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연계(蓮溪) 등 시(詩) 고문서-시문류-시 蓮溪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연계(蓮溪) 등 5인이 작성한 시축 10월 14일에 연계(蓮溪), 행암(杏菴), 국헌(菊軒), 김명언(金明彦), 김두경(金斗瓊)이 작성한 시축이다. 회갑연을 축하하는 시, 제석(除夕)을 주제로 한 시, 신해년 1월 16일에 지은 대보름에 관한 시, 석초(石樵)가 지나다 방문하여 밤에 이야기를 나눈 시, 주은(酒隱) 이정용(李廷容) 선생의 만시(輓詩), 검정서재(檢亭書齋)에서 독서하다 눈이 내린 뒤에 상봉하고 지은 시 등이 있다. 시축의 처음 날짜가 10월로 시작되고 신해년 1월을 거쳐 뒤로 갈수록 봄날의 정경을 읊은 시가 있는 것으로 보아 경술년 10월부터 신해년 늦봄에 걸쳐 작성된 시축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이재근(李在根) 시(詩) 고문서-시문류-시 李在根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성주후인 이재근이 지은 '봉화야은운' 7언율시 1수와 7언절구 1수. 성주후인(星州後人) 이재근(李在根)이 지은 '봉화야은운(奉和野隱韻)' 7언율시 1수와 7언절구 1수로 총 2수의 시문(詩文)이다. 야은(野隱)에게 화창하여 지은 시로 들판에 남아 있는 정자 하나와 은행나무가 옛 마을을 빙두른 것, 선비의 수양과 절개를 뜻하는 대나무와 소나무를 보며 청풍명월을 즐기며 평생을 살며 세속을 잊고 전원생활을 한 삶 등을 읊은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갑신년 박온연(朴溫然) 시(詩) 고문서-시문류-시 朴溫然 □…□(3.0×3.0) 2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신년 입춘일, 박온연이 포재거사의 운에 화답하여 지은 7언율시 1수. 갑신년 입춘일에 박온연(朴溫然)이 포재거사(圃齋居士)의 운(韻)에 화답하여 지은 7언율시 1수이다. 임씨(林氏)의 구당(舊堂) 동쪽에 있는 밭을 일구는 포재거사의 생활과 그가 자신이 일군 채마들을 시장에 팔아 다른 먹거리를 마련하여 살아가는 내용을 읊으며 자신도 서호(西湖)에서 낚시를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물고기와 그 채소를 바꾸고자 하는 마음을 적은 내용이다. 운자는 궁(窮), 동(東), 공(工), 공(空), 옹(翁)이며, 시가 시작되는 첫머리와 자신의 이름자 뒤에 사각형 인장(印章)을 찍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甲午九月 日, 全州李氏宗稧序文.永膺五百年明時聿以承祖宗之寶籙 爰居一千里下邑幸不墜敦睦之遺風聖人之氓君子之道恭唯我宗東邦大姓璿派遺源系貫於完山桑梓舊域得所於樂土桃李長春竊念吾人淳厚之情豈無諸宗和睦之稧少長咸集慕王氏之蘭亭賓主旅酬擬常家之花樹叙天倫之樂事父子焉兄弟焉長幼焉明人道之大網孝友也睦婣也任恤也第當吾宗修稧之日盍陳僉員同盟之言慶吊贈遺呂藍田之舊約讀灋楊善李栗谷之餘謨過失相規春而講秋而講德業相勸仁以施義以施肆將同稧之心乃擧保宗之策親不衰於百代人人也有本有支休無疆於萬年家家焉起敬起孝幸同璿譜恩渥之光於京於鄕尤切宗親敦厚之心如兄如弟是所謂立昭立穆孰不曰有倫有要出財而貨居何不貧窮之周饋自近而遠及乃致風俗之齊休克儉克勤必欽必戒苟使會同一邑特陳八條諭稧事於僉宗衣冠濟濟相讓修禮俗於遐土文物彬彬幷輝節目一契錢, 每員下一兩式收合設稧者.一宗中有不睦者, 自稧中論罰是齊.一宗人中有忠孝者, 別有勸善是齊.一宗親府有事, 則自契中一齊會同尊奉是齊.一稧員有當故者, 伍兩式賻儀是齊.一稧員有登科者, 自稧中補不足是齊.