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672년 양우급(梁禹及)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寶城郡守 梁禹及 行郡守<押> 寶城郡印 3顆(6.0×6.0), 周挾無改因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672년에 보성군에서 양우급에게 발급한 준호구. 1672년(현종 13)에 보성군(寶城郡) 관아에서 호주인 양우급(梁禹及)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이다. 양우급의 거주지는 송곡면(松谷面) 박곡리(朴谷里)이다. 직역은 통정대부(通政大夫) 전부사(前府使)이며, 출생년은 경오년으로 43세이고, 본관은 제주(濟州)이다. 호주 이외에 호주의 사조(四祖), 처 이씨(李氏, 본관 慶州)와 처의 사조, 아들 징(澂, 나이 14세 기해년생), 서자 심(深, 나이 15세 무오년생)의 인적 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이어서 소유 중인 노비의 인적 사항이 도망 노비를 포함하여 기재되어 있다. 준호구 본문 마지막에는 이전 식년의 호구대장을 대조하여 작성했다는 사실을 명시하는데, 여기서는 '기유년(1669) 서울[京]의 호구와 대조해보고 발급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이는 양우급(梁禹及)의 가족이 서울에서 거주하다가 1669년 이후에 보성군으로 옮겨왔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3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丁鉉弘 丁鉉弘<着名>, 金繪材<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3년 11월 27에 유학 정현홍이 갑향면 행정촌에 있는 대밭을 팔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 1873년(고종 10) 11월 27에 유학(幼學) 정현홍(丁鉉弘)이 갑향면 행정촌에 있는 대밭[竹田]을 팔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득자 이름은 쓰여있지 않다. 정현홍은 조상에게 자기 몫으로 물려받아 여러 해 동안 대나무를 북돋아 키우다가 어쩔 수 없이 대밭을 팔았다. 대밭의 위치는 갑향면(甲鄕面) 행정촌(杏亭村, 현 담양군 대전면 행성리) 후평(後坪)에 있으며, 자호(字號)는 국자(鞠字)이다. 대밭의 면적은 2마지기이고 짐수[卜數]는 5짐 2뭇이다. 정현홍은 밭값으로 15냥을 받고 이 명문과 구문기(舊文記)를 대밭과 함께 넘겨주었다. 명문의 끝부분에는 뒷날 불미스러운 문제가 생기면 이 명문으로 빙고(憑考)하라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죽전주(竹田主) 유학 정현홍과 이 명문을 작성하고 증인(證人)으로 참여한 증필(證筆) 유학 김회재(金繪材)가 각각 착명(着名) 하였다. 명문의 발급연호로 표기되어 있는 '동치십삼년 계유(同治十三年癸酉)'의 동치 13년은 갑술년(甲戌年, 1874)이므로 '동치십이년(同治十二年)'의 오기(誤記)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서한풍(徐漢豊) 등 시(詩) 고문서-시문류-시 徐漢豊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서한풍(徐漢豊)과 백학래(白鶴來)의 시 서한풍(徐漢豊 1803~?)과 백학래(白鶴來)가 지은 시이다. 문서의 말미에 희현당(希顯堂)에서 거접(居接)할 때 전라도관찰사가 운자(韻字)를 내고 시재(試才)를 행했고, 화승(火繩) 1촌(寸) 만에 작성한 것이라고 되어 있다. 