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杏亭村【在寧越邑南與邑相接自淸冷浦十里】 未到觀風閣先過近水軒郵人熟於路云是杏亭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白龍潭 在黑龍潭下而八潭外又一潭也淸流白石晶瀅可玩八曲將窮眼不窮衝波怒石踏叢叢飜看玉碎珠[王+冘]處白白飛騰又一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洗頭盆 在白龍潭瀑流中而石竇圓穿如碓乃是普德夫人洗頭盆云【普德夫人卽觀世音】其傍又有巨人跡乃法起祖師足踏處云玉女飛何去空留沐髮盆靈區如待主流水石能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趙士淑【炳寬○癸未】 昔人謂若飮醇酎。不覺自醉。竊嘗疑如何而作此語。向於面奉淸座之日。始覺其言之逼肖。歸來三月。尙有餘醺之未醒者。奉尺素道情衷。宜自我先。而鈍懶未能。竟辱先施。縱愧勤慢之不相及。而其愚淺之見容於君子懷。則實有沾沾之喜焉。但推之無當。使人悚縮而欲走。則豈白首相憐赤際相輸之義耶。面款雖今日。而神交已十年。當以舊契論。不可以面未熟。而故加詡贊。順耳娛目已也。吾輩値此孤危之會。日暮道遠。不有以胥戒交勉。偕之大道。其誰與歸。其誰與歸。榕村之講學雖高。辱膝可恥。翠微之見義雖明。換形可慙。然前人皂白易辨。目前趨舍難判。其將何修而能免可恥可慙。願老兄之矜憐而時惠箴規也。張柳二友。相話有日。而昨聞柳友方苦泄痢。悶悶。秋間云枉。豈不欣抃。僻地華駕。亦豈易得。恭俟天分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文一【昌雨○丙子】 方繞庭徊徨。微吟杜少陵山意衝寒欲放梅之詩。古人珍札。乍帶春氣而至。盥薇酌瓢。頓覺寒谷之回煖。而疇曩未盡之緖。亦可舒矣。荷甚感甚。伏審邇玆壽韻膺休。聽子家事。與幼抱下上句讀。其樂可知。飮三杯酒。臥飼牛之堗。聽稚子讀書聲。帝王之所羨。況餘人乎。臨風不任注仰。琦寂寞窮林。抱經相弔。餘外可勿言也。勉承吾所愛。其質實重厚。可與共斯學。而世故多端。果能卒究其業否乎。顧今導率子弟者。不于時華。則必于米鹽升筲之間。老兄不然。每令尋冷淡家計。無乃用白圭之術耶。旋切嘆仰。歲饋多感。而太侈溢情。還可悶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柳孟茂【柏年○癸亥】 頃拜下覆。已是多矣。又有今日書耶。況其遣辭鄭重。有若眞有取於賤陋者然。自顧何以得此於高明。愧無以仰謝也。示諭接引扶得。却是向別人說。非愚昧所敢任。合下百無肖似。而數年來不自度量。妄馳思想。不恤其緯。而倚柱長嘯。浪費了歲月矣。今始覺其妄。直欲簾坎塞兌。從事於朱先生所謂究竟法。則精力又向衰矣。旣不能肘案出聲。又不能見理著思。疏散如此。必將爲鄕里庸人而止耳。設有若干從而遊者。視其儀觀。無所則傚。與之論議。無足聽聞。畢竟不唾之而去者幾希。豈有如此而可以接引之扶得之者乎。然自守一事。固不可以力衰而遽止。惟望仁愛。因風警敎。與之同歸則幸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致善【甲子】 三月念五書。四月廿四始入手。何其滯也。亹亹滿紙溢乎其情之摯也。昭乎其見解之精緻也。讀之如飮醇而不知醉。把炬而照之昏也。荒疎膚末。每荷朋友之眷。而無一半分仰酬之路。思之赬然。母在而叔父主昏。未安云云。盛見與鄙意甚相契。前此以是及一二友朋。而或然或不然。終歸之以强解。故不敢自信。今兄敎至此。可從而信之耶。但來諭盥饋叔父。亦稱母命以行。恐合更商。蓋親迎醮命。以辭命之而已。故父沒則當受命於母。母有服。則叔父稱母之命以命之可也。婦盥饋則舅姑共受其禮者也。舅沒而叔父與母受禮。禮相妨也。又若以母之有服。而叔父代受此禮。則不亦嫌乎。故朱子曰叔父無盥饋之文。母若有服。則亦難行此禮。