一僉宗講會日字, 每年三月十五日, 九月十五日完定是齊.一講會日, 若有不參者, 論罪是遣,稧錢有司, 解事勤實餘力之人擇定, 周年改遞是齊.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시권(試券) 고문서-증빙류-시권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부(賦) '명명덕(明明德)'을 시제(詩題)로 지은 부(賦) 시권 '명명덕(明明德)'을 시제(詩題)로 지은 부(賦) 시권이다. 초학자가 입덕(入德)에 모두 본체를 잃었지만 애초에는 선하지 않음이 없으니 명덕(明德)을 밝히는 것이요, 헤아려 구하면 넉넉하여 공자가 읊혀 전했다는 등의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조흘첩(照訖帖) 고문서-증빙류-조흘첩 順天府使 帖字印,順天府□□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순천부에서 발급한 공명 조흘첩 순천부(順天府)에서 발급한 공명(空名) 조흘첩이다. 조흘첩의 수급자와 날짜 등이 기재되어 있지 않은 목판(木板) 인쇄본(印刷本)으로, 순천부에서 소과(小科) 초시(初試)인 공도회시(公都會試)에 합격한 부(府) 유생에게 발급하기 위해 찍은 문서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1894년 전주이씨종계서문(全州李氏宗稧序文) 고문서-시문류-서 全州李氏宗禊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4년(고종31)년 9월, 전주이씨가 종계를 수계하면서 만든 서문과 8조항의 절목. 1954년 9월, 전주이씨가 종계(宗稧)를 수계(修稧)하면서 만든 서문(序文)과 절목(節目) 8조항을 적은 문건이다. 첫머리에 '영응오백년(永膺五百年)'으로 시작하는 것으로 보아 갑오년을 1954년으로 볼 수 있으나 절목에 있는 과거 합격, 강회 등의 항목으로 보아 종계의 수계(修稧)시기를 50년 전인 1894년(고종31)으로 보았다. 영응(永膺)은 세종과 소헌왕후 심씨의 8남 2녀 중 막내아들로 전주이씨 영응대군파의 파시조이다. 이로보아 영응대군파의 종계임을 알 수 있다. 이들이 친목을 도모하고 부자형제간 장유간의 윤리를 제고(提高)하고 이율곡의 가르침을 따라 과실상규(過失相規), 춘추 강(講)을 통해 덕업상권(德業相勸), 인의(仁義)를 시행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서문에 뒤이어 기록한 절목(節目)에는 다음과 같이 명시하였다. 1. 계전(稧錢)은 매 원(員)당 1냥식 받는다. 2. 종중(宗中)에서 화목하지 않는 자는 계(稧)에서 논벌(論罰)한다. 3. 종인 중에 충효(忠孝)하는 사람이 있으면 별도로 권선(勸善)하도록 한다. 4. 종친부(宗親府)에 일이 있으면 계원 모두 일제히 회동(會同)하여 받든다. 5. 계원(稧員)에게 연고가 생기면 5냥씩 부의(賻儀)한다. 6. 계원 중에 과거에 급제하는 사람이 있으면 계에서 부족분을 도와준다. 7. 모든 종인들의 강회(講會) 일자는 매년 3월 15일, 9월 15일로 정한다. 8. 강회일에 만약 참석하지 않는 사람이 있으면 논죄(論罪)하고 계전(稧錢) 유사(有司)는 일에 해박하고 근실하고 가정형편이 좋은 사람으로 정하며, 1년마다 바꾼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乙卯五月日 白也面水中山麓 圖形記○ 崔塚○ 朴奎立父塚○ 崔成漢妻塚○ 綾州金大賢先塚○ 朴奎恊父塚 ○ 朴奎恊祖父塚 ○ 朴奎恊祖母塚田路○ 鄭塚 ○ 鄭塚 谷 ○ 朴奎恊曾祖父母塚自朴奎恊祖母塚 至崔成漢妻塚 以地尺尺量 爲七十三尺 坐立俱見自朴奎恊曾祖父母塚 至崔成漢妻塚 以地尺尺量 爲一百三十一尺 坐立俱見自朴奎恊祖父與父塚 