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 十三日 ○아침 전에 율지가 주점(酒店)에 나갔다. 나는 아침을 먹고 나서 하서와 함께 주점(酒店)으로 나갔는데, 하서도 또한 《둔곡문적(遯壑文蹟)》을 부탁하였다. 그대로 작별하고 말치[斗峙]를 넘어 오원(烏院)에 이르러 요기하였다. 또 절구 한 수를 읊었다.녹음이 짙은 사월이라 꽃들은 시들어 가고(花老繁陰四月時)길을 겁내 지팡이 끌고 가는 걸음 더디구나(携笻㥘路步遲遲)언덕 숲에는 유난히도 바쁜 소리가 있으니(岸林別有忙勞響)온종일 꾀꼬리 가지를 오르내리며 노래하네(盡日鶯歌上下枝)율지(聿之)가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먼 길 떠난 나그네 여정 한가할 틈이 없으니(遠程行色無閒時)늘 한스러운 건 밤은 짧고 땡볕은 더디 지는 것(每恨夜短夏日遲)그대들 나에게 술 한잔 하길 권하기에(諸君勸我盃中物)술값을 계산하려면 꽃가지를 꺾어야겠네6)(欲計酒價折花枝)여옥(汝玉)이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행장이 점차 무거워져 쉬는 횟수는 늘어가고(行裝漸重息多時)도로가 메말라 갈수록 걸음은 더디기만 하네(道路方乾去益遲)억지로 바삐 술잔만 자주 잡으니(强欲忙勞頻把酒)어느 곳에서 꽃가지 꺾어 술잔을 세랴(觥籌何處折花枝)자윤(子允)이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지금 우리가 온 이곳 옛날 왔던 곳이건만(今我來斯昔到時)내딛는 걸음 더디고 해마저 더디 지는구나(步徐方覺方陽遲)호걸스런 정은 멋진 산을 보려는 것이 아니나(豪情不是看山好)두견과 꾀꼬리 노래 가락 길가 버들가지에 울리네(鵑曲鶯歌路柳枝)쌍정자(雙亭子)에 이르러 묵었다. 60리를 갔다. ○朝前聿之出去酒店, 余卽仍朝飯, 與夏瑞偕出酒店, 而夏瑞亦以《遯壑文蹟》付託矣。 仍爲作別, 越斗峙, 抵烏院療飢。 又吟一絶, "花老繁陰四月時, 携笻㥘路步遲遲。 岸林別有忙勞響, 盡日鶯歌上下枝。" 聿之次曰: "遠程行色無閒時, 每恨夜短夏日遲。 諸君勸我盃中物, 欲計酒價折花枝。" 汝玉次曰: "行裝漸重息多時, 道路方乾去益遲。 强欲忙勞頻把酒, 觥籌何處折花枝。" 子允次曰: "今我來斯昔到時, 步徐方覺方陽遲。 豪情不是看山好, 鵑曲鶯歌路柳枝。" 抵雙亭子留宿。 行六十里。 꽃가지를 꺾어야겠네 백거이(白居易)의 〈동이십일취억원구(同李十一醉憶元九)〉 시에 "꽃 필 무렵 함께 술 취해 봄 시름 달래었으니, 취하면 꽃가지 꺾어 술잔 세는 산가지 삼았지.[花時同醉破春愁, 醉折花枝當酒籌.]"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白氏長慶集 卷14》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德川雜詠十八絶 德川亭魚川于泳鳥雲飛。斯理茫茫知者稀。小德元來根大德。萬川秋月一輪輝。居然堂巖居寂寂絶風塵。牧雨樵風空百春。繚白縈靑深樹裏。居然我作洞中人。闇修室憶昔溪翁示警深。葉花雲月任飛沈。十年堅坐何修得。看取詩人錦絅心。【允師嚐以詩戒余曰。世上光華無足多。雲間明月葉中花。別有一端無上事。十年堅坐做吾家。】嘉貞門隔斷黃埃晝掩扄。晩來猶喜得幽貞。休將個裏天山趣。說與閒人取次評。五爰齋【丁卯冬。金琪錘金琫運鄭奉圭敏圭周基仁及余。同寓於此。幷築此齋爲後輩講學之所。】五家爰聚築茅茨。水益淸漣山更奇。寄語諸郞勤共學。于斯可卜萬年基。詠歸壇老樹參天雲宿梢。寒流傾峽石鳴皐。淸風盡日塵機斷。誰復當年捨瑟豪。觀瀾臺拔地巉巖數丈臺。狂瀾百折倒山廻。要君却向源頭看。