其意恐似當闕行。必非叔父稱母命以行之意也。愚見如此。未知謂何。向權友所引善者本然也。惡者不得不然。兩個然。夫孰非天理云云。當時愚以爲。蘆翁必不如此莽撞。宜有上下曲折之可尋。歸考本語。則其答人善惡皆天理之問。有曰善惡雖不同。豈有無所以然而然者耶。此之謂善惡皆天理。雖然就其中深探而究言之。則善者其本然也。惡者其不得不然而然者也。合而言之。則兩個然。夫孰非天理。而分而言之。則本然者在善而不在惡云云。讀此則其指意脈絡。犂然可尋。蓋權友大驚於惡亦天理之說。有此辨詰。然天下無理外之事。如水過顙在山。豈水之本性哉。今搏而躍之。不得不過顙。激而行之。不得不在山。其勢則然。而莫非理中事。故合而言之。則就下在山。亦皆水也。分而言之。則水之本性。但就下。不爲在山。蘆翁之意大槪如斯。其分合之間。打開甚明。而何一邊之論。大驚大怪。視之如異說之害理者也。善惡皆天理。惡亦不可不謂之性。皆程子語也。而於彼不疑焉。獨於此詰之何也。正所謂値其所在而攻之者歟。胤君云與家兒同處。喜甚喜甚。渠曺苟能知迺父兄之誼。相愛相勉。豈餘人比哉。是之望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致善【敎宇○戊申】 辱惠書。情辭洋溢。所以責勵推獎愚陋者甚殷。其譽之也。非敢任己。其規之也。非寔愛予至望予重。如是乎哉。噫可感矣。朋友不肯盡情。東萊之賢。而猶有譏爾。況今倫蔑俗偸。畏强之輔不聞。善柔之風滋長。下石之禍。風波之患。往往焉。又遑暇論盡情否也。而兄於是時。特以古道相處。有善焉必勸。有過焉必規。材欲其長短之相補也。學欲其深淺之相資也。絶不效世俗之阿謏反覆而爲交者。其義豈第惟爀知感已也。亦足救衰季之澆俗焉耳。雖然吾輩始交。不又有終乎。而其所以引之久遠而無負今日者者。當亦若何而可。兄又有以敎焉則幸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陳種彦【柄燾○丁卯】 居在同鄕。晩始拜面。尋常自訟不敏。旣又相識日淺。情好未熟。而遽一朝有此殊誠省之分。雖未及以一書先布鄙懷。其隱之心而未發者。則固已深矣。不自意先屈年德。手書以問。詞旨愿款。披盡盛蘊。奉書欣悚。不知所以獲此於執事也。琦學淺性疏。不善交人。人之相好於平生者蓋寡。其或辱以顧我。亦以其疏淺無所取。而不肯終好者多矣。迺今遽爲執事所見愛如此。固甚惝怳震悸。不知其所以得之。然區區竊以執事之潔行雅操。庶幾有古隱德之風。又知恬靜自守。未嘗輕以與人。而於琦顧有取。其感幸。當如何云爾。執事旣辱以頫交矣。請繼玆源源逾加不撤。則琦之愚亦當思所以仰醻厚意。不容但已也。琦來此。荷諸友相扶。聊且可以度日。然生平賦性麤輕。慮未及細。此擧之妄。自不敢恕。而遠近聽聞。致張風聲。甚可笑也。擾擾倩草。不悉茁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權應韶【鳳鉉○辛未】 曩自外歸。寵帖留案。則探行塵。江雲杳茫。愧乏五經之知。竟致伯子虛歸。所未可知者。旣理名山之屐。而才躡一伽藍。剡溪之興便蓋何也。念昔相携于北岳絶頂。談風烟討往蹟。未嘗不相視爲快。而忽分南北。尙爾耿耿。續前遊縱新覽。敍舊情送羈愁。庶幾今日。而不料頃旣得之。乃復失之於怳惚有無之間。鄙分之淺薄可知。安得不重爲於邑。卽惟大冬。興止平康。珥瑜繞膝。吉祥陰湊。玩理溫書。憤樂相因。琦守株溪屋。與蟄蟲同其吟。門外事。宜無可以干吾思想。而世風益盪。人情如風前葉水面萍。擾擾不自定。匪鶉匪鱣。曷逃天淵。抑未知偉人胸中。別有妙算可以提示者否。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沈孔玉別紙【丙辰】 向喩未笄姊妹服朞之說。元是無據。令族女以年十六而見折云。此當以長中殤論。不可以嫁未嫁言也。家禮曰凡年十九至十六爲長殤。十五至十二爲中殤。十一至八歲爲下殤。應服朞者。長殤降服大功九月。中殤七月。何殤小功五月。應服大功以下。以次降等。據儀禮喪服。姊妹之長殤大功九月。中殤七月。下殤小功五月。