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 初十日 ○일찍 출발하여 모전등(茅田登)에 이르러 요기하였다. 나는 원동(院洞)에 들어가 잠시 이종엽(李宗燁) 어른을 만나 뵙고 출발하였다. 광천(廣川) 주막(酒幕)에 이르니 동행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잠시 쉬었다가 길을 나섰는데 가는 도중에 운자(韻字)를 부르며 여옥(汝玉)이 먼저 읊었다.여행길에 함께 나선 두 노인과 두 소년(二老行中兩少年 )앞으로 가야할 길 영주에서 한양까지라네(瀛洲前路漢陽邊)대지팡이 짚고 걷고 걸으며 모두 말이 없으니(行行竹杖渾無語)우리 무리 여러 사람인데 잠든 것만 같구나(吾黨諸人況若眠)율지(聿之)가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서울 길 나선 것이 몇 년 만이던가(洛行經營問何年)이제는 귀밑머리 가득히 백발이 내려앉았네(今來白髮滿鬢邊)지팡이 짚고 쇠한 다리로 간신히 걷노라니(扶笻懶脚步步艱)나그네 맘 아득한데 잠잘 겨를 어디 있으랴(客懷悠悠暇不眠)자윤(子允)이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백발 늙은이와 청년이 동행하여(白首伴靑年)한강 가를 향하여 길을 떠났어라(路開漢水邊)마음속 말일랑 꺼리지 말아야지(莫諱心內說)흥취가 늦으면 오히려 잠을 재촉하리(興晩尙催眠)내가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청년에서 노인까지 행장을 꾸려(行裝老路自靑年)태양 아래 멀리 서울 바라보며 가네(日下長安望眼邊)길동무 세 사람 모두 나의 벗이라(作伴三人皆我益)청아한 말 아끼지 않아 졸다 깨었네(淸談不惜警昏眠)저녁에 대초정(大抄亭)에 이르러 묵었다. 60리를 갔다. ○早發抵茅田登療飢, 余則入院洞, 暫見李丈 宗燁而發, 至廣川酒幕, 則同行留待矣。 暫憩後登程, 路中呼韻, 而汝玉先吟曰: "二老行中兩少年, 瀛洲前路漢陽邊。 行行竹杖渾無語, 吾黨諸人況若眠。" 聿之次曰: "洛行經營問何年, 今來白髮滿鬢邊。 扶笻懶脚步步艱, 客懷悠悠暇不眠。" 子允次曰: "白首伴靑年, 路開漢水邊。 莫諱心內說, 興晩尙催眠。" 余次曰: "行裝老路自靑年, 日下長安望眼邊。 作伴三人皆我益, 淸談不惜警昏眠。" 暮抵大抄亭留宿。 行六十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 初九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 初十日 추웠다. 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孝寧大君年譜跋【甲戌】 太子謂虞仲曰。隱居放言。身中淸廢中權。求之東方。孝寧大君靖孝公是已。大君以王室次嫡。早自拔萃。其謙恭溫厚。德性之粹也。聰穎不倦。學問之美也。夫如是身雖處乎富貴聲名之地。而厭華昭儉。有翛然出塵之想焉。曁乎讓寧之托疾遜位。輒能炳幾遐擧。屣脫貳極。芥視千乘。棲其心於桑門笁敎之中。弊袍羸駒。放浪山水間。漁釣嘯咏以終其身。而無怨悔。嗚呼。英陵雖有聖德。非讓寧無以成一代之治。讓寧雖有至德。非大君無以遂父王之志。此大君之所以爲東方虞仲者也。然其逃不適越。隱不文身。進退雍容。無或貽憂於父王。侍疾洞屬。眞誠發於言貌。長枕華萼。怡怡秩秩。而尊卑之嚴。莫加於天倫之重。儀範宗室。藩屛王家。