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翼夫【曅○甲寅】 旣承兩有書。又蒙二舍見屈。雖則感荷。久別馳想。得接一夜面目。乃復不獲傾款。殊甚缺然。不審歸省護寧。鄒書已畢。更就何書。尊兄心力過人。工夫益緊。趨向益明。由是往也。吾黨可終無所賴耶。示諭義利二字。非惟孟子七篇大旨。聖賢敎人爲學。近自心身。遠至家國天下。無非此二字另別來。但患學者之不自省察。而類作一場話耳。兄今能自省察。懍然恐懼。惕然收斂。以至毛髮竦然。令人攢仰而不已也。蓋聖賢無所爲而然也。無所爲而然者。命之所以不已。性之所以不偏。而敎之所以無窮也。凡有所爲而然者。皆是人欲之私。而非復天理之所存。此義利之分。南軒先生所以喫緊爲人。而紫陽夫子之每誦而三嘆者也。學者苟能於有所爲無所爲。察之精而行之力。則何患不入聖賢門路哉。加勉是祝。西河離索。已作膏肓。而朝暮相遇。歲寒相期。惟書疏講論一段事。乞望留念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安甫【熹洙○戊申】 在爀汨汨無狀。不敢與世人俯仰久矣。猶幸天初之彝。無或異於人人者。肆敢抗顔趨走於士友之末。庶幾粗聞大道。有觀善須成之意。而嚶嚶之思。自切于中。一二年來。知友之才氣英邁者。皆裂裳裹足。揚揚於風潮之會。吾林日益搖落。向所謂庶幾須成。已無可論之地。而昨日之相期一生者。便同一楚一越。徊徨岐路。誰復憐我。尊兄吾黨之翹楚。勁風獰雨。不能摧其節。熙來穰往。不能動其心。衆咻至而志益堅守益固。似此氣象規模。何處得來。私心艶仰非一日。擬欲昕夕同堂。參聽偉論。講質突奧。效力於崇安之潛誦。而形異地隔。不可及矣。然亦不可以因風胥告。輔其短而勸其長乎。方且嚮風延頸。忽承一幅先施。首尾覼縷。皆吾平昔所欲言於尊兄者。何其意之不約而相符有如是也。未論其他。只此一念。不約而同。則前頭之北風同歸。從此又可期矣。窮山隻影。得此奇音。金玉不足以爲貴也。幸乞倍加努力。益盡心於修俟之方。勿墜一線之傳。崖州大學。正爲吾輩今日之柯則。可不相勉勉矣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郭德用別紙 心譬則水也。性譬則水之源也。情譬則水之流也。中譬則源之淸也。和譬則流之通也。莫非心也。而分其體用而言。有性情之殊。就性情而言。其德有中與和之別。莫非水也。而分其本末而言。有源與流之異。就源流而言。其象有淸與通之辨。蓋心之未發時。可見性之渾然在中。是水不動時。便見源之澄澈在內也。心之已發時。可見情之隨感而應。是水已動時。便見流之潺湲出外也。然則中非性。以其性之渾然在中。不偏不倚無過不及故。名之曰中。是則淸非源。以其源之澄澈。不撓不動。無泥沙混淆故曰淸。和非情。以其情之隨感而應。各有攸主。無所乖戾故。名之曰和。是則通非流。以其流之潺湲出外。東馳西湊。無所壅滯故曰通。見得到說得明。可喜可敬。無敢更評。蓋理氣決是二物。心性初非兩歧。世之儒者。開口必曰性理心氣。未知何故。今見來諭。節節有理。曷不欽仰。但心是主於身而名者。性是天命之全體。故性可挑出而謂之卽理。心不可卸卻人身。而須就五氣精爽之所聚。精神魂魄有知有覺者而言之。乃爲得之。故心曰理亦得。曰氣亦得。然認心爲理。而不察乎氣欲之拘蔽。則其或認賊爲子矣。謂心卽氣。而不知有天命之宰制。則其必無君自主矣。故曰心是理氣之合。而理爲主氣爲資者也。程子曰自理而言謂之天。自稟受而言謂之性。自存諸人而言謂之心。竊謂人之心性。皆稟受於天而存於我。不可以分言。性賦於物之公共道理。通萬物而一源。心是在我之神明。主一身而宰萬事云云。金大谷問於蘆沙曰。灑掃應對是其然。必有所以然。其然者粗也末也。所以然精也本也。先生答以似然。今以精粗本末。分屬理氣何也。尊諭亦吾意。朱子曰治心脩身是本。灑掃應對是末。皆其然之事也。