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5746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문회계 文會稧 송흠문 성안 경인 은진사람 청주 거주안동형 경통 정유 순흥사람 해주 거주김재봉 의지 계묘 광산사람 공주 거주홍기영 사춘 남양사람 연기 거주박치환 은문 을사 면천사람 회천 거주김재대 건지 무신 광산사람 공주 거주김이현 성서 무신 광산사람 공주 거주박재병 남중 무신 밀양사람 청주 거주임주례 성기 정사 상주사람 충주 거주김석현 성규 기미 광산사람 회천 거주성영석 원로 신축 창원사람 대흥 거주송재옥 사형 갑자 본관 여산 천안 거주정현석 군범 을묘 본관 광주 임천 거주안성흠 성태 병진 본관 순흥 옥천 거주고상의 유중 정미 본관 청주 음성 거주권중건 사극 임술 본관 안동 서울 거주금석로 영수 병진 본관 봉성 옥천 거주정재팔 순거 계해 본관 의성 용담 거주한경복 백원 갑신 본관 청주 회천 거주송수각 자신 본관 은진 회천 거주김방기 중경 정사 태인 거주박정일 윤겸 을미 본관 상주 광양 거주서택인 맹거 임자 본관 달성 대구 거주서영래 대여 경술 은진 거주송흠태 국언 계묘 태인 거주최광악 응오 정해 본관 전주 금구 거주송노전 백도 신해 본관 덕수 해주 거주최달민 인첨 정미 본관 전주 김제 거주송연영 국형 신해 본관 여산 임실 거주이주재 임신 본관 한산 해주 거주송석년 수이 무술 본관 여산 흥양 거주신재술 본관 평산 안동 거주 宋欽文 聖安 庚寅 恩津人 居淸州安東亨 敬通 丁酉 順興人 居海州金在鳳 儀之 癸卯 光山人 居公州洪沂泳 士春 南陽人 居燕歧朴致煥 誾文 乙巳 沔川人 居懷川金在大 健之 戊申 光山人 居公州金彛鉉 聖瑞 戊申 光山人 居公州朴載丙 南仲 戊申 密陽人 居淸州林周豊 聖基 丁巳 尙州人 居忠州金錫玄 聖圭 己未 光山人 居懷川成永錫 元老 辛丑 昌原人 居大興宋在玉 士衡 甲子 礪山人 居天安鄭玄錫 君範 乙卯 光州人 居林泉安聖欽 聖泰 丙辰 順興人 居沃川高尙義 由中 丁未 淸州人 居陰城權中建 士極 壬戌 安東人 居京琴錫老 永叟 丙辰 鳳城人 居沃川丁載八 舜擧 癸亥 義城人 居龍潭韓慶福 伯源 甲申 淸州人 居懷川宋秀覺 子臣 恩津人 居懷川金邦基 仲璟 丁巳 居泰仁朴楨一 允謙 乙未 尙州人 居光陽徐宅仁 孟居 壬子 達城人 居大邱徐榮來 大汝 庚戌 居恩津宋欽泰 國彦 癸卯 居泰人崔光岳 膺五 丁亥 全州人 居金溝宋魯傳 伯道 辛亥 德水人 居海州崔達旻 仁瞻 丁未 全州人 居金堤李周載 壬申 韓山人 居海州宋延英 國馨 辛亥 礪山人 居任實宋錫年 壽而 戊戌 礪山人 居興陽申在述 平山人 居安東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御製【奧昔正廟乙巳文孝世子冲岑方四歲始入學讀孝經自上親製一詩以誌喜命諸臣賡之】 日月同符聖祖齡重陽寶甲又堯蓂我家燕翼弘謨在精一傳心課孝經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懿昭墓忌辰享役【三月初四日忌辰】 滿庭山影夕陽多怊悵鵑花寂寞阿村竪不知春草恨隔林時送踏淸歌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1일 十一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3일 十三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4일 十四日 아침을 먹기 전에 사수(士洙)와 귀남(龜南) 종객(宗客)이 찾아와서 만나고 갔다. 아침을 먹은 뒤에 주동(鑄洞)에 가서 이야기를 나누고 왔다. 朝前士洙及龜南宗客, 來見而去。 食後往鑄洞, 談話而來。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28일 二十八日 날씨가 조금 풀렸다. 이날 주동(注洞)에 가서 보청주인(譜廳主人)을 만나서 종현(鐘峴)에 함께 갔다가 송 교리(宋校理)를 만나고 돌아왔다. 日氣稍解。 是日往注洞見譜廳主人, 因與同往鐘峴, 見宋校理而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30일 晦日 조금 화창하였다. 근동(芹洞)에 가서 이을 흥양에서 만나고, 또 아현(阿峴)에 가서 송 진사(宋進士)를 만나고 돌아왔다. 稍和。 往芹洞見李興陽。 又往阿峴見宋進士而還。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797년(정사) 1797年(丁巳)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1월 正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사부