歷事九朝。而寵遇頻蕃。壽延九耋。而考祥元吉。以至七子後之熾昌繁衍。簪緋相屬。十二后沙麓之慶衍外裔。而儲祥騈茂。此則虞仲之所不能有。而大君之獨得而全之也。如使夫子而作。其所稱頌。尤當如何哉。於乎休矣。後孫南儀。憫年譜之未成也。方謀壽傳於世。俾余丁乙之。從以求一言於卷尾。余惟大君之功之德。已炳烺靑史。何待年譜之出。而其子孫之情然耳。謹書其淸而不汚。權而適宜之實。以致百世曠慕之私云爾。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迂窩崔公御賜畫屛跋【辛未】 我元孝王三十二年丙戌秋八月。行東宮進宴。命工畫宴時威儀爲屛。以賜春坊侍從文臣崔啓翁。時以世子侍講院輔德。亦蒙賜。此其屛也。謹按崔公號迂窩。以文華材具。生簪纓家。早年登第。屢入諫垣。盡言不諱。踣破玉山君碑。請斬張希載。一進而斥廟堂。再進而論大臣。三進而論重臣。時稱有古臺諫風。再爲郵官。三佩符章。聲績俱茂。邑民有麥穗蓮花之謠。宜其彙征于秩秩羣賢之中。而天褒之隆。照耀當時與後世也。後孫世珍其屛。藏而傳之且二百年。塵垢蠹蝕。敝缺殆四之一焉。傍裔成官。懼遂寖以湮滅也。鳩材而新之。拭垢移褙。舍缺而補完。於是乎煥然一新。如復覩當日威儀之盛矣。旣成。命鄭琦展覽。且令僣述其後。琦拜手言曰。我朝文治五百年。彬彬有小華之稱。而中葉尤盛焉。卽此生綃數疊。想見其穆穆皇皇。顒顒卬卬。威儀孔時。淑旂簟茀。綏章錯衡。羣卿百士之玄袞赤舃。秩然有序。籩豆靜嘉。筦鼓旣設。萬舞方張。上下相孚。若涵沐於春風雨露之中。而以至宮柳液蓮。鳥獸魚鱉。時敷咸若。依然是昇平氣象。吁何其盛也。時移勢遷。山河改色。御溝秘苑。忽爲蹄跡之場。而當時之贊襄兪咈。進退遊宴。漠乎不可復問矣。迺玆煌煌敷疊。表見於鼎沈盤折之日。仰覩俯念。感慨興傷。奚啻舊墟之黍離。而其幸存而未泯。亦豈竹書壁經之比哉。崇禎亡後。得崇禎寶一文。輒爲之十襲珍藏而歌咏之。先輩多如此者。況其祖先所受之王恩。而表而出之。又足使遺民野老。抆淚拭目。想象謳唫於祖宗太平之時也耶。此成官之所以汲汲修繕而寶藏者也。然今世入波盪。動尙新奇。世守靑氈。視之以弁髦土梗。而棄之若遺。成官則不然。克述先徽。兢兢乎殘蹟之永湮。殫心費力。要欲傳之久遠而毋替。成官亦賢乎哉。不揆僭妄。謹書所感于中者如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八樂亭銘【幷小序○己丑】 亭。浴川金泰鉉金聖學朴鍾泰崔同任朴珍榮金東俊金宇濟金珍祿八人。爲其游息而築。往在乙丑秋。八人相與謀。課月收囊餘。設契蓄租。越十四年戊子春。相土于所居念谷之南磵泉之上。建凉榭數間。周爲廳堂。畫簷宇爲八稜。遵人數也。名以八樂。記實也。功旣訖。泰鉉鍾泰二君。過余方壺之陽。請一言記其事。余病廢不能供文字役。謹作銘數句以歸之銘曰。世入商商。慾浪滔天。民胥及溺。九仆十顚。孰能知本。樂哉康衢。出入作息。囂囂與俱。有美諸君。庶幾乎玆。塵合成泰。俗諺有之。觀君之爲。始破然疑。移厥篤志。何德不修。植杖聽田。聯槧賦遊。縱談今古。商講孝睦。家家烟月。優哉至樂。亭雖小矣。亦足永世。勖哉諸君。日月勔勱。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艮菴銘【己卯】 林上居士李君明在。署所居室曰艮菴。而索余言。謹爲之銘曰。天下之故。動止兩端。物不終動。受以止焉。所以序易。艮次於震。而不原止。達豈能順。時止時行。彖辭丁寧。動靜不失。道乃光明。嗟嗟居士。早自蜚英。績藝鉛槧。馳驟功令。折桂仙宮。擬如髭摘。時移世舛。駸駸換局。地軸竟漂。東鯨西蝮。伶俜彳亍。往無攸征。頭上何有。素髮千莖。肚裡如空。片忱猶丹。吾知其止。卽此是存。居止庇軀。不須輪奐。養止續命。不願芻豢。道止日用。曷趨莽遠。梅牕雪月。圖史自娛。春秋令節。朋酒胥呼。樂我性靈。復何求矣。視履考祥。乃敦其止。