至崔成漢妻塚 以地尺尺量 爲九十五尺 坐立俱不見自朴奎立父塚 至崔成漢妻塚 以地尺尺量 爲一百十六尺 坐立俱不見入葬 崔成漢 [着名]禁葬 朴奎恊 [着名]朴奎立 [着名]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下吏崔啓鳳右謹陳所志事段矣身祖父山地買得於白也面玉泉村德基洞山麓朴白孫禁養之地是如乎決價錢文貳拾壹兩沒數備給後文記及手標粘連仰訴是白去乎日後或有紛紜之弊是乃置立旨成給事 處分行下爲只爲行下向敎是事使道主 處分辛未四月 日〈題辭〉旣已給價買得又爲手標則後無他慮事卄日官[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龍門面居崔錫衡右謹陳所志事段白也面平化村後水中山卽朴班圭恊屢代入葬之地而去乙卯五月日矣身同基址成文買得入葬亡母矣禁養內有同面蘇乃日先塚而當其賣買成文之時蘇民之父與一村老少齊會同參無一言基址之事而到今五年其父身死之後同蘇乃日忽然來言曰朴班圭恊父生時其矣入葬處有所換買文記是如欲奪基址是乎所考見其文記則證人證筆皆是已死之人眞若有成文之事其父何不於參會買賣時發言乎推此一事奸僞可卞而以圖奪之慾白晝行臆有難私自禁斷故不勝寃枉玆敢仰訴洞燭敎是後嚴明 題下於同面面任及該洞洞任從公査實禁斷毋至買得基址見奪之地爲只爲行下向敎是事使道主 處分己未八月 日〈題辭〉果如所訴是喩據實査報以爲決處之地宜當向事 二十六日該面任該洞任官[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1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고조 고비(高祖 考妣) 장례(葬禮) 일정을 정하기 위해 작성한 장택기(葬擇記). 祭主, 葬地, 運, 安葬日, 下棺 시간, 開土 시간, 穴의 깊이, 啓殯, 發引, 停喪, 取土 방향, 周堂, 造命 등 기록 *亡人: 乾化命壬辰水, 坤化命癸巳水 *安葬日: 乙卯三月二十一日癸未 *背面: 珠峴山所 高祖考妣位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3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羅州牧使 羅聖采 □…□(7.0×7.0),周挾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814 1843년(헌종9)에 나주목(羅州牧)에서 나성채(羅聖采, 63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1843년(헌종9)에 나주목(羅州牧)에서 나주목 신촌면 내영리(현 전라남도 나주시 삼영동)에 사는 나성채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이다. 나성채는 63세이고, 신축년(1781)생이며, 본관은 나주이다. 아버지는 나언회(羅彦晦)이고, 조부는 나종유(羅宗有)이며, 증조부는 나윤명(羅允命)이다. 외조부는 정익성(鄭益成)이고,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아내는 김씨(金氏)로, 나이는 64세이고, 기해년(1779)생이며, 본관은 김해이다. 김씨의 아버지는 김운흥(金運興)이고, 조부는 김윤상(金胤商)이며, 증조부는 통덕랑(通德郎) 김시규(金始圭)이다. 외조부는 김이서(金履瑞)이고, 본관은 면성(綿城, 현 전라남도 무안)이다. 아들은 나시화(羅時化)으로 나이는 36세이고, 무진년(1808)생이다. 노비는 앙역(仰役)노비 1명이고 이름은 영덕(永德)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8년 배상권(裵相權)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順天府使 裵相權 行府使<押> □…□(7.0×7.0), 周挾無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8년에 배상권이 순천도호부 관아에 제출하고 다시 내려받은 준호구. 1888년(고종 25)에 호주인 배상권(裵相權)이 순천도호부(順天都護府) 관아에 제출하였다가 돌려받은 준호구이다. 