화승(火繩) 1촌(寸)은 작성 시간을 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희현당은 1700년(숙종26) 당시 전라도관찰사로 재임한 김시걸(金時傑, 1653~1701)이 지역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건립한 문루(門樓)이다. 이곳은 강학 장소로 이용되었고, 또 '희현당철자'를 만들어 조선후기 서적의 간행장소로도 사용되어 '희현당장판(希顯堂藏板)'의 서적이 출판되었다. 서한풍은 본관이 이천(利川)으로, 1859년(철종10) 증광시에서 진사 2등 15위로 합격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望 紅墻西畔認娘家雙架葡萄五色花十二緗簾鉤不下流鷲欲盡日西斜待 出家三步更回家手折空庭石竹花一寸肝腸千点水眼中滾出淚痕斜逢 琹在我家酒我家半窓明月半窓花同心下結回文錦栽出䲶衾六幅斜弄 燈深月隱竹間家萬種香情蝶着花蝶醉花强粘不起霧中婀娜雨中斜送 東風吹去水西家斷別墻頭一種花萬段思量愧▣▣曉鍾將歇玉漏斜懷 粉堞矮亭問幾家春風昨夜發梅花蓬山疊翠千里隔玉佩聲空一枕斜夢 看詩每好宿娼家魂霧情烟合眼花然否眞假渾不記▣城艇子立風斜責 休債尺書到我家千金後辦買他花平生知有蚕叢險那記紅腸九曲斜右徐漢豊詩望 慣識西阾娘子家牧丹芳草四邊花珠箔重重瑤海隔層棲百尺遠山斜待 鶯歌燕語綠楊家盡日空庭踏落花紛紛不作墻頭蝶心緖如麻雨裏斜逢 東風不負向陽家吹送欄頭解語花爲洪爲雨襄坮樂夜夢留人角枕斜弄 碧梧桐下月邊家不待更深壓燭花有情無語春猜撲隔手衣聲細雨斜送 末兮香情此夜家狂風吹去斷腸花纔捨羅衫還不忍聊臨月珟半夜斜懷 謝客杜門不出家神魂飄蕩眼森花碧眼紅愁三五夜空留影子拂墻斜夢 莊周餘術誤人家霧裏南柯蝶訪花西阾猶未黃粱熟情去香空玉漏斜責 不征白馬向君家桃李東園萬樹花平生浪讀文君字誤弄琹心歲月斜右白鶴來詩希堂擧接時監司出韻詩才火繩一寸作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기미년 최석형(崔錫衡) 소지(所志) 2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崔錫衡 寶城郡守 使道主<押> 寶城郡守之印 3顆(7.0x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54 기미년에 최석형이 자신이 매득한 산지를 빼앗으려는 소내일과의 소송에서 해당 면의 조사 보고를 점련하여 보성군수에게 올린 소지 기미년 11월에 용문면(龍門面)에 사는 최석형이 보성군수에게 올린 소지이다. 백야면(白也面平化村) 평화촌(平化村) 뒤편 수중산(水中山)을 최석형이 지난 을묘년 5월에 매득하여 망모(亡母)를 장사지냈다. 그런데 소내일(蘇乃日)이 이 산지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는 일이 있어 최석형은 지난 8월에 정소(呈訴)하여 면임과 동임이 사실을 조사하여 보고하라는 처분을 받은 일이 있었다. 이에 최석형은 이 처분을 가지고 백야면의 존위(尊位)와 평화촌의 동임에게 도부(到付)하였고, 당시 사실 조사를 하여 보고하였는데 자신이 상경(上京)하는 일이 있어서 정소하지 못했다고 하였다. 이에 당시의 면보(面報)를 점련하여 이 소지를 올린 것이다. 보성군수는 최석형에게 '면임과 동임의 조사 보고가 있었더라도 이 또한 전적으로 신뢰할 수 없으므로 다시 사실조사를 거쳐 처분하기 위해 소내일을 붙잡아 대령시키라.'는 처분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57년 정덕로(丁德老)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曺煥德 丁德老 曺煥德<着名>, 金賢澤<着名>, 金秀坤<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57년 10월 24일에 유학 조환덕이 유학 정덕로에게 행정촌에 있는 밭을 팔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 1857년(철종 8) 10월 24일에 유학(幼學) 조환덕(曺煥德)이 유학 정덕로에게 행정촌에 있는 밭을 팔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조환덕은 자기가 매입하여 여러 해 동안 농사짓고 살던 밭을 형편상 어쩔 수 없이 정덕로에게 팔았다. 