然則令族姪自當服大功九月可也。諒之如何。今禮俗摧敗。殤服一款。世皆置之於非服之科。誠可寒心。尊家乃刱行之。亦厚倫警俗之一端也。艶歎艶歎。所托文字。意索而說不去。文拙而筆不步。且未窺一斑而彷彿乎全體者。工晝者亦未之能也。奈何奈何。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致善【辛未】 數日周旋於揖讓樽俎之席。豈不是缺界盛事。而人海稠疊。未能少舒積抱。歸來還復悵然。惟一幅瓊函辱留塵丌。辭簡而意摯。時一展讀。如獲再晤。嗣更冬深。亭居淸穆。白首書牀。琅琅之聲益亮否。弟夙志來遂。衰頹遽至。少輩來集。足可破寂。而人家文字役。次第纏繞。走避不得。知將招嗔如屋。殊覺苦悶。近得見金澤榮抵黃季方書有曰。納凉篇中人物性之說。甚是。心說頗近於王陽明。寧齋誤好陽明說。故見有近於陽明者。稱之不已。此是寧之短處。大要奇翁儘有性理之苦工。而文則太拙。大不及勉菴。【金說止此】唉渠一生。只以操觚弄文爲能事。未嘗一日講究於性理之精蘊。安能知人言之是否。工夫之甘苦。又安能知陽明之說。與吾儒之論。毫差而謬千者乎。而乃敢自執權衡。輕肆口氣。有同談禮之娼叱倅之隸。可笑也。文太拙云云。尤令人捧腹。渠自謂老於文者。而評論之無識見如此。【李耕齋建昇嘗謂金無識見】以其行文法度機軸。有異於渠之所習而云歟。抑疾視道學。而亦欲廢其文而然歟。且卒然揷入勉菴何也。觀渠語意。勉菴是不能文者。抑之甚故。其言如是。實非推許勉菴也。雖然大樹非一蜉所撼。太陽非片霧所揜。多見其不知量也。渠且直書先王以纂弑。而自以爲長於史才。銳應逆臣之薦。樂從叛臣之遊。而誣大賢爲趨勢。【其書曰二百年依附於尤菴者。不免趨勢。而蘗溪尤甚者也。此可謂大賢乎。】一薙而貪祿。再薙而逃命。賣書集金。區區偸活。而貶大節以無謂。【其書曰勉也只安奉於一室而以盡天年。有何驚天動地之事而謂之大節乎。如許蔿者。提兵殺讐被擒不屈。顧不在勉上乎。又曰梅泉之節。高於勉菴云云。○此外詬辱勉菴者。亦甚多。】甚矣其無恥也。彼自命輕薄。而雄視古今。佯推講學。而疾如讎敵。【其書曰此身不過一文人焉。敢以一輕薄之文人。而著手於講學先生之文云云。】口不擇發。一如醉狂者之跳梁。固不足以論辨。而索隱行怪之有述焉。古昔猶云。況今俗益偸士益苟之時乎。又況其詩文。足以眩人眼目。蝕人知覺。其身已冷。而風鶴之徒。猶有聳慕者乎。玆畧畧擧似。更願以老兄之長杠巨筆。摧其毒鋒。克辦淸野之功如何。來春之約。果能追海印之蓑耶。吾當掃榻以俟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 二十三日 온종일 팔선의 집에서 머물렀다. 終日留八仙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 二十五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 二十六日 일찍 주동(注洞)에 가서 잠시 이야기를 나누고 돌아오는데, 비가 크게 내리더니 천둥소리가 괴이하였다. 밤에 큰비가 내렸다. 早往注洞, 暫話促行而來, 雨卽大作, 天動可怪, 夜大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일 十六日 사근천(沙斤川)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진흙탕에 길을 나서 시흥(始興) 읍내에서 묵었다. 至沙斤川中火。 汚路作行, 宿始興邑內。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 十七日 주인이 마필을 사고자 하는 뜻이 있었으므로 새벽에 매매를 하였다. 노량(露梁)까지 걸어서 육사묘(六死墓)2)를 배알하였는데, 단지 성(成)·박(朴)·이(李)·유(兪) 네 선생의 표갈(表碣)만 있고, 하(河)·류(柳) 두 선생의 묘에 표석(表石)이 없어3) 자세히 알 수 없으니, 한탄스럽다. 