문서 본문에 호적단자(戶籍單子)라고 기재했지만 '을유년 호구와 상준(相準)함'이라는 준호구에 적는 문구도 기재되어 있다. 호주가 호구단자를 제출할 때 일부 준호구 양식에 따라 작성하였고, 이를 관아에서 착압하고 관인과 주협개자인(周挾改字印)을 찍어 준호구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돌려주었다. 거주지는 쌍암면(雙巖面) 군장려(君長閭)이다. 호주의 직역은 유학(幼學), 출생년은 계사년으로 올해 56세이고 본관은 달성(達城)이다. 호주 이외에 호주의 사조(四祖), 처 김씨(金氏, 55세 갑오년생, 본관 慶州)와 처의 사조의 인적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문서 하단에는 소유 노비의 인적사항이 기재되어 있는데, 노 1명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7년 배한의(裵漢誼)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順天府使 裵漢誼 行府使<押> □…□(7.0×7.0), 周挾無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7년에 배한의가 순천도호부 관아에 제출하고 다시 내려 받은 준호구. 1867년(고종 4)에 호주인 배한의(裵漢誼)가 순천도호부(順天都護府) 관아에 제출하였다가 돌려받은 준호구이다. 문서 본문에 호적단자(戶籍單子)라고 기재했지만 '경오년 호구와 상준(相準)함'이라는 준호구에 적는 문구도 기재되어 있다. 호주가 호구단자를 제출할 때 일부 준호구 양식에 따라 작성하였고, 이를 관아에서 착압하고 관인과 주협개자인(周挾改字印)을 찍어 준호구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돌려주었다. 배한의의 거주지는 쌍암면(雙巖面) 군장려(軍壯閭)이다. 호주의 직역은 유학(幼學), 출생년은 계해년으로 올해 65세이고 본관은 달성(達城)이다. 호주 이외에 호주의 사조(四祖), 처 서씨(徐氏, 56세, 본관 大邱)와 처의 사조, 아들 상권(相權, 나이 35세 계사년생)과 며느리 김씨(金氏, 나이 30세 무술년생 본관 慶州)의 인적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문서 하단에는 소유 노비의 인적사항이 기재되어 있는데, 노 1명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9년 양식(梁栻)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寶城郡守 梁栻 行郡守<押> 寶城郡印(6.5×6.5), 周挾改因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49년에 보성군에서 양식에게 발급한 준호구. 1849년(헌종 15)에 보성군(寶城郡)에서 호주인 양식(梁栻)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이다. 문서 여백에 군수의 서압과 주협개인(周挾改印) 및 관인이 찍혀 있다. 양식의 거주지는 송곡면(松谷面) 박곡촌(亳谷村) 제1리(里)이다. 직역은 유학(幼學)이며, 출생년은 을해년으로 35세이고, 본관은 제주(濟州)이다. 