天下經綸此裏來。【使朱子詩語】鼓樓巖儼跨中流鎭洞天。鼓鼖似又似樓船。棹歌寂寂無人管。猿鶴徘徊曉月懸。濯纓潭粼粼泓水對亭淸。唫弄歸來可濯纓。孺子高歌能記未。聖言千載啓羣生。盤陀石磵背嶙峋數畝寬。石鯨鱗臥玉龍盤。天敎山斷川窮處。故作平臺斂氣還。釜沼沼洄如釜石爲屛。碧水涵空徹底淸。日夕天光雲影好。聊知九曲第初泓。馬(馬+展)川懸崖巖室共騰譽。亂磊衝流馬如。人去空留三丈石。脩竿當日釣何魚。【中流有柳二山釣石】玉山四畔平蕪一抹堆。突如島嶼伏如龜。古人已遠山空碧。仁義眞詮更講誰。谷口亭突兀松亭谷口靑。風琴澗瑟自生聽。埋名只合耕雲月。山外那關雨雪零。大野水抱山回大野開。環龜落沒付喧詼。家家禾黍桑麻裏。樂歲鼕鼕土鼓催。兄弟峯方壺積翠落江湄。妙作雙峯作一支。畜得千年靈淑氣。春風何日萬家輝。【郡誌有桃李萬家春之語】蟾津江鳳城三大古稱之。千里烟波最絶奇。廿四州源都萃地。從今産得幾英兒。五鳳山列立重重拱揖如。門前朝暮意相挐。正聲千載無人續。驛路狂歌幾接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寶岡亭銘【幷小序○丁亥】 寶岡亭在朗州國師峯下多寶里之傍。鄭居士鼎采。爲其晩暮棲息而築也。其自敍曰。節物風光。不爲不多。而所恨者。是亭之作。在吾晩暮。不得使吾親安其居斯之樂也。其辭絶悲。其生平孺慕之篤。可按而知也。感嘆之餘。爲之繹其意述其事。用塞一言之懇。若其雲物之勝。養靜之趣。有不暇道。銘曰。金玉非寶。惟善是寶。善安從生。孝是總腦。百度千行。推是以正。德如重華。才如元聖。非有是者。亦何足觀。所以古人。特寶仁親。然惟世降。人失其珍。舍我光明。撥取零金。有美居士。寸草其忱。齡垂七旬。孺慕彌彰。發之於辭。蓼莪靑蒼。撰勝之築。今古何量。寓志寓樂。各隨其宜。因居懷親。子獨有之。斯可爲寶。瑞氣葳蕤。雲物隨麗。川陸增輝。我述爲銘。遙勖來斯。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松沙奇公文 嗚呼大化紛倒。穹翻隤搖。盈盈蹄交。啾啾鬼嘈。公於是時。奄啓手足。斯文喪矣。餘子曷極。謂天無意。曷生斯人。生而止此。天實難諶。惟公之學。厥有所造。有崇蘆山。儼鎭東表。廓闢混沌。大原復明。痛斥淫邪。颶氣旋晴。有覺其徒。越以邁鬷。答問成達。羣飮各充。於惟先生。實得其宗。孔傳有嫡。蔡範有屬。蓋自早歲。樹立已確。潛心墳典。恢乎游刃。窮深極博。渙乎凍冸。滄溟其抱。風霆其變。遇事沛然。無甚難易。歷變躐險。如履平地。簡率而恭。樂易而亢。發之文章。江河決障。辭竝理達。刊落疏滌。念斷當世。修內遺襮。存無不發。休聲徹天。于彼丘園。束帛箋箋。知避守堅。潛龍不拔。圖書一室。囂囂其樂。然惟忠膽。時發于中。粤自靑羊。變出無窮。忍說戕鄫。竟至屋社。樓下齎憤。思支大廈。累度營爲。腔血莫瀉。才起而沮。未發旋摧。陳拳徒赤。劉志竟違。戴素終身。寸忱不衰。杜門自廢。將付殘編。收拾後人。庶一線傳。時我先師。竝心同德。嶺湖相望。泰山喬嶽。庶士爭出。涵泳春風。顧余小子。夤緣往從。大度有裕。倂纖包洪。謬以隨珠。擬比魚目。一言晦養。俾我佩服。又有大者。先世潛光。闡發靡遺。袞筆煌煌。恩深義至。俾也可忘。庶其終始。以卒其業。胡寧昊天。降割之酷。旣奪吾師。又此先生。痛纏心胸。感淚自零。匪直也私。實哭輿情。嗚呼羣羣蒙裔。孰提惺之。昏衢擿埴。孰導行之。萬馬馳驟。孰止繮之。衆流奔放。孰救防之。今焉已矣。先生則死。十舍匍匐。一觴雪涕。有感必通。靈其鑑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農山鄭公文 於惟先生。生得不常。家有賢兄。騈起南方。英年抱贄。大賢門墻。退而征邁。日月其長。皓首崇明。刮垢劘光。河南之程。浦城之楊。學要闡理。功在植陽。國有蓍龜。士有棟梁。無有遠邇。罔不瞻仰。天不我弔。崇降不祥。讐年辛亥。伯淳遽亡。則吾安仰。痛哭滄桑。惟先生在。我心差强。欲事所事。百歲無疆。厥後世變。如火益颺。山河擧目。風悲狐哭。踧踧周道。顧瞻中心。士趨卑裂。各定門目。居之不疑。潛植戈戟。洪流滔天。其誰底績。茫茫墜緖。不絶如絶。