嗟嗟居士。早夜顧諟。我乃作銘。以獎以竢。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書景淵亭遺稿後【庚戌】 愚每嘆吾東造士。專尙科第。雖有通天之學。絶人之行。微是無由致用於世。故才品氣局之魁傑者。類不免風習之所驅。盡入其殼中。今於景淵亭鄭公。重有慨焉。迹公平生。才資卓異。風標逈絶。淸如秋水芙蓉。皎如臨風玉樹。見之者咸以神仙中人稱之。如其天稟之美也。兄夭而姪繼亡。宗宅將顚蹶。公殫心盡力。終能齊整。至使內外族戚臧獲。咸得其心。其處置之始終條理。金聲如玉振如。當日之公評自在。如其處事之有方也。取應南省。柄臣緊客。示以用財獲選之路。而公則罷之。如其行已之有恥也。以公施用於世。其經綸規畫。綽有可觀者。而竟老死草野。豈不可惜。如公好資地好氣象。專事理學。秉拂儒門。則吾道可以重明於世。而後學有矜式之地矣。此吾所以爲世道致慨者也。公沒五十年。遺稿一冊始出世。吁亦畸零矣。然玩其詩讀其文。一是皆寫出胸中之言。而天然去餙。自有餘味。觀鳳一羽。可以知五色之備。奚必多乎哉。其兄曾孫元永。克世其家者也。繼述先蹟。不以叔祖而有間。收拾遺文於斷爛之餘。乞備狀碣。又營壽傳。公之德。固有感人者深。而元永之義。亦可以敦薄俗矣。元永命余置一言。眇然後生。安能爾也。牢辭有年。而今終不獲。則冒陋書此於卷尾。以塞其勤意云爾。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聾巖亭記 吳君東圭爲亭於長城治西秀蓮山之趾。將爲晩暮棲息之所。顔曰聾巖亭。蓋以前有耳巖也。其子瑛善曾從余遊者。具書謁亭楣之需於余。余訝然曰。耳司聽天分也。聽思聰人爲也。人有情。固靈乎萬象。宰制萬變。而非聰靡由也。物有情。無情則聰固無論。然旣有天賦之形。則宜究其所司者稱之。而不爲內自冠巖以聾。巖雖無情。其肯受之乎。第竊惟之。夫人之生世。遭遇殊塗。升替有時。其感想愰懩之餘。往往以己之所遭。寓諸物而明其志。是以陶彭澤蝸其廬。柳柳州愚其溪。林和靖孤其山。桐溪先生某其里。蓋其時然也。今運當百六。桑蘭灰劫。翻穹覆隤。雷霆霹火咆哮呢喃之聲。式日震撼。則孰不欲塞耳而聾乎。巖之受不受不暇論。但等是聾也。而昧乎時矇於理。粥粥而居。悠悠而生。聾之聾也。相時度義。遠聲色而養素眞。不聾之聾也。吾聞君天賦秀異。性溫且有守。早從吾友吳誠齋遊。得聞義利之分而誠服之。苟義也若嗜慾。不顧前後。否者賞之以殊特。不念也。於世間一時之聲聞令譽。裒然如充耳。誠所謂不聾之聾矣。然則巖之得賢主人可賀也。其將儲書盈架。訓子課孫。時與賓朋。嘯傲於風簟月楹之間。抽卷論道。歲宴爲期。事齋戒絶柔牽。側耳以俟窮泉之雷之砰然有作。則聾巖亭將不聾於世矣。姑書此以寄聲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草溪鄭氏家乘跋【丙寅】 譜之義惡乎近。近乎史而已矣。古之爲史者。其紀天下之事。懼一不當而誣千萬世之耳目。其信也其疑也。傳之惟其實焉而已。自後世矯僞之風日滋。史始不實。而爲譜者。亦於凡疑似有無之際。妄以已意杜撰。使人茫不知所據。嗚呼。史之失。誣人已矣。譜之失則欺已耳忝先耳。其非尤不可者哉。而世之人。昧不知察。甚則至以無名之夫。不本之祖。紛然侈于其譜。余故觀於鄭氏之爲派乘。而深有感焉。鄭氏籍草溪。而貞簡公之後。連數世逸傳。文獻無所於徵。其爲譜也前後凡六七矣。間嘗合修大譜。而往往强疑爲信。識者病焉。先師老柏先生慨然以爲。吾譜也而可任其舛謬如此。於是親自編定爲派譜。首先別嫌明誣。以釐前譜之失。而嚴規例遺于後人。夫然者豈止爲一家之譜之規。而足以配古爲史者之法。亦將愧世之濫冒以自欺者之爲。而裨補於風敎也。不淺矣。先生沒。旣十六年。胤子鉉春懼夫後人之襲於大同譜之非。而先生之意或以不明也。與其族兄鉉洙謀刊家乘一卷。以不佞爲先生徒。命置一言其卷末。