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松谷面亳谷村第一里第 統第 戶幼學梁植 年五十九乙亥 本濟州父 通德郞 義浩祖 通訓大夫行萬頃縣令全州鎭管兵馬節制都尉 喆鎭曾祖 學生 冑厦外祖 宣略將軍行忠武衛副司果金㝡煐 本光州妻 尹氏 齡六十三辛未 籍咸安父 學生 範遇祖 學生 夢淵曾祖 成均進士 奎鼎外祖 學生 鄭在機 本延日弟 楨 年五十二壬午子 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斗煥 年三十八丙申婦 淑夫人安氏 齡四十一癸巳 籍竹山子 廷煥 年三十五己亥婦 李氏 齡三十六戊戌 籍廣州子 翼煥 年三十二壬寅婦 金氏 齡三十甲辰 籍安東子 鐘煥 年二十八丙午婦 朴氏 齡二十甲寅 籍珍原癸酉式賤口秩 仰役奴水萬故 婢分禮 年丙午 一所生奴公烈 年丁卯 婢分壬 年庚戌 婢{豆+ㄱ}葉 年甲寅 婢奉業年丁巳 外居秩 婢三丹 年丙子逃居晉州 一所生婢水今 年己亥居晉州 庚午戶口相準印[準][周挾無改印]行郡守[署押][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무자년 배정모(裵鼎模)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順天府使 裵鼎模 行府使<押> □…□(7.0×7.0), 周挾無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무자년에 배정모가 순천도호부 관아에 제출하고 다시 내려받은 준호구. 무자년에 호주인 배정모(裵鼎模)가 순천도호부(順天都護府) 관아에 제출하였다가 돌려받은 준호구이다. 호주가 호구단자를 제출할 때 일부 준호구 양식에 따라 작성하였고, 이를 관아에서 착압하고 관인과 주협개자인(周挾改字印)을 찍어 준호구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돌려주었다. 을유년 바로 다음 식년이 무자년이고 구성원의 출생년과 현재 나이를 비교하면, 작성 연대가 무자년인 사실은 알 수 있으나, 정확한 연도는 알 수 없다. 거주지는 쌍암면(雙巖面) 군장려(君長閭)이다. 호주의 직역은 유학(幼學), 출생년은 갑진년으로 올해 45세이고 본관은 달성(達城)이다. 호주 이외에 호주의 사조(四祖), 처 임씨(任氏, 43세 병오년생, 본관 長興)와 처의 사조의 인적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문서 하단에는 소유 노비의 인적사항이 기재되어 있는데, 비 1명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기해년 이헌구(李憲九)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李憲九 査頓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해년 3월 6일에 신부측인 이헌구가 신랑측에 보낸 혼서 기해년 3월 6일에 신부측인 이헌구(李憲九)가 신랑측에 보낸 혼서이다. 혼인이 약속되었으므로 연길을 보내니 의제(衣製)를 알려달라는 내용이다. 신부집에서 허혼편지나 전갈이 오면 신랑집에서는 신랑의 사주와 납채문을 써서 보내고, 신부집에서는 사주단자를 받으면, 신랑 신부의 운세를 가늠해보고 혼례날짜를 택하여 신랑측에 통지한다. 이것을 연길이라 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4년 이용근(李龍根)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丁鉉台 李龍根 丁鉉台<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865 1874년 12월 7일에 유학 정현태가 유학 이용근에게 갑향면 행정촌에 있는 대밭을 팔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 1874년(고종 11) 12월 7일에 유학(幼學) 정현태(丁鉉台)가 유학 이용근에게 갑향면 행정촌에 있는 대밭[竹田]을 팔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정현태는 쓸 곳이 있어서 자기가 매입하여 여러 해 동안 수호(守護)하던 대밭을 이용근에게 팔았다. 