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新秋凉夜 林風草露夜微凉醞藉淸輝月滿床悄倚空欄人不寐江南秋思正茫茫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躑躅杖歌 客夏游雉嶽上元浮屠季白贈以躑躅一杖如竹而九節可奇追賦一篇長歌雉嶽之高三萬尺其上犖犖多畏石石罅躑躅强於鐵吸風馭霜層有節山僧伐之爲短杖烟霞空谷生勁響何不去摧兩虎鋒爲我借與壺公龍杖兮復恐龍化去出門徜徉將誰與兩頭銅鐵戱雕鏤鏗鏘落地中節蔟於水不躍山不蟄主人用之無燥濕非骨而骨非筋筋俗呼鐵竹吾亦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自上元游上普聞金剛釋右正適到貽我躑躅一笻亦九節而甚奇更賦一歌躑躅躑躅立東風杜宇啼血空山紅老衲不作看花人風斤減却一條春竹以爲節鐵爲骨十方白塢一長物知爾意內千疊峰飄飄飛錫雲相從丹邱老僊忽相得風雨不畏山逕黑角頭鐵脚扶如奴穩蹋岣嶁視庭衢遂欲汝與游物表夢中蓬萊靑未了取吹方瀛路重重不妨留作壺中龍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履鉉書【方住原之安昌月論】 頃於嶺路悤悤電別雖緣百忙別後茹恨一倍悠悠矧玆春事政闌問聞稍阻秪自耿注如醉料外卽承惠圅仍審花晷侍候衛重何等仰慰山日遲遲做得何事業爲消受之資耶宗人向自越中歸來坐席未煖近又作莊陵享役之行今纔稅駕髀肉半消百粵江山之緣何其偏厚於吾耶自憐自笑示邊漢事聞甚憤痛况當之者乎堂別般嚴處而本倅還官聞在數日間矣當其時橫城兼符亦應覓去事不無窘跲之慮故鄙意則姑俟數日面託於本倅使之痛懲未知如何如何非欲推委於人勢出窘迫想應另諒耳那間一顧以叙未盡之緖餘否姑不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金斯文冀淵書【方住安昌】 頃者進穩迨庸慰釋歲聿云暮耿注方摯際承璚菡仍諗臘沍省軆曼衛允愜昻禱雪天老屋酸儒喫工想得幾萬卷英華矣爲之健羨弟向苦寒疾尙不少間長事嘔咳伏枕度日甚悶甚悶京耗間無入聞者而朝紙斷而弗續者亦久矣玆未得送呈諒之也淸貧督郵不知肉味者已過幾三月矣何以波及於朋儕耶好呵好呵歲除如紗只冀迓新萬禧不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朴斯文受豊書【方居原邑之外北】 雪裏跫音閴未聞者今幾日矣祗自凝竚無已仰詢近寒兄候省餘無損寥寥深閉嚼得幾斗璚玖仰溸不淺弟近苦直火㥘寒瑟縮而營下氄務間更侵尋亦無養病之暇自憐自笑參斤肉分味仰呈耳壑蛇如紗秪冀迓新萬祉姑留不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與李斯文肯植書【方住丹邱之鍊丹亭】 逆旅孤吟政自無聊孰謂冬日之短更覺支離際玆懷想一倍憧憧伏詢夜來兄候無諐雪中老屋有何滋味而秘閉跫音耶弟有寒疾也擁衾瑟縮寂寂獨臥又不信古人之冬日可愛語也東史二冊今纔趙璧考領如何掃榻以竢姑留不備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洪斯文岐周書【方居原之新林】 客冬初擇後想或一叩而跫音寂然只切悵嘆歲且飜矣卽承委訊仍審新元重省候節迓納萬嘏寔庸仰慰休客館送迎政難爲懷而兼符功名更來侵困坐喫畵餠不勝饞涎而已敎意敢不唯命而草草過客自視若黃梁一宿雖欲着念其如五日京兆何苟可以遲延時月則徐當相機另施矣幸勿以情薄而厚誚也姑留不備謝禮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望柳灣【在太平橋東相去二里許】 雉山東望午烟稠粧點幽居一小邱澗繞桑麻淸趣味春回楊柳賸風流水田漠漠忘機鷺杏圃寥寥得意鳩怊悵物華看更別藤輿瞥過憶前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5일 初五日 ○밥을 먹기 전에 율지(聿之)와 함께 정동으로 가서 잠시 얘기를 하고 돌아왔다. 밥을 먹은 뒤 낙동(洛洞)으로 가 참판 이광문(李光文)24)을 만나려고 하였다. 그 집 문 앞에서 참판의 아들 이 진사를 만나서 그의 부친이 집에 계신지 물으니, 오늘 제관(祭官) 일 때문에 수원에 갔다고 하였다. 그래서 아랫집에 들러 참판 이광정(李光貞)을 만나 잠시 얘기를 나누었다. 용동으로 와 잠시 얘기를 나눈 뒤에 율지, 영규(榮奎)와 함께 회동(晦洞)25)의 장성 현감(長城縣監)을 지낸 송운재(宋雲載)26) 집으로 갔는데 송 장성27)이 집에 없었다. 다만 그 재종(再從, 6촌)과 잠시 얘기를 나누고 완북(完北, 전주 북문)의 송민수(宋民洙)의 서간을 전한 뒤에 그길로 나왔다. 송지순(宋持淳) 집을 찾아가 잠시 얘기를 나누고 나왔다. 오는 길에 가랑비를 만나 주인집으로 돌아왔다. ○食前, 與聿之往貞洞, 暫話而來。 