時惟門下。若靈光獨。縱未及試。胸中之積。可以俟夫。後世千百。肆余諸子。恃而不怵。障瀾有砥。照昏有燭。昔聞疾革。趨造席角。先生曰嗟。世亂此極。悠悠萬念。雲散霧歇。惟先兄道。昊天可質。彼哉氣說。目我異學。無胡無劉。其誰潛默。非孟非朱。其誰距闢。吾黨小子。盍共竭蹷。時余聞此。心焉惻惻。庶幾夙夜。視以爲則。今忽千古。哀我無祿。堅金之精。秋水之潔。無地奉承。于何考德。澹軒燈深。柏舍月白。我經我書。我冠我服。誾誾怡怡。尙復如昔。曷不堂堂。奈此後出。伏哭柩前。我懷如灼。嗚呼。惟靈。尙監我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是菴李公文 公賦出倫。體短精悍。風霆其變。星月其爛。早知求道。千里束腵。三棣聯芳。韡韡令聞。何處得來。沙上攸歎。世喜尙口。理氣雙亂。尋求是處。是爲定案。公則聞此。如寐得喚。潛心益勵。如鐵斯鍜。踐履益嚴。不失寸叚。有致淸朝。庶展所蘊。値世不辰。海祲漫漫。聖神徂謝。龍潛虎竄。狐獍晝嘷。天顚地綻。公則是憤。號令如震。以書以言。義直辭峻。叵頑破膽。羣倀流汗。縱未斧彼。實强此捍。秉彝攸同。聽覿咸奮。如何一朝。遽撤屛幔。夕氣蕭凉。士藪如炭。眇玆後徒。誰倚誰。頑彼强梗。誰畏誰憚。況念蘆緖。不絶如綫。及門老柏。零落後先。惟公獨存。南服之鎭。唉彼虎食。庶猶艱進。天其忍矣。胡不一憖。鬼蜮益肆。天紀日紊。遇境駭矚。使我心惋。顧余獲私。早自童丱。岐陽夜闌。雙磎春嫩。晩益知遇。眷誨不倦。余自謬妄。越省遐遁。思離耿光。曷不悔悶。公又長逝。幽明永遠。吾道益孤。千古同恨。路闊勢舛。葬不送輤。晩始告哀。心摧淚濺。英靈鑑恕。無吐我奠。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杏史梁公贊【幷小序○己卯】 往騂羊間。公傾家貲募旅。欲以北上。義聲動一方。旣擧旋䘐。卒以成仁。則識與不識。駭愕以歎曰。天之不佑吾人。一何至斯。至今嗟慕之不衰。世或以公昧事輕擧訾之。然君子惟視義與非義耳。苟義所在。事成敗非所論。當公之持挺作槍。驅樵牧而編行伍也。豈謂事之必可集。勢之必可勝哉。一番義聲。亦可以扶得一分陽脈。一朝摧挫狼狽以死。有不計也。公弟會龍。亦從事矢石間者。懼公實蹟之久將泯也。將乞文於遠近諸名勝。以安晦峯圭容所爲狀示余。請爲之傳。余讀其狀。敍公事詳盡。論復精當。是爲傳已。無以易之。乃撮爲之贊以附其後。公諱會一字海心。杏史其自號。惠康公學圃梁先生之後也。贊曰。梁系乇羅。源遠流長。贊猷哲保。於奕惠康。奉事髢峯。相繼奮揚。從健師隱。義蹟章章。公乃篤生。胚胎前光。天賦傑特。養得不常。早業功令。駿譽日彰。十年遊洛。雲衢可望。時移勢非。卷懷東岡。躬耕養親。樂且無央。天步孔艱。亶彝陸梁。誰持五條。輸我金湯。主辱民俘。岌嶪蒼黃。公曰噫嘻。坐忍待亡。建旗招旅。凜如秋霜。同志影從。直圖勤王。行未中途。忽被阻搪。一聲大喊。氣薄穹蒼。雖則就械。辭何堂堂。視讐如狗。罵舌彌剛。七旬光圄。六朔島洋。康幽長拘。百脅千恇。熊魚蚤辦。鉅鑊奚惶。爾無我辱。我寧自戕。丈夫事畢。大節煒煌。旣趾先徽。亦植線陽。婦孺誦慕。志士興傷。睠彼節峯。松靑月明。【叶】有赫英靈。怒射天狼。嗟今視昔。凡幾滄桑。人道之熄。鬼跳獸搶。九原如作。庶存大防。已乎邈哉。我思慨慷。謹最其蹟。以警迷方。凡百有位。何庸不臧。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老圃吳公【應千】文 庚戌孟冬。余自岐陽。國破家蹙。循峽踽凉。公曰天也。君失我得。命子交遊。于朝于夕。余匱食土。稱地割耕。余紀存身。傾力以成。憂憂樂樂。靡大靡纖。胤子早秀。翹楚後林。觀憧憧。麗澤是滋。澗林破荒。風月有輝。公時眷顧。喜溢眉宇。曰儂一生。言之苦苦。家世故貧。傎沛莫持。夙夜一念。閔斯勤斯。忍凍耐飢。手胼足胝。雖則粗就。此何爲多。紹啓永永。績學靡他。誠血炳然。貫金徹石。天忽倒行。蘭摧玉缺。非渠夭相。伊余之閼。憤號莫追。萬事灰寒。公謂不然。命可逃焉。爰召叔房。俾卒厥業。嗚呼異敎毒世。聖徂賢伏。衆皆靡靡。公何卓卓。一斯可已。而又不止。彼髥婦者亦獨何心。