밭의 위치는 행정촌(杏亭村, 현 담양군 대전면 杏亭里) 후평(後坪)에 있으며, 자호(字號)는 국자(鞠字)이다. 밭의 면적은 2마지기이고 짐수[卜數]는 5짐 2뭇이다. 조덕환은 정덕로에게 밭값으로 5냥 5전을 받고, 이 명문 1장과 함께 밭을 넘겨주었다. 명문의 끝부분에는 뒷날 불미스러운 문제가 생기면 이 명문으로 관(官)에 고하여 바로잡으라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답주(畓主) 유학 조환덕, 이 명문을 작성한 필집(筆執) 유학 김현택(金賢澤), 이 매매의 증인[訂保]으로 참여한 유학 김수곤(金秀坤)이 각각 착명(着名) 하였다. 문서 말미에 맥수(麥數) 절반을 허여한다는 내용이 추기(追記)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병인년 안명혁(安命㷜) 소지(所志) 1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安命㷜 寶城郡守 官<押> □…□ 6顆(6.5x6.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50 병인년 10월에 백야면에 사는 안명혁이 보성군수에게 산지와 전답을 매매하고도 본문기를 내주지 않는 박백손으로 부터 본문기를 받아내고 이 토지에 대한 입안을 성급해줄 것을 요청하는 내용의 소지 병인년 10월에 안명혁이 보성군수에게 올린 소지이다. 안명혁이 망부(亡父)의 묘소를 개장(改葬)하려고 할 때 본면 옥천촌(玉泉村)에 사는 박백손(朴白孫)이 자기 부친 묘소가 있는 산지를 방매할 의사가 있다면서 여러 차례 찾아와 간청을 하였으므로 65냥을 주고 매득하여 지난 4월 20일에 이곳에 이장(移葬)을 하였다. 이 산지와 산 아래 목자(牧字) 밭 2두락지와 반답(反畓) 5두락지를 아울러 65냥을 즉시 주었다. 박백손도 이 산지와 전답을 다른 사람에게 매득하였으므로 매매문기 3장이 본문기(本文記)로 있고, 신문기(新文記) 내용에도 '본문기와 함께 영영 방매한다'는 내용이 있는데, 박백손이 아직까지 본문기를 내주지 않고 있으니 이는 간교한 의도가 있다는 것이 안명혁의 주장이다. 이에 안명혁은 신문기를 이 소지와 함께 제출하여 박백손에게 본문기를 받아내 줄 것과 훗날 혹시 간교한 계략을 꾸미는 일이 있을지 모르므로 입안(立案)을 성급해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에 보성군수는 '매매할 때 본문기를 주고받는 것은 규례가 있는데 무슨 의도로 지금까지 주지 않았는가. 이는 필시 훗날 간교한 계략을 꾸미려는 것이다. 본문기를 빨리 내주어서 분란이 없도록 하라.'는 처분을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가미원탕(加味元湯) 화제(和劑) 고문서-치부기록류-화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가미원탕을 짓기 위한 약재와 그 양을 기록한 화제와, 그 앞에 무언가 약재를 만들기 위한 재료, 양, 제조 방법 등을 기술해 놓은 화제. 가미원탕(加味元湯)을 짓기 위한 약재와 그 양을 기록한 화제로 가미원탕의 화제를 기록하기 전 어떤 약을 만들기 위한 재료와 시중 가격, 만드는 방법을 상세히 기록해 놓은 약화제이다. 문서의 끝에 가미원탕(加味元湯)을 짓기 위한 재료로 인삼, 황잠, 감초, 백작약, 당귀, 천궁, 교황을 기록했다. 