대밭의 위치는 갑향면(甲鄕面) 행정촌(杏亭村, 현 담양군 대전면杏亭里) 후평(後坪)이며, 자호(字號)는 양자(養字)이다. 대밭의 면적은 1말 5되지기이고 짐수[卜數]는 3짐이다. 정현태는 이용근에게 밭값으로 30냥을 받고 이 명문 1장과 함께 대밭을 넘겨주었다. 명문의 끝부분에는 뒷날 불미스러운 문제가 생기면 이 명문으로 빙고(憑考)하라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대밭 주인 유학 정영조가 이 명문을 직접 작성하고 착명(着名) 하였다. 문서 끝부분에는 '구문기(舊文記)는 도문기(都文記, 재산 내용 전체를 기록한 문서)에 함께 기록되어 있어 내주지 못한다'는 내용이 추기(追記) 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신미년 최계봉(崔啓鳳)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崔啓鳳 寶城郡守 使道主<押> □…□ 3顆(6.0x6.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신미년에 최계봉이 보성군수에게 매득 토지에 대한 입지를 성급해줄 것을 요청하는 소지 신미년 4월에 하리(下吏) 최계봉이 보성군수에게 입지(立旨) 성급을 요청하기 위해 올린 소지이다. 최계봉은 조부 묘소로 쓰기 위해 박백손에게 백야면 옥천촌 덕기동에 있는 산지를 20냥을 주고 매득하였으므로, 해당 문기와 수표를 점련하여 올리면서 훗날 발생할지도 모를 분쟁을 방지하기 위해 입지를 성급해달라고 요청하였다. 이에 대해 보성군수는 '이미 돈을 주고 매득하였고 또 수표까지 있는데 훗날 무슨 염려할 일이 있겠는가.'라는 제사를 내려주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83년 이풍식(李豊植)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陳正彦 李豊植 陳正彦<着名>, 金達培<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863 1883년 11월 20일에 유학 진정언이 유학 이풍식에게 창평현 고리에 있는 논을 팔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 1883년(고종 20) 11월 20에 유학(幼學) 진정언(陳正彦)이 유학 이풍식에게 창평현 고리에 있는 논을 팔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진정언은 갚아야 할 사채(私債)가 많아서 자기가 매입하여 여러 해 동안 세(稅)를 받아먹던 논을 어쩔 수 없이 이풍식에게 팔았다. 논의 위치는 창평현(昌平縣) 동서면(東西面) 고리(古里) 대후평(大後坪)에 있으며, 자호(字號)는 문자(文字)이다. 논의 면적은 4마지기 3배미이고 짐수[卜數]는 22짐이다. 진정언은 이풍식에게 논값으로 60냥을 받고 본문기(本文記)와 함께 논을 넘겨주었다. 명문의 끝부분에는 뒷날 불미스러운 문제가 생기면 이 명문으로 빙고(憑考)하라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답주(畓主) 유학 진정언과 이 명문을 작성하고 증인(證人)으로 참여한 증필(證筆) 유학 김달배(金達培)가 각각 착명(着名)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66년 이철현(李嚞鉉) 원정(原情) 2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李嚞鉉 宗親府 宗親府<押> 宗親府印 3顆(9.0×9.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20 1866년 4월에 담양부에 사는 동지중추부사 이철현이 그의 6대조 묘소 주변에 투장한 무덤을 굴거할 수 있도록 전라감영과 담양부에 관문을 보내달라고 종친부에 청원한 원정 1866년(고종 3) 4월에 담양부(潭陽府)에 사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이철현이 종친부(宗親府)에 청원한 원정이다. 