聞公之風。焉得無慚。況公實行。表表聆覿。由親及人。里範鄕式。余撮爲狀。豈敢狀德。好鳳多鶠。愛玉多砆。古然今然。矧世夸虛。眞贋難明。知德肆希。洵如公行。孰信以知。摩挲十回。喟然一欷。百世在後。豈無公言。四子羣孫。福蔭延延。士士農農。厥業方昌。公復奚憾。死而不亡。惟余窮子。倚公自壯。公則逝矣。于誰其仗。緘哀哭私。辭短懷長。靈其不昧。庶歆侑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周丈【興祚】文 創垂爲繼。家國維齊。而非積厚。升天無梯。蓋聞公家。早傷豐啼。于野無畬。禦冬無綈。公乃憤斯。言謀令妻。席屨辟纑。昧且鷄鳴。沐雪喫炭。擢腎焦題。金石可透。天曷能睽。厚生之篤。福履其禔。平泉秀石。山陽廣畦。有酒盈樽。賓盡東西。克昌先徽。畏壘山臍。治隣敦親。不靳持齎。蓋公積厚。于以可稽。若其達命。知者孰兮。喜入惡出。徇忘勃豀。伊昔然矣。況今如泥。公則不然。維命是眡。世機陰慝。偸兒試鈚。生平苦血。一朝幾澌。行路驚吁。家人號嗁。公曰命何。言笑折折。載寢載食。不係些兒。舍崇就庳。處若恒棲。如公之量。人莫端倪。如公之識。不學而奚。有能揄颺。可警羣黎。穀似之故。以及愚迷。矜余式微。晤每耳提。胡不百年。使我心悽。我遵溪滸。傑搆傍溪。有蕉護檻。有柳揜堤。興念疇昔。我思其低。惟子孫孫。庶皆逸蹄。興復舊覩。不須炙蠵。九原有知。庶幾慰翳。我來哭公。薄酒脯醯。敬表微誠。月冷風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 初五日 차동(車洞)에서 머물렀다. 사수가 찾아와서 보고 돈 한 냥을 주었다. 留車洞。 士洙來見, 給一兩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월 四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 初三日 욱여(旭汝) 삼종형제(三從兄弟), 건(健)·순(順) 형제와 뇌암(磊巖)에 가서 회포를 풀었는데, 여러 젊은이들이 오언 율시를 먼저 지었으므로 나도 갑작스럽게 율시를 지어냈다.걸어서 서문 밖으로 나오니(步出西門外)시내 따라 그윽한 경치 펼쳐지네(沿溪境始幽)꽃을 보다가 늙은 이 몸 부끄럽고(看花羞老漢)애써 시구 찾다가 시를 양보하였네(覓句讓詩流)지팡이 짚고 산기슭을 따라서(携杖依山脚)갓끈을 씻으려 물가에 앉았네(濯纓坐水頭)내 나이 반백 년이 지났으니(吾年經半百)즐거운 일은 유람하는 것이네(樂事是傲遊)또 다음과 같다.북쪽 산기슭에 방초의 향내 뜸해지니(北麓芳菲歇)서쪽 시내에 즐거운 일 아득하구나(西溪樂事幽)앉았노라니 산이 더욱 푸르르고(坐來山愈碧)가는 곳마다 물이 다투어 흐르네(行處水爭流)시를 짓노라니 저마다 푸른 눈빛이오47)(覓句惟靑眼)술동이를 드니 모두 검은 머리48)로세(携樽摠黑頭)명승지에서 맛보는 끝없는 흥취(名區無限興)우리들의 이런 유람에 있어라(吾輩有斯遊)송로(松老)또 다음과 같다.꽃이 떨어지자 소나무 숲은 무성해지고(花落多松樹)명승지는 한적하고 고요하기만 하네(名區閑且幽)재잘재잘 새들의 지저귀는 소리 활기차고(嚶嚶啼鳥活)굽이굽이 시냇물은 어지러이 흘러가네(曲曲亂溪流)푸른 방초 둑 위에 파릇파릇 돋아나고(綠草芳堤上)취하여 부르는 노래 언덕 위에서 끊어지네(酣歌斷岸頭)새로 시를 지어 벽면에 써 붙이니(新詩題壁面)이처럼 멋진 유람을 누가 알겠는가(誰識是眞遊)임계(林溪)또 다음과 같다.높다란 층층바위 열 길이나 솟아있고(層巖十丈下)그윽한 솔 그늘에 한가로이 앉아 있네(閑坐松陰幽)예쁜 새들은 숲속에서 시끄럽게 울어대고(好鳥林中聒)맑은 시냇물은 골짜기 안으로 흐르네(淸溪洞裡流)저녁노을은 벼랑에 붉게 돋아나는데(夕陽生壁面)봄빛은 산꼭대기에서 다해 가는구나(春色盡山頭)가지고 온 술병에 남은 술이 있으니(携酒有餘酒)시를 읊조리며 온종일 노닐어 보세(吟詩永日遊)취암(醉菴) 與旭汝三從兄弟及健、順, 往磊巖暢懷, 而諸年少, 出五律先成, 故猝構曰: "步出西門外, 沿溪境始幽。 