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 十七日 차동(車洞)에 갔다가 그대로 머물렀다. 往車洞因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 初七日 폭우가 쏟아졌다. 雨大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 十七日 아침을 먹기 전에 한림(翰林)에 가서 글을 논하고 왔다. 食前往翰林, 論文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 十八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 初八日 밤에 눈이 내렸다. 夜雪。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玉川趙氏派譜序 趙之玉川氏。湖之望族。高麗檢校大將軍璋。始著譜。至門下侍中元吉。有節行。與圃牧幷稱。勳封玉川。賜諡忠獻。世稱農隱先生。有子五人。第三曰瑾。光陽縣監贈兵曹參判。卓犖有大志。入而行滿家庭。出而牧民。有冰蘗聲。洵乎一家之中祖也。趙氏方修譜。以光陽公爲派祖。編旣整。將刊之梓。門老庸燮扶慕涉遠。索不佞以序其事曰。吾譜昉於明陵壬午。而大同合編者七。派修者一。拜今九度矣。今非不欲遐邇協同。而生息蕃衍。事多摰肘。秖修吾派。蓋雖不得已也。不能無慊乎中也。不佞敬復曰。無傷也。大河汪澤。簡潔分流。固其勢也。自夫周官小史氏。掌奠世系辨昭穆。後世氏族之誌。因以興焉。蓋姓焉而別其族。族焉而同其譜。所以不忘其自出。而敦本合親。令生相憐而死相哀。辨類正名。俾倫不紊而群不混。此民治之大者也。故吾邦世家之敦尙氏族。家必有譜。人皆知尊祖敬宗。而孝弟友睦之風。與治化相終始焉。然世久族大。離散分處。往往面貌之未嘗接。慶弔之不相及。而强爲之大同合修。則不其近於文具耶。是以尙論之君子。不貴大同。而右派譜焉。矧惟趙氏源遠流長。世濟其德。光陽公以上尙矣。推而下之。退菴公之理學淵源。慕菴公四昆季之騈秀聯達。判官公之丙亂扈從。固已蓄德植義。以啓其來嗣之無窮。斯可以自立於世。何須合同而足也耶。昔之敍譜者。必曰觀吾譜者。孝弟之心油然而生矣。今觀趙氏之譜者。亦將有油然而感也歟。旣諗于趙氏。遂書此以涴編端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贈李勉承序 水之力。固懷山襄陵耳。其積也不厚則不能負大舟。風之力。固折拔樹屋耳。其積也不厚則不能負大翼。夫讀書亦然。其用也可以專對四方。可以撥亂反正。可以佐一人致太乎。然其讀也不厚。則無以窮窔奧得眞腴。昧聖賢之成法。貿事理之當然。內而不能治身心。外而不能行州里。尙何與議於廟朝四方之事乎。是故古之君子。夙夜慥慥。肘不離案。或有三年不窺園者。或有四十年不出閭者。不以得少而自夸。不以己知而自是。弗明不措也。弗得不措也。直至斃而後已。今之人粗讀幾卷書。便傲然自足也。少焉志懈意爛。不馳驟乎風潮之會。則必汨沒乎畎畝之間。卒底沒世無稱而不知悔。嗚呼。是豈但時使然哉。讀書不厚知不明而行不力故也。故曰水之積也厚。然後負大舟也力。風之積也厚。然後負大翼也力。李君勉承從余讀書于德川之社。其溫藉篤實。儕輩鮮倫。苟能充其志廣其業。庶將爲不見食之果。而時値不辰。商商作世。奪人之髓。蝕人之腦。罔有不至。雖勉承之勤且篤焉。而未保其能耐久學也。書此以勗之。栗溪先生文集卷之十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德川記 方丈之山。始起爲鍾石臺。東走至老姑峰。兩支南山。西爲兄弟峰。東爲至甑峰。德川之水。瀉出兩峰之間。峽東瀠洄。奔流觸石。飛者爲泉。滙者爲泓。急瀑駭浪。哀湍怨瀨。日夕舂撞。如萬筑迭響。而雜以鐘鼓琴瑟之音。蒼巖老石。錯落澗?。疑立頹仆。如屋如阜。如臼如竈。如龍挐猊攫。如牛飮羆登。使人顧眄錯愕之不暇焉。川之流。凡九折曲而始出峽。坊人故就第二曲馬?川之下。築洑分流以資灌漑。川於是爲二水。二水之間。有地可數頃。突若島嶼。四畔老樹蒼然。東西兩麓坡坨。旁引前抱如拱。直其端有潭。深廣可方舟。是名釜沼。沼之上有阜陡起爲一小山。衆木立者皆十尋。是名玉山。其下石盤陀嶙峋。可坐數十人。是爲川之第一曲。歲戊辰春。余與同寓諸公。築五爰齋于二水之間。以備學者之群居。旣又拓齋之旁。別爲屋三間。堂曰居然。室曰闇修。合而扁之曰德川亭。亭之南爲門曰嘉貞。而門之西。不數步有壇。里中人所築也。茂林陰盛。淸風灑凉。命之以詠歸壇。自亭而東。巨巖穹窿出溪上。名以觀瀾臺。又在其南之澗中者。尤大如樓。是爲鼓樓巖。巖之下。潭甚淸澈。亭上臨之。如開鏡然。是爲濯纓潭。西麓引抱至釜沼之南。突爲小丘。衆石錯置。環以林木。而特立古松。盤鬱如蓋。適與亭對。名曰谷口之亭。若夫大野闢其前。大江橫其南。五鳳鷄足金鼇諸山。攢笏疊屛。燦若錦繡之前陳。而白雲天王鳳頭月明。又皆根源而左右。其峰巒林壑。皆可坐而數之。至如丘陵墟落。烟樹晻曖。風帆沙鳥。山光峀影。浮沈而上下。朝暮之異候。四時之變態。殆有不可窮者。蓋鳳城以山水稱。