩三髡空藏百斗甑泉石終何損一宿聊遣興【揭板】◌初五日壬子晴◌朝發表訓寺十里圓通庵十里須彌塔十里回到圓通庵中火十里復過表訓寺十里地藏庵宿所【終日准陽支應◌本邑宗人履益來與同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 初五日 ○밥을 먹기 전에 율지(聿之)와 함께 정동으로 가서 잠시 얘기를 하고 돌아왔다. 밥을 먹은 뒤 낙동(洛洞)으로 가 참판 이광문(李光文)24)을 만나려고 하였다. 그 집 문 앞에서 참판의 아들 이 진사를 만나서 그의 부친이 집에 계신지 물으니, 오늘 제관(祭官) 일 때문에 수원에 갔다고 하였다. 그래서 아랫집에 들러 참판 이광정(李光貞)을 만나 잠시 얘기를 나누었다. 용동으로 와 잠시 얘기를 나눈 뒤에 율지, 영규(榮奎)와 함께 회동(晦洞)25)의 장성 현감(長城縣監)을 지낸 송운재(宋雲載)26) 집으로 갔는데 송 장성27)이 집에 없었다. 다만 그 재종(再從, 6촌)과 잠시 얘기를 나누고 완북(完北, 전주 북문)의 송민수(宋民洙)의 서간을 전한 뒤에 그길로 나왔다. 송지순(宋持淳) 집을 찾아가 잠시 얘기를 나누고 나왔다. 오는 길에 가랑비를 만나 주인집으로 돌아왔다. ○食前, 與聿之往貞洞, 暫話而來。 食後, 往洛洞欲見李參判光文。 至其門外, 逢參判之子進士, 問其大人有無, 則以今日祭官, 往水原云。 故入下家, 見李參判光貞暫話。 來龍洞暫話 後, 與聿之及榮奎往晦洞宋長城雲載家, 則長城不在。 只與其再從暫話, 傳完北宋民洙書簡後, 仍爲出來。 尋宋持淳家, 暫話後出來。 中路逢微雨, 還來主人家。 이광문(李光文) 1778~1838. 자는 경박(景博), 호는 소화(小華). 본관은 우봉(牛峰)이다. 증조는 이재(李縡)이며, 부친은 아버지는 호조 참판 이채(李采)이다. 1801년(순조 1)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807년 식년 문과에 별과로 급제하였다. 그 뒤 승정원주서(承政院注書)와 예문관검열에 이어, 전라감사 등 내ㆍ외직을 두루 거쳐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회동(晦洞) 서울 중구 충무로4가・인현동1가・인현동2가에 걸쳐 있던 마을이다. 송운재(宋雲載) 1760~?. 자는 치회(稺會)이고,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거주지는 서울이다. 1789년 식년시에 합격한 후 장성 부사, 전주 판관 등을 역임하였다. 송 장성 성(姓) 뒤에다 직책을 붙이는 방식인데, 지방 현감을 지낸 경우, 그 지명을 붙여 직책을 대신하였으며, 성을 빼고 지명만 써서 표현하기도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 初六日 ○문적을 수정하고 용동의 이 참판 집으로 갔는데, 간행소의 유사가 문적을 다 산삭(刪削)하였으므로 종일 용동에 머물렀다. ○修整文蹟, 往龍洞李參奉家, 則刊所有司, 皆刪削文蹟, 故終日留龍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剛門【自萬瀑洞三里】 