謹書之如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三先生甲會圖贊【幷序】 李雪壑洪雙柏曁我先祖龜潭三先生。俱以嘉靖辛亥之三月生。而日之先後。各一旬爲差。奇矣哉。時値昏朝。落拓於江湖之間。白首相從。其樂可陶陶也。於是約以每歲初度之日。置酒相邀。約法曰風雨不避。禮數不拘。相與優游涵泳。樂而忘形。放而自適。隱然有耆英眞率之趣。而其炳幾也明。勵節也嚴。惠好同歸。悠然有商峀桐江之風。當時鮮有得以知之者。我九世伯祖縣令公。克承父旨。始拔擢於仁廟改紀之初。而懼夫三先生之風流德業泯湮於後。募工繪綃。爲甲會圖三本。分奉于三家。而二本災于鬱攸。惟雪壑家尙無恙。今拜圖起感。非直羹墻之切實。有爲世道慨然者。謹爲之贊曰。同心同德。世罕其倫。一且難遇。矧三同年。同年匪奇。秉執維均。時則伊何。人紀已淪。北風其凉。靡草不玄。昏㭬回遹。緝緝幡幡。翩翩以隣。哿矣宵人。拔茅彙貞。君子之屯。瑾瑜莫售。蹭蹬迍邅。同是失路。雪月有云。蒼松雪月。龍藏鳳翩。睠玆龜湖。松亭草茵。三老班坐。白鬂蒼顔。道義是將。文酒是歡。風流篤厚。威儀彬彬。生綃一幅。宛其七分。黃江水活。五峯石嶙。玩圖審蹟。百世如新。凡厥頑鄙。盍廉且寬。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일 初一日 일찍 예조로 갔더니 다시 논의한 일이 있어 정동관(鄭東觀)25)을 응교(應校)로 삼고 한광식(韓光植)26)을 사인(舍人)으로 삼았다고 했다. 그러므로 급히 주동(鑄洞)으로 가서 응교에게 청탁하는 서간을 써서 전송하게 하였다. 돌아와 이르기를, "이미 조영국(趙榮國)27)과 김준용(金俊龍)28) 두 사람의 시호는 의논하였으나 나머지 사람은 하지 않았다."라고 하니 가탄스럽다. 早往禮曹, 則有更議之擧, 以鄭東觀爲應校, 韓光植爲舍人云, 故急往鑄洞, 得請簡於應校, 送傳於闕內, 則回云, "已以趙榮國、金俊龍二人議諡, 餘人不爲。" 可歎。 정동관(鄭東觀) 1762~1809. 1783년(정조7) 21세에 친시(親試) 병과(丙科)에 합격하였다. 《일성록》의 기록을 보면, 1792년(정조16) 9월 29일에 응교에 임명되었다 하였고, 12월과 이듬해 3~4월의 기록에도 응교로 삼는다는 기록이 보인다. 한광식(韓光植) 1729∼1800. 본관은 청주, 자는 일지(一之), 호는 일재(一齋)이다. 1762년(영조38)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으며. 1777년(정조1) 증광문과별시에서 급제하였다. 부수찬·수찬·의정부 검상·승지 역임하였으며, 경종대왕수정실록(景宗大王修正實錄)의 오류를 바로잡고 수정·편찬하는 데 참여하였다. 조영국(趙榮國) 1698~1760.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군경(君慶). 호는 월호(月湖), 시호(諡號)는 정헌(靖憲)이다. 영조(英祖) 경술(庚戌)년에 문과(文科)에 오르고 벼슬이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이르렀다. 김준용(金俊龍) 1586~1642.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수부(秀夫)이다. 