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祭南素窩文 嗚呼人有恒言。五十免夭。公則望六。孰云未老。未老摧折。古今歷歷。我獨何爲。且悲且哭。百喙滔天。聖言墜地。穹壤百倒。此寃莫最。仁人君子。張膽竭力。左右拯救。猶懼未克。非眞非夢。公何遽云。廊空廇折。航孤帆淪。日暮道窮。餘子誰因。矧惟我公。吾黨之傑。一時諸子。莫之或越。俊偉端莊。磊落深密。早登師門。稱獎如昨。踐履有常。趨繩步尺。臨事有條。宣金振玉。理必精究。全牛剨郤。道必勇進。堅壁撕殺。辨說義利。江河倒轉。視趨羶炎。犬彘不啻。篤信師說。卜氏是擬。引進後學。直卿可待。天若假年。洵美且大。志未及伸。命局於此。豐賦嗇施。天實何心。吾道益孤。滄淚誰禁。琦也顓蒙。荷知有素。輕麤伉直。習已成痼。計獲助長。處事敗證。公實診之。憫我炳炳。針我砭我。厚重公正。喪禮有儀。待公是完。心質異見。幸公爛漫。粤自山頹。惟公是將。期究大業。百年之長。一夢千古。萬事寒霜。武夷蕭瑟。勿山寂寞。踽踽徊徨。莫慰我臆。望公高堂。老淚血滴。視公庭除。彼何髧髮。萊養韋經。于誰其托。所可慰者。定叟猶存。敬夫微言。不患無傳。況其文德。吾黨華蓋。繼公發揮。足以百世。顧惟世蕩。如水益洿。心顚身沛。靡所止且。全我身髮。有儼衣冠。歸侍間席。發奧質難。公則堂堂。我又何悲。可哀人間。彳亍疇依。有淚千行。只哭吾私。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瑞石山歌 石多爲山天下同。獨名瑞石胡不公。昔我路出山之北。但見其周遭嵬隆。維歲木豕端陽節。同我友人駕靑驄。石逕如線登復登。天皇人皇峙西東。瀛洲方丈堪可齊。兩腋不覺生淸風。試踞巉巖快縱眸。峯峯石石皆玲瓏。疑立整列臨陣將。偃仆競鬪飮澗熊。鳳翥龍丱各呈奇。似樓臺又似屛幪。千尺圭峯尤奇絶。亭亭列峙撑靑穹。幸漏媧補全氣骨。已經神斧如磨礱。光氣射人星斗低。須臾轉眄驚靑瞳。風穴石室俱堪語。左饕右饞如紛悤。瑞石之名良有以。聳壯叫奇謝天功。我若從前墻外過。詎見宗廟百官中。楓嶽我見萬物肖。東海我見叢石崇。自謂天下更無石。到此始知物無窮。却嘆玆山久無賴。至今寄與梵王宮。坐中誰是西山氏。心上樓臺起如虹。雖然成毁俱外耳。孰若吾人反厥躬。儼然有德須可欽。直氣凜凜凌蒼空。卽今大道危一髮。禍及剝膚如猛洪。彼自崢嶸我萎苶。泉慚石愧可奈終。曰我同登諸同志。時時瞻敬激懦衷。胸中壁立千仞勢。然後方可做大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鳩林海別諸友 桂隱居士【趙東誠】年最高。策衰共理名山屐。飛涉峻嶄似康莊。知自窮經養神力。風流儒雅趙穉弘。【興九】三盃豪氣聳如城。百折千巉勤先導。北風雨雪可同盟。殷擧【白良善】端恭異餘人。發之家庭豈誣焉。百里迢迢來相送。厥誼珍重可忘旃。子仁純慤吾所敬。海上觀風吾與爾。莫恨暫分歸不遲。方壺仙子也有待。崔君【炫】風義古罕聞。舟中送別何慇懃。愧余悤悤不解事。南來空負大方門。留別諸君何所贈。努力崇明古云云。回看月嶽亭亭勢。直氣蒼然薄穹旻。一蹉便墮千仞塹。鯨呑猘噬又何辰。一天惟有江南月。佇憑南鴈好音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南敬眞【勝愚】沈正玉【鎭宅】二君登錦山一宿。出至三十里江頭埠。方討乘船。聞余過知足島。還復追踵。至錦山下聽溪店相遇。仍與之上山。 看山興盡便當歸。旣退一舍上船催。