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百川橋【自掠庫十里】 此橋乃入金剛門路也從此山路險絶不可以車馬來往橋頭命僕夫送驛站使逶迤來待於長安寺便以僧輿前進僕夫相別離歇馬歸郵店可柰此膏盲燈燈不憚險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蛇窟【自黃流潭東可爲一里許】 玉鏡臺後轉一回絶壁間有兩穴一曰黑蛇窟一曰金蛇窟巉巉一石腰洞徹雙圓窟脩鱗尙在不我有狙徠笏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靈源庵【長安寺屬庵自水簾洞二十里】 山日過午復尋般若高嶝過王子城東入澗壑跋涉艱險亦不知爲幾周遭行到靈源但是空庵蕭蕭落落別無奇景【庵無守僧而菁田茂密無厭郵卒走相採掇可嘆】庵之東邊有拜席巖可坐數人而埋荒草中西邊有玉燭臺可爲數仞曾有一僧修戒於其上云而峭直如塔難可躋登指路僧擧手指牛頭峯馬面峯白馬峯遮日峯閻羅峯天王峯鬼王峯丞相峯將軍峯判官峯童子峯卒吏峯罪人峯云云非徒峯名詭誕亦無神異供眼可嘆落葉靈源洞庵空賓作主緇徒影如從指尖露無數玉燭與拜席往事證佛祖次第十王峯歷歷談冥府沙門何詭誕白玉被點汚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海恩庵復用佛地庵韻【在長安寺東隅自靈源二十里自地藏纔數里】 長安寺之屬庵而寺與庵相接庵宇新構精潔可宿【豊恩捐財新構云】額號乃豊恩所書前面有長庚峯峯腰古有庵今廢又有觀音峯其下有庵乃比丘所住云十年楓岳夢一夜海恩庵宿願仙蹤躡奇緣佛契參老巖抽玉筍殘葉染紅藍可奈羈摩客明朝悵出南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長安寺 寺是大刹有二層佛殿又有二門樓西曰泛鍾東曰神仙樓外有萬川橋寺在內金剛初境平臨一壑可謂宏傑而但風雨閱劫未免荒凉僧數亦不夥可嘆【泛鍾樓上木刻題名】千里長安人九秋長安寺長安若慕名恐有紅塵意昔謂長安寺迢迢在九天而今定睛看只是白雲邊〇初七日甲寅晴〇碧谷徐尙書【憙淳】一行來到椒泉翁緣此更留一宿【終日准陽支應宗人履益告歸】〇銀溪丹邱兩驛人馬自數日前來待【又宿於海恩庵】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8일 初八日 아침 전에 임실 종인(宗人) 연영(延英)이 찾아왔는데, 기쁜 나머지 절구 한 수를 읊었다.천 리 먼 길에서 백대의 친척 만나(千里相逢百代親)처음 만나 기쁜 마음은 천륜에서 나온 것이리(逢初心喜自天倫)더구나 또 이번 길에 고락을 함께하니(況又今行同甘苦)그 누가 우리 세 사람의 깊은 정 만하랴(深情其孰我三人)남원(南原)의 문욱(文旭)도 찾아왔다. 이에 아침을 먹고 나서 문욱은 용산(龍山)으로 가고, 나는 낙안 형님, 임실(任實) 종인(宗人)과 묘동(廟洞)에 임실(任實) 사관(舍館)에 갔다. 한용(韓溶)과 잠시 이야기를 나눈 뒤에 한우(韓友)와 진사 오우상(吳羽常) 집에 가서 예조에 소장 올릴 일을 논의하였는데, 실기(實記) 제장(製狀)을 보겠다고 하여 실기(實記) 한 권을 그의 집에 남겨 두었다. 