광해군 원년(1609) 무과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거쳐 전라도 병마절도사에 재임하던 중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병사를 이끌고 광교산에 이르러 격전을 벌인 끝에 청과의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세상을 떠난 후 영의정으로 추증되었으며 충숙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追賦【純元王后己未十月初三日禫祀後初七日祔太廟自上幸行余以差備官捧金寶初六日進】 昔年承玉韻今日捧金泥獻壽嗟何地賡詩和夢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乘舟楊花津 風動千楊近浪花淸秋古渡借繁華前宵一雨知多少兩岸茫茫不見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殷栗宰宗人在憲【文徵】週甲韻【十一月二十四日】 弧矢平生志居然望七旬蓼莪劬有日楸檟慰如人箎韻應聯榻蘭觴可悅親古來仁者壽從看海籌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 初三日 이른 아침에 복룡이 돌아가기를 고하므로 집에 보낼 편지를 부쳐 보냈다. 아침을 먹은 뒤에 주동으로 가서 종일토록 이야기하다가 왔다. 早朝卜龍告歸, 故付送家書。 食後往鑄洞, 終日談話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 二十九日 일찍 천노(千奴)를 예조로 보냈다. 오후가 되어서야 돌아왔는데 별다른 소식이 없으니 걱정스럽다. 早送千奴於禮曹。 日午後始來, 而別無消息, 可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월 十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 十一日 ○일찍 출발하여 석곡에 이르러 요기하였다. 또 절구 한 수를 읊었는데 율지(聿之)가 먼저 읊었다.우리 일행 무작정 놀러 온 것이 아니니(我行不是耽遨遊)매번 해 뜨기 전에 행장 꾸려 길을 재촉하네(每促行裝日未浮)용성1) 길에 접어들어 차례로 바라보노라면(路入龍城次第見)넘실대는 맑은 물 굽이굽이 돌아 흘러가네(洋洋淳水曲幾周)내가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몇 발짝도 나가기 어려워 지팡이 짚고 나와(寸步難前杖出遊)고단한 걸음 얼마나 걸어야 한강에 배 띄우려나(間關幾日漢艭浮)집을 떠나 비로소 용성 땅에 도착하니(離家始到龍城地)맑은 물 이르자마자 다시 돌아 흘러가네(纔到淳江又浦周)여옥(汝玉)이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천릿길 떠난 우리 일행 멋진 유람도 하는데(千里吾行亦勝遊)초심을 망각한 이 인생 허망하기만 하여라(初心忘却此生浮)어이 늘그막에 길을 나서 어이 그리 고생하나(路何老也尖何苦)매번 부러운 건 길 가득 덮은 짙은 그늘 뿐(每羨繁陰滿道周)자윤(子允)이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선조 은혜에 이미 배부른데 멋진 유람에 들떠(已飽先恩志勝遊)어느 날에나 서울에 닿아 회포를 풀거나(懷卷何日漢城浮)우리 여행 길 경계하여 앞길만 보고 찾아가니(戒吾行李訪前路)사방에 두루 펼쳐진 산 경치 다 두고 왔네(行盡山光面面周)저녁에 남원 읍내에 도착하여 그 안에서 묵었다. 