이철현이 며칠 전에 육대조(六代祖) 묘소에 투장(偸葬)한 이를 정소(呈訴)하여 '하루속히 독굴하라'는 종친부의 제사(題辭)를 받아 담양부에 관문이 도부(到付)하였다. 그러나 담양부에서는 '본부(本府)에 관문이 있더라도 전라 감영에서 보낸 관문이 없다면 담양 고을에서 멋대로 거행하기 어렵다'라고 하였다. 이에 이철현은 다시 종친부에 정소하여 전라감영에 관문을 발송하여 전라감영에서 담양부로 관문을 보내 하루빨리 투장한 묘를 파내도록 해줄 것을 간청하였다. 이 원정을 접수한 종친부는 5월 7일에 '(투장한 네 사람을) 잡아다 가두고 독굴(督掘)하라는 뜻으로 전라 순영(巡營)에 관문을 발송할 것'이라는 처분을 내리고, 종친부 당상이 서압(署押)하고 종친부 관인(官印)을 찍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07년 최운화(崔運華)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崔運華 寶城郡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72 1807년에 최운화(崔運華, 69세)가 보성군(寶城郡)에서 받은 준호구 *주소: 龍門面 第 里 大食洞 第二十六統 第二戶 *가족사항: 妻 密陽朴氏(70세), 子 肅孝(至孝로 改名, 49세), 婦 全州李氏(55세), 孫 鳳周(30세), 鳳圭(22세) *상태: 좌측이 일부 잘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0년 최계봉(崔啓鳳) 준호구 고문서-증빙류-호적 崔啓鳳 寶城郡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72 1810년에 최계봉(崔啓鳳, 33세)가 보성군(寶城郡)에 제출하여 받은 준호구(準戶口). *주소: 龍門面 篁園洞 *가족사항: 奉祖母 密陽朴氏(73세), 母 李氏(58세), 妻 平康蔡氏(24세), 弟 鳳圭(25세) *상태: 좌측이 일부 잘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기사년 보초(報草) 초(草) 고문서-첩관통보류-보장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사년 5월 4일에 담양부에서 전라도관찰사에게 고 학생 이진민의 효행 실적을 조사한 내용을 성책하여 올린 보초의 초본 기사년 5월 4일에 담양부(潭陽府)에서 전라도관찰사에게 고(故) 학생 이진민(李鎭玟)의 효행 실적을 조사한 내용을 성책하여 올린 보초를 베껴놓은 초본이다. 이 보고서는 '이진민의 효행을 조사해 보고하라'는 이조의 관문(關文)을 받은 전라도관찰사가 다시 담양부에 감결(甘結)을 내려 이를 명령함에 따라 작성한 것으로 '을축년에 담양부에 살았던 고 이진민의 효행 실적을 상세히 조사하여 문서들을 살펴보니 그의 8대조인 효자 이형(李蘅), 6대조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인경(寅卿), 5대조 열부(烈婦) 광산김씨(金氏光山)은 충·효·열(忠孝烈)의 실적이 분명하여 모두 정려(旌閭)되었다'고 이진민 선조의 업적을 먼저 언급하였다. 이어서 이진민의 효행에 대해 '그는 집안의 가르침을 세습하여 어려서부터 지극한 효성으로 주위에 칭찬이 자자했다. 그는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를 봉양하였는데 그의 어머니는 오직 산꽁만을 좋아하였다. 그러므로 산꽁이 나오지 않은 철에도 반드시 구해서 어머니께 올려 지성으로 봉양하였는데 모친상을 당하자 묘 곁에 여묘살이를 하였다. 