잠시 이야기를 나눈 뒤에 남계(南溪) 정민채(丁敏采)의 안부(安否)를 물었더니, 서간(書簡)을 가지고 왔는데 다른 곳에서 오는 바람에 가져오지 못했다고 하였다. 내일 가지고 다시 오는 것이 어떻겠냐고 하니 답하기를, "내일 다시 오겠습니다."라고 하였다.곧바로 출발하여 신 승지(愼承旨) 집에 가서 잠시 이야기를 나눈 뒤에 종묘동(宗廟洞)의 조 지사(趙知事) 집에 갔다. 보성(寶城)의 종인(宗人) 귀환(龜煥)을 찾아가 잠시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그의 형 두환(斗煥)이 어제 도성에 들어왔다고 하기에 곧바로 만나 예조에 올리는 일을 말하였더니 그도 좋다고 하였다. 나는, "들어가는 것이 적지 않다는데 빚을 얻을 길이 없으니 여기에서 만약 주선할 방도가 있으면 변통하는 것이 좋겠습니다."라고 하였다. 그길로 성균관으로 가서 관인을 찍은 다음 날이 저물어서야 주인집에 돌아오니 오위장이 와서 기다리고 있었다. 박인수(朴寅洙)도 와서 함께 묵었다. 朝前任實宗人延英來見, 忻喜之餘, 吟一絶曰: "千里相逢百代親, 逢初心喜自天倫。 況又今行同甘苦, 深情其孰我三人。 " 南原 文旭亦來。 仍朝飯, 文旭往龍山, 余則與樂安兄主及任實宗人, 往廟洞 任實舍館。 與韓溶暫話後, 與韓友往吳進士 羽常家, 論其呈禮曹事。 見實記製狀之意, 置實記一卷於其家, 暫話後, 問南溪 丁敏采安否, 故書簡持來, 而自他處來到, 故未袖而來, 則明日袖, 而更來如何。 答曰: "明日更來而出。" 卽發入愼承旨家, 暫話後, 往宗廟洞 趙知事家。 訪寶城宗人龜煥暫敍, 則其兄斗煥, 昨日入城云, 故卽爲相面, 說及呈禮曹事, 則亦曰好矣。 余曰: "所入不小, 而得債之道無路, 自此若有周旋之道, 則變通爲可。" 仍往成均館打印, 乘暮還主人家, 則五衛將來待矣。 朴寅洙亦來同宿。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4월 四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 初五日 비가 내렸다. 종일토록 비가 그치지 않으니 출입할 수가 없어 주인집에서 누워 있었다. 雨。 終日不止, 不得出入, 臥主人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6일 初六日 오후에 임실의 여해(汝梅)와 종인(宗人) 연영(延英)이 찾아왔기에 예조에 소장 올리는 일을 부탁하였더니 대답하기를, "들어가는 바가 없지 않으니 미리 변통하여 가겠습니다."라고 하였다. 낙안(樂安) 형님과 차동(車洞)12)의 민치항(閔致恒) 집에 가서 그 형제와 잠시 격조했던 회포를 풀고는 실기(實紀) 한 권을 주었다. 