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 十五日 소사(素沙)의 아교(阿橋)에 이르니 물이 불어나 강을 건널 수가 없었다. 한참을 지체하다가 간신히 강을 건넌 뒤에 점심을 먹고, 화성(華城) 용주사(龍珠寺)에 이르러 묵었다. 至素沙 阿橋, 水漲不得渡。 移時遲滯, 艱辛濟江, 因爲中火, 至華城 龍珠寺留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 十五日 ○새벽에 출발하여 덕촌(德村)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저물 무렵 영귀정(詠歸亭)에 이르러 묵었다. ○曉發抵於德村中火, 暮抵詠歸亭留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일 十七日 ○아침 전에 비가 내렸다. 느즈막이 길을 떠나 고개를 넘어 장수동(長水洞)에 이르렀다. 안 서방(安書房) 내외와 어린아이 모두 병이 없으니 매우 다행이었다. 그대로 머물렀다. ○朝前雨。 晩後發程, 越嶺抵長壽洞。 安書房內外與幼兒, 皆無病幸幸。 仍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828년(무자) 1828年(戊子)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월 戊子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登彌勒嶺西望巴浦里【自四方街至嶺上五里】 天開野豁晴川抱山腰屈折如巴字樣點點林木間依山村落浮如畵圖抱鞍遐矚便覺古人警語多在此等佳境嶺路週遭俯廣郊背山村屋似僧巢晴川屈折來巴字遠樹迷茫展畵綃通路滌場相打稻背巖懸店不粧茅峽東餘興江南眼馬上詩椎又一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八潭【自摩訶衍入八潭初境爲數里】 萬山中一水界破雪湍雷瀑層層飛鳴無數廣石平鋪如練令人眼豁心快較諸玉流洞一局尤更明爽豪壯後來人若問金剛最佳處吾必以八潭水石爲對大方高評以爲如何◌椒泉翁詩曰一水發源八曲潭渟泓深碧勝於藍隨形各有嘉名錫老釋分明作指南曲曲銀淙碎玉巖百忙收拾信難堪傍人若問金剛景大市波斯在八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火龍潭【八潭初境第一折】 曲曲兩涯之石宛有龍歸之痕而以白石稱爲火龍實非着題西邊有獅子峯突兀巖巒俯潭欲墜仰之令人喫㤼獅子峯前忽改容石腰凹屈水撞舂如何白石淸流水不道玉龍稱火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船潭【第二折】 船潭之奇可與楡岾之船潭爭爲伯仲而局勢之大石色之晶更不知超過幾層西邊有峯疊石如藥果高排問諸指路僧不能記名吾因以藥果强名之怒瀑層層石頂懸其中粘着不沈船知應明月空山夕泛泛笙歌弄水僊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龜潭【第三折】 潭之上有四石如龜指路僧富欣以兩邊大者稱爲雌雄以中流兩小者稱爲兩雛可一捧腹歷歷空潭四石龜回頭相顧若相知水流葉落奔忙界迎送行人問幾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長安寺漫吟 解鞍脫袍回望羣峯蓬萊緣業於我不淺而黃葉寒窓低首敲推以我觀我亦云痼癖〇椒泉翁金剛統吟詩曰東游宿願此心存今日金剛入洞門寶肆忽開驚眼目奇書驟看詎評論難詩眞箇亦難畵所見分明勝所聞天下名山居第一到頭方覺着題言歇惺斜陽萬二千悤悤管領夢依然留連一日長安寺回首重看有宿緣黃葉泛鍾樓半額釋迦蒼淡觀音白他年若得重相逢不作廬山生面客神僊樓上月孤燈粧鏡峯頭玉萬層寂歷寒聲鐘磬裏九分人坐定中僧【以上三首皆揭板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狗嶺【自百川橋至嶺上十五里】 