在表訓寺前卽內金剛門路也兩石對峙一石下壓其中呀然如門雖不如外金剛門之危險奇絶亦足以供一詩料也雙石上交連虛中正豁然未應經禹斧何幸漏秦鞭仄逕通三彿靈區闢八淵軒昻出門去歇惺夕陽天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藥師殿 正陽卽表訓屬寺而藥師殿是正陽寺法堂也內外六稜而新構丹靑玲瓏照眼中有大石佛殿後又有大法堂西有十八羅漢殿東有僧房精明可坐吟玩浮甍矗棟碧層層一寺中央殿六稜宏麗施爲何事業空留石佛對龕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天逸臺 正陽寺後麓更是土山秀麗平穩頓非皆骨山意態一條土脉東而平鋪爲天逸臺其上亦可以望萬二千峯臺下阧截百仞其下平地卽表訓寺峽路傍遍崖木賊靑立無數◌椒泉翁詩曰歇惺樓上坐斜陽面面盡圖對衆香移步換形天逸界老夫與興更呼觴歇惺樓東轉一回平鋪山脉復層臺此間便是朝天路萬佛千僊次第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海山鄭公文 惟公篤厚慈詳。稟於天也。儉簡寅畏。行已然也。樂善好義。執禮逡巡。友其仁而。事其賢也。厭華就靜。寡諧耿介。生斯世而。違斯世也。惟孝友于。我生不早。縱然未目。耳則了了。行滿鄕黨。而不自有。樂得厚生。而知所守。嗟公之德。有能發揮。足以警起。頹俗之迷。天胡不憖。而至於斯。考德無地。識者之悲。昔我瑣尾。得接芳隣。謂余識字。眷顧頗勤。見輒拭靑。辟咡諄諄。所告何語。憫我窮貧。性疏才拙。徒負言言。聞公疾革。馳往造門。時處靜室。禁忌外人。公聞余至。載呼載欣。曰汝來前。吾病已矣。蹄跡橫肆。颶氣溢海。一日之生。一日爲恥。舊冠舊貌。豈不快諸。然惟彼悍。獵吾漁吾。生者可念。將何爲乎。時余嘿嘿。內實嘖嘖。憤世䘏後。非公所獨。談笑死生。何等定力。一生持守。于斯可測。公而在世。可鎭後出。夫何一朝。泉駕遽促。龍亡澤空。鱔走趯趯。視理茫茫。哭墮于目。日月如駛。音容愈邈。晩奠一觴。曷罄我臆。精爽不昧。庶幾歆格。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偶吟三首【涉世日難。用此自警。】 是非適自累。【范質戒從子詩曰。是非毁譽間適足爲身累。】高下亦非佳。【司馬徽不高下人物。有問輒言佳。妻諫曰。人質所疑。一皆言佳。豈人所咨之意耶。答曰若言亦復佳。】肆惟孟古佛。深佩牧翁來。【孟文貞公嘗行憩樹下。有老人牧二牛。一大一小。公問其優劣。老人附耳語曰。小者優。公瞠然曰何爲細語。老人曰彼雖微物。亦有聽竅。豈肯好劣渠之言耶。公歎服。自後不復論人之長短。】渭涇難遽辨。人各有言言。誰知不較者。獨得聖人門。五十年何肆。百過萃一身。省身猶未克。矧暇攻餘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己巳仲秋。同金丈瑞川【琪錘】周君景宅發向故山。經由雙磎寺。宿于靑巖鶴洞崔仲悅【濟學】山庄。 黃蛇八晦前三日。侵晨倂理江州行。瑞川丈人年歲高。景宅畏路還伶俜。十里披霧五里露。江鳥翩翩江日淸。蒸餠熟栗花開洞。路入雙磎玉流鳴。石門煌煌四大字。【雙磎石門四字是孤雲筆云】至今精彩動人睛。八詠樓邊杏子落。眞鑑碑前蓮朶靑。山寂寂兮僧黙黙。誰知方外獨太平。摘梨撲栗諸女伴。奔走林梢如猩猩。雙鶴峯下琮琤水。認是銀漢自天傾。【靑鶴白鶴兩峯之間怒瀑中瀉。世稱佛日瀑云。】自此內院數十里。直是峻截如上淸。雜樹揜天草過肩。石路微微斷復橫。十步九息噉山果。獼猴桃盡山萄幷。胥告胥勉登登盡。天王盤若如相迎。束身穿樾循逕下。洞府邃長雙眼明。曾與故人留夙約。倚杖招呼叩雲扄。故人爲我迎山外。咫尺相違客先登。【仲悅待我於花開洞口。忽相違繣。日暮始追還。】滿盤蒸藷足茶果。君是五經我非程。泉甘土肥宜耕稼。採山釣水誰所爭。山外人間難可居。海龍吐火八表冥。古來地名亦非偶。