看花羞老漢, 覓句讓詩流。 携杖依山脚, 濯纓坐水頭。 吾年經半百, 樂輩是傲遊。" 又 "北麓芳菲歇, 西溪樂事幽。 坐來山愈碧, 行處水爭流。 覓句惟靑眼, 携樽摠黑頭。 名區無限興, 吾輩有斯遊。" 松老。 又 "花落多松樹, 名區閑且幽。 嚶嚶啼鳥活, 曲曲亂溪流。 緣草芳堤上, 酣歌斷岸頭。 新詩題壁面, 誰識是眞遊。" 林溪。 又, "層巖十丈下, 閑坐松陰幽。 好鳥林中聒, 淸溪洞裡流。 夕陽生壁面, 春色盡山頭。 携酒有餘酒, 吟詩永日遊。" 醉菴。 푸른 눈빛이오 원문의 '청안(靑眼)'은 반가운 눈길로, 뜻이 맞는 친구와의 만남을 뜻한다. 삼국 시대 위(魏)나라 완적(阮籍)이 속된 사람을 만나면 백안(白眼) 즉 흰 눈자위를 드러내어 경멸하는 뜻을 보이고, 의기투합하는 사람을 만나면 청안 즉 검은 눈동자로 대하여 반가운 뜻을 드러낸 고사가 전한다. 《世說新語 簡傲》 검은 머리 원문의 '흑두(黑頭)'는 검은 머리란 뜻으로, 곧 젊은 나이를 말한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일 初二日 백건(伯健)과 한동(翰洞)에 가서 이 흥양(李興陽)을 만나 잠깐 동안 이야기하고 왔다. 與伯健往翰洞見李興陽, 稍間談話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 二十八日 이른 아침에 청배(靑排) 상원(尙元)의 집에 가서 관가 하인 편에 집에 보낼 편지를 부치고 왔다. 早朝往靑排 尙元家, 付送家書於官下人便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 初五日 비가 내렸다. 근동(芹洞)에 가서 건(健)·순(順)과 한 수의 의(義)를 짓고 왔다. 雨。 往芹洞與健、順, 做一首義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普德窟【自摩訶衍爲十餘里】 自噴雪潭截流而東攀崖緣壁喘汗而登疊嶝爲四十八級云庵在千仞石窟裏後着削壁前臨絶壑樓板浮在空中以兩鐵索橫亘板腰樓之西角以銅柱高擎【以檀木被銅云】下壓斷壑長可爲百丈樓下絶壁積如城壘不勞繩削自成臺砌赤色可觀窟樓中有一小石佛盤回而入窟可爲疎身側足從板穴俯瞰絶壑眩暈欲生窟邊稍平之地又有數間小庵寂無居僧庵之後有短曲墻因山腰週遭如城登之望見八潭終不如洛山觀音窟之快豁而危截則邁矣山腰巖間又有白石兩小佛◌椒泉翁詩曰孤庵懸似磬風兩自搖搖鐵索與銅柱架空又匝腰疊崖自成礎危截矗雲霄短墉圍似蝀小瓦借如䳡銅楹縫地角鐵索護樓腰石佛何孤寂坐愁風兩搖【揭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 十八日 ○일찍 출발하여 금강(錦江)을 건너며 절구 한 수를 읊었다. 시는 다음과 같다.맑은 모래 푸른 물 돌아가는 나루를 묻노니(沙明水碧問津歸)한 줄기 아침 안개 양편 언덕에 떠다니네(一帶朝霞兩岸飛)눈 가득 멋진 경치 거두어 비단 주머니에 담나니(滿目風烟收錦囊)이러한 광경을 아는 사람 드물도다(箇中光景識人稀)율지(聿之)가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북쪽을 향해 가는 길 금강에 들어서서(路入錦江向北歸)달빛 아래 지팡이 멈추고 떠가는 구름보네(停笻步月看雲飛)천 리 먼 길을 걷고 또 걸어가니(行行大道一千里)처음 본 사람 많고 알던 사람 드물구나(生面人多舊面稀)사원(士元)이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오늘도 