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83년 쌍암면(雙巖面) 노구치(老嫗峙) 도형(圖形)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摘奸刑吏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118 1883년 9월 18일에 순천도호부 적간형리가 분쟁 중인 산지의 모습을 그리고 무덤의 위치를 표시한 도형 1883년(고종 20) 9월 18일에 순천도호부(順天都護府) 적간형리(摘奸刑吏) 김승준(金升準)이 전영오(全永五)와 배한조(裵漢祚)가 산송을 벌이고 있는 쌍암면(雙巖面) 노구치(老嫗峙) 지역의 지형을 그리고 무덤의 위치를 표시한 도형이다. 같은 달에 보성(寶城郡)에 사는 전영오(全永五)는 순천(順天) 쌍암면 노구치에 있는 선산의 소나무를 산 아래에 사는 배한조(裵漢祚)와 배정권(裵鼎權)이 베어갔다고 전라감영에 고발하였고, 그들을 잡아다가 조사하라는 처분을 초5일에 받았다. 그리고 곧 순천도호부 관아에 그 처분을 이행해 달라고 요청하는 소지를 올렸고, 14일에 "감영의 처분에 따라 조사하고 거둬들이기 위해 잡아다 대령하라."라는 처결을 받았다. 이 도형은 이 처분에 이어서 내린 순천도호부사의 명령에 따라 작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 도형에는 배씨 집안의 무덤이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고, 전영오 조부모의 무덤의 위치와 배한조 6대조의 무덤과의 거리, 전영오가 치표(置標)한 지점, 심씨 집안 무덤 2기의 위치, 배한조 6대조부모, 8대조부모 무덤위 위치와 전영오 조부모 무덤과의 거리 및 좌립(坐立)견불견(見不見) 여부, 심낙빈(沈洛彬) 고조모 무덤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이 도형을 보고 순천부 관아에서 어떤 처분을 내렸는지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73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姜永豊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3년 11월 그믐에 유학 강영풍이 갑향면 고현평에 있는 밭을 팔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 1873년(고종 10) 11월 그믐에 유학(幼學) 강영풍(姜永豊)이 갑향면 고현평에 있는 밭을 팔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득자는 유학이라는 직역만 쓰여있고 이름은 쓰여있지 않다. 강영풍은 쓸 곳이 있어서 조상에게 물려받아 여러 해 동안 농사짓고 살던 밭을 팔았다. 밭의 위치는 갑향면(甲鄕面, 현 담양군 대전면) 고현평(古縣坪)에 있으며, 자호(字號)는 감자(敢字)이다. 밭의 면적은 2말 5되지기이고 짐수[卜數]는 6짐 2뭇이다. 강영풍은 밭값으로 42냥을 받고 이 신문기(新文記)와 구문기(舊文記)를 밭과 함께 넘겨주었다. 명문의 끝부분에는 뒷날 불미스러운 문제가 생기면 이 명문으로 빙고(憑考)하라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전주(田主) 유학 강영풍은 상중(喪中)이라 착명(着名) 하지 않았고, 이 명문을 작성하고 증인(證人)으로 참여한 증필(證筆) 유학 방형신(房炯晨)이 착명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경오년 시(詩) 고문서-시문류-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오년 3월 12일에 과거를 보러 가는 길에 작성한 시 10수 경오년 3월 12일에 과거를 보러 송포(松圃) 이우근(李佑根)과 함께 동행하면서 지은 7언율시 10수이다. 