忽聞西風我行過。顚倒裳衣來相追。迂回崎嶇且休道。足繭體疲柰悶斯。知君此意良已勤。傍人誰不感歎之。顧余生平無善狀。愧敎良朋枉勞貽。爲君却賀仙緣重。一秋再登亦云奇。觀山觀水皆有術。奚囊應重錦繡堆。壁立海涵今如許。看取崇明皓首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 十一日 닭이 울 때 길을 나서 함녕(咸寧)까지 20리를 갔다. 동쪽 하늘에 먼동이 트기 시작했지만 비가 내린데다가 홍 첨지의 말이 복통이 있었으므로 막소에서 조금 쉬었다. 비는 개지 않았으나 말의 병에 조금 차도가 있어 길을 떠났다. 봉산(鳳山) 10리에 이르러 아침을 먹고 말에게 꼴을 먹였다. 여러 방법으로 말을 치료했으나 끝내는 나아질 기세가 없으므로 결국 홍 첨지는 뒤쳐지고 말았다.이에 시종 혼(混)과 길을 나섰더니 찬바람이 강하게 불어 간신히 동선령(洞仙嶺)48)을 넘었다. 조남발소(鳥南撥所)에 이르러 국수와 떡을 사 먹었는데, 봉산(鳳山)이 그것으로 유명했기 때문이다. 황주(黃州) 읍내까지 10여 리를 가서 묵었다. 날도 저물었지만 바람이 차고 길이 얼어붙어서 앞으로 나아갈 수가 없었다.조남(鳥南) 객점에 이르니 또한 명승지였다. 두 산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것이 엄연히 석문(石門)이 되었는데, 바위의 형상은 층층이 바둑돌을 쌓아 놓은 듯하였고, 박계(朴桂)49)로 지탱한 듯 중천에 높이 솟아 있으니 참으로 기이하고 절묘한 곳이었다. 절구 한 수를 읊었다.찬비 개니 세찬 바람 불어오고(冷雨初晴風力緊)동선령 위에 눈이 흩날리네(洞仙嶺上雪浮浮)밤낮없이 서도50) 길 떠나 얻은 것 무엇이런가(日夜西征何所得)묘향산 풍물을 비단 주머니51)에 담았노라(香山風物錦橐捉)조남산성(鳥南山城)에서 또 한 수를 읊었다. 시는 다음과 같다.열성조 서쪽 변방 근심 예사롭지 않아(列聖西憂不等閑)동선령 아래에 겹겹의 관문 만들었네(洞仙嶺下設重關)산성의 초목 몇 겁이 지났던가(山城草木何年劫)초막살이 형편 풍년에도 고달프도다(峽戶生涯樂歲艱)정갈한 솔떡은 진귀한 맛을 뽐내고(精白松餻誇異味)맑고 단 차조술은 쇠한 얼굴 따뜻하게 하네(淸甘秫酒煖衰顔)서툰 시 낭랑히 읊조리며 홀홀히 떠나니(浪吟拙句忽忽去)정겨운 풍경 나 돌아오기를 기다리리(風景多情待我還) 鷄鳴登程, 至咸寧二十里。 天始開東, 而雨作且洪馬腹痛, 故小歇幕所。 雨雖不霽, 馬病小差, 離發到鳳山十里, 朝飯秣馬。 多方治馬, 而終無差勢, 洪遂落後。 遂與混傔登程, 則寒風大作, 艱辛踰洞仙嶺。 至鳥南撥所, 買食麵餠, 盖鳳山之有名故也。 至黃州邑內四十里留宿。 日力雖暮, 而風寒冷凍, 無前進之路。 至鳥南之店, 亦名勝之地。 兩山相拱, 儼作石門, 而石狀疊積如累碁, 如撑朴桂, 高揷半天, 信奇絶處也。 吟一絶, "冷雨初晴風力緊, 洞仙嶺上雪浮浮。 日夜西征何所得, 香山風物錦橐捉。" 鳥南山城又吟一律, "列聖西憂不等閑, 洞仙嶺下設重關。 山城草木何年劫, 峽戶生涯樂歲艱。 精白松餻誇異味, 淸甘秫酒煖衰顔。 浪吟拙句忽忽去, 風景多情待我還。" 