하지만 보통의 약화제 1건이 아니라 문서의 앞에 무언가 약을 만들기 위한 방법을 상세히 기록해 놓은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면 '감초 1석의 양을 1냥을 들여 사서 7차례 불에 달구어서 파쇄하고, 황련(黃連) 5전(戔) 만큼을 물에 담가 끓여 햇볕에 말리기를 7차례 하고 또 왜황련 5전 만큼을 가지고 물에 넣어 끓어 햇볕에 말리기를 7차례하여 극히 세밀해진 가루를 우황과 사향 각 1분(分) 씩을 넣고 진용뇌(眞龍腦) 5분을 다시 고운 가로로 내어 쓴다,' 로 기록했다. 이와 같이 기록한 것이 2가지이고 마지막에 가미원탕이 기록된 것으로 보아 비슷한 병세를 다스리기 위해 세 가지 방법을 기술해 놓은 약처방으로 보인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2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증조부(曾祖父) 장례(葬禮) 일정을 정하기 위해 작성한 장택기(葬擇記). 祭主, 葬地, 運, 安葬日, 下棺 시간, 開土 시간, 穴의 깊이, 啓殯, 發引, 停喪, 取土 방향, 周堂, 造命 등 기록 *亡人: 乾化命己未火 *安葬日: 辛未三月初八日 *背面: 曾祖父主 玉泉村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3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증조모 이씨(曾祖母 朴氏) 장례(葬禮) 일정을 정하기 위해 작성한 장택기(葬擇記). 祭主, 葬地, 運, 安葬日, 下棺 시간, 開土 시간, 穴의 깊이, 啓殯, 發引, 停喪, 取土 방향, 周堂, 造命 등 기록 *亡人: 坤化命戊午火 *安葬日: 甲戌三月初六日 *背面: 曾祖母 朴氏 蒲蘿洞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2년 양식(梁栻)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寶城郡守 梁栻 行郡守<押> 寶城郡印(6.0×6.), 周挾改因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52년에 보성군에서 양식에게 발급한 준호구. 1852년(철종 3)에 보성군(寶城郡)에서 호주인 양식(梁栻)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이다. 문서 여백에 군수의 서압과 주협개인(周挾改印) 및 관인이 찍혀 있다. 양식의 거주지는 송곡면(松谷面) 박곡촌(亳谷村) 제1리(里)로서 제 12통 제 4호로 편성되어 있다. 직역은 유학(幼學)이며, 출생년은 을해년으로 38세이고, 본관은 제주(濟州)이다. 호주 이외에 봉모(奉母) 김씨(金氏, 나이 67세 병오년생), 처 윤씨(尹氏, 나이 42세 신미년생, 본관 咸安)와 처의 사조, 아들 창득(昌得, 나이 17세 병신년생), 아들 창문(昌文, 나이 14세 기해년생)의 인적 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문서 하단에는 천구질(賤口秩)이라는 명칭으로 앙역노비의 인적 사항이 도망 노비를 포함하여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松谷面亳谷村第一里第十二統第四戶幼學梁栻 年三十八乙亥 本濟州父 通德郞 義浩祖 通訓大夫行萬頃縣令全州鎭管兵馬節制都尉 喆鎭曾祖 學生 冑厦外祖 及第金㝡煐 本光州奉母 金氏 齡六十七丙午妻 尹氏 齡四十二辛未 籍咸安父 學生 範遇祖 學生 夢淵曾祖 成均進士 奎鼎外祖 學生 鄭在機 本延日率子 昌得 年十七丙申次子 昌文 年十四己亥壬子式賤口秩 仰役奴甲孫故 婢㐊伊故 一所生奴日萬 年丙寅二所生婢日每 年壬申 三所生奴壽萬 年庚辰 婢命德年壬子 一所生奴淑丹年辛未 二所生婢三丹 年丙子三所生婢三女 年癸未 四所婢占禮 年辛卯 婢貴代 年乙卯 逃去茂長 外居秩 婢時德 年辛酉 婢次云 年丙辰居京 婢旕箇 年辛亥 婢士今 年己亥 婢士化 年戊申居金海 婢貴禮 年癸巳 婢禮今 年庚辰 婢禮分 年庚戌 婢士正 年戊戌 婢次分 年戊子 居醴川婢元辰 年癸巳 一所生婢銀太 年丙辰 己酉戶口相準者[準][周挾 改印][署押][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2년 배상권(裵相權)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順天府使 裵相權 行府使<押> □…□(7.0×7.0), 周挾無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2년에 배상권이 순천도호부 관아에 제출하고 다시 내려받은 준호구. 1882년(고종 19)에 호주인 배상권(裵相權)이 순천도호부(順天都護府) 관아에 제출하였다가 돌려받은 준호구이다. 