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投龍井院復用前韻 遠樹蒼蒼淡月斜盤回路穿洞天賖鸛鵝聲裏雲千騎熠燿光邊炬數家丹鼎幾年身未羽雕鞍今夜眼空花笑它龍井叢林畔翔集山東一陣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泛舟東津江【燕岐地自三街十里】 潦後一江呑納野水眼中蒼壁白沙渾成汗泥正使詩老興嘆所過處禾黍之阡何多蕩析惜乎冥冥野渡杳如嵐小艇容人可兩三點綴愁雲猶不盡亂山何處是江南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無烟室 廚宇高廣有鐵釜甑大可炊百斗米廚有竈而無堗一云廚下有水故熱火無烟此說誠然空門廚屋俗傳奇釜甑能容百斛炊有火無烟方外理九泉惟許蟄龍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烏啄井 寺舊無井有靈烏來啄從而得水因以爲井四面石甃如小方塘淺淺不滿一尺而水常淸洌無滓上履以屋石泉如斗四稜平淺水無泥鏡面淸地秘天慳千古脉得於烏有一先生◌初三日庚戌淸又風◌朝發楡岾寺十里隱仙臺中火【以上高城支應】十里鴈門嶺【高城准陽兩邑交境祥雲銀溪兩驛相遞】二十里摩訶衍宿所【准陽支應◌府使李彙奎文通政方往於禮安本第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船潭【自楡岾三里】 楡岾之西山回一局飛湍瀑流之下有石匯尖而長如船形石面刻船潭又多游人題名臨潭俯仰亦可叫奇【石刻題名】◌椒泉翁詩曰石逕信笻到潭船繫客心水聲鳴墜葉秋色滿空林洗壁名留刻班荊意轉深仙人何處在遺跡杳難尋飛流千尺下石臼受如船呼喚傳誰嘴敲推惱我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曉雲洞【自船潭復路數里】 百折層流邊石腰往往凹屈指路僧義聰曰曾有九龍蟄臥此洞五十三佛以法術燋熬一壑龍爲所逐歸臥山外淵中今九龍淵是也曉雲云者取龍歸曉洞雲猶濕之意云正堪一噱盤石多廣平色如練可愛游人題名亦或有之九龍躍何去屈曲石腰奇荒唐衲子設令我尙然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宿通口倉村【金城外倉自斷髮嶺三十里】 渡萬川橋以來所過羣山摠無顝子精神秪是土饅頭一樣無可開眼處峽路物色且未免蕭疏剝落就其中一片通口之地山開野濶大川橫流倉廨閭屋不甚冷淡差可以消遣路愁倉廬雜錯背山陰大野長川不斂襟版籍傳來通口號古人嘉錫豈無心〇初九日丙辰朝大霧而晝晴〇朝發通口三十里昌道驛【銀溪屬郵〇察訪崔尙儒文】中火三十里金城邑宿所【作廳下處〇以上終日金城支應〇主倅以新除授數日前赴任云】夜入縣衙與主倅穩話敍數月阻懷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霧中發通口 過境山川別無奇趣雖闔眼經過亦何妨也蓬仙偏欲後於吾凈洗纖霞一點無若使數旬似今日枉將裙屐費工夫空空色相頓忘吾滿地蒼靑看却無可惜金剛後來客應虧半日大工夫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 初四日 함께 머물렀던 염상(鹽商)에게 짐을 지게하고 동틀 무렵에 출발하였다. 낙수(洛水)에 이르러 공서와 헤어지면서 절구 한 수를 읊었다.객지에서 우연한 만나니 기약했던 것보다 기쁜데(客地偶逢勝有期)중양절이라 누런 국화꽃마저 한창이네(維當重九菊花時)한 달 남짓 함께 고생하여 서운한 맘 사무치니(月餘同苦猶餘愴)이별에 임하여 다시 석별의 시를 읊노라(臨別還成惜別詩)공서가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중도에서 만나자는 기약도 없이 만나(中路相逢以不期)저물면 머물고 새벽에 길 떠나기를 각각 때를 따랐네(夕留晨發各隨時)동행하여 동종의 정의가 배나 간절한지라(同行倍切同宗誼)이별에 임하여 몇 구의 시를 읊어보노라(臨別吟來數句詩)또 내가 한 수를 읊었다.