至於所以然則理也。理無精粗本末。皆是一貫。觀此可瞭然矣。從上聖賢傳授常法。只就一心體用寂感上。一主於敬。而致其存養省察之功。若體而不知存養。則體之寂然者。木石而已。大本有所不立。用而不知省察。則用之感通者。馳騖而已。達道有所不行。此立大本行達道。惟在於心。心之所以立大本行達道。惟在於敬。此敬爲一心之主宰也。極是極是。且更顧省。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 十七日 대아(大衙)에 머물렀다. 폭설이 내리고 몹시 추웠다. 留大衙。 大雪極寒。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일 十八日 오늘은 바로 약산(藥山)65)의 서장대(西將臺)66)에서 성조(城操, 성에서 하는 군사훈련)하는 날이다. 일단 천주사(天柱寺)67)로 들어가 잠시 쉬면서 추위를 피한 뒤, 채찍을 재촉하여 서장대로 올라갔다. 서장대는 약산(藥山)의 제일봉(第一峯) 서쪽에 있는데, 평안도 전역을 높이 누르고 있고 그 터가 매우 견고하여 철옹(鉄瓮)이라는 호칭에 딱 들어맞았다. 시력(視力)이 비록 미치지 못하지만 저 땅의 산천이 지척에 있는 듯하고, 북쪽으로는 묘향산(妙香山)68)을 바라보고 서쪽으로는 청천(晴川)을 내려다보았다. 가없이 너른 들판은 무릎 아래에 펼쳐져 있고 뭇 봉우리는 첩첩히 쌓여 마치 돌을 포개 놓은 것 같았다. 이날 3천 병마를 거느리고 성 위에 도열하여 종일토록 무예를 연마하였다. 마침내 율시 한 수를 읊었다.관서에서 일찍 약산이 명성을 드날렸으니(西關夙擅藥山名)기모69)가 남긴 정채 귀신의 도끼로 이루어진 것이리(氣母留精鬼斧成)넓은 벌판에 그 누가 천 자나 우뚝 서는 것을 다투랴(大野誰爭千尺立)끝없는 하늘에 만년토록 혼자서 지탱하였네(長天獨任萬年撑)형세는 제일가는 금성탕지70)의 요충지이며(形便第一金湯地)보루와 장벽71)은 둘도 없는 철옹성이라(保障無雙鉄瓮城)성상은 변방을 향한 근심 잊지 못하여(聖主邊憂猶不忘)태평 시대에도 군대를 단련시키네(太平時節鍊軍兵)밤 2경에 호령하고 횃불을 들어 올리니 멀리서 보면 화성(火城)과 같았다. 잠시 뒤 불이 꺼지자 파진(罷陳)하였다. 영감(令監)과 모든 사람들이 내려갔는데, 나는 서운사(捿雲寺)에 가서 묵었다. 是日卽藥山西將臺城操日也。 先行入天柱寺, 暫憩禦寒。 遂催鞭上西將臺, 則臺在於藥山第一峯之西, 而高壓平安一道, 其基址甚固, 鉄瓮之號, 眞得題語也。 眼力雖不及, 而彼地山川, 如對咫尺, 北望香山, 西瞰晴川。 大野無邊膝下, 羣峯磊磊, 若累石之狀。 是日率三千兵馬, 羅列城頭, 終日鍊武。 遂吟一律, "西關夙擅藥山名, 氣毋留精鬼斧成。 大野誰爭千尺立, 長天獨任萬年撑。 形便第一金湯地, 保障無雙鉄瓮城。 聖主邊憂猶不忘, 太平時節鍊軍兵。" 夜二更, 號令擧火, 遠若火城。 稍間掩火, 因罷陳, 令監及諸人皆下去, 而余則往留於捿雲寺。 약산(藥山) 조선 태종실록에는 "약산은 사방이 높고 험하고 바위들이 깎은 듯이 서 있어 하늘이 만든 성이라고 일컬으며, 의주와 삭주, 강계 등 여러 고을 중에서 군사를 모으기에 적당한 곳"으로 기록돼 있다. 서장대(西將臺) 장수가 올라서서 지휘할 수 있도록 산성 서쪽에 높이 만든 대를 이르던 말이다. 천주사(天柱寺) 평안북도 영변군 영변읍 약산 동대(東臺)의 동남쪽에 있는 절이다. 1684년(숙종10) 창건하였으며, 1722년(경종2) 중수하였다. 