남문(南門) 밖 송만득(宋萬得)의 집에서 밥을 먹었다.-밥값으로 돈 1냥을 냈다.- 송씨 성(姓)이라 하기에 그의 성관(姓貫))을 물었더니, 여산이 관향이라 하였다. 본래 이름이 석규(碩奎)인데, 영남 고령(高靈)에서 조금 살았다고 했다. 이날 70리를 갔다. 도중에 또 절구 한 수를 읊었다.석양빛 두른 사람의 그림자 동쪽에 머무는데(人帶斜陽影在東)죽장 끌고 바삐 오니 성 안은 해가 저물었네(忙携竹杖暮城中)누각 앞에 기이한 경관이 있는 듯하니(樓前若有奇觀處)물에 스치는 수양버들 늦바람에 살랑이네(拂水垂楊引晩風)율지(聿之)가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해지는 석양에 달은 또 동쪽에서 떠오르고(日暮斜陽月復東)지팡이2) 짚고 바삐 재촉하여 성안에 이르렀네(鳩笻忙促到城中)우리 선조의 훌륭한 교화 몇 년 전의 일이던고(吾先治化問幾年)향리가 순후하여 옛 풍도가 있구나(鄕厚吏淳有古風)여옥(汝玉)이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웅장한 해동에 용으로 이름난 성3)(龍以名城壯海東)그 가운데에 모두 옹기종기 인가가 즐비하네(閭閻撲地盡其中)남쪽에서 걸어온 우리들 석양에 걸음을 재촉하니(夕陽促我南來步)눈 가득 보이는 경광 옛 나라의 풍경이로다(滿眼景光舊國風)자윤(子允)이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순자강4) 이북 산성의 동쪽(淳江以北山城東)앞에는 연하가 그 가운데에 자욱하네(前有烟霞這箇中)우리 가는 지름길을 어디 한번 물어보세(借問吾行徑捷路)내일 아침 한강 누대에서 바람을 쐬고 싶네(明朝欲及漢樓風) ○早發抵石谷療飢。 又吟一絶, 聿之先曰: "我行不是耽遨遊, 每促行裝日未浮。 路入龍城次第見, 洋洋淳水曲幾周。" 余次曰: "寸步難前杖出遊, 間關幾日漢艭浮。 離家始到龍城地, 纔到淳江又浦周。" 汝玉次曰: "千里吾行亦勝遊, 初心忘却此生浮。 路何老也光何苦, 每羨繁陰滿道周。" 子允次曰: "已飽先恩志勝遊, 懷卷何日漢城浮。 戒吾行李訪前路, 行盡山光面面周。" 暮抵南原邑內宿, 南門外宋萬得家飯【錢一兩出】, 以宋爲姓, 故問其姓貫, 則以礪爲貫矣。 其本碩奎, 而才居嶺南 高靈云。 是日行七十里。 路中又吟一絶曰: "人帶斜陽影在東, 忙携竹杖暮城中。 樓前若有奇觀處, 拂水垂楊引晩風。" 聿之次曰: "日暮斜陽月復東, 鳩笻忙促到城中。 吾先治化問幾年, 鄕厚吏淳有古風。" 汝玉次曰: "龍以名城壯海東, 閭閻撲地盡其中。 夕陽促我南來步, 滿眼景光舊國風。" 子允次曰: "淳江以北山城東, 前有烟霞這箇中。 借問吾行徑捷路, 明朝欲及漢樓風。" 용성 용성(龍城)은 전라북도 남원시의 옛 이름이다. 지팡이 원문의 '구공(鳩笻)'은 손잡이 부분을 비둘기 모양으로 조각한 지팡이로, 예전에 임금이 나이 많은 신하에게 비둘기처럼 소화를 잘 시키라는 의미에서 내려 주었다. '구장(鳩杖)'이라고도 한다.《後漢書 志5 禮儀中》 《呂氏春秋 仲秋記》 용으로 이름난 성 남원의 교룡산성을 말한다. 순자강 순강(淳江)은 순자강(鶉子江)을 말한다. 위의 각주 54번 참조.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2일 十二日 ○일찍 출발하여 고개 아래에 이르러 아침을 먹었다. 전석치(磚石峙)를 넘어 절구 한 수를 읊었다.