5일 初五日 눈비가 내렸다. 雨雪。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蓬萊閣【幷志】 亦在宣化堂北蓮池中小島上於觀風閣爲南甲子監司申琓所建昨春監司洪祐順失火改造金碧炫耀而其軒敞偉麗太不如觀風閣然亦可以一舒嘯也下界塵愁掃蝟毛飛樓颯爽綠雲袍飄飄不信騎無鶴泛泛方知戴有鼇水氣長侵軒宇冷霞華近結枕屛高朝天一路終何處竚立瑤臺羽客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紫龍尾 老龍變化三千祀不在於天不在水鞭電駕雷無定期臥在靑山雲萬里山東石匠多神術運手能學擾龍氏恐或一梭飛騰去風斤斷尾蝘蜓視片鱗照爛花纈眼星斗闌干光焰紫至珍驚世美無有赤脂爲脈丹砂髓白璧黃金不敢高書樓坐於波斯市往往鱗甲能活動烏雲黑雨頃刻裏五湖三江來滾滾平地百丈波濤起空山尤物非汝否戱銘其臀太幻詭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靑城鶴 靑城丈人騎靑鶴遊戱蓬萊雲漠漠一去不返空留跡風吹羽毛山中落千年化石敵璚玖功匠割之刀霍霍試向春溪一洗面花紋柳絲綜又錯紅日潑眼動光怪粼粼綠波蝦鬚箔可愛一片書硯中丹頂玄裳來隱約駕鶴橋西茶酒客東風揮廉不寂寞得意欲寫相鶴徑浮邱仙子何山郭與爾爲期湖上去禿頭官緖秋蟬薄瑪瑙端硯弁山夕米顚舞蹈堪一噱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小方塘 鍊丹古池浮雲杳夕陽老木空啼鳥石人欲移書硯上慘憺意匠游物表快刀割斷紫雲根惜之如玉一拳小外方內圓好樣模棐几浮來一璧沼紅日乍暎花灼爍玄雲忽落山窈窕點滴一水少須曳潘江陸海波浩渺半畝方塘主人心爾能描畵太了了適意茶香明月夕關情蕉葉細雨曉客者不來春寂寞丹爐篆煙綠裊裊只許三友如影至低仰書巢相匝繞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安期棗 安期僊子蓬萊島其大如苽啖火棗遺與人間團一梭山客得之以爲寶此物胡爲來此地自疑丹竈學有道曲几疎簾相嫵媚照日正如赤瑪瑙黑眉黃眼應生羞玉靈陰鑑敢爭好落筆滾滾神有助十丈光熖動文藻硯池一派方寸間萬里煙波連碧昊鶴上冠珮庶幾遇剩笑浮生鬚欲皓纂纂朱實晩道歌茶酒天涯坐草草眞手眞硯不壞否雙袂摩挲一歎浩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9월 九月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20일 二十日 ○아침 먹기 전에 들어가 장석(丈席)을 뵈었다. 일행이 장석을 만나고자 하였으므로 먼저 얼굴을 돌려 나왔다. 아침을 먹은 뒤에 일행과 들어가 장석을 뵙고 한참 동안 이야기를 나누었다. 여옥이 《충열록(忠烈錄)》 1권을 드렸다. 그길로 하직하고 나와 출발하였다. 신탄(新灘) 저자 주변에 이르러 기주(欺酒)를 사서 먹었다. 신탄을 건너 유성(油城) 저자 주변에 이르러 점심을 먹었다. 성전(星田)52)의 집성사(集成祠)53)에 들러 참배를 하고 봉심(奉審, 사당을 살핌)을 하였다. 곧 주부자(朱夫子)와 송우암(宋尤菴) 두 선생의 영정이었다. 주부자의 영정 위에는 '문공 회암 주선생 진상(文公晦菴朱先生眞像)'이라고 쓰여 있었다. 우암의 영정 위에는 '문정공 우암 송선생 진상(文正公尤菴宋先生眞像)'이라고 쓰여 있었다. 봉심하고 난 뒤에 강당으로 나와 잠시 쉬고 나서 출발하였다. 산정령(散亭嶺)을 넘어 척후(尺後) 주막에 이르러 유숙하였다. 50리를 갔다. 절구 1수를 다음과 같이 읊었다.천 리 먼 노정을 멀다 않고 찾아오니(千里長程不遠尋)선연히 남은 영정이 예나 지금이나 같네(分明遺像古猶今)종종걸음으로 뜰을 지나 참배하니 비루한 마음 없어지고(趨庭瞻拜消鄙吝)저절로 천추토록 경외하는 마음이 생기네(自發千秋敬畏心) ○朝前, 入謁丈席。 同行欲見丈席, 故先爲旋容出來。 朝飯後, 與同行入謁, 移時談話。 汝玉納《忠烈錄》一卷。 仍爲下直而出來, 發程。 至新灘市邊, 買欺酒以食。 越新灘, 抵油城市邊午飯。 歷入星田集成祠, 參謁奉審。 卽朱夫子、宋尤菴兩先生畵像。 如朱夫子影幀上, 書文公晦菴朱先生眞像;尤菴影幀上, 書文正公尤菴宋先生眞像。 奉審後出來講堂, 暫憩後登程。 越散亭嶺, 抵尺後酒店留宿。 行五十里。 吟一絶曰: "千里長程不遠尋, 分明遺像古猶今, 趨庭瞻拜消鄙吝, 自發千秋敬畏心。" 성전(星田) 대전시 유성구 학하동 별밭 마을이다. 집성사(集成祠) 선조 혹은 선현의 신주나 영정을 모셔두고 배향하는 곳으로 사당, 사우라고 한다. 고려말 주자학이 도입되면서 향촌 교화 정책의 일환으로 건립되었다. 특히 중국 남송 때의 유학자 주희를 모시는 사당이 많이 건립되었다.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鴨綠舟中【求禮谷城交境】 長風破霧午天淸解纜空汀鏡面平二水相逢增氣勢千峰欲動倍精英晴沙若沒詩無色怒石雖麤畵有聲江上一竿猶未辦緇塵半世愧吾生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七月七日兼値末伏石下以詩索和戱以酬之 庚炎悵送市西樓乞巧無端話柳州休掛犢禈傳一笑可供羊酒解千愁三金七火今何夕天上人間㧾是秋强把殘詩酬令節二分新月借風流【用前韻】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