이어 서소문(西小門) 밖 이희(李)의 집으로 갔더니, 기쁘게 맞이하고 정성스레 대접하여 옛일을 회상하며 상심하는 기운이 많이 있었는데, 주인이나 객이나 마찬가지였다. 잠시 회포를 푼 뒤에 참봉(參奉) 우종렴(禹宗濂) 집에 가서 잠깐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신(申)과 박(朴) 두 벗은 모두 별 탈이 없었다. 그길로 정 진사(丁進士)가 머물고 있는 사관(舍館)으로 갔더니, 동행했던 이들 모두 아무 병 없이 올라왔고 서울에 들어온 뒤로 처음 만나니 그 기쁨을 어찌 다 헤아릴 수 있겠는가.잠시 쉰 뒤에 남대문 안 경주인(京主人) 집에 가서 김계한(金啓漢)·김이준(金履俊) 부자를 찾아가 만났다. 또한 서울에 들어온 뒤에 처음 본 것이다. 잠시 쉰 뒤에 그대로 약고개[藥峴]의 송 오위장(宋五衛將, 송인서(宋璘瑞)) 집에 가서 잠시 이야기를 나누었다. 여러 해 동안 오래도록 격조했던 끝에 보는 것이니 그 기쁨을 어찌 말로 다하겠는가. 잠시 이야기를 나눈 뒤에 저물녘에 주인집으로 돌아왔다. 午後任實 汝梅與宗延英來訪, 故托以呈禮曹之事, 則答曰: "不無所入, 而預爲變通而去。" 與樂安兄主, 往車洞 閔致恒家, 與其兄弟, 暫敍阻懷, 仍給實紀一卷。 仍往西小門外李家, 則忻迎款待, 多有感古傷心之氣, 主客一般。 暫敍後, 往禹參奉 宗濂家暫敍, 而申、朴兩友皆無故。 仍往丁進士舍館, 則同行皆無病上來, 而入京後初面也, 其喜可斗。 暫憩後, 往南大門內京主人家, 訪見金啓漢、金履俊父子, 亦爲入京後初見也。 暫憩後, 仍往藥峴 宋五衛將家暫敍, 累年久阻之餘, 其喜可言。 暫敍後, 乘暮出來主人家。 차동(車洞) 서울특별시 중구 의주로1가・순화동에 걸쳐 있던 마을로서, 수렛골을 한자명으로 표기한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하였다. 추모동이라고도 하였는데, 이는 조선 숙종의 계비 인현왕후가 태어난 터에 비석을 세우고 그를 추모했던 데서 붙여진 지명이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隱仙臺望十二節瀑【自曉雲洞六七里許】 林木紆鬱石磴嶄巀西風又凄打扶笻而登石壁巾屐飄飄若將飛去俯望北壑短瀑十二層節歷歷可數奇則奇矣但涓涓細流不足爲壯【西有中內院云而憚於攀援欲涉未果可悵】凄風打角巾匍匐踏層絶自笑一膏肓衝寒數瀑節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望七寶臺【隱仙臺五里路遠望又可爲五里許】 肩輿如飛林木遮眼隱約東望頭頭巖巒如素娥淡粧可愛隱然叢薄裏朶朶玉芙蓉粧娥新理髺淺粉上嬌容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鴈門嶺【自隱仙臺至嶺上十里】 