동선령(洞仙嶺) 현재의 황해북도 사리원시, 황주군, 봉산군과의 분기점에 위치한 고개로 정방산(正方山)의 동남쪽에 있는 험준한 요새이며 서북의 관문이다. 옛날에 신선이 내린 고개라 하여 '동선령'이라 한다. 박계(朴桂) 밀가루나 쌀가루를 반죽해서 네모진 모양으로 납작하게 빚어 바싹 말린 뒤에 기름에 튀겨 꿀을 바르고 그 위에 튀밥이나 깨고물을 앞뒤에 입힌 유밀과(油蜜果)를 말한다. 서도 서도(西道)는 서관(西關)으로, 황해도와 평안도를 통칭하는 말이다. 묘향산……주머니 보관할 만한 가치가 있는 훌륭한 시를 비유한다. 원문의 '금탁(錦槖)'은 금낭(錦囊)과 같은 말로 시를 적어서 넣는 비단 주머니이다. 당(唐)나라의 시인인 이하(李賀)가 날마다 명승지를 다니면서 해(奚)라는 어린 종에게 비단 주머니[錦囊]를 지고 따르게 하여 시를 짓는 즉시 주머니에 담았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新唐書 卷203 文藝列傳下 李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0일 初十日 이른 새벽에 길을 나섰다. 소교점(燒橋店)·안성발소(安城撥所)·차령(車嶺)·세교(細橋)·병풍암(屛風巖)을 지나 서흥(瑞興, 황해도 중북부에 있는 군) 읍내까지 50리를 갔다. 아침을 먹고 말에게 꼴을 먹이며 그 평원의 넓은 들판을 살펴보니 논은 한 뙈기도 없고 온통 밭이었다. 남중(南中, 호남) 사람의 소견으로 말하자면, 만들어 놓은 논이 곳곳에 있긴 하지만 애초에 수답(水畓)이 없다는 것은, 아마도 그 밭에서 나오는 것이 논보다 낫기 때문일 것이다.서흥읍은 민가가 빽빽이 늘어서 있었다. 경기(京畿)에서부터 지나온 고을은 송도(松都)를 빼고는 작은 고을이 아닌 곳이 없었는데, 이 서흥읍은 매우 큰 고을이었다. 북쪽에 있는 산성은 그 둘레와 터가 평산(平山)의 태백성(太白城)에 비해서는 자못 웅장했으나, 송도(松都)의 대흥산성(大興山城)47)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이름은 태양(太陽)이라고 했다. 말에게 꼴을 먹인 뒤에 수월점(水越店)·차령(車嶺)·서산발소(西山撥所)·흥수원(興水院)·검수(黔數) 등 40리를 가서 묵었다. 이날 90리를 갔다.대개 산천의 기세가 장파(長坡)에 크게 미치지 못하였는데, 혹 산세(山勢)가 좌우로 서로 이어지고 둘러쌓여 물이 흐르는 곳이 없었으니 매우 괴이하다. 그 가운데 움푹 파인 구멍이 있어 빗물이 쏟아지면 반드시 그 구멍으로 새니 괴이하고도 괴이하였다. 凌晨上程。 過燒橋店、安城撥所、車嶺、細橋、屛風巖, 至瑞興邑內五十里。 朝飯秣馬, 觀其平原曠野, 無一片水田, 皆是田也。 以南中所見言之, 則作畓處處有之, 而初無水畓者, 盖其田之所出, 勝於畓故也。 瑞之爲邑, 閭閻擳比。 自畿至此所過之邑, 惟松都外無非殘邑, 而此邑則極雄府也。 北有山城, 其周回基址, 比於平山之太白, 頗雄壯, 而不及松都之大興, 名謂太陽云矣。 