진달래가 온 산을 덮는 봄철에는 약산동대와 천주사가 꽃구름 속에 떠 있는 듯하다 하여 예로부터 관서팔경의 하나로 불렸다. 묘향산(妙香山) 묘향산은 원래 영변군에 속해 있었는데, 지금은 향산군(香山郡)으로 분할되었다. 주봉은 비로봉(毘盧峰)이다. 기암과 괴봉 등 명승풍치가 둘레 160km나 되는 넓은 지역에 펼쳐져 있다. 원래 연주(延州) 고을에 속한 산이라는 뜻에서 '연주산'이라고도 하고 바위들이 유달리 희고 정갈하다는 의미에서 '태백산'으로도 불렸는데, 산세가 기묘하고 수려하여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특히 누운 향나무가 많아 사철 그윽한 향기를 풍기는 산이라 하여 11세기부터 묘향산이라 하였다. 기모 기모(氣母)는 만물을 생성하는 근본이라는 의미이다.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에 "복희(伏羲)가 자연의 대도(大道)를 터득하여 기모(氣母)를 가지게 되었다.[伏戱得之, 以襲氣母.]"라 하였는데, 그 주석에 '기모'는 '원기(元氣)'라고 하였다. 《남명집(南冥集)》 <원천부(原泉賦)> 금성탕지 원문의 '금탕(金湯)'은 금성탕지(金城湯池)의 준말이다. 금으로 조성한 성과 끓는 물이 흐르는 해자라는 뜻으로, 견고한 성지를 말한다. 《한서》 권45 〈괴통전(蒯通傳)〉에 "반드시 성을 고수하려면 모두 금성과 탕지로 만들어야 공격할 수 없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보루와 장벽 원문의 '보장(保障)'은 적의 접근을 막기 위해 돌이나 흙 등으로 만든 견고한 보루와 장벽을 말한다. 춘추 전국 시대 조(趙)나라 간자앙(簡子鞅)이 윤탁(尹鐸)이라는 사람으로 하여금 진양(晉陽)을 다스리게 하자 윤탁이 "세금을 많이 거둘까요, 보장(保障)이 되게 할까요?"라고 물으니 간자(簡子)가 보장이 되게 하라고 답한 고사가 있다. 《十九史略通攷 卷1 春秋戰國時代》 《通鑑節要 卷1 周紀 威烈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 初六日 비가 내렸다. 근동에 가서 또 한 수의 의(義)를 지었다. 저녁에 함께 한동(翰洞)에 가서 글을 논하고 왔다. 雨。 往芹洞又做一義。 夕間同往翰洞, 論文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 初七日 비가 내렸다. 화옥이 와서 만나고 갔다. 오후에 여러 젊은이들과 종루(鐘樓)에 가서 백등(百燈)을 구경하였다. 돌아오는 길에 비가 내렸다. 비를 맞고 오다가 의복이 모두 젖었으니, 한탄스럽다. 雨。 華玉來見而去。 午後與諸少年, 往鍾樓觀百燈, 而回路雨作。 冒雨而來, 衣巾盡濕, 可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 初九日 일찍 아침을 먹은 뒤에 주동(鑄洞)에 가서 치회(穉會)를 만나고, 반촌(泮村)으로 길을 돌려 화옥을 만나고 왔다. 早食後, 往鑄洞見穉會, 轉向泮村, 見華玉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 初三日 공생(孔生)이 찾아와서 종일 이야기를 나누다가 갔다. 孔生來見, 終日談話而去。