소상일(小祥日)에 살아 계실 때 좋아했던 꽁을 구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꽁이 궤연(几筵)으로 날아 들어와 제수(祭需)로 바쳤으니 이것은 이진민의 효성에 미물(微物)이 감응한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맏형이 수십 년 동안 치질(痔疾)로 고통스러워 했는데 이진민이 온 힘을 다해 약을 직접 공급하여 소생시킨 일'을 들어 그의 남다른 우애를 설명하면서 '효도하고 우애하는 마음이 순수하고 독실함이 이와 같아 사림(士林)의 공의(公議)가 지금까지도 칭송되고 있으니, 이 고을의 청원이 분명하게 근거할 만하므로 위 사항을 성책(成冊)하여 올린다'는 내용이 실려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4년 배상권(裵相權) 호적표(戶籍表) 고문서-증빙류-호적 裵相權 順天郡守 順天郡印(4.0×4.0), 順天郡守之章(2.1×2.1)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4년에 호주 배상권이 순천군에 제출한 호적표. 1904년(광무8)에 배상권(裵相權)이 순천군(順天郡)에 제출하여, 군수 이우규(李禹珪)가 관인을 찍어서 돌려준 호적표(戶籍表)이다. 주소는 전라남도 순천군 쌍암면(雙巖面) 군장리(軍壯里)이다. 호주의 나이는 72세, 본관은 달성(達城), 직업은 농업이다. 가족사항은 처 김씨(金氏, 나이 67세 본관 慶州), 아들 인섭(仁涉, 나이 42세)과 그의 처 구씨(具氏, 나이 43세 본관 陵州), 차자(次子) 계언(桂彦, 나이 17세)이다. 현존 인구는 남자 3명 여자 2명이다. 가택은 초가 4칸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5년 배상권(裵相權) 호적표(戶籍表) 고문서-증빙류-호적 裵相權 順天郡守 順天郡印(4.0×4.0), 順天郡守之章(2.1×2.1)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05년에 호주 배상권이 순천군에 제출한 호적표. 1905년(광무9)에 배상권(裵相權)이 순천군(順天郡)에 제출하여, 군수 이우규(李禹珪)가 관인을 찍어서 돌려준 호적표(戶籍表)이다. 주소는 전라남도 순천군 쌍암면(雙巖面) 군장리(軍壯里)이다. 호주의 나이는 73세, 본관은 달성(達城), 직업은 농업이다. 가족사항은 처 김씨(金氏, 나이 68세 본관 慶州), 아들 인섭(寅燮, 나이 43세)과 그의 처 구씨(具氏, 나이 44세 본관 陵州), 차자(次子) 계언(啓彦, 나이 18세)과 그의 처 최씨(崔氏, 나이 17세 본관 慶州)이다. 현존 인구는 남자 3명 여자 2명이라고 적혀 있으나, 여자는 3명인데 잘못 적은 것으로 보인다. 가택은 초가 4칸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7년 정방호(鄭芳浩)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順天府使 鄭芳浩 <押> 周挾改印, □…□(7.0x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152 1867년에 순천부(順天府)에서 정방호(鄭芳浩, 58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주소: 黃田面新基閭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7년 정재호(鄭在浩)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順天府使 鄭在浩 行府使<押> 周挾改印, □…□ (7.0x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152 1867년에 순천부(順天府)에서 정재호(鄭在浩, 46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주소: 黃田面新基閭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4년 심낙빈(沈樂彬) 수기(手記) 고문서-증빙류-수기 沈樂彬 全陽秀 沈樂彬<着名>, 沈樂天<着名>, 沈樂有<着名>, 金璟孝<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118 1844년에 심낙빈 등이 순천 쌍암면 노구치동에 있는 산지를 전양수에게 매도하면서 작성해 준 수기. 1844년(헌종 10) 2월 22일에 심낙빈(沈樂彬) 등 3인이 전양수(全陽秀)에게 작성해준 수기(手記)이다. 