무주에서 출발하며 지은 '무주 도중에[茂朱道中]'가 첫 시이고, 다음은 옥천(沃川), 회덕(懷德), 문의(文義), 서원(西原), 목천(木川), 천안(天安), 직산(稷山), 양성(陽城)을 지나며 각 지역에서 소회를 읊은 시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庚午三月十二日科行與松圃李佑根偕行茂朱道中緩步登程日影斜尋芳到處幾人家洞深溪路三分石風喚山村太半花此地醉過魚峙【■■魚角峙自邑四十里】酒何時踏盡雀津【銅雀津自崇禮門十里】沙今行不負春坊約聯袂君言况復嘉夜話茂朱府峽水楊淸岸柳斜春醪新熟喚隣家山城【山城赤裳也】東面纖纖月 樓閣西邊灼灼花客負詩裝投暮店翁收漁火下平沙强吟短律難成夢散步虛庭夜色嘉沃川浩淵遠路輕裝與子同時當靑帝已巡東春客渾似淳熙世峽俗常多太古風鬪草街童誇軟綠惜花壚娼斂織紅浩淵流去梁山北前渡依俙問野翁滯雨懷德朱岸出世猶難辨是非不如歸臥鎖岩扉人醉人醒皆酒力花開花■〔謝〕落亦春機雨洗靑山生色倍烟迷朱岸斂蹤稀征鞭蹔住佳麗地望裡雲光滿翠微文義春雨春雨廉纖過太虛行人臨發憩山屋短笻措路奚乘馬美菜登盘可代魚好鳥頻听情裝有名花雖老態猶餘雲晴霧罷朝陽晩一任風光倍勝於午過西原西原一路轉南廻雨霽烟收眼忽開城完苔封千古堞樹高花覆一層坮詩心懶散時忘句春事頻繁日送盃賭貴吾行歸駕促淸朝剡薦愧否才木川述懷山如棊置野如盘隨處看來摠舊顔烟織柳絲金色嬾雨添桃浪石痕斑十年場屋身空老千里鄕關夢不閒憶昔臥龍村主在詩懷怊悵往還間天安日夕行到天安意自安春心將向好花看山長宿霧歸時懶野濶飛禽去路寬別界多情佳水石逢場敍話舊衣冠奔遑世事元相舛回念功名似易難稷山行吟偏愛看山步故遲况今三月惜春時花飛驛店餘香藹苔剝龜碑古蹟奇道味【學業】縱違千聖■挨遯跡虛負百年期聯鞭行色知也未於䪨初成酒亦宜陽城春日春事依俙似去年錦串收盡好風烟優遊斗北朋三四遙憶湖南里半千沙岸潮生驚鷺夢棊壚酒㬉惱人眠晴窓日夕徘徊立東林月色出少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기미년 최석형(崔錫衡) 소지(所志) 1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崔錫衡 寶城郡守 使道主<押> 寶城郡守之印 4顆(7.0x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54 기미년 최석형이 보성군수에게 자신이 매득한 산지에 대해 소내일이 소유를 주장하므로 이에 대한 공정한 조사를 요청하는 소지 기미년 8월에 용문면(龍門面)에 사는 최석형이 보성군수에게 올린 소지이다. 백야면(白也面平化村) 평화촌(平化村) 뒤편 수중산(水中山)은 박규협(朴圭恊)의 선대 무덤이 있는 산지인데, 이곳을 최석형이 지난 을묘년 5월에 매득하여 망모(亡母)를 장사지냈다. 금양(禁養)하는 구역 안에 같은 면에 사는 소내일(蘇乃日)의 선조 무덤도 있었지만 최석형이 매매하고 문서를 작성할 때 소내일도 마을 사람들과 함께 참여하였지만 당시 한마디 말이 없었다. 그런데 지금 5년이 지나서 그 부친이 사망한 뒤에 소내일이 찾아와 박규협이 부친 생시에 그 산지에 대한 환매(換買) 문서가 있다고 하면서 이 땅을 빼앗으려고 하기에, 그 문기를 살펴보니 증인과 증필이 모두 이미 죽은 사람이었다. 최석형의 주장은 환매문서가 진정한 것이라면 그 부친이 어찌하여 매매에 참여해서 아무 발언을 하지 않았는가 이다. 이 일은 소내일의 거짓 여부를 변별해야 하므로 같은 면의 면임(面任)과 동임(洞任)이 공정하게 사실을 조사하여 금단(禁斷)함으로써 자신이 매득한 땅을 빼앗기지 않도록 해달라고 요청하였다. 이에 대해 보성군수는 해당 면임과 동임에게 사실에 근거하여 조사한 뒤 보고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신유년 박계성(朴桂聖) 소지(所志) 1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朴桂聖 寶城郡守 使道主<押> □…□ 3顆(6.0x6.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48 신유년 1월에 박계성이 보성군수에게 자신이 매득하여 계장을 한 산지를 김가 등이 침탈하려고 하므로 이에 대한 판결을 요청하는 내용의 소지 신유년 1월에 박계성(朴桂聖)이 보성군수에게 올린 소지이다. 박계성의 부친이 신묘년에 본래 강가(姜哥)의 선영이었던 목자(牧字) 밭 2두락지 및 앞뒤의 산지를 초목과 함께 57냥 5전을 주고 매득하여 할머니를 안장(安葬)하였고, 이후 3년이 채 되지 않은 계사년에 강귀삼과 강만삼 등이 강가의 자손이라고 내세우며 금단했을 때 또 다시 20냥을 주고 매득하여 문기를 작성하였다. 