秣馬後, 過水越店、車嶺、西山撥所、興水院、黔數四十里留宿。 是日行九十里。 盖山川氣勢, 太不及長坡, 或有山勢左右相連回抱, 無水流之處, 甚可怪也。 其中空陷有穴, 天水所注, 必漏其穴, 可怪可怪。 대흥산성(大興山城) 개성부(開城府)의 천마산(天磨山)과 성거산(聖居山) 중간에 있는 석축(石築) 산성으로 1676년(숙종2)에 축조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渡安昌橋【自馬蔡峴扺安昌驛五里】 白雲山外路迢迢橫截長江臥一橋依舊驛樓生馬首春光不改柳千條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梨雲【自安昌五里】 馹路西穿一洞門萬林霞氣晝昏昏若無積石難爲峀雖度長亭不見村谷邃傷心禽語怪路麤盈耳馬蹄喧斜陽幸賴荒壚酒喚起詩家寂寂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松峙【原州終境自梨雲十里】 斷峽重過舊日顔磵泉如駭谷雲頑關心梗路何多石礙眼荒林只見山上國行人荒店外南風歸馬古松間營營自笑天涯客呑吸狂塵苦未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原州炳皐書 鵲噪空檐忽承惠䓿仍審日間篆軆萬衛仰慰仰慰記下消遣沒策近以佩韘爲戱而巧力不孚苦無破的之一笑更覺無味看星之約敢不踐言而顧此淸貧督郵恨無一擲百萬之資奈何少選當圖進不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霜朝渡蟾江 橋下寒江凍不鳴正如羸卒閉唇行雪中老客猶生氣慘憺新詩更有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過藥房稜 【在月桂二水頭十里之間】 古木蒼蒼落日變數家籬落見孤烟千巖踏破纔平地二水逢迎更別天山下黃泥如昨日雪中白馬又今年漢橋去訪梅花否自笑無端聳兩肩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冷泉在鴻書 乍阻甚悵恭詢日間軆節萬衛昻禱昻禱宗下舍館終未整頓畢竟來住于邸吏家而各司下隸之逐日困浸實難支吾此亦一厄運耶可笑可歎歷辭昨纔了訖而亦有人事之不得不往修處故切欲源源而亦未果倘或恕諒否朝后似可進穩矣如無緊出入處則蹔俟之如何酒債百葉仰呈耳姑不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憩奧中邑店【幷小誌】 冠盖之行草草寄宿於茆店二夜自愧差員之卑簿而亦可認奧邑之貧寒也東道危於蜀石嶺何硉矹斷崖懸飛瀑輿馬太臲卼神林停鞚靭酒泉解巾襪薄酒龍井院戒駕又俄忽短鞭神如電不俟千榾柮鍊丹句漏客蒼茫到百奧奧俗頗勁悍嚇哄鬪郵卒偪側如蝸店二宵隱未歇自憐轅下駒羈縻堪咄咄移步上山亭春風砭詩骨黯黯官樹東落花錦江筏古松荒凉祠芳草悽悵碣漠漠魯陵西夜雨長薇蕨山僧報何德逃俗空斷髮欲上泰華巓啼鳥愁林樾老石會稽南寒雲但浮沒何處是蓬萊神僊跡恍惚雖有好江山終非舊宮闕至今杜宇恨千劫海不竭染血餘痕在寂寂花爛發秪見奉命臣年年一趨謁紀行索有筆甲寅春二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回過刻恨峙【幷志二首】 