俗名內水岾嶺以南高城地以北准陽地楡岾神溪兩寺屬高城卽金剛外山表訓長安兩寺屬准陽卽金剛內山以鴈門嶺限內外嶺之南亦雖危險尙可以輿行其北雖跋涉信難着足天所以限南北也狗嶺之險猶曰坦途楡岾寺擔輿僧徒告歸表訓寺僧徒以輿來遞乾鳳寺十緇徒終始同苦◌椒泉翁踰鴈門嶺向摩訶衍詩曰逶迤行色晩金剛八月山中已早霜楓葉凋傷君莫歎細看眞面也無妨層梯疊磴太支離坐在平巓一發嘻郡驛行人分別路刹庵髡子送迎時五臺之險如斯否百鼎雖危尙可爲自笑短笻千憩客低頭猶復苦吟詩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百花潭【自嶺上十里餘】 萬山幽暗一逕危險忽看西峽裏數丈練虹直瀉照爛雖短瀑淺匯尙覺奇絶老釋何茫昧狂奔未指南若非吾眼目幾失百花潭【長安寺僧來指路而老且聾全沒分數百花潭名從他得知故戱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大虎洞路中漫吟 忽念此日是九月九日而望鄕臺何在中秋帶月訪蓬萊馬首飜驚九日廻無可奈何浮世客夢中飛去夢中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望金城邑【自大虎洞十里】 東峽過往往多屈皮屋及甍屋板屋或編麻或覆薪忽過斷髮嶺入金城界又見石屋巧如板宇比比相連邑中更多有之可見風土之不齊而亦可認關峽之異於湖峽也峽中風味太廉纖非木非甍更石簷馬上敲推行半日無端爲汝欲稀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金城衙舍夜呈椒泉翁 月餘海山寵陪行塵雖出於夢外緣業而忽於明朝行將分路矣下懷悵慕倘復如何金剛山色信難忘尙把游塵話短長可奈明朝獨歸路茹懷十倍別金剛〇初十日丁巳乍霧而晴〇朝【金城支應】發金城拜別椒泉翁【椒泉翁一行由金化永平等邑仍京城指路云】又與子常宗人及朴生汝裕相別又別金城倅三十里瑞雲驛中火四十里山陽驛宿所【山陽驛舍接見家書丹邱使令千銀來謁】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石經庵 縈廻石路小溪濱如斗孤庵結構新長近杉松耘谷墓不分楊柳比丘隣纖纖魚沫池邊雨黯黯蠭衙院裏春庭下稻田開數頃禪家計活又郊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奉和晩可詞伯【朴受豊字雉瑞】兼呈北郭卯兄【金台秀字子三】 流水浮萍外高秋老葉前得君今幾日嗟我已衰年適性相呼酒交襟不設筵自慙居有守行訪未曾先十秋不羈客低首二松前明月懷同調寒花悵暮年斷橋高士屐濁酒故人筵得意行相訪何須計後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靈鳳碑贊【幷碑文】 高麗國原州【缺上】臣崔光胤奉敎集太宗文【缺下】盖聞微言立敎始開【缺上】嗣位至於馬鳴繼美垂妙法於三乘龍樹揚芳見其【缺下】相離相非身是身降乃【缺上】聞圓覺東入梁朝始見大弘北游魏室於是師資所契【缺下】租法相承心燈不絶所以【缺上】者焉大師法諱惠湛俗姓金氏其先鷄林冠族兎郡宗枝【缺下】島以分榮託桑津而別派遠祖多【缺上】陶潛而不事王俟希賈詡而寧求祿位所以考盤樂道早攻【缺下】之書招隱攀吟常避市朝之譽母【缺上】之子豈無修聖善之心感此靈奇求生法胤以咸通十年正【缺下】一日誕生大師生有殊相弱無戱【缺上】性靈超衆神悟絶倫槐市橫經杏園命筆二親嘗邀相者相