이후 박계성의 부친이 사망하였을 때 할머니 묘소 아래 계장(繼葬)을 했을 때에도 아무 말이 없었는데, 무신년에 염종봉(廉宗鳳)이 강가의 외손이라고 칭탁하면서 뇌물을 요구하였으므로 선산을 위해 3냥 5전을 주고 매매문기를 작성하였다. 그런데 작년 12월에 본읍(本邑) 능묵리(能墨里)에 사는 김가(金哥)가 또다시 강가의 외손이라며 선산을 이장하라고 겁박하는 일이 있었다. 이에 박계성은 그가 진실로 외손이라면 김가가 사는 곳이 불과 10리도 채 안되는데 그간 20여 년이 지나도록 한 번도 벌초를 하거나 성묘를 한 일이 없었으므로 그가 외손이라고 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박계성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매매 문기가 명백하므로 타인의 산지를 침탈하려고 하는 김가 등에 대해 엄히 처벌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에 보성군수는 박계성이 이미 매득한 산지이고 또 계장까지 했는데 김가 무리가 외가 선조의 무덤이라고 하면서 금단하는 것은 매우 놀랍다고 하면서 김가에게 패소 처리를 하였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40년 이낙승(李洛丞)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金理洪 李洛丞 金理洪<着名>, 辛大玉<着名>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863 1840년 11월 20일에 유학 김이홍이 유학 이낙승에게 갑향면 옥산촌에 있는 논을 팔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 1840년(헌종 6) 11월 20일에 유학(幼學) 김이홍(金理洪)이 유학 이낙승에게 갑향면 옥산촌에 있는 논을 팔면서 발급한 토지매매명문이다. 김이홍은 갚아야 할 관곡(官穀)이 많아 어쩔 수 없이 부모에게 물려받아 여러 해 동안 농사짓고 살던 논을 이낙승에게 팔았다. 논의 위치는 갑향면(甲鄕面, 현 담양군 대전면) 옥산촌(玉山村) 입석평(立石坪)에 있으며, 자호(字號)는 유자(惟字)이다. 논의 면적은 5마지기이고 짐수[卜數]는 14짐 5뭇이며, 논값으로 50냥을 받았다. 명문 본문의 끝부분에는 뒷날 불미스러운 일이 생기면 이 명문으로 빙고(憑考)하라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답주(畓主) 유학 김이홍이 이 명문을 직접 작성[自筆]하고 유학 신대옥(辛大玉)이 증인(證人)으로 참여하여 각각 착명(着名) 하였다. 문서 끝부분에는 '본문기(本文記)는 도문기(都文記, 상속 내용 전체를 기록한 분재기)에 함께 기록되어 있어 내주지 못한다'는 내용이 추기(追記) 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명단(名單)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48명의 주소와 이름을 기록한 명단(名單). 48명의 주소와 이름을 기록한 명단(名單). *원문: 大草 兪章煥…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술수(術數) 고문서-치부기록류-문복록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흉격(凶格), 원진(元嗔), 칠살(七殺), 상충(相冲) 등을 기록한 술수(術數). 흉격(凶格), 원진(元嗔), 칠살(七殺), 상충(相冲) 등을 기록한 술수(術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二十三年 月 日 羅州牧考庚子成籍戶口帳內 新村面內永里住第三統第三戶幼學羅聖采六十三辛丑 本羅州父學生彦晦祖學生宗有曾祖學生允命外祖學生鄭益成 本晉州妻金氏齡六十四己亥 本金海父學生運興祖學生胤商曾祖通德郞始圭外祖學生金履瑞本綿城率子時化年三十六戊辰仰役 婢永德年甲寅等 庚子戶口相準者牧使[署押][周挾字改印]○ 연결문서1816년 나성채(羅成采) 준호구(准戶口)1819년 나성채(羅成采) 