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 初四日 벗 백건이 일찍 와서 이조 정랑 윤기의 족속이 윤 이랑(尹吏郞)에게 가서 편지를 가져왔는데, 대개 윤 이랑이 내가 직접 뵙고 청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청한 것을 의아스럽게 여겼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나의 병세에 대한 사유를 자세히 진술하여 이조에서 숙직하고 있는 팔선(八仙)을 이조(吏曹) 직방(直房)7)으로 보냈다. 주동(注洞)의 종인(宗人) 자승(子昇)이 찾아와서 만났는데, 또 공전(工錢)8)의 어려운 상황에 대해서 말하고 갔다.천노(千奴)가 오기만을 몹시 기다렸으나 오지 않아서 정득(貞得)에게 점을 쳐 보게 하였더니, 괘에 "이번 달 14일에 반드시 올 것이다."라고 하였다. 반드시 이와 같을 리는 없겠지만 오늘내일하면서 초순이 되도록 오지 않는다면, 연회일은 점점 다가오고 행기(行期, 길 떠나는 기한)는 지체되니 이를 장차 어찌하면 좋단 말인가.오후에 조카 호(豪)가 노복과 말을 데리고 오니, 병중에 기쁘고 다행스러운 마음 이루 다 말할 수 없었다. 이조 낭청이 좌랑(佐郞) 윤기(尹愭)를 청득(請得, 청촉(請囑)하여 허락을 얻음)하려 하였기 때문에 궐내에 관고(官誥, 사령장)를 들여보냈는데, 오늘 정사를 아직 열기 전이라 옥새를 찍지 못하였으니 서글프고 한탄스러운 마음이 어찌 끝이 있겠는가.이조의 색구(色驅)9)가 와서 만났는데, 흥양의 연회는 물력이 부족하여서 연회의 날을 3월 17일로 물려 정하였다고 하였으므로 이러한 내용을 색구에게 분부하였다. 색구가 말하기를, "내연(內宴)10) 날짜를 만약 여러 날 뒤로 물린다면 불편한 일이 많을 것입니다. 전에 정한 24일에 연회를 베풀기 위해 행차하겠다고 이미 공사(公事)를 발송했기에 중지하기도 어렵습니다, 만약 며칠을 물린다면 변통할 수 있는 방도가 있겠지만, 3월 보름 이후로까지 미루게 된다면 이는 곧 반드시 시행될 것이라고 기약할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본조(本曹)가 별 탈 없이 출발할지를 미리 알 수도 없습니다."라고 하더니, "기한을 정한다면 그믐과 초하루 사이가 매우 좋겠습니다."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즉시 관상감(觀象監)11)에 사람을 보냈더니 김 동지(金同知)가 다시 날을 택하여 왔다. 健友早來, 裁尹吏郞之族抵尹吏郞書來, 而盖尹吏郞, 以吾之不面請, 而轉請爲訝云, 盛陳吾病勢之由, 於吏曹直中, 故送八仙於吏曹直房。 注洞 子昇宗人來見, 又言工錢苟艱之狀而去。 千奴苦待不來, 故使貞得問卜, 則卦云"今十四日必來"云。 必無如此之理, 而今日明日, 拖至初旬而不來, 則宴日漸迫, 而行期滯遲, 此將奈何? 午後豪姪, 率奴馬而來, 病裡喜幸, 不可言。 吏郞請得尹佐郞 愭, 故入送官誥於闕內矣, 未及於今日開政, 不得安寶, 悵歎何極? 吏曹 色驅來見, 而興陽宴次, 物力不足, 故宴日以三月十七日退定云, 故以此意, 分付於色驅, 則色驅言 "內宴日, 若多日遲退, 則事多難便。 前定卄四日, 設宴行次之意, 已爲發公事難中止。 