문서 본문에 호적단자(戶籍單子)라고 기재했지만 '기묘년 호구와 상준(相準)함'이라는 준호구에 적는 문구도 기재되어 있다. 호주가 호구단자를 제출할 때 일부 준호구 양식에 따라 작성하였고, 이를 관아에서 착압하고 관인과 주협개자인(周挾改字印)을 찍어 준호구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돌려주었다. 배한의는 아버지 배한의(裵漢誼)가 사망한 후 그 뒤를 이어 호주가 되었다. 거주지는 쌍암면(雙巖面) 군장려(軍長閭)이다. 직역은 유학(幼學), 출생년은 계사년으로 올해 50세이고 본관은 달성(達城)이다. 호주 이외에 호주의 사조(四祖), 처 김씨(金氏, 49세 갑오년생, 본관 慶州)와 처의 사조의 인적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처 김씨는 1876년 호구단자에 무술년생, 39세로 적혀 있는데, 여기서는 갑오년생, 49세로 적혀 있다. 이후의 호구단자에는 갑오년생 김씨가 처로 기재되어 있다. 문서 하단에는 소유 노비의 인적사항이 기재되어 있는데, 노 1명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康熙十一年十二月 日 寶城郡考壬子成籍戶口帳內 松谷面朴谷里 住戶 通政大夫前府使梁禹及 年肆拾參庚午 本濟州 父 從仕郞一南 祖 宣務郞 哲容 曾祖 通政大夫行寧海都護府使山杭 外祖 贈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行通政大夫工曹參議安邦俊 本竹山 妻 李氏 籍慶州 故父 宣敎郞德翼 祖 將仕郞 司宰監參奉㦢 曾祖 贈資憲大夫兵曹判書兼知義禁府事行通訓大夫工曹佐郞天一 外祖 通訓大夫行兵曹正郞兼春秋館記注官鄭雲鵬 本長城 率子 澂 年拾肆己亥 庶子 深 年拾伍戊戌 率婢 唜香 年參拾參庚辰母戶婢桂香 父名不知 婢禮眞 年貳拾癸巳 父戶奴禿同 母良女召史 婢日銀介 年貳拾癸巳 父班奴己丑 母良女召史 婢雲香 年拾柒丙申 父 私奴末上 母戶婢海棠 婢日禮 年參拾參庚辰 父私奴生立 母婢四春婢次仙 年參拾癸未 父母上同 婢海月 年參拾柒丙子 父私奴等巨里 母私婢禮花 婢天女 年貳拾陸丁亥父私奴命上 母戶婢占德 婢勝仙 年參拾陸丁丑 父私奴式只 母戶婢今德 婢永仙 年貳拾陸丁亥 父戶奴德立母良女召史 奴信宗 年貳拾玖甲申 父私奴末上 母戶婢海棠 婢占介 年肆拾柒丙寅 父戶奴介同 母班婢香介 奴水得 年參拾貳辛巳 父私奴{注+ㄱ}同 母戶婢旕生 奴禮男 年貳拾肆己丑 父名不知 母戶婢占介 買得婢梅仙 年拾玖甲午 父私奴春卜 母私婢愛信 買得婢 善禮 年拾參庚子 父私奴名不知 母私婢禮信 買得婢哲今 年肆拾癸酉 父私奴名不知 母私婢禿德 羅州居 買得奴貴奉 年貳拾肆己丑 父名不知 母私婢五十德 婢旕春 年參拾捌乙亥 父名不知 母戶婢唜德 居慶尙道東萊 奴成得 年貳拾癸巳父私奴命回 母戶婢旕春 奴日弘 年肆拾壹壬申 父私奴名不知 母戶婢善非 居興陽等 己酉京戶口相准准給者[周挾無改印]行郡守[署押][寶城郡守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4년 배한의(裵漢誼)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順天府使 裵漢誼 行府使<押> □…□(7.0×7.0), 周挾無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4년에 배한의가 순천도호부 관아에 제출하고 다시 내려받은 준호구. 1864년(고종 1)에 호주인 배한의(裵漢誼)가 순천도호부(順天都護府) 관아에 제출하였다가 돌려받은 준호구이다. 