다리 가 갈림길에 흰 구름이 일어나고(別路橋邊起白雲)낙엽 진 이별의 정자에서 헤어짐이 애석하네(離亭葉下惜相分)재삼 우두커니 서서 앞으로 가는 길 물어보고(再三立立前頭問)강가로 고개를 돌리며 어서어서 가시라 하네(回首江頭早早云)공서가 다음과 같이 차운하였다.고개 돌려 남쪽 팔영산의 구름 바라보다(回首南看八影雲)걷고 걷다 낙수에 와서 함께 온 길 갈라지네(行臨洛水路相分)동쪽 강물 하나의 띠처럼 넘실넘실 흘러가는데(東流一帶洋洋去)누구에게 이별하는 심회의 장단시를 말할거나(誰與離懷長短云)그길로 작별하였는데, 천리 길을 함께 고생을 한 뒤라서 그 서운한 마음을 억누르기 어려웠다. 길을 재촉하여 낙안의 기동(基洞) 어귀 정문등(旌門登)에 이르러 요기하였다. 주막 앞에서 여러 차례 이경오(李敬五)를 불렀는데 끝내 답이 없었다. 그래서 사람을 시켜 기별을 통하게 하였으나 경오(敬五)는 출타 중이고, 그의 대인(大人, 경오의 아버지)이 문 앞에 서서 내가 바로 지나가는 것을 알고는 내게 그 집에 들어가 묵어가기를 청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갈 길이 바쁜 탓에 들어가지 못하고 서령(西嶺)을 넘어 추동(楸洞) 주막에 이르렀다. 염상(鹽商)과 서로 헤어지고 나서 짐을 지고 벌교 시장 근처에 이르러 윤동(輪東) 군직(君直) 씨를 만나서 동행하였는데 날이 이미 저물었다. 밤을 틈타 용전(龍田) 무안(茂安) 댁에 들어가 유숙하고 나서야 비로소 집안 소식을 알게 되었다. 우선 별탈이 없다고 운운(云云)하니 매우 다행이었다. 90리를 갔다. 負卜於同留鹽商, 平明發抵洛水。 與公瑞相分, 仍吟一絶曰: "客地偶逢勝有期, 維當重九菊花時。 月餘同苦猶餘愴, 臨別還成惜別詩。" 公瑞次曰: "中路相逢以不期, 夕留晨發各隨時。 同行倍切同宗誼, 臨別吟來數句詩。" 又吟一絶曰: "別路橋邊起白雲, 離亭葉下惜相分。 再三立立前頭問, 回首江頭早早云。 " 公瑞次曰: "回首南看八影雲, 行臨洛水路相分。 東流一帶洋洋去, 誰與離懷長短云。" 仍與作別, 千里同苦之餘, 其懷難抑。 促行抵樂安 基洞前旌門登療飢。 於幕前頻呼李敬五, 則終不答, 故使人通奇, 則敬五出他, 其大人立于門前, 知余之直過, 請余入于其家留宿而去云云, 而以行忙之致, 不得入去, 越西嶺, 抵楸洞酒幕。 與鹽商相分, 仍爲負卜, 抵筏橋市邊, 逢輪東 君直氏, 仍爲同行, 日已暮矣。 乘夜入龍田 茂安宅留宿, 始知家間消息。 姑無故云云, 幸幸。 行九十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일 初四日 해가 뜰 무렵 행장을 꾸려 천노를 보냈다. 平明治送千奴。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 初八日 노구암(老狗巖)에서 점심을 먹고 전주(全州) 부내(府內)에서 묵었다. 가서 김 동지(金同知)를 만나 16냥의 돈을 남겨 주고 항선(缸鐥)을 사 오도록 하였다. 中火老狗巖, 宿全州府內。 往見金同知, 留贈十六兩錢, 使貿缸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7일 初七日 증산(甑山)에서 점심을 먹고 오수(獒樹)에서 묵었다. 中火甑山, 宿獒樹。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일 初九日 삼례(參禮)에 이르자 비가 내려서 머물렀다. 우연히 장성(長城)에 사는 벗 임후장(林厚長)을 만나서 동행하였다. 至參禮, 雨作因留。 