준호구(準戶口)1825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28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31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34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0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3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6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55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61년 나시완(羅時完) 준호구(準戶口)1872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76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79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85년 나도식(羅燾植) 준호구(準戶口)1888년 나도운(羅燾雲) 준호구(準戶口)1894년 나도신(羅燾臣)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白也面尊位平化村洞任書目龍門面崔錫衡呈訴題音據與本面蘇乃日査實牒報狀己未八月二十八日尊位劉[着名]洞任金[着名]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龍門面第 里大食洞第 統第 戶 二十六幼學崔運華 年六十九己未 本朗州父學生 彦綱祖學生 順章曾祖學生 遇龍外祖 老職嘉善大夫金泰三 本金海妻朴氏 年七十戊午 籍密陽父學生 雲泰祖學生 崇栢曾祖學生 昌浩外祖學生 徐命臣本利川率子肅孝改名至孝 年四十九婦李氏 年五十五癸酉 籍全州父學生 彦弼孫鳳周年 三十戊戌鳳圭 年二十二丙午丁卯式[準]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龍門面第 里大食洞第 統第 戶 二十六幼學崔運華 年六十九己未 本朗州父學生 彦綱祖學生 順章曾祖學生 遇龍外祖 老職嘉善大夫金泰三 本金海妻朴氏 年七十戊午 籍密陽父學生 雲泰祖學生 崇栢曾祖學生 昌浩外祖學生 徐命臣本利川率子肅孝改名至孝 年四十九婦李氏 年五十五癸酉 籍全州父學生 彦弼孫鳳周年 三十戊戌鳳圭 年二十二丙午丁卯式[準]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龍門面第 里篁園洞第 統第 戶 大食洞來幼學崔運華故代孫鳳周改名啓鳳 年三十三戊戌 本朗州父學生 至孝祖學生 運華曾祖學生 彦綱外祖學生 李彦弼本全州奉祖母朴 氏齡七十三戊午 籍密陽母李氏 齡五十八癸酉加妻蔡氏 齡二十四丁未 籍平康父幼學 世玉祖學生 信徵曾祖學生 應龜外祖學生 鄭基周本晉州率弟鳳圭 年二十五丙午庚午式[準]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9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무진생 남성 망인의 장택기 무진생 남성 망인의 장택기이다. 신사생 아내는 생존해 있으며, 주상(主喪) 항목에는 단을 달리하여 아들 내외들, 손자와 손녀 내외들, 그 아래 증손까지 기록하였다. 장산(葬山)은 산맥이 갈라져 나온 방위와 좌향(坐向) 등을 기록하였고 좌산의 연운(年運)을 표기하였다. 계빈(啓殯)은 파빈(破殯)이라고도 하는데, 날짜와 시간, 시작하는 방위를 기재하고 자리를 피해야 할 이의 생년 간지 등을 쓰는 항목이다. 이 경우는 같은 달 2일 을해일 미시(未時)이고, 방위는 경방(庚方)부터 먼저 열라고 하였다. 안장(安葬)은 4월 10일리고, 하관(下棺)은 미시이다. 이 외에 주당(周堂)은 입관할 때 피해야 할 가족 구성원을 기록하는 항목인데 이 경우에는 피해야 할 구성원이 없다고 되어 있다. 적호(的呼)는 호충(呼冲)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입관과 계빈할 때 일진과 맞지 않는 생년을 기록하는 항목이다. 문서 하단의 조명(造命)은 사과(四課)라고도 쓰는데, 매장 연월일시의 간지를 쓰는 것이다. 