문서 본문에 호구단자(戶口單子)라고 기재했지만 '신유년 호구와 상준(相準)함'이라는 준호구에 적는 문구도 기재되어 있다. 호주가 호구단자를 제출할 때 일부 준호구 양식에 따라 작성하였고, 이를 관아에서 착압하고 관인과 주협개자인(周挾改字印)을 찍어 준호구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돌려주었다. 배한의의 거주지는 쌍암면(雙巖面) 군장려(軍藏閭)이다. 호주의 직역은 유학(幼學), 출생년은 계해년으로 올해 62세이고 본관은 달성(達城)이다. 호주 이외에 호주의 사조(四祖), 처 서씨(徐氏, 53세, 본관 大邱)와 처의 사조, 아들 상권(相權, 나이 32세 계사년생)과 며느리 김씨(金氏, 나이 27세 무술년생 본관 慶州)의 인적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문서 하단에는 소유 노비의 인적사항이 기재되어 있는데, 노 1명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6년 양식(梁栻)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寶城郡守 梁栻 行郡守<押> 寶城郡守之印(6.5×6.5), 周挾無改因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46년에 보성군에서 양식에게 발급한 준호구. 1846년(헌종 12)에 보성군(寶城郡) 관아에서 호주인 양식(梁栻)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이다. 본문이 호구단자의 기재 형식인 열서(列書) 방식으로 되어 있으나 말미에 '계묘년(1843) 호구와 대조함'이라고 기재되어 있고 주협개인(周挾改印)과 군수의 서압(署押) 및 관인이 날인되어 있는 사실로 볼 때 준호구의 기능을 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양식은 죽은 양의호(梁義浩)의 아들임을 명시하고 있고, 거주지는 송곡면(松谷面) 박곡촌(亳谷村) 제1리(里)이다. 직역은 유학(幼學)이며, 출생년은 을해년으로 32세이고, 본관은 제주(濟州)이다. 호주 이외에 봉모(奉母) 김씨(金氏, 나이 61세 병오년생), 처 윤씨(尹氏, 나이 36세 신미년생, 본관 咸安)와 처의 사조의 인적 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문서 하단에는 천구질(賤口秩)이라는 명칭으로 앙역노비의 인적 사항이 도망 노비를 포함하여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松谷面亳谷村第一里第 統第 戶一戶 故梁義浩子 幼學栻 年三十二乙亥 本濟州父 通德郞 義浩祖 通訓大夫行萬頃縣令全州鎭管兵馬節制都尉 喆鎭曾祖 學生 冑厦外祖 及第金㝡煐 本光州奉母 金氏 齡六十一丙午妻 尹氏 齡三十六辛未 籍咸安父 學生 範遇祖 學生 夢淵曾祖 成均進士 奎鼎外祖 學生 鄭在機 籍延日丙午式賤口秩 仰役奴甲孫故 婢㐊伊故 一所生奴日萬 年丙寅二所生婢日每 年壬申 三所生 奴水萬 年庚辰 婢命德年壬子 一所生婢淑丹 年辛未 二所生婢三丹 年丙子 三所生婢三禮 年癸未 四所生婢接女 年辛卯 婢貴代 年乙卯逃去茂長 外居秩 婢時德 年辛酉 婢次云 年丙辰 居京婢旕介 年辛亥 婢士今 年己亥 婢士化 年戊申 居金海婢貴禮 年癸巳 婢禮今 年庚辰 婢禮分 年庚戌 婢士丁戊戌 婢次分 年戊子 居醴川 婢元辰 年癸巳 一所生婢銀太年丙辰 居昌原 婢士良 母班婢士化 二所生奴三仁 居梁山 婢連禮 婢連今 婢連辰 婢仙禮 婢六月 婢連大 婢貴辰 居金海 奴貴垣 婢德常 婢德順 婢作金 居長興 婢小今 年庚子同婢一所生婢小德 年辛丑 居京 婢禮郞 年庚子 同婢一所生婢一月 年丁巳 婢禮分 年乙巳等 戊申逃 婢連丹 逃 癸卯戶口相準印[周挾 改印]行郡守[署押][印](背面)禹及 冑厦 喆鎭 義浩 植戶籍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乾化命丙戌土 