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47568건입니다.

정렬갯수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隱溪記 董邵南隱安豊。王裒隱城陽。二人者。皆以孝名於天下後世矣。今余族弟秉燮。隱居完之龜耳龍溪。因號曰隱溪。亦自行其孝也。而名則未著於世。豈隱溪之孝。未及於董王耶。抑董王之隱。不能竝隱其名也歟。夫名者實之表實。乃名之本也。丹之所藏者。赤漆之所藏者黑。是故物有實質。則器不能掩焉。人有實行。則名不得蔽焉。身雖隱晦而名著何害。余亦願隱溪實孝期及乎董王之名。而書此勉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贊 宋明會【南陽人。號。全南高興。】以山河間氣之所鍾臨綱常頹界時崛起。以艮齋田先生高弟。承紫陽夫子宗旨。當天變華爲夷之世。恨島夷幷國共天之日。世遠人亡。後學無所歸。師幸祖述。古聖有所質。靑蛇之變。擧國同恨。赤牛之厄。單家獨蒙。衝火怪變。一死誓志。立綱大節。百世淸風。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輓詞 同門情弟全義李炳殷【號顧齋。全北全州。】欽齋尊兄卒哭前一日。情弟顧齋李炳殷敢告于靈筵曰滿腔懷緖於祭。文旣已備矣。不須贅略。將數句詩。以伸餘蘊。出門擧目意沈沈。黃草孤墳惱我心。石砌寒花如有待。方塘皓月共誰吟。天若不令斯道廢。時宜特降哲人。來但願吾兄訴上帝。海西風雨一時開。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扶餘徐基庠【全北益山】世易儒殘獨守中。遺風遺德殷然崇。生前和氣庭園繞。死後幽情刻遠通。讀聲靜止哭聲滿。訪淚凝回憾淚空。落雲淸界長程裏。威毅整冠樂命終。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門人忠州朴尙錫【號華溪。全北長水。】華島摳衣得正路。講磨道理幾多年。草根木食遵師訓。志在春秋大義堅。素志未伸風雨夜。皇天不佑我先生。斯文自此休而矣。執紼斜陽淚滿裳。性師心弟直親炙。吾道淵源大有成。滿案詩書傳世業。遺風餘韻繼家聲。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安東權그림입니다.玉【號藥泉全北淳昌】彬彬文德行爲先。養氣知言意浩然。高義皆稱天下士。丰姿疑是地行仙。綱常啓世人人正。孝友傳家代代全。流水靑山猶慘淡。薤歌到處淚漣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在世友長興高漢柱【號畏堂全南光州】自吾玄洞哭。參商已多年。前後師門事。追想意惘然。享年八十四。仁壽可必天。我病息猶存。豈謂乘化先。泉坮知不遠。相逢或有緣。古學訓多士。餘慶肖哀孫。滄桑何須說。遺文可永傳。寒碧堂前水。玉流咽萬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侍生柳遠洙傳眞尊性訣。早受臼山翁。體用兼全學。明誠幷進功。德充身渾潤。年邵望彌隆。一夜帲幪掇。有誰啓後蒙。玉流月朗夕。桂洞雪深辰。德宇多瞻悅。旨論亦聽眞。瑤琴嗟絶響。楹夢遽驚神。千里遠躬哭。西望愧古人。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從姪崔福烈【全北全州】義重師生德。情深叔姪恩。嗚呼小子淚。混混玉泉源。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從子崔章烈【全北全州】玉山淑氣挺人豪。事業平生稟自高。痛矣哀哉仙駕後。程朱心法有誰挑。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從子崔相烈【全北全州】人誰無叔姪。豈如伯父深。中夜思儀德。雙淚掩衣衾。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孫壻慶州金淵德【忠南公州】斯道如今惟恐失。分明義理老尤堅。講論當日多賢士。茅屋竹林不絶絃。一朝承訃正凄然。豈意先生遽化仙。幼子賢孫哭隨後。儒林親戚淚漣漣。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從子崔奉烈【全北全州】嗟余匍匐時。偏受恩愛恤。今日無恨痛。豈比伯道姪。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崔友【允煥】泥山精舍韻 泥山精舍屹敬友隱居之庭畔花容艶簷前雲影奇斷金交誼密振玉世風移深講聖賢學淸眞孰有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詩【七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謹和太極旗韻 太極高高近上天天聽人語感應連從今哲學更修日吾道東方大煥然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次郭友【時鍾】五一堂韻 園中何樹惟松柏紀念弧辰種數株寓意晩年修養趣有時緩步驗榮枯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玉洞李敎儀 不着棋爲妙潛蹤日月遲白雲緘谷口人不草堂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又 西軒申肅雨 從古南陽好孔明夢覺遲隱何今古異三顧後方知

상세정보
유형 :
고전적
유형분류 :
집부

答宋子尹【衡柱〇癸亥】 惠書臨榥之勵。對證之丹與。夫用力之苦進德之邁。顧此區區翦劣。何以仰副厚望耶。昔劉念臺曰。吾豈望聖賢求不爲亂臣賊子而已。呂舜從言。某自省所爲。纔免禽獸之行而已。未能便合人之道。苟非精細自勘。儆懼自策。則何能道得恁地。鄙切要從事。而未得因以相告。要與共修同勉。幸更體會焉。刊所爭端云云。湖嶺本非可睽者也。而偶致滋口矣。當初嶺友主木刻出稿。而諸人同會及送人。圖印許于京。而心甚未快。及其未就。湖友有使人探道府。則彼謂此稿則不必拘掣勿問固好。但須略閱。無大忌觸文字。然後乃可黙認云云。於是諸友走告淸道。則吳成皆言如此。則無累於師。果得入路分帙無礙。則斷移刊所。仍使詳質。彼亦快擔矣。回報後。復使金敬父。細深採探。並無疑慮矣。舜在乃謂湖旣能黙。則嶺獨不得乎。吾將問之。歲暮各歸矣。士順自島來言。【臘月二十日】閱稿時急。且言華島當設所。又言刻遲活速。且費省布廣之意。請簡於吳。故鄙然之。而吳答亦然之。其後稿終不來。而往復徒煩。且要面會亦不得。故衆議定所華島。而靜齋親往推稿。則舜在謂念間自携入島。而今聞使宋秉徽來議于島。而吳亦耒鄙。則病未得赴耳。蓋靜齋士順之主湖。以黙許及守廬而已。前後事實如此矣。豈湖儒之有爭競爻象哉。今舜在亦報。以得京黙云耳。

상세정보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