而此其撰勝也。憶余昔之在武山也。常恨峽隘而水淺。無登臨之奇。眺望之遠。而今於流離轉徙之際。得此江山泉石之勝。取之而莫予禁。樂之而無予厭也。隨意所適。逍遙徜徉。觸目發興。遇景成趣。足以豁幽憂而養情性。生平之所願欲而未遂者。於是焉得之。亦可謂偶而不偶者矣。雖然。彼皆外耳。苟吾心之不能正。吾氣之不能養。吾身之不能修。則雖得天下之佳山水而優遊。於我亦何有哉。余故喜得山水之美。又惧吾之不稱而爲山水累也。略記其槪以備觀省。又賦雜詠以見其志云。是歲七月上休記。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蘭溪堂記 浴川友人朴君汝亨。署其居曰蘭溪。屬余文之。余嘗一過其堂矣。庭實秖有凡卉數叢。未覩其所謂蘭者。東國無眞蘭。東儒又明言之。居士之扁。其無當歟。曰非然也。以蘭喩蘭。不若以非蘭喩蘭之非蘭。蓋蘭在幽谷之中。含薰獨秀。不與衆卉角姸。不以無人而不芳。是蘭而蘭也。士君子處世。闇然含章。不皎皎以爲白。不嶢嶢以爲高。邪世而不能亂其德。窮居而不自失其守。是非蘭而蘭也。居士其有見於是歟。居士早從師友。沈潛於義理之原。而澡其躬裕其家。凡外至之得喪榮枯。擧不足以鑿我天植矣。及夫世杪俗委。哲愚滔滔。薰蕕芷艾。無物不化。而挺然自立於萬彙之表。其氣益淸。其香益聞。夫非所謂非蘭之蘭耶。因念在宋有范蘭溪。在元有金蘭溪。蘭溪之名聞於天下。至今頌慕之不衰者。厥有由焉。居士誠能顧名索義。益求自修。益崇明德。省察於操舍存亡之幾。百慮煩擾而至靜自若。昭晣乎華夷理欲之分。千磨百涅而磷緇不行。毋使二公專美古昔。則居士之蘭。亦將馨香於來後。而誰復以東國無眞蘭畵之也哉。居士其勿以老而自沮則善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泉食觀【一名同愛樓在玉壺洞今金國舅汶根亭子】次壁上韻【八月念一日】 天淵亭畔又新亭綠水芳塘卽戶庭千柄藕香初度節幾人來染錦袍靑【俗以六月念二日謂蓮花生辰主人速諸宰設酌亭上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李松坡文竹坡來顧戱和西湖詩帖韻 石尖泉滑澹棲霞舊夢迢迢漢上沙大酒隱於燕趙市芳隣結與柳陶家一生不俗心如竹萬事無端眼欲花雙屐故人知我否竹溪西畔雪橫斜江上孤村隱碧霞晩來雙屐印晴沙一甁招酒梅前塢千卷藏書竹裏家靑眼回憐常臥雪白頭猶說舊簪花依門小別眞堪畵散亂衣冠月影斜【松坡】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又和明人梅花詩韻 眉霞寂斂老霜臺小圃啇量小草栽萬念無塵禪入定一官如夢鶴歸來琴中舊譜風過杏硯此新綠雪掩苔羊仲有歌裘仲酒回回竹逕水西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聞香閣【本州策室】夜與薇泉進士九鉉呼韻相酬 夜色關人似掩籬紅燈漏落楚聲詩想思苦矣梅應瘦一笑天然竹亦奇屈指朋樽十年濶會心官鼓五更遲薇窓綠雨牽連緖尙有西簷舊月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除夜吟 詩家衰甚酒爲徵細酌村醅醉不勝五十光陰懸半夜百千懷緖坐孤燈勒名岐鼓嗟何在托跡河鼗尙未能可笑當年碧雲志低垂竹下似韝鷹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0일 晦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 二十八日 예조에 갔다 왔다. 往禮曹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6일 二十六日 경모궁(景慕宮)에 가서 이종형님의 참방(參榜)을 축하하고, 화옥을 만나러 왔다. 往景慕宮, 賀姨兄主參榜, 要見華玉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9일 二十九日 또 예조에 갔더니, 화옥(華玉)과 성경(誠卿)이 찾아와 만나고 갔다. 又往禮曹, 華玉及誠卿來見而去。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 初七日 ○문중(門中) 사람들이 용전(龍田)에 와서 함께 모여 종일토록 문적(文蹟)을 수정(修正)하였다. 성리(城里)와 율지(聿之)가 동행하겠다고 또한 나왔다. ○門中來會龍田, 終日修正文蹟。 城里 聿之以同行之意, 亦爲出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 初八日 ○오전에 문적 수정이 다 끝났으므로 오후에 길을 나설 계획이었다. 중간촌(仲看村)의 박상현(朴祥顯)도 동행하겠다고 뒤늦게 말하였으므로 길을 떠나지 못하고 그대로 머물렀다. ○午前文蹟修畢, 午後發程計矣。 仲看村 朴祥顯, 亦以同行之意追後云, 故不得發程, 仍留宿。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