푸른 벼랑의 흰 바위 가장 높은 봉우리에(蒼崖白石最高峯)그대에게 묻노니 어떤 승려가 소나무를 심었는가(問爾何僧手植松)방성의 웅장한 형세를 굽어보니(俯瞰方城雄壯勢)범이 꿇어앉은 듯 용이 웅크린 듯하여라(況如蹲虎又盤龍)율지(聿之)가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전석치 봉우리 백보 오르고 또 오르니(百步登登磚石峯)보이는 건 면면이 이어지는 높고 낮은 소나무뿐(但看面面高低松)그대에게 청하노니 고향으로 돌아가는 꿈일랑 꾸지 말게(請君莫作還鄕夢)마음속에 경영한 구상대로5) 계룡으로 향하세나(意匠經營向鷄龍)여옥(汝玉)이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아침햇살 속에 천천히 걸어 저 언덕에 오르니(倦步朝陽陟彼岸)우뚝 솟은 오래된 바위 길고 짧은 소나무 있네(崢巆老石短長松)살펴보니 곤륜산 줄기임을 알겠거니(看來認是崐崘脈)굽이굽이마다 산의 정령 용호를 달리게 하네(屈曲精神走虎龍)자윤(子允)이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힘겹게 지팡이 잡고 저 언덕에 오르니(强把鳩笻登彼岸)푸른 회화나무 그늘 가에 소나무도 푸르러라(綠槐陰畔又靑松)풍광은 길가는 사람 발길을 멈추게 하니(風光能使行人住)앉아서 뭇 산에 웅크린 용들을 바라보노라(坐見群山某某龍)오수(獒樹)에 이르러 요기하고 각각 길을 나섰다. 나는 국평(菊坪) 송기렴(宋基濂)의 집에 들어갔으나, 하서가 출타 중이어서 만나지 못하고, 그 아들 송전(宋椣)만 만나보고 출발하였다. 야당(野塘)의 송필동(宋必東) 집에 들어가서 그 외아들 상(喪) 당한 것을 조문하였다. 또 송계천(宋啓天)을 조문한 다음 마을 앞 정자(亭子) 아래로 내려오니 하서가 마침 와서 이야기를 나누었다. 주인이 한사코 만류하였기 때문에 그대로 머무르기로 하고, 주막(酒幕)으로 나와서 주점(酒店)에 두 벗을 머물게 한 다음, 율지와 야당으로 들어가 송연영(宋連英)의 집에 머물렀다. 오늘 밤은 선고(先考)의 기일(忌日)이다. 지난해에는 서울에 올라가 있었기 때문에 기일에 제사를 지내지 못했었는데, 올해도 이와 같은 상황이니 슬픈 마음 이루 말할 수가 없었다. ○早發抵嶺下店朝飯, 越磚石峙, 吟一絶曰: "蒼崖白石最高峯, 問爾何僧手植松。 俯暇方城雄壯勢, 況如蹲虎又盤龍。" 聿之次曰: "百步登登磚石峯, 伹看面面高低松。 請君莫作還鄕夢, 意匠經營向鷄龍。" 汝玉次曰: "倦步朝陽陟彼岸, 崢巆老石短長松。 看來認是崐崘脈, 屈曲精神走虎龍。" 子允次曰: "强把鳩笻登彼岸, 綠槐陰畔又靑松。 風光能使行人住, 坐見群山某某龍。" 抵獒樹療飢, 各爲登程。 余則入菊坪 宋基濂家, 則夏瑞出他不見, 只見其子椣而發。 入野塘 宋必東家, 吊遭其獨子喪。 又吊宋啓天, 下來村前亭下, 則夏瑞適來, 仍與相話。 以主人之堅挽, 仍留爲計之, 出來酒幕, 留兩友於酒店, 與聿之入野塘, 留宋連英家。 今夜則先考忌日也, 而前年以京行之致, 不得將事於忌日, 今年又如此, 心懷之愴然, 不可言之。 마음속에 경영한 구상대로 원문의 '의장(意匠)'은 고안(考案)을 실제로 응용하는 일을 말한다. 두보(杜甫)의 시에 "경영하는 가운데 의장이 참담하다.[意匠慘淡經營中]"라고 하였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