【下】云若至甘羅之歲鳳擧難量終臻賈誼【缺上】至失於怙恃唯恨捿遑爰有長純大師是導師修度世之緣【下】亡父結空門之友大師隨其長老得【缺上】俗塵方登僧位尋令昇堂覩奧入室鉤深迅足駸駸後發先至【下】覺枝脉脉前開脫成所以偃仰禪林優游【缺上】認印度重光終至相傳窺楞伽再闡迺於龍紀元年受具戒【下】於武州靈神寺旣而習其相部精究毗【缺上】尋論道爲學人曰淺溜穿石同心斷金鑽燧之勤寫甁之易皆【下】由積微不已跬步遄征俄成學海之功【缺上】子忝日禪僧此間觀曝骨之墟見殭屍之處他山靜境豈無【下】避地之方此地危邦終絁居山之計【磨豆刓上】者同載而征達于彼岸此時徑登雲盖禪宇虔禮淨圓大師【下】大師是棲雲壑之居佩石霜之印【磨豆刓】離【缺上】圖南逈奮垂雲之翼豫章向上高揮拂日之枝大師謂曰汝【下】還認其到此階梯預呈其遷【磨豆刓】寶所【缺上】河東參禪門於紫嶽故能初窺聖典久捿禹穴之旁始覽雲【下】蹤方到燕臺之畔迺於天祐【磨豆刓】月中得達于【缺上】學俱於問評慶抃交深數月論禪周年問法惟彌天發口乃【下】離日搖唇量語路之端酌【磨豆刓】日椯於爾地心【缺上】之光愁見甲兵之色所心便辭金海遙指玉京行道遲遲【下】焉入境不唯摩勒重敷兼【磨豆刓】奉迎內殿尋以【缺上】遙屢吐象王之說重重避席恭披弟子之儀一一書紳待【下】以王師之禮翌日請移【磨豆刓】淨精廬永云【缺上】大師遠從丹慊再到京畿所以別餙玉堂令昇繩榻問【下】大師曰寡人少尙【磨豆刓】先王之典寧【缺上】存亡之志所喜不勞漢夢仍覩秦星世宗之遇摩騰梁武之【下】逢寶誌無以加也生生世世【磨豆刓】子子孫孫【缺上】吉祥之地尙論往美更知延福之庭志有終焉心無悔矣然【下】則遂於此地高敞禪扃【磨豆刓】舊琉璃【缺上】邦國【缺中】聞興法之談不受大師之誨者處處精舍其徒擯之終日【下】了無與言一宵堅不留宿【磨豆刓】期大師素無【磨豆刓】疹富有【缺上】異於庶品之【缺中】五年七月十八日詰朝告門人曰萬法皆空吾將去矣一心【下】爲本汝等勉旃顔貌如常寂然【磨豆刓】二僧【缺上】地動山笏雲愁日慘【缺中】悲盈四部天人增絶學之哀寧惟慟徹諸方士庶泣丘師之【下】痛寡人忽聆遷化尤慟于懷追【磨豆刓】恃【缺上】宗林禪伯季葉古皇【缺中】壽之遐長▣羣情之敬仰今則梁雖核矣室可修焉然則先【下】忻於水積魚歸後恨於林傾鳥散所冀【磨豆刓】禮【刓】尙【缺上】贈謚眞空大師塔號【缺中】之塔惟大師雪山成道煙洞證心傳十八代之祖宗統【下】三千年之禪敎則知浹洽浮世擧其【磨豆刓】輿周【缺上】香散馥便牽胡蝶之心水【缺中】忘機仍引狎鷗之興幾多肹蠁無限昭暢可謂闡揚身毒之【下】風敷演笁乾之法者矣門徒弟子五【缺上】身之贖切恐蒼山變谷渤【缺中】成田陳情而特請龜文瀝懇而頻干鳳德所冀顯無爲之化留【下】在水雲期不朽之緣刻於金石【缺上】之慟惜詞虀臼慰門人罔【缺中】之心歸美栢臺旌國士追攀之志乃爲銘曰【缺下】流雍袂贊佐褰裳【缺中】認已藏寶知印慈航沒浪慧炬沈光銀燈石【缺下】◌靈鳳山故王師眞空大師碑陰【缺】盖聞湯王滅夏終敷開網之仁武帝【缺】西陲之敎親窺寶誌爰談東夏之風由是大集朝臣車馬以奉迎僧會出游東菀輦輿而同【缺】我國家三韓角立未知彼此之僞眞一國雄飛忽辯戰爭之優劣遐霑聖德廣【缺】大師奏表曰殿下精同四乳眼耀雙瞳以此梨察在元皇之坐圖澄逢趙主之憐然猶【缺】僧禪於來往志在登臨山家之鬱鬱森森道人卽住海國之幽幽秩秩君子攸寧伏乞憐其【缺】大師令辭樂土欲入深山高