安知是非王官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賦長句二則發其餘意 諸君謂我金剛客。請把金剛較一場。秀者奇者皆天質。何必與之短且長。大牛小牛俱不敢。況乃鉅靈靈煌煌。但願諸君觀嶻嶭。咫尺可摩九天閶。直岊矗空雲渺渺。千山匝地波彭彭。漠漠飛鳥不可赴。海拔三千尺有强。環以大洋同霄漢。直與喬松同翶翔。問君登此果奚爲。擊樽三嘆歌慨慷。睥睨萬里靡攸適。維東猘喙西羊腸。却笑吾哀㥘雄觀。回首千載心茫茫。曾讀考亭南嶽詩。劇嘆世故如蝟毛。復嘆歲月逝滔滔。起望停雲首空搔。我疑先生何至是。千仞峯高快所遭。今日登斯一徙倚。海雲動盪崩鯨濤。魚逐轉浪鴉啼草。百萬漏船皆失篙。書劍悠悠終何哉。憑高一嘯風如刀。又是鬂邊白千絲。迎風掀聒如相嘲。却慚平生山水心。自作營營貨食饕。始識先生心正苦。因其近似示後曹。至義正在心期遠。聊與諸君共勉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柳西岡【戊辰】 以琦有越疆之行。跋涉寒程。躬臨以餞。停車執袂。悵然之意。溢于言面。當日去留光景。俱堪傷心。顧琦何人。平昔見愛。已不勝其周渥。而今玆背棄故舊。狂投殊方。猶不遽賜遐斥。眷念至此。感心鏤骨。靡一刻暫忘胸臆間也。新樓擾攘。未卽以一紙鳴謝。迺竟倒拜先施。疏慢不及。殊甚愧惶。展讀下敎。戀戀契闊之悵。亹亹獎勉之意。又能曲當人情。而振起頹靡。感僕之極。不覺拜手至地。但擇居之喩。恐未及悉。而云風塵溢世。勝地何有。人心胥澆。里仁可論。使得勝地而里仁。所持乏贏。所藏不恕。而語期百世之久齊魯之變也。惟山大宜樵。野大宜耕。水大宜泳。而五家相聚。夏樂與共。斯則幸耳。少輩團合可喜。而巖室湫穿。難於聚讀。其父兄諸公。共圖改搆。役伊始而力未敷。見甚問悶。曩爲此擧。遠近知友。無一不以不當見誚。而心獨決然不疑者。以將稼穡於深渠廣畦之原。逍遙於江山泉石之間。時與二三子。讀書講學於荒閒寂寞中。以爲方壺遯夫則足矣。朅來爰居。俗累侵尋。酬應煩擾。眼前碌碌。一似較銖量筲賤丈夫狀態。所獲無幾而其失已多。知舊之誚。始覺其先見也。柏舍之會。豈敢忘。新寓未整。衆故掣肘。未敢預必。而少輩計不當闕耳。南塘禮論荷抄示。誨人不倦之仁。亦可見其一端。仰感何喩。奉而乍閱。蓋不拘前人成說。不顧傍人是非。勇意直前。說出人不敢說底。誠千古大議論。而非區區末學之所敢議到。然私心固未快也。留作閒中商量。徐當奉質。幸少竢之。歲新而氣候不佳。道體伏惟何如。道與世降。殘脈如綫。倚重門下。不翅岱斗。如岡如陵。君子萬年。遙遙不任頌祝。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禮十圖題辭 凡民之生。莫不有本。報本維何。祭以追遠。豺獺猶云。矧伊人矣。肆昔聖王。緣情制禮。因時損益。後賢迭啓。家必有廟。廟必有主。同室四龕。妥奉有序。翼翼有侐。繚以周堵。正至朔望。秋夕重陽。是爲節參。獻酒進薌。載薦時物。魚果稻粱。有事則告。無忘先人。冠昏生死。授贈其官。吉凶憂樂。事亡如存。又是時祭。維祭之大。四時變遷。法天制義。卜之仲月。吉蠲爲饎。維此正寢。五架孔寬。設位中堂。蔬果載陳。孝孫肅齊。子姓駿奔。灌以秬鬯。昭假洋洋。簠簋籩豆。水陸馨香。獻侑進退。威儀皇皇。工祝致告。孝孫受胙。獻尊酢少。禮儀卒度。眉壽永年。五福與具。嗟夫忌辰。喪餘之日。哀遑怵惕。尤異他節。遷主伸獻。不餕以徹。季秋物成。乃行禰祭。儀倣時祭。情理無悖。後論雖到。晦爺不廢。古無墓祭。亦以義起。春雨秋霜。行不敢履。升掃塋門。芬苾如禮。追遠之目。大槩如斯。而誠未至。節文何施。禮云著存。語曰德厚。凡百君子。盍相講守。撮爲十圖。以便訂稽。毋曰昏謬。聖賢遺規。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