大關嶺尙可謂平地也俄所見嶺下赤葉蒼條到嶺上頃刻掃盡蕭蕭萬木露出全身俗所謂秋楓岳冬皆骨何其分別於一亭堠間也嶺之高可驗於此指路僧曰此嶺九十九稜云言其高也東望三日浦如小盃茫茫大海如一帶蒼然可愛過嶺以後支離海色行將濶別不覺悵然◌楡岾古蹟文殊師卜楡岾踰此嶺有一狗前導忽不見嶺以此得名云山輿未穩坐如舂行止還堪信短笻大眼開通東有海平身妥怗上無峰雲歸老石仍癯骨風打空林更別容九十九稜何阧截半秋楓岳忽驚冬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獐嶺【與狗嶺相接】 百尺竿頭更進一步◌楡岾古蹟文殊師踰狗嶺又有一獐指路因忽不見嶺以得名云秋天楓岳喜相逢萬物丹霞更九龍豈意一山纔數舍蕭蕭皆骨見新容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楡岾寺【自獐嶺十五里】 非徒山之爲奇寺亦絶勝佛宇僧舍甲於所過諸刹洞門外有白板長橋架壑穹絶舊有山暎樓今頹廢但見遺址石礎臨水立立可悵入解脫門天王門眞如門憩鍾樓有大法堂以白楡槎椏雕鏤層層坐五十三小金佛【三佛爲所失但有五十云】東有無數僧房不能盡記西有盧春祠後園有無烟室烏啄井寺中古蹟有眞珠障鸕鶿杓【眞珠障可用於佛榻而鸕鶿杓安用於僧樓耶可笑】又有仁穆王后手書佛經帖子寺之僧永禪最能誦經參禪法眞能文識又善刻【解脫門憩鍾樓兩處題名俱是法眞所刻】義聰頗慧點【洞口及甍宇雪光鋪白可認其高也】◌椒泉翁詩曰何年此地設伽藍金佛楡根五十三能使神龍移窟宅荒唐難信古今談九月逍遙客千年解脫門山中問古事金佛坐楡根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盧春祠 盧春者卽高城古太守姓名曾於繫舟巖邊奉五十三佛以來者也塑像被朝服正中坐又房之南邊繫塑馬壁上掛里正像【一說繫舟巖邊里正先見五十三佛於浦上而走告於盧太守故繪像幷祠云】石舟東泊海無津五十加三現佛身往事相傳明有證至今緇衲祭盧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望觀雪村【在金臺洞北相去二里許】 山椒隱約兩三茆逃俗依然處士巢盤屈鬪巖惟迅澗方圓枕路又長郊日中短影毿毿卉烟外迷光黯黯梢綠底浮生行不定谷禽如笑復如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恩津途中【自沙橋十里云】 雨何支離水何瀰漫前路過去之客斷壟汗泥之間往往有翻身落馬者行裝虧損衣裳流濕令人觀望十分畏愼抑所謂前車覆轍後車之戒歟野色空空海色玄行人不醉馬如船三年鬱鬱山中客十日棲棲水上天斷壟輕鞭秋事業荒壚濁酒雨因緣淩雲宿氣猶餘否妥怗歸鞍路一千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入金剛店【自恩津五十里】 支離之雨愈往愈甚增之以雷轟電掣終夜如注屋霤皆漏滴如簷鈴長夜遠客不能穩睡可嘆漏洩鈴聲屋溜縣關心一夜失秋眠無端店號金剛裏悵念前游萬二千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滯雨坐金剛店 七月望日卽余縣弧之辰而値於路上客店滯雨獨坐撫念古昔天地無涯之感一倍悽切弧矢男兒萬里心坐於秋雨寂寥潯蒼茫缺界今何日萬事滄桑淚不禁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留宿參禮驛店【自金剛店二十里】 宿金剛之客滯鬱半日冒雨前進又宿於二十里之地雖曰百忙其如雨何雨中風物暎眉端客館倉廒歷歷看頓覺江南疲獘驛足方東道佩符官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