낙성에 돌아가지 못하였는데(當日洛城未得歸)푸른 하늘에 구름 속 학이 날아가려 하네(欲將靑天雲鶴飛)금강이 가까우니 고향산천 점차 멀어지고(家山漸遠錦水近)여기에 이르니 아는 얼굴 드물도다(到此面面識者稀)여옥(汝玉)이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금강은 건네주는 사람 몇 번이나 북쪽으로 갔던가(錦水濟人幾北歸)공산성의 성가퀴7)는 남쪽으로 날아(公山堞雉却南飛)길손은 고향집에 소식을 전하려 하나(旅窓欲寄家鄕字)나는 기러기 드물어 소식이 아득하네(消息蒼茫雁到稀)자봉(子鳳)이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늙은이 지팡이 짚고 갔다 돌아오는 길(扶老携笻第往歸)중천에 까마귀가 나는 것 매번 두렵네(中天每畏日烏飛)다시 술잔을 가져다 서로 주고받으니(更將盃酒聊相勸)서쪽 장안으로 들어가면 옛 친구 없으리라(西入長安故舊稀)일신점(日新店)에 이르러 아침을 먹고, 광정(廣亭)에서 점심을 먹었다. 길보(吉甫)를 만나 잠시 이야기를 나눈 뒤에 출발하였는데, 차령에 오르니 회화나무 그늘 아래에서 노래와 퉁소 소리가 들려왔다. 잠시 그늘 아래에서 쉬다가 절구 한 수를 읊었다.험준한 고개 간신히 넘어오니(艱上嶺之險)맑은 그늘에 또 맑은 돌 샘물 있네(淸陰又石泉)노래와 퉁소소리 둘 다 있으니(歌簫兼有二)음악 소리에 취해 험난했던 앞길 잊었네(耽聽却忘前)고개를 내려와 서정점(西亭店)에 이르러 묵었다. 80리를 갔다. ○早發越錦江, 吟一絶曰: "沙明水碧問津歸, 一帶朝霞兩岸飛。 滿目風烟收錦囊, 箇中光景識人稀。" 聿之次曰: "路入錦江向北歸, 停笻步月看雲飛。 行行大道一千里, 生面人多舊面稀。" 士元次曰: "當日洛城未得歸, 欲將靑天雲鶴飛。 家山漸遠錦水近, 到此面面識者稀。" 汝玉次曰: "錦水濟人幾北歸, 公山堞雉却南飛。 旅窓欲寄家鄕字, 消息蒼茫雁到稀。" 子鳳次曰: "扶老携笻第往歸, 中天每畏日烏飛。 更將盃酒聊相勸, 西入長安故舊稀。" 抵日新店朝飯, 抵廣亭中火。 逢吉甫暫話而發, 上車嶺則槐陰下有歌簫。 暫憩陰下, 吟一絶曰: "艱上嶺之險, 淸陰又石泉。 歌簫兼有二, 耽聽却忘前。" 下嶺抵西亭店留宿。 行八十里。 성가퀴 원문의 '치첩(堞雉)"은 성 위에 낮게 쌓은 성가퀴를 말한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0일 二十日 ○일찍 출발하여 칠원(柒原)에서 아침을 먹고, 오매(烏梅)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중도에서 절구 한 수를 읊었다.가는 곳마다 풍광은 면면이 처음 보는 곳인데(到這風烟面面初)밝고 수려한 산수에 인후한 마을8) 자리하였네(山明水麗里仁居)지팡이 끝에 하늘로 솟구치는 솔개의 그림자 날고(杖頭飛影凌天鳶)다리 아래 물 만난 물고기 맘껏 헤엄치네(橋下浮沈率性魚)사원(士原)이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북두의 번화한 서울은 처음 와보는데(北斗京華生面初)상자가 당시에 이곳에 터를 잡고 살았네(向子當年卜此居)객점의 여인 술값 요구할 줄만 아니(店娥但知酒索錢)호남 길손은 고기 없는 밥상에9) 한숨만 쉬네(湖客惟恨食無魚)여옥(汝玉)이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만나는 이들마다 객사에서 처음 보는데(面目無非逆旅初)산천 속에 이런 선비도 살고 있었구나(山川有是士夫居)옆 