峙在淸冷浦之西自寧越邑來往楊淵驛捷徑也松林茂密石路險截上下山坂殆近十里淸冷浦口舍小舟遆肩輿而登東望錦水刀山稽華蓬萊淸秀嫋娜歷歷可數西眺楊淵倉廨郵村錯雜相因田野樹木頗不草草停輿騁矚足爲舒鬱而但魯陵在近又淸冷浦可憐之濱也悵感一緖更難自裁峙名古云角汗余故以刻恨改之且極高也或以覺寒稱之叢林亂石大江西十里懸崖一路迷黯黯沙村芳艸宿蒼蒼水驛淡烟捿人飛木末遙聞語馬立雲中只見蹏可笑丹邱爐下物今朝忽化小山鷄【右上山】二年緣業越之西巷柳谿花眼弗迷峰圻江腰仍綠野煙消石角久寒棲人離危壁軒軒脚馬到平原特特蹏牛酒勞行前路在郵徒且莫費村鷄【右下山】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吳和宣【政杓】小學問目【甲寅】 如更受賜。更字下得有意耶。抑如更受或者之賜也。尊說是吾意。嘗有友人。以爲如更云者。謂舅姑雖以己之所獻。反賜之。而婦之心更受舅姑之特賜也。以此擧質師門。雖見頷可。尙未了然。喪父長子不取。獨言長子何。次子則有所受命於長子故不言耶。然。九容先言足容重何也。足踐履者也。全身行動。莫先於足。先輩有云。擧一而全體動者足也。亦爲一義。孔子食不語寢不言。食下語字。寢下言字何。答述曰語。自言曰言。寢時已自不言。而他人言之。則不可不答。食時則不惟已自不言。他人之言。亦不可答。必食了後答也。舜號泣于旻天。加一旻字。示其閔惻之意耶。然。樂正子春之於門人。美其問而重言之者何也。學者之於師。類皆以言語觀之。而此則察之審而問之切。且因其問而將說盡孝之道。自有興動底意。孔子之門不仕大夫之家者。閔子曾子數人而已。公明宣乃曰見曾子之居朝廷何。曾子嘗曰吾及親仕。三釜而心樂。後仕三千鍾而不泊吾心悲。以此觀之。則謂曾子不仕可乎。但不仕於大夫之家。行乞於市。其妻不識。獨擧其妻而言之何也。特言其妻不識。以見其謀之潛密。豫讓曰吾所以爲此者。將以愧天下後世爲人臣而懷二心者也。自以不事二君而謂之可也。爲爲人臣懷二心而爲此。則吾之所爲。不亦爲人乎。未知豫讓言此以自掩其忠耶。自掩其忠四字。可謂識得豫讓。襄子殺之註云。襄子知其如此而殺之。何以爲人臣之勸哉。若不殺則讓必將爲之報仇。何如則全其忠而避其禍也。褒其忠而旌其閭。謹其身而嚴其防而已。伯夷叔齊遜國而逃。國人立其中子。若無中子。則叔齊當奈何。不立則絶其宗祀也。入則傷其天倫也。未知何如可以合天理之正而卽人心之安。若無中子。叔齊恐無如之何。克己復禮。不曰仁而曰禮何也。金文鈺曰。朱子曰克己復禮。所以爲仁。仁是地頭。克己復禮工夫。所以到那地頭。又曰如立如齊是天理。踦倚是人欲。克去踦倚而未能如齊。則卽是克得未盡。却不是。未能如齊之前。不係人欲。觀此則自可見矣。是。己肆物忤註。以爲己肆則忤於人。愚意以己肆則物忤看之似好。文鈺曰來說恐得之。亦是。哲人志士。可分屬聖與賢乎。文鈺曰哲人知幾者也。志士勵行者也。知幾非幾於聖人者。不能也。勵行賢人以下。或可能之。哲人志士。恐不必分優劣。然細看之。則自如來諭。習與性成。性字本然之性歟。氣質之性歟。文鈺曰習與性成。猶言習於善而與性成也。此所謂性。恐指氣質之性。栗翁亦以氣質之性言之。然嘗聞之師曰。伊訓則指氣質之性而言之。若動箴則所習者正也。與之成性。則恐指本然之性。氣質磨礱。在於習字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在正【辛巳】 琦無學無文。無足有無於世。足下于誰謬聞。而遠辱手命。致此厚殷。來紙辭筆眩耀。可想胸中之所存。而奈非衰頹蔑識之所能醻何。風氣浸降。文與道裂爲二軌久矣。足下學欲一之。何其偉也。夫三代文章。皆從心寫出。文便是道。漢唐以來數千年文之能者。