심낙빈은 고조모와 증조모의 산소가 순천 쌍암면(雙巖面) 노구치(老嫗峙)에 있는데, 흉년을 맞아 굶주림을 면하지 못하여 산지의 일부를 매도했다고 하고 있다. 매도한 지점은 무덤의 유좌(酉坐) 방향이다. 그리고 이번에는 매도한 지점 아래의 두 조상 묘를 이장할 생각이었으므로 동전 35냥을 받고 이달 안에 파 내겠다고 다짐하고 있다. 그리고 추가 사항으로 금양(禁養)은 청룡(靑龍)으로부터 경계를 나누어 백호(白虎)의 산등성이 앞뒤 및 안산(案山)의 산등성이까지로 경계를 나눠 허급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심낙빈 외에 삼종친인 심낙천(沈樂天)과 심낙유(沈樂有)가 수기 주인으로, 김경효(金璟孝)가 증필로 문서 작성에 참여하고 있다. 이 문서에는 중앙 부분에 '효주(爻周)'라는 굵고 큰 글씨가 쓰여 있다. 이는 이후에 벌어졌던 보성(寶城)의 전씨 집안과 쌍암면의 배씨 집안 사이의 산송에서 이 거래가 잘못된 것이라는 처분이 있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松谷面第一里亳谷村第八統第三戶 通訓大夫行萬頃縣令全州鎭管兵馬節制都尉 梁喆鎭 年五十六戊寅 本濟州父 通德郞 冑厦祖 通德郞 基爀曾祖 通德郞 益柱外祖 學生 致垕 本水原妻 安氏 年六十一癸酉 籍竹山父 學生 鼎輔祖 學生 萬亨曾祖 學生 邦冑外祖 禦侮將軍 行訓鍊主簿 金國鉉 本光山率子 通德郞 義浩 年三十甲辰婦 金氏 年二十八丙午 籍光山癸酉 月 日率奴婢秩 婢㐘伊 年三十三辛丑 婢命德 年二十二壬子 婢貴代 年十九乙卯 外方奴婢 施德 年辛酉 父名不知 母毛乙禮 婢次云 年丙辰 居京 奴時還 年乙卯 奴時金 年壬子 婢旕介 年辛亥 二南 年庚子 婢士今 年己亥 婢士化 年戊申奴萬奉 年甲午 奴萬上 年己巳 奴萬發 年戊申 居金海婢貴禮 年癸巳 奴末用 年癸丑 婢禮今 年庚辰 婢禮分 年丙戌 婢士丁 年戊戌 婢次分 年戊午 居 醴川 婢元辰年癸巳 一生婢銀太 年丙辰 父宋莫石伊 居昌原 婢士良 年 母班婢士化 二生婢士四民 居梁山 婢延禮 奴延發 婢延今 奴延奉 婢延辰 婢分禮等 母名不知 父戶奴時金 婢丁今一生婢阿只 二生奴延玉 三生婢永今 四生婢召史 婢水禮一生奴先興 二生婢昭史 奴元奉 奴元發 奴夢赤 奴畓子里等 父戶奴時奉 母良女 奴明乃一生奴項羽 二生婢春今 三生奴長表 四生奴 汗國 奴目男一生奴二生婢明禮 三生婢月辰 婢明月四生奴乻立 奴元發一生婢召史 年庚戌 奴善奉 年癸巳 奴成宮 年 婢雪禮奴水巳 奴萬頃 奴萬贊 奴先奉 年癸未 婢六月 婢延代二生奴芿金 奴貴化 年庚戌 四生婢貴辰等 居金海 奴貴坦 婢德上 婢順德 婢䎞金 居長興 婢小今 年庚子 同婢一生婢小德 年辛丑 居京 婢明禮 年戊寅 己亥逃 婢三月 年庚寅 戊戌逃 婢点禮 年庚子 婢甘禮 年庚子 易日 年壬寅等 戊子逃婢信化 甲子逃 胷巳 戊辰逃 婢日隱介 奴丁德 癸酉逃奴件里金 乙亥逃 奴順男 丙戌逃 奴元德 甲辰逃 婢延玉 己卯逃 婢貴香 婢次梅 奴俊卜 奴俊益 奴俊英 辛巳逃 婢俊今 丁丑逃 奴次吉 丙戌逃 婢禮娘 年庚子 同婢一生婢一月 年丁巳 婢禮分 年乙巳等 戊申逃 婢元丹 年戊午癸未逃 庚午戶口相准印[準]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정유년 이재규(李在圭)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長興府使 李在圭 行府使<押> □…□(7.0×7.0), 周俠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정유년에 이재규가 장흥도호부 관아에 제출하고 다시 내려 받은 준호구. 정유년에 호주인 이재규(李在圭)가 장흥도호부(長興都護府) 관아에 제출하였다가 돌려받은 준호구다. '갑오년 호구와 상준(相準)함'이라는 준호구에 적는 문구도 기재되어 있다. 