사람은 무슨 생각에 앞길을 재촉하는 걸까(傍人底意催前路)아마도 화성의 문 닫힐까 염려하는 것이리(恐或華城鎖鑰魚)자윤(子胤)이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우리 세 사람 이러한 장관 처음 보는데(年維三人壯觀初)나라의 기내 천리 땅 거처하는 곳도 넓구나(千里邦畿亦廣居)간간이 꽃과 주막에 술과 고기까지 있으니(往往花壚兼酒肉)북쪽에서 어찌 남방의 물고기를 부러워하리(北來何羨南方魚)대황교(大皇橋)에서 잠시 쉬었다가 이어 출발하였다. 또 절구 한 수를 읊었다.버들이 어둠 속으로 묻히려는데 서쪽 하늘 붉게 타오르고(柳欲藏陰烈洞西)소나무는 폭포소리 들으며 맑은 시내에 드리우네(松能聽瀑倒淸溪)석양이 질 무렵 화성에 다다르니(夕陽歸路華城到)지주 같은 푸른 산 먼 듯 가까운 듯하네(一柱靑山遠近齊)사원(士元)이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서쪽 가는 길에 왕성이 어디에 있는가 묻노라(王城何在問路西)모습을 바꾼 산하에 굽이굽이 시냇물 흐르네(換面山河曲曲溪)은택을 입은 수양버들 좌우로 휘늘어져 있고(被恩垂柳左右分)찌는 더위에 고달픈 길손들 앞뒤로 나란하네(惱熱行客先後齊)율지(聿之)가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지팡이 짚고 다리에 오니 해는 이미 저물어(杖策橋邊日已西)나는 갓끈을 씻으려 맑은 시내를 건너네(我纓欲濯渡淸溪)그 속의 고운 풍광 어떠한가 묻노라면(箇中光景問如何)양 언덕에 버들과 느티나무 일색이라오(兩岸柳槐一色齊)여옥(汝玉)이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궁중 버들 그늘은 동쪽으로 해 그림자는 서쪽으로(御柳陰東日影西)산악에 조회10)하니 시내에 다 함께 모였여라(朝宗山嶽會同溪)기자 현인 이후 명이의 나라11)(箕賢以後明夷國)해내의 밥 짓는 연기처럼 아홉 점의 운무인 듯하네12)(環海人烟九點齊)사윤(士胤)이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산은 동쪽으로 그늘지고 해는 서쪽으로 지니(山自東陰日自西)꽃을 찾아 버들을 따라 맑은 시내를 지나네(訪花隨柳過淸溪)말을 타다 걷다 하는데 마치 하늘 길 가는 듯(或騎或步如天道)다만 흠인 건 인생과 같지 않는 것일 뿐이라(只欠人生不與齊)내원(乃元)이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화성 길에 들어서니 날이 이미 저물어(路入華城日已西)파릇파릇한 버들가지 대황 시냇가에 늘어졌네(靑靑楊柳大皇溪)고향산천 점차 멀어지고 왕성이 가까우니(家山漸遠王城近)동남의 연나라 조나라인 듯하여 크게 웃어보네(高笑東南燕趙齊)저녁에 화성 북문 밖에 이르러 묵었다. 80리를 갔다. 여옥이 절구 한 수를 읊었다.누대와 성곽의 반은 도성에 있구나(樓臺城郭半京華)겹겹이 연달아 몇 만의 집들이 즐비하네(匝匝連連幾萬家)행궁13)이 여기에 머물렀는지 알고 싶었는데(欲識行宮留在此)휘휘 늘어진 수양버들 길 어긋남이 없구나(依依楊柳路無差) ○早發抵柒原朝飯, 抵烏梅中火。 路中吟一絶曰: "到這風烟面面初, 山明水麗里仁居。 杖頭飛影凌天鳶, 橋下浮沈率性魚。" 士原次曰: "北斗京華生面初, 何子當年卜此居。 店娥但知酒索錢, 湖客惟恨食無魚。" 汝玉次曰: "面目無非逆旅初, 山川有是士夫居。 傍人底意催前路, 恐或華城鎖鑰魚。" 子胤次曰: "年維三人壯觀初, 千里邦畿亦廣居。 往往花壚兼酒肉, 北來何羨南方魚。" 