飛一軸之文聊送九重之闕寮人其大師情深膠漆義【缺】東化所誓其興法禪院縱爲古寺尙在仁方【缺】和尙生前永作梅遑之處大師【缺】州官通玄上坐卽中廣休長老侍郞惠泰長老上㚓興林㚓秀英㚓旻會㭆金舜㭆信希按鶴城誌曰原州興法寺在建登山寺有碑高麗太祖製其文命崔光胤摸唐太宗書刻石益齋李齊賢嘗曰辭義雄深偉麗如玄圭赤舃揖讓廊廟而字大小眞行相間如鸞飄鳳泊氣呑象外眞天下之寶也耳溪集曰【洪判書良浩自號耳溪】原州靈鳳山半折碑卽高麗太祖御製詞臣崔光胤奉敎集唐文皇書者也萬曆壬辰之亂倭奴車載以東到竹嶺碑斷爲二乃挈其半而去亂定關東守臣曳還于原州遂稱半折碑余搨來一本觀其筆法豪壯奇崛眞天人之跡也嘗聞文皇最愛右軍書今是帖深得三藏之法而脫出羈絆如天馬之游空非操毫家所可倣像也雖以島夷之蠶亦知愛重至於偸載以去不憚千斤之重萬里之遠所謂奴隸亦知其爲瑞也幸其半折尙留東方殆造物者相歟今觀唐本淳化帖多載文皇書而皆經屢飜離其眞遠矣惟是碑獨傳千年舊刻求之中國亦難得矣雖謂之天下寶可也異日中國有求東方古跡則盍以是應之乎云吳令公顯相氏【今關東伯之大人蔭承旨】篤好古方隨養到東營聞靈鳳半折碑之藏於州之客館囑中營【中軍鄭㶊源】搜得兩折盖守舍者不能善護一以爲磨豆之具一以爲登溷之階卽命工人拂拭居幾何又拾一小片於州南井邊幷三片移搨於紙余亦得而搨之字畵多刓者缺者剝落者漫漶者磨豆處䵝䵝催難認然而其彷佛可記者亦無慮數十百字大小眞行錯雜相因如龍蹲如虎踞如鸞翔鳳舞殆近造化之跡非鉛槧家所可摹倣碑陰楷書未知其出於誰手而亦端麗可玩破碑之廣可爲一丈有餘其長或可爲六七尺五六尺而小片亦可爲數尺竊想厥初碑之高廣磅礴穹窿雄鎭山門亦可驗勝國全盛時往蹟也耳溪集載半折而以今攷之藏客館者兩折而磨豆者上一折入於灰堆者下一折拾於井邊者又一折而中一角決裂者也然則所謂半折乃三折也何如是不折衷郞以文勢觀之自下而上自中而下間或有一二字缺漏處而頗接續可讀上之於下上之於中落落不相合抑未知中間大一折爲黑齒所失歟余拜吳令公於營之別館公從容語余曰邑乘所載違登山是靈鳳山而問于邑人茫不能記所謂興法寺廢已久矣亦難徵可恨碑之爲倭奴所斷事涉無怪而半折見失吾斯之未能信庶或埋沒於近地而人不之收拾也歟以得於灰堆及井邊而推之可認也余笑而應知曰令公之言誠有理而碑雖不破文是釋家文字也奚足尙哉碑雖不全數十百字之眞行楷書俱彷佛可記也復何憾焉我國之人頗好奇又安知靈鳳碑之名不在於半折乎余裁爲一帖子乃戱爲之贊曰麝殪于香蠟焚于膏于嗟壞折匪石之高琬琰爲寶逢彼獼獿造物如相刺使良勞破片之藏如古雲璈舍人何知關鍵不牢于䜺于灰不幸其遭物亦待人終難晦韜攟摭拂拭至于井槽缺漏周鼓迷茫晉毫畵中形影盃上醨槽尙留百態媚奇健豪蛟龍之淵鸞鶴之皐照雲鱗甲薄霄羽毛大小雜錯蜒蜿翔翶短長交鬪越戈吳刀伸屈不齊銀鉤鐵絛殆若神化難容楮陶搨而爲帖於斯游遨黑奴猶愛何况吾曹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復和金景瑞韻 余昔游雒時從西土人聞金景瑞之爲名將而誦其詩和氣韻後攷國乘深河之役景瑞與姜弘立降於虜坐見遼東伯金應河之力戰立慬所謂名將者亦如是耶良可浩歎更用前韻賦一絶亦詩人譏刺之意也弓刀雪色五更深矍鑠將軍臥擁衾夢裏匈奴能擊否可憐千古李陵心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