이처럼 장택기는 장례의 기본 요소인 장지(葬地)와 장일(葬日)의 선택과 이에 따른 각 절차의 방위, 시간 및 기피 사항 등을 기록한 문서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축문식(祝文式) 고문서-시문류-축문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토지에 제사하는 축문 서식을 비롯한 여러 축문 서식을 써놓은 글 토지에 제사하는 축문[祀土地祝], 무덤을 열 때의 축문[啓墓祝], 장사지내는 날 토지에 제사하는 축문[葬日祀土地祝], 우제를 지낼 때의 축문[虞祭祝]의 서식이 적은 글이다. 별지에는 선영에 고하는 축문[告先塋祝]이 쓰여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松谷面亳谷村第一里第 統第 戶通德郞 義浩 年五十一甲辰 本濟州父 通訓大夫行萬頃縣令全州鎭管兵馬節制都尉 喆鎭生父 通德郞 國鎭祖 學生 冑厦曾祖 通德郞 基爀外祖 學生 安鼎輔 本竹山妻 金氏 年四十九丙午 籍光州父 先達〔及第〕 㝡煐祖 通德郞 宗運曾祖 折衝將軍 行龍驤衛副護軍兼慶州鎭營將 得麟外祖 學生 金夢栢 本靈光率子 伯榮 年二十乙亥婦 尹氏 年二十四辛未 籍咸安次子 之榮 年十三壬午賤口秩 仰役奴甲孫 年戊申 婢㐊伊年辛丑 一所生奴日萬 年丙寅 二所生婢日梅 年壬申 三所生 奴壽萬 年庚辰 婢命德年壬子 一所生婢叔丹 年辛未 二所生婢三丹 年丙子 三所生婢三禮 年癸未 四所生婢 ■■■■■■〔四禮年丁亥婢〕貴代年乙卯 逃 居茂長 外居秩 婢時德 年辛酉 婢次云 年丙辰 居京 婢旕介 年辛亥 年庚子 婢士金 年己亥 婢士化 年戊申 居金海 婢貴禮 年癸巳 婢禮今 年庚辰 婢禮分 年庚戌 婢士丁 年戊戌 婢次分 年戊子 居醴川 婢元辰 年癸巳 一所生婢銀太 年丙辰 居昌原 婢士良 母班婢士化 二所生奴三仁 居梁山 婢連禮 婢連金 婢連辰 婢禮分等 父戶奴時金 婢丁今一所生婢阿只 三所生婢令金 婢水禮 父戶奴時奉 母良禮 婢明乃二所生婢春金 三所生婢明禮 四所生婢月辰 婢明月 婢仙禮 婢六月 婢連大 婢貴辰等 居金海 奴貴垣 婢德常 婢順德 婢作金 居長興 婢小金 年庚子 同婢一所生婢小德 年辛丑 居京 婢禮郞 年庚子 同婢一所生婢一月 年丁巳 婢禮分 年乙巳等 戊申逃 婢連丹 年戊午 辛卯戶口相準印甲午式[準]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84년 전의감(典醫監) 관(關) 고문서-명문문기류-감관문기 典醫監 吏曺 提調<押>, 關字印 □…□ 3顆(6.5×6.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84년 8월에 전의감이 이조에 보낸 관 1884년(고종 21) 8월에 전의감(典醫監)에서 이조(吏曺)에 보낸 관(關)이다. 황해병영(黃海兵營) 심약((審藥)인 최영운(崔榮運)이 근무일수를 채웠으므로[瓜滿] 후임으로 전의감에서 차례가 온 사람을 국왕에게 보고하여 윤허 받았고, 그 직책과 성명을 통보하니 규례에 따라 정사(政事)가 열리면 하비(下批) 받아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새로 임명하는 자의 관직과 성명은 '통훈대부(通訓大夫, 정3품 당하) 행(行) 황해병영심약(黃海兵營審藥) 박기준(朴基俊)'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정묘년 이길주(李吉柱) 망기(望記) 고문서-첩관통보류-망기 鄕校 李吉柱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정묘년 6월 19일에 향교에서 선파도회 유사거원에 이길주를 의망한 망기 정묘년 6월 19일에 향교(鄕校)에서 이길주(李吉柱)를 선파도회(璿派道會) 유사거원(有司擧員)에 의망한 망기(望記)이다. 별다른 인장이나 서압·착명 등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863년 은봉선생문집간행소(隱峯先生文集刊行所) 임원(任員) 명단(名單) 고문서-치부기록류-계문서 隱峯先生文集刊行所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3년 11월 2일에 은봉선생문집간행소(隱峯先生文集刊行所)에서 작성한 은봉전서(隱峰全書) 간행(刊行) 임원(任員) 명단(名單). 縉紳有司 兪建煥, 都有司 安壽浚 등 14명의 임원 명단을 적은 내용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