다만 묘의 모습이 무너져서 겨우 몇 줌의 배토(杯土)만이 무덤을 덮고 있는데, 사초를 개수하고 영축(營築)할 사람이 없었다. 삼가 생각건대, 육신(六臣)의 절의는 만고토록 세울 강상(綱常)이라 할 만한데도 수호할 사람이 없어 장차 매몰되어 징험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으니, 길 가는 사람들의 탄식과 지사(志士)들의 눈물을 어찌 다 말할 수 있겠는가.나루터에 이르러 앞다투어 강을 건널 때 멀리 언덕 위를 바라보니 팔아 버린 말이 나루에 와서 서 있었는데, 이는 필시 물리려는 계책인 것이다. 선공(船工)을 재촉하여 급히 강을 건넜다. 우연히 사두(沙頭)에서 고마(雇馬)를 얻어 짐을 싣고 말을 타고서 채찍을 재촉하여 청파(靑坡) 송상원(宋尙源)의 집에 이르렀다. 얼마 지나지 않아 말을 끌고 찾아와서 곤란한 말을 하고 도로 물렸다. 아침을 먹은 뒤에 차동(車洞)의 팔선(八仙) 집에서 머물러 있다가 동행하여 들어가 영감(令監)을 만났는데, 온 집안이 무탈하였다. 曉頭主者有願買馬匹之意, 故因爲買賣。 徒步至露梁, 拜謁六臣墓, 只有成、朴、李、兪四先生表碣, 河、柳兩先生之墓無表石, 不得詳知, 可歎。 但墓貌崩頹, 僅有數杯土封域, 而無人改莎營築。 竊念六臣之節, 可謂綱常萬古, 而守護無人, 將至於埋沒無徵之境, 行路之咨嗟, 志士之隕涕, 曷可勝言? 至津頭, 爭先渡江之際, 遙見岸上, 所賣之馬, 來立津頭, 必是欲退之計也。 催促船工, 急急渡江。 偶於沙頭得雇馬, 駄而騎之, 催鞭至靑坡 宋尙源家矣。 不移時持馬來訪, 困說還退矣。 朝飯後, 至車洞 八仙家住着, 同行入見令監, 擧家姑無恙矣。 육사묘(六死墓) 1456년(세조2) 단종 복위운동(端宗復位運動)을 하다가 순절한 사육신묘(死六臣墓)로, 서울 동작구 노량진에 있다. 사육신은 '성삼문·하위지·이개·유성원·박팽년·유응부' 등 여섯 명의 충신을 일컫는 말이다. 이들은 함께 거사를 계획했던 김질의 배신으로 체포되어 가혹한 고문을 당한 뒤 죽음을 당했지만, 숙종 대에 이르러 복권되었다. 하(河)·류(柳)……없어 하위지(河緯地)와 유성원(柳誠源)을 말한다. 사육신묘는 원래 박팽년(朴彭年)·유응부(兪應孚)·이개(李塏)·성삼문(成三問)의 묘만 있었고, 하위지(河緯地)와 유성원(柳誠源)의 묘는 없었는데, 서울시에서 1977~1978년까지 사육신 묘역의 정화 공사를 할 때, 하위지와 유성원의 가묘(假墓)를 추봉(追封)하여 사육신의 묘를 모두 갖추게 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觀風軒【幷誌】 在子規樓北卽賓館東軒也壁上揭端廟臨御之室六字尹師國書美人思不見梅竹寂無痕縱有千秋感含情未敢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報德寺【幷志】 越志寺在府北五里莊陵火巢內卽造泡守護寺也前有泛鐘樓右有香積殿不二門◌禁夢庵在報德寺北二里許亦火巢內也郡守金澤龍募僧創建以爲魯陵守護之地其後軍需尹舜擧增修之正廟辛亥府使朴基正改建諺傳端廟東游時有夢兆因以命名云杜宇空山裏桑門老石邊落雲愁古木殘日咽幽泉斷髮何身世傷心別洞天寂寥千歲佛無語但怊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廣垈憩脚【自蛇橋二里】 靑袍白馬乍淹留掃石爲茵聽碧流前日八潭大方眼南風四月小溪頭烟塵世界無炎氣楊柳津亭有別區擲置路傍還可惜空敎樵牧恣騰蹂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