若退數日, 則可以有變通之道, 若至於三月望後, 則此卽之必行, 未可期也。 且本曹之無故發卽, 未可預知"云, "爲定限晦初間危好"云, 故卽送人於觀象監, 金同知更擇以來。 이조(吏曹)의 직방(直房) 직방은 조방(朝房)이라고도 하는데, 조정 관리들이 조회 시각을 기다릴 때 사용하는 방으로, 궁성(宮城) 밖에 관아마다 따로 있었다. 공전(工錢) 물건을 만들거나 수리해 준 대가로 주는 품삯을 말한다. 색구(色驅) 높은 벼슬아치가 부리는 하인의 무리 가운데 우두머리를 이르던 말이다. 내연(內宴) 내진연(內進宴)의 약칭으로, 곧 내빈(內賓)을 모아 베푸는 잔치를 말한다. 관상감(觀象監) 조선 시대, 천문, 지리학, 역수(曆數), 기후 관측, 각루(刻漏) 등의 사무를 맡아보는 관청을 이르던 말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又拈韻得七五兩律 老屋蒼凉雨意遙蟾光漏洩點雲消經秋遠峀尖尖石近臘寒梅艶艶條豪氣有誰肩北海健詞知爾體南朝ㅡ年荒店東風夢搔首長瞻漢上霄老樹庭生影雲移月入扉酒村孤犬吠江國數鴻飛歲色驚新曆天香憶舊衣店燈何事業千里未言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和小溪宗人拈退漁韻【臘月十六日】 眉稜歸却睡痕迷把袂相看小竹棲山市漸冥䲭嘯急江天欲煖鴈嘶低憐君病榻猶新酒笑我輕鞵又凍泥一抹園田璚句裏不禁鄕思碧葱畦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 初五日 이 선달(李先達)이 선물과 세찬(歲饌)을 보내왔다. 李先達, 送饋歲饌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翌朝又酬二疊 朝氣蒼凉竹下亭新詩欲動酒先馨臘歸梅忽先天白雲盡山仍舊日靑十畝桑麻應遠待一年風雨又虛經無端坐數餻湯碗大笑痴儂喫幾齡蕉罇淨洗俗華紛舊契新緣話兩君千里送年浮似夢一生違世誤於文知心中夜懸明月宿計東岡杳白雲短屐長帬爲誰弊商量萬事不如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宣陵享行氷湖舟中戱賦一絶【三月十五日寒食】 蕩漾東風漢水天不堪搖櫓老長年定知雷史逍遙日無限詩神戱那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御製【奉謨堂展拜後又製賜閣臣 正月初十日】 珠室金床敬審廻宣呼學士到蓬萊靑春滿酌黃封酒特許懽游盡日陪謹賡春風依舊上林廻復見南臺與北萊羇旅亦知歌萬壽愛君非獨近臣陪玉樓條暢惠風廻萬彙敷榮洎草萊方外遠臣記存否時時香榻夢中陪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雨中戱吟【三月念八日三疊】 條風三月尙餘寒春意遲回萬木端一夜鑾輿新令下百忙花事雨珊珊百種綾羅不猒奢宮桃如妬杏如誇若無天上黃麻紙三月人間未見花弱蘭無力谷風前不遂羣芳鬪媚姸終看國香難自晦美人帬帶晩相懸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用壁畵和水雲侍郞【參判在田字汝見自號水雲拈朱詩韻 閏三月十六日】 白雲流水橋舒緩騎驢客塵外一何閒俯看林下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일 初三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 初四日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