偶逢長城 林友 厚長, 因與同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9월 九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5일 二十五日 동틀 무렵 길을 나서 유천(柳川)까지 40리를 가서 아침을 먹고 말에게 꼴을 먹였다. 과천(果川,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시)까지 50리를 가서 묵었다. 平明登程, 至柳川四十里, 朝飯秣馬。 至果川五十里留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 二十八日 아침 전에 천노(千奴)를 데리고 예조(禮曹)에 가서 안리(安吏, 성이 안씨인 아전)를 만났다. 대개 성상께서 시호를 내려 주도록 재촉하신 지가 이미 여러 날이 되었는데, 흥양 본관 정만시(鄭萬始)19)가 응교(應校)가 되어 15편의 시장(諡狀)20) 중 다섯 사람의 시호만을 행하고 우리 선조의 시호는 준비해 두지 않았으니 가탄스럽다. 그길로 주동으로 가서 종친들과 종일토록 얘기를 나누었는데, 그 예조 안리(安吏)와 약속한 것이 있었기 때문이다. 날이 저물 무렵에 다시 예조에 갔으나 이 좌상(李左相)·황 판서(黃判書)·판서 이익정(李益炡)21)·공서린(孔瑞麟)22)·제말(諸末)23) 등 다섯 사람의 시호와 시사(施舍) 낙점이 아직 내리지 않았기에 나와서 차동(車洞)24)에 머물렀다. 朝前率千奴往禮曹見安吏。 盖自上催促賜諡之擧已多日, 而興陽本官鄭萬始爲應校, 十五諡狀中, 只行五人諡號, 而吾先祖不預, 可歎。 因往鑄洞, 終日談話, 盖其禮曹 安吏有約故也。 日暮時, 更往禮曹, 則李左相、黃判書、李判書益炡、孔瑞麟、諸末五人諡號及施舍落點, 尙不下矣。 因爲出來, 留車洞。 정만시(鄭萬始) 1745~1800. 자는 일지(一之), 호는 정와(靜窩), 본관은 온양(溫陽)이다. 경기 출신으로 1782년 임인알성시에 과거에 급제를 하였으며, 주요 관직은 삼사 이랑( 三司 吏郞)을 지냈다. 시장(諡狀) 죽은 뒤에 자손들이 시호(諡號)를 조정에 청할 때 죽은 사람의 일생 동안의 행적(行蹟)을 기록하여 적은 글이다. 이익정(李益炡) 1699~1782.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명숙(明叔)이다.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의 현손이며, 밀창군(密昌君) 이직(李樴)의 아들이고, 영조 때 공조 판서를 지낸 이성규(李聖圭)의 아버지이다. 《한국인물대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공서린(孔瑞麟) 1483~1541.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희성(希聖), 호는 휴암(休巖),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기묘사화 때 투옥되었으며, 그 후 기묘사화 때 화를 입은 선비들의 무죄를 주장하다가 여러 번 관직을 삭탈당하였다. 대사헌, 황해도 관찰사 등을 지냈다 제말(諸末) 고성(固城)의 천민(賤民)으로, 임진왜란 때에 웅천(熊川)·김해(金海)·정암(鼎巖) 등지에서 대승(大勝)을 거두었다. 그 공이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조정에 알려져 성주 목사(星州牧使)에 제수되었으나, 얼마 안 되어 병으로 죽었으므로 공적을 크게 나타내지 못하였다. 제말에 대한 내용은 성주(星州)의 《선생안(先生案)》에 실려 있다. 정조(正祖) 때에 병조 판서에 추증(追贈)되었다. 