指不勝摟。而亦未嘗不自謂與道俱。然其能粹然不離於道。則誰可當者。夫此事若是其難。而遽欲一之。其可得乎。上下千載。惟我朱子之爲之也。道旣至而文從之。範圍天地。該括古今。集羣言而折衷之。閑聖斥邪。範當世而牗後學。昭乎萬古日星。無怪爲後孔子矣。夫然後文與道。其兩至矣。若乃去陳腐以爲高。剽章句以爲能。角奇麗務棘澀。以自矜夸於人者。直一沽名博譽之習耳。何補於身心。又何與於道哉。足下苟有意焉。熟讀朱子書。以爲畢生受用之地。而居敬窮理力行三言。朱子所以爲朱子者。實在此。常常照檢如何。愚於道與文。無半日之工。而勸人乃若此。深所忸怩。足下旣與文鈺熟。相與切劘。則胥有益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孔彦【麟鎬○癸丑】 自頃之別。音容無由復接。昔何津津今何邁邁。昔之人。知樂之不可常。會之不可必也。當歡而悲者有之。竊嘗疑其人之不情。今始覺其先見也。遙望停雲。時一歔欷。辱書亦以不相聞爲恨。兩情之依舊津津可知也。吾嘗謂孔彦才氣英邁。心地雅正。不出家庭。而賢師良友左右焉。苟能深受其誨。知所用力。則何患學不進德不成。此吾所以常常豔慕者。而來諭以懶怠成痼自訟。其或出於一時鳴謙耶。其誠自知其病而求所已之者耶。如求已之。朱先生已示以不如此三字眞訣。可試服也。人之爲學。只爭個肯與不肯。不肯故懶怠生焉。如飢渴方甚。見其所當食所當飮。而有不肯者乎。竊願猛加鞭辟。和根拔去。吾恐甫田易荒。維莠桀桀矣。罪陋之言。非吾孔彦。何敢發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李甥聖淑 短日四十里寒程。非負重所可易辨。而況雪色蘸山。泥濘黏屐。赤脚小奚。後先傴僂。而穿叩雲扄。驚感無以爲喩。玆又得手滋。知歸省吉利。但慈闈所愼。未知何祟。形凋神耗。値寒吟呻。老人例候。無乃是耶。叔罪戾積躬。孤露矣終鮮矣。而眼前之慘景割肌。鬢上之華髮驚魂。孑孑窮宙。去益悲涼。而所恃爲命者。惟滿七旬老姊氏而已。縱未能時曰候安。其心未嘗一日離其側也。遇天甚寒。輒思吾姊氏如何起止。見衰老婦人喘喘者。又思吾姊氏寢膳亦如何。時聞靡寧之報。則恐恐然足不履地。頭不著枕。惟吾姪自幼知孝。志體備養。無所不用其極。此可遙慰而自寬耳。主材剪伐作片。費力可想。而又此遠路運致。則尤是望外也。以事母之孝。推及於母所自出。吾姪之誠。今人感泣生栗。奉老下何乃及此。誠乏煮粥。未能助入廚之供。而還見倒施。非感伊愧。無以爲謝。靑魚數尾。聊備滋助。聖學圖一件神聖丹二十凡伴付。領情可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梁而見【會龍○戊寅】 頃枉尙感。又拜先施。愧無以酬厚意。琦於先仲公。早託同門之分。而東西遙闊。拜晤無階。未詳其緖論之淺深。粤自同省。庶幾補鴈門之踦。以資桑楡之收。心欣然若有得也。纔一拜牀。而遽隔千古。痛恨弸中。無可與訴。幸家有賢弟。收拾咳唾。期欲影響於來世。東溪翁眞不死矣。編摩之託。雖非其人。而得接精神心術於篇章之間。俾租敍疇昔之恨。實兄之賜也。況復知見之高明。論議之淋漓。原於蘆華旨訣。而篤信師門之傳授。於是乎高山景行。益切于中。而未曾從事於講論之末。爲尤恨也。但文字之傳。不在乎多。貴乎精要。玆隨意刪整。究竟取舍。都輸了正齋明眼。想雅諒矣。秋間嶺行果遂否。冊子姑留俟耳。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