抵大皇橋, 小憩後仍發。 又吟一絶曰: "柳欲藏陰烈洞西, 松能聽瀑倒淸溪。 夕陽歸路華城到, 一柱靑山遠近齊。" 士元次曰: "王城何在問路西, 換面山河曲曲溪。 被恩垂柳左右分, 惱熱行客先後齊。" 聿之次曰: "杖策橋邊日已西, 我纓欲濯渡淸溪。 箇中光景問如何, 兩岸柳槐一色齊。" 汝玉次曰: "御柳陰東日影西, 朝宗山嶽會同溪。 箕賢以後明夷國, 環海人烟九點齊。" 士胤次曰: "山自東陰日自西, 訪花隨柳過淸溪。 或騎或步如天道, 只欠人生不與齊。" 乃元次曰: "路入華城日已西, 靑靑楊柳大皇溪。 家山漸遠王城近, 高笑東南燕趙齊。" 暮抵華城北門外留宿。 行八十里。 汝玉吟一絶曰: "樓臺城郭半京華, 匝匝連連幾萬家。 欲識行宮留在此, 依依楊柳路無差。" 인후한 마을 원문의 '이인(里仁)'은 인후(仁厚)한 풍속이 있는 마을로, 《논어》 〈이인(里仁)〉에 공자가 "이인이 아름다우니, 가려서 어진 곳에 살지 않으면 어찌 지혜롭다 할 수 있으리오.[里仁爲美, 擇不處仁, 焉得知.]"라고 하였다. 밥상엔……없으니 전국 시대 제(齊)나라 풍환(馮驩)이 맹상군(孟嘗君)의 식객(食客)이 되었을 때, 밥상에 고기반찬이 없자 장검의 칼자루〔長鋏〕를 두드리면서 "장검이여 돌아가자, 밥상에 고기가 없으니.[長鋏歸來乎, 食無魚.]"라고 노래했다는 고사가 있다. 《戰國策 齊策4》 조회 원문의 '조종(朝宗)'은 고례(古禮)에 제후가 천자를 봄에 찾아뵙는 것을 조(朝)라 하고, 가을에 찾아뵙는 것을 종(宗)이라 하며, 《시경》 소아(小雅) 면수(沔水)에, "넘실대며 흐르는 저 물이여, 바다에 조종하도다.[沔彼流水 朝宗于海]" 하였다. 기자……나라 '명이(明夷)'는 동방의 일출지역인 한반도를 지칭한다. 기자(箕子)가, 은(殷)나라가 무도(無道)할 때 밝음을 감추어 화를 면하였고, 마침내 동방으로 와서 도를 전하였고 한다. 《주역》의 〈명이괘(明夷卦) 육오(六五)〉에 "육오는 기자가 밝음을 감춤이니, 곧게 지킴이 이롭다.[六五 箕子之明夷 利貞]"라고 하였는데, 이는 기자가 조선에 이주한 사실을 기록한 가장 이른 문헌 자료이다. 《史記 卷38 宋微子世家》 아홉 점 운무인 듯하네 높은 하늘 위에서 바라보이는 세상이 아홉 점의 운무(雲霧)처럼 작게 보인다는 말이다. 당나라 이하(李賀)의 시 〈몽천(夢天)〉에 "중국을 멀리 바라보니 아홉 점의 연기 같고, 한 웅덩이 바닷물도 한 잔 물을 쏟아부은 듯하네.[遙望齊州九點煙, 一泓海水杯中瀉.]"라는 구절이 있다. 행궁(行宮) 임금이 대궐을 떠나서 머무는 곳으로, 행재조(行在所)와 같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黑龍潭【第八潭】 蒼巖之瀑匯而黮黭俯之如有龍可畏廣鋪平石玻瓈色短瀑長湫橫復直何事懶龍不作霖黯然空吐潭雲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賦八景 沙灘風帆霧歇江干旭日紅。布帆無數掛天風。山人自是滄洲趣。夢入靑雲白石中。川塢脩篁傍溪竹樹直千竿。灑灑淸風拂面寒。連隴何須冰叔手。對君無愧子瞻軒。鷄足山晴嵐晴嵐起處絶浮埃。鷄足山光錦繡堆。睡罷招童來捲箔。不知身在畫中臺。金鰲山朝霞滄溟曉日隱曈曨。先照鰲山第一峯。艶艶霞光頻點綴。依俙仙女颺裙紅。王甑峯夕照第二南支王甑峯。閒雲捲盡夕陽紅。及時無負崇明德。志士英雄老此中。天王嶺暮雨驕炎乍撤雨聲豪。知自天王嶺上高。極目平疇烟草綠。家家樂歲頌神勞。月明山明月山交明月揷蒼空。夜夜增輝屋宇東。對久超如無一累。玆心始會太初同。白雲山白雲白雲靡日不橫山。山與白雲較孰閒。大界如今無贈處。媚幽何妨獨怡顔。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