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정유년 군수(郡守) 하체(下帖) 고문서-첩관통보류-첩 郡守 鄕約執綱 行郡守<押> □…□ 3顆(6.5×6.5), 帖字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정유년 4월 7일에 군수가 향약 집강에게 작년에 보고된 천사의 결세를 표재하여 면마다 나누어주게 한 뒤에 그 현황을 치보할 것을 명령한 하체 정유년 4월 7일에 군수(郡守)가 향약 집강(鄕約執綱)에게 작년에 보고된 천사(川沙)의 결세(結稅)를 표재(俵災)하여 면마다 나누어주게 한 뒤에 그 현황을 치보(馳報)할 것을 명령한 하체이다. 군수가 작년에 보고된 홍수로 하천이 범람하여 모래밭이 된 곳의 결세를 지금 겨우 표재한 뒤에 표재를 나눈 파장(把掌)을 집강에게 내보내 집강으로 하여금 소상하게 알려서 각 면에 표재를 지급하게 하고, 그 지급현황을 치보할 것을 명령하는 내용이다. 파장(把掌)은 결세액(結稅額)과 납세자(納稅者)의 명단을 양안(量案)에서 가려 적는 부책(簿冊)을 뜻한다. 표재(俵災)는 흉년에 조세를 감하는 것을 뜻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기축년 이태후(李台厚) 단자(單子) 초(草) 고문서-치부기록류-보첩류 李台厚 水軍節度使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축년에 이태후가 수군절도사에게 올리고자 작성한 단자의 초본. 기축년 11월에 이태후(李台厚)가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에게 올리고자 작성한 단자(單子)의 초본이다. 이태후는 자신이 문간공(文簡公) 지봉(芝峰) 이수광(李粹光)의 9세손이고, 정숙공(貞肅公) 분사(分沙) 이성구(李聖求)의 8세손이며, 회헌(悔軒) 이현조(李玄祚)의 6세손, 안곡(安谷) 이중명(李重明)의 현손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곤궁한 처지를 호소하며, 주변 친족과 친구들에게 돈을 빌려주었으나 거두지 못하고 있으니 이전 수령이 처분한 바에 따라 그들이 약속을 지킬 수 있게 도움을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임자년 도천서원(道川書院) 종회(宗會)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道川書院 達城裵氏 道川書院 2顆(5.0×5.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임자년 8월 29일, 도천서원 종회에서 문장 배만희가 어떤 고을의 배씨 일족에게 동파이므로 자신들의 종족과 합하도록 권유하는 내용으로 보낸 통문. 임자년 8월 29일, 도천서원 종회(道川書院 宗會)의 문장(門長) 배만희(裴萬禧)가 어떤 고을의 배씨 일족에게 통문을 보내어 자신들과 동파(同派)이므로 종족을 합쳐서 앞으로의 일을 해나가자고 권유하는 내용으로 보낸 통문이다. 자신들과 3~4세(世)간 서로 알고 지냈을 뿐 종족의 일을 함께 도모하지 않았던 배씨 일족에게당신들 배씨는 자신들과 동파(同派)의 가문이지만 불행히도 중간에 가문의 화(禍)가 겹치는 바람에 다른 향리로 떨어져 나갔다는 것, 자신들과 똑같은 반열이라는 것, 서로 친목과 우의를 다졌기에 작년 봄에 합종(合宗)의 내용으로 통문을 보냈지만 아직까지 답이 없어 이유가 궁금하다며 객반(客班)이 되어 외롭게 소원히 지내지 말고 함께 유림의 일과 도(道)의 임무를 함께 하자고 권유하는 내용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경자년 이주(李柱) 단자(單子) 초(草) 고문서-치부기록류-보첩류 李柱 城主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자년에 순천의 선파 유사 이주가 겸관에게 올리고자 작성한 단자의 초본. 경자년 2월에 순천(順天)의 선파(璿派) 유사(有司) 이주(李