호주가 호구단자를 제출할 때 일부 준호구 양식에 따라 작성하였고, 이를 관아에서 착압하고 관인과 주협개자인(周挾改字印)을 찍어 준호구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돌려주었다. 갑오년 바로 다음 식년이 정유년이고 구성원의 출생년과 현재 나이를 비교하면, 작성 연대가 정유년인 사실은 알 수 있으나, 정확한 연도는 알 수 없다. 호주의 거주지는 천포면(泉浦面) 당산리(堂山里)이다. 호주의 직역은 유학(幼學), 출생년은 경인년으로 올해 68세이고 본관은 인천(仁川)이다. 호주 이외에 호주의 사조(四祖), 처 정씨(鄭氏, 68세 경인년생, 본관 河東)와 처의 사조의 인적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소유 노비에 대한 기재사항은 없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3년 양철진(梁喆鎭)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梁喆鎭 寶城郡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13년에 양철진이 보성군 관아에서 발급받은 준호구 1813년(순조 13)에 호주인 양철진(梁喆鎭)이 보성군(寶城郡) 관아에 제출하였다가 돌려받은 호구단자이다. 양철진의 거주지는 송곡면(松谷面) 박곡촌(亳谷村)이며, 제8통 제3호에 편성되었다. 직역은 통훈대부(通訓大夫) 행만경현령(行萬頃縣令) 전주진관(全州鎭管) 병마절제도위(兵馬節制都尉)이며, 출생년은 무인년으로 올해 56세이고, 본관은 제주(濟州)이다. 호주 이외에 호주의 사조(四祖), 처 안씨(安氏, 61세 계유년생, 본관 竹山)와 처의 사조, 아들 의호(義浩, 나이 30세 갑진년생)과 며느리 김씨(金氏, 28세 병오년생, 본관 光山)의 인적 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문서 하단에는 소유 중인 노비의 인적 사항이 도망 노비를 포함하여 기재되어 있다. 양철진은 만경현령을 역임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는데, 이는 『승정원일기』 순조 6년(1806) 8월 11일 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호구단자를 작성한 연도인 계유년은 1813년으로 볼 수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임신년 이인호(李寅浩) 혼서(婚書)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李寅浩 郭生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임신년 11월 21일에 신랑측인 이인호가 신부측 곽생원 댁에 보내는 혼서 임신년 11월 21일에 신랑측인 이인호가 신부측 곽생원 댁에 보내는 혼서이다. 혼인이 약속되었으니 집안의 큰 복이라며 인사를 하고, 신랑의 사주(四柱)를 별폭(別幅)에 적어 보낸다는 내용이다. 사주단자를 보내며 함께 보낸 혼서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신년 경주최씨(慶州崔氏) 사성단자(四星單子)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慶州崔氏 郭生員 慶州崔氏<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765 병신년 11월 26일에 신랑측인 최의수가 신부측인 곽생원댁에 보낸 사성단자 병신년 11월 26일에 신랑측인 최의수가 신부측인 곽생원댁에 보낸 사성단자이다. 신랑의 사주는 병자년 7월 8일 해시(亥時)이다. 신랑집에서 신랑의 사주와 납채문을 써서 보내면 신부 집에서는 사주단자를 받고 혼례날짜를 택하여 신랑측에 통지하는데, 이를 연길이라 한다. 피봉에 적힌 최의수의 주소는 밀양군 부북면 운전리이고, 곽생원댁은 밀양군 내산면 가자리이다.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