호주 이외에 봉모(奉母) 김씨(金氏, 나이 64세 병오년생), 처 윤씨(尹氏, 나이 39세 신미년생, 본관 咸安)와 처의 사조, 아들 창득(昌得, 나이 14세 병신년생), 아들 창문(昌文, 나이 11세 기해년생)의 인적 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문서 하단에는 천구질(賤口秩)이라는 명칭으로 앙역노비의 인적 사항이 도망 노비를 포함하여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松谷面亳谷村第一里第 統第 戶幼學梁栻 年三十五乙亥 本濟州父 通德郞 義浩祖 通訓大夫行萬頃縣令全州鎭管兵馬節制都尉 喆鎭曾祖 學生 冑厦外祖 及第金㝡煐 本光州奉母 金氏 齡六十四丙午妻 尹氏 齡三十九辛未 籍咸安父 學生 範遇祖 學生 夢淵曾祖 成均進士 奎鼎外祖 學生 鄭在機 籍延日加 率子 昌得 年十四丙申加 次子 昌文 年十一己亥己酉式賤口秩 仰役奴甲孫故 婢㐊伊故 一所生奴日萬 年丙寅 二所生婢日每 年壬申 三所生奴壽萬 年庚辰 婢命德年壬子 一所生婢淑丹年辛未 二所生婢三丹 年丙子 三所生婢三禮 年癸未 四所生婢接女 年辛卯 婢貴代 年乙卯 逃去茂長 外居秩 婢時德年辛酉 婢次云 年丙辰 居京 婢旕介 年辛亥 婢士今 年己亥婢士化 年戊申 居金海 婢貴禮 年癸巳 婢禮今 年庚辰 婢禮分年庚戌 婢士丁 戊戌 婢次分 年戊子 居醴川 婢元辰 年癸巳 一所生婢銀太 年丙辰 居昌原 婢士良 母班婢士化 二所生奴三仁 居梁山 婢連禮婢連今 婢連辰 婢仙禮 婢六月 婢連太 婢貴辰 居金海 奴貴垣 婢德常 婢德順 婢作金 居長興 婢小今 年庚子 同婢一所生婢小德 年辛丑 居京婢禮郞 丙午戶口相準印[準][周挾 改印]行郡守[署押][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7년 배한의(裵漢誼)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順天府使 裵漢誼 行府使<押> □…□(7.0×7.0), 周挾無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7년에 배한의가 순천도호부 관아에 제출하고 다시 내려받은 준호구. 1877년(고종 14)에 호주인 배한의(裵漢誼)가 순천도호부(順天都護府) 관아에 제출하였다가 돌려받은 준호구이다. 문서 본문에 호적단자(戶籍單子)라고 기재했지만 '계유년 호구와 상준(相準)함'이라는 준호구에 적는 문구도 기재되어 있다. 호주가 호구단자를 제출할 때 일부 준호구 양식에 따라 작성하였고, 이를 관아에서 착압하고 관인과 주협개자인(周挾改字印)을 찍어 준호구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돌려주었다. 배한의의 거주지는 쌍암면(雙巖面) 군장려(軍藏閭)이다. 호주의 직역은 유학(幼學), 출생년은 계해년으로 올해 74세이고 본관은 달성(達城)이다. 호주 이외에 호주의 사조(四祖), 처 서씨(徐氏, 65세, 본관 大邱)와 처의 사조, 아들 상권(相權, 나이 45세 계사년생)과 며느리 김씨(金氏, 나이 39세 무술년생 본관 慶州)의 인적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문서 하단에는 소유 노비의 인적사항이 기재되어 있는데, 노 1명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을묘년 최성한(崔成漢) 등 도형(圖形)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崔成漢 入葬 崔成漢<着名>, 朴奎立<着名>, 禁葬 朴奎恊<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56 을묘년에 박규협이 최성한과 벌인 산송 과정에서 작성한 도형. 을묘년 5월에 朴奎恊·朴奎立이 崔成漢과 산송을 벌이면서 작성한 圖形이다. 소송의 대상인 白也面 水中山 일대의 지맥과 무덤의 위치를 그림으로 표기하고, 각 무덤 사이의 거리가 禁養할 수 있는 지점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조사 결과를 우측 하단에 기록하고 있다. 