食後, 往洛洞欲見李參判光文。 至其門外, 逢參判之子進士, 問其大人有無, 則以今日祭官, 往水原云。 故入下家, 見李參判光貞暫話。 來龍洞暫話 後, 與聿之及榮奎往晦洞宋長城雲載家, 則長城不在。 只與其再從暫話, 傳完北宋民洙書簡後, 仍爲出來。 尋宋持淳家, 暫話後出來。 中路逢微雨, 還來主人家。 이광문(李光文) 1778~1838. 자는 경박(景博), 호는 소화(小華). 본관은 우봉(牛峰)이다. 증조는 이재(李縡)이며, 부친은 아버지는 호조 참판 이채(李采)이다. 1801년(순조 1)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807년 식년 문과에 별과로 급제하였다. 그 뒤 승정원주서(承政院注書)와 예문관검열에 이어, 전라감사 등 내ㆍ외직을 두루 거쳐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회동(晦洞) 서울 중구 충무로4가・인현동1가・인현동2가에 걸쳐 있던 마을이다. 송운재(宋雲載) 1760~?. 자는 치회(稺會)이고, 본관은 여산(礪山)이며, 거주지는 서울이다. 1789년 식년시에 합격한 후 장성 부사, 전주 판관 등을 역임하였다. 송 장성 성(姓) 뒤에다 직책을 붙이는 방식인데, 지방 현감을 지낸 경우, 그 지명을 붙여 직책을 대신하였으며, 성을 빼고 지명만 써서 표현하기도 하였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平昌石六硯歌【幷小序】 余於客秋得一平昌石爲小硯名以鷄心今春又求取十餘片擇其尤者治爲六硯各命一名歌以銘之旣而自思曰嗟乎古之東坡曰阮生云未知一生當着幾兩屐吾有佳墨七十枚而猶取不已不近愚耶石昌言蓄李廷珪墨不許人磨或戱之曰子不磨墨墨將磨子今昌言墓木拱矣而墨故無恙可以爲好事者之戒又謂人曰吾兩手其一解寫字而有三硯何以多爲曰以備壞損坡曰吾手或先硯壞曰眞手不壞坡曰眞硯不壞云云余亦有三四硯而猶求之不厭其不爲東坡之所笑乎良可一嘆【郵吏崔相坤功能善刻靑者三紫者三】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碧月團 蟾蜍一夜離月窟爬沙化作碧山骨老兎忽失千年騎搜覓雲間空出沒嫦娥孤棲誰與隣半面瘦生太怳惚漠漠平昌山水東百丈光怪流閃忽踏天割雲匠如神磨刀霍霍勞剞劂玉德金聲几案間玄雲碧潭輝光發一片陰鑑不用錢小囱書幌坐唐突耿照千古如在目往跡方冊相對越哉生明也水一滴旁死魄焉墨半笏四時輝暎看不厭政是蒼蒼一團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蓮葉龜 大藕如船掩璚池其下曳尾綠雲龜山東老人抱得之百年煙霞床足支入去床空龜化石一片預拂靑山湄平安驛使有消息保護如花來不遲十眉畵出成都手橫雲却月鬪新奇氷蠶吐繭抽銀忽萬縷出沒傲松脂南坡居士服欲花滿簾波紋綠漪漪鍊丹餘沙點易床尖奴低首硯田治大市玩筴招季主後天叙疇揖箕師萬殊一本消長理有誰能悟爾獨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卷之十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5월 五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歸家 朦朧夜月之下櫓小舟涉月峰前川家奴十餘健丁僊輿來迎纖雨濃霧之間踏汗泥超危澗二十里間關到家卽秋七月十九日丙辰早朝也南坡居士姿逍遙水國乾坤路一條鞍馬驅馳今幾日無端髀肉頓然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神林口氣【壬子◌此一篇當在東征日記中而逸而不載故追錄之】 內翰風稜凜欲霜白枷朱梃正飛揚自笑靑霞千丈氣讓於今日少年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發澄淸軒【關東宣化堂】 澄淸軒上日過午北風不競喧笙鼔鶴城廚供方丈饌雙娥侑觴相對舞靑袍督郵爲上客珍重刺使坐作主主人餞客禮何厚寒天戒行語縷縷笑念前秋楓岳路不似今日展眉宇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夜投安創驛舍【自丹邱四十里】 雪泥無月夜便輿太舂撞坐似霧中海搖搖倚篷囱熠燿榾柮火指路分一雙那堪僕夫喘用力如鼎扛不辨東西色愁緖正鴻厖忽聞橋下流知是舊蟾江驛店應不遠稍使我心降【安昌江名蟾江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羅漢庵 大於樓屋小於峯雲氣縈紆雨色濃羅漢錫名無乃誤半空鱗甲見烏龍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