차동(車洞) 중구 의주로1가・순화동에 걸쳐 있던 마을로서, 수렛골을 한자명으로 표기한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6일 十六日 저녁을 먹은 뒤에 주동(鑄洞)에 가서 묵었다. 의주(義州)의 김선상(金善相)이라는 사람과 오늘 밤 만나기로 약속하였기 때문에 어둠을 무릅쓰고 간 것이다. 夕食後, 往鑄洞留宿。 盖義州 金善相人, 而今夜有約相會, 故冒昏而去。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9일 十九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3일 二十三日 비가 개인 뒤에 하늘빛이 선명하였다. 霽後光明。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5일 十五日 밤에 눈이 내렸다. 새벽에 출발하여 임실(任實) 읍내에 이르러 아침을 먹었다. 고개를 넘어 간신히 현동(玄洞) 송기렴(宋基濂)의 집을 찾아갔으나 기렴은 출타하여 만나지 못하고, 그 아들 전(椣)과 잠시 이야기를 나누다가 《돈학문적(遯壑文蹟)》을 보고자 하였다. 그 문적이 모두 신안서원(新安書院)61)에 있다고 하므로 신안서원(新安書院)에 이르렀다.신실(神室)은 동서로 나누어 만들었는데, 서실(西室)은 주부자(朱夫子)의 영정(影幀)을 걸어 쌍창(雙窓)으로 여닫게 되어 있고, 동실은 돈학(遯壑) 송경원(宋慶元, 1419~1510)·신재(新齋) 한호겸(韓好謙, 1535~1579)·만회당(晩晦堂) 한필성(韓必聖, 1625~1691)·홍운정(鴻雲亭) 한명유(韓鳴愈)·거묵당(巨墨堂) 송시태(宋時態) 등 6현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다.신실(神室)은 새로 만들어 깨끗하였지만 서원의 사당은 아직 모양을 갖추지 못하고 있으니, 어진 이를 사모하는 도리가 매우 개탄스럽고 애석하였다. 참배하고 봉심(奉審)한 뒤에, 송연영(宋延英)과 한원택(韓元宅)에게 요구하여 문적(文蹟)을 보여 달라고 하였더니, 전주의 이 생원(李生員)이 지난번에 가지고 갔다고 하였다. 문적을 볼 수 없으니, 한탄스러울 따름이었다. 그대로 길을 나서 대곡(大谷)의 송낙철(宋洛哲) 집에 이르러 묵었다. 20리를 갔다. 夜雪。 曉發抵任實邑內朝飯, 越嶺艱尋玄洞 宋基濂家, 則基濂出他, 不得相面, 只與其子椣暫敍, 欲見《遯壑文蹟》矣。 其文蹟盡在新安書院云, 故抵新安書院, 則神室分作東西, 而西室則掛朱夫子影幀, 以雙窓開閉, 東室則宋遯壑、韓新齋、晩晦堂、鴻雲亭、宋巨墨堂六賢妥靈之所也。 神室則新創鮮明, 而院貌尙未成樣, 其於慕賢之道, 甚爲慨惜。 參謁奉審後, 要宋延英及韓元宅, 欲見文蹟, 則全州 李生員, 頃來持去云, 故不得尋見, 可歎耳。 仍爲發程, 抵大谷 宋洛哲家留宿。 行二十里。 신안서원(新安書院) 전라북도 임실군 임실읍 신안리에 있는 서원으로, 1588년(선조21)에 신재(新齋) 한호겸(韓好謙)의 문하들이 스승을 위해 세웠으며, 정유재란으로 불탄 것을 1669년(현종10)에 다시 복립하였다. 처음에는 이서(李舒, 1332~1410)와 한호겸만을 봉안하였으나, 1788년(정조12)에 사림들의 결의에 따라 돈학(遯壑) 송경원(宋慶元), 만회당(晩晦堂) 한필성(韓必聖), 홍운정(鴻雲亭) 한명유(韓鳴愈), 거묵당(距墨堂) 송시태(宋時態)를 추가로 배향하였다. 훗날 김수(金洙)·강백진(康伯珍)을 추가하여 모두 8현을 배향하였다.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