도형에 표기된 무덤 위치에 따르면, 중앙에는 박규협 집안의 무덤이 아닌 金大賢 선조의 무덤이 있는데, 그 부근에 최성한이 처의 무덤을 入葬하고자 하고 있다. 하지만 이미 부근 지맥에 朴奎立의 아버지 무덤, 朴奎恊의 아버지 무덤, 朴奎恊의 조부 무덤, 朴奎恊의 조모 무덤 등이 자리잡고 있었다. 최성한의 처의 무덤과 각각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조사하여 적고 있다. 박규협 조모 무덤과는 73척, 박규협의 증조부모 무덤과는 131척, 박규협 조부 및 부친 부덤과는 95척, 박규립 아버지 무덤과는 116척 거리이다. 그리고 앉고 섰을 때 보이는 지점에 있는 무덤은 박규협 조모 무덤과 박규협 증모부모 무덤이다. 따라서 1거리가 100척 이내이면서 보이는 지점에 있는 무덤이 해당한 것으로 결론을 내고 있을 사실을 볼 수 있다. 이 도형을 포고 내린 수령의 처결은 적혀 있지 않지만, 이 도형의 의견이 받아들여졌다면 최성한은 무덤을 파내라는 지시를 내렸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 도형을 그린 산송이 있은 후에 박규협은 蘇乃日이란 인물과 같은 땅을 두고 산송을 벌이는데 이에 대한 소사 사실을 보고한 첩정이 남아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白也面尊位平化村洞任爲査報事 卽接龍門面崔錫衡呈訴內 白也面水中山 卽朴奎恊之基址也 乙卯五月日 成文買得 入葬亡母矣 禁養內 有蘇乃日先塚 而基址買得時 蘇民之父 同爲參看初無一言矣 同乃日 其父身死後 忽然來言曰 朴班父生時 其矣入葬處 有換買文記是如 欲奪買得之基址 査實禁斷事 呈訴題音內 果如所訴是喩 據實査報 以爲決處之地 宜當向事面任洞任敎是置 蓋此水中山 卽朴奎恊屢代入葬 而居生山下多年守護之地 中年分三次賣松 而村人柴役時 蘇民初無禁養之說是白遣 乙卯賣買時 蘇民之父 與村中老少 同參與成 而未聞基址之論 則蘇民之今日相持者 未知其所由 故査問於蘇民 則言內 渠之先山在於朴民基址西 而以北邊其矣灰場 換買於朴奎恊 父生時是如是乎矣 以至近基址 換稍遠灰場 必無其理 而云有換買文記 故考見於稠會中 則證筆趙仁球段 面內初無其人 證人劉邦澤段 卽時面任之三寸叔也 身死於乙未 則庚子成文時 何以五年前已死者立證乎 文記之僞造於此可卞是乎旀 蘇民處 且有丙辰正月呈訴志一丈 而有曰 朴奎恊渾同其矣先山基址放賣云 而有査實次朴奎恊捉來之官題 則四年之間 何無一番就卞之說 瞰其朴奎恊出他未還之時 有此相持乎 料不出僞造文? 以爲後日惹閙之計 此非欲巧而反屈者乎 玆以據實牒報爲去乎 參量處分行下爲只爲 合行牒呈 伏請照驗施行 須至牒呈者右牒呈行郡守己未八月二十八日 [印] 尊位 劉 [着名]洞任 金 [着名]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974년 나주나씨대종회찬조기(羅州羅氏大宗會贊助記) 고문서-치부기록류-부조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973년 12월에 나주나씨종중사업추진위원회(羅州羅氏宗中事業推進委員會)에서 의연금을 낸 명단을 작성한 나주나씨(羅州羅氏) 문안(門案). 1973년 12월에 나주나씨종중사업추진위원회(羅州羅氏宗中事業推進委員會)에서 의연금을 낸 명단을 작성한 나주나씨(羅州羅氏) 문안(門案). 나주나씨(羅州羅氏) 유적지인 삼강문(三綱門) 및 금호사(錦湖祠) 개축 등 모선(慕先)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의연금을 걷음 *명단, 금액, 인장, 派別, 주소로 구성 *형태: 성책, 假綴, 9張(인쇄된 發起趣旨文 2장 합철)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