主喪丁未 次甲寅辛亥辛酉甲子坤生命甲申水 婦丁未葬山坎癸龍壬亥落脉丑艮作局丑入首艮坐坤向辛酉巽得丁破運正甲辰火 泊在中宮 黃天氣戊土司令洪丁未水分金丁丑水 地山謙卦 十一日至十五六丁明氣到穴透地戊寅土命空庚寅辰卯 刑癸未 劫丁亥 梟甲寅 嗔丁巳 刃辛亥辛酉午未 癸丑 癸亥 甲申 癸巳 壬午七条丙辰 怕庚申 消庚申 遊戊寅 旬十日 箭寅申月日時壬辰 辛酉 壬午官癸酉 印乙卯 財辛巳 福戊午 彔乙巳 馬丙申癸卯 乙巳 辛亥 戊子 己巳 戊申貴己酉己亥 六儀申子辰 子丑寅辰巳午戌乙酉乙亥 寅午戌 胎養生官冠旺庫開土 冬月十四日寅時安金 從便啓■殯同月十四日巳時南先破發{車+引} 隨時安葬 九月十五日■■乙丑下棺 子時穴深 四尺一寸停喪立伏 壬丙方取土釣弓 無忌歲押呼冲 ■■■■■■〔戊午甲子庚子〕辛巳辛未乙未生人下棺時少避四課 根丁卯火枝庚戌金花乙丑金實丙子水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4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丁鉉滿 丁鉉滿<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4년 12월 27일에 유학 정현만이 갑향면 행정리에 있는 대밭을 팔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 1874년(고종 11) 12월 27일에 유학(幼學) 정현만(丁鉉滿)이 갑향면 행정리에 있는 대밭[竹田]을 팔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득자의 이름은 쓰여있지 않다. 정현만은 자기가 매입하여 여러 해 동안 수호(守護)하던 대밭을 형편상 어쩔 수 없이 팔았다. 대밭의 위치는 갑향면(甲鄕面, 현 담양군 대전면) 행정리(杏亭里) 후평(後坪)에 있으며, 자호(字號)는 양자(養字)이다. 대밭의 면적은 1말 5되지기이고 짐수[卜數]는 2짐 5뭇이며, 밭값으로 18냥을 받았다. 명문의 끝부분에는 뒷날 불미스러운 문제가 생기면 이 명문으로 빙고(憑考)하라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죽전주(竹田主) 유학 정현만이 이 명문을 직접 작성하고 착명(着名)하였다. 문서 끝부분에는 '구문기(舊文記)는 다른 문서에 함께 기록되어 있어 내주지 못한다'는 내용이 추기(追記) 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9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李尙淳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9년 10월 20일에 유학 이상순이 동서면 성산촌에 있는 논을 팔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 1879년(고종 16) 12월 27일에 유학(幼學) 이상순(李尙淳)이 동서면 성산촌에 있는 논을 팔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득자의 이름은 쓰여있지 않다. 이상순은 갚아야 할 사채(私債)가 많아 조상에게 물려받아 여러 해 동안 농사짓고 살던 논을 어쩔 수 없이 팔았다. 논의 위치는 동서면(東西面) 성산촌(星山村, 현 담양군 창평면 지곡리) 월천평(越川坪)에 있으며, 자호(字號)는 시자(始字)이다. 논의 면적은 5마지기 14배미이고 짐수[卜數]는 10짐으로, 논값으로 60냥을 받고 이 명문과 함께 논을 넘겼다. 명문의 끝부분에는 뒷날 불미스러운 문제가 생기면 이 명문으로 빙고(憑考)하라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답주(畓主) 유학 이상순, 이 명문을 작성한 필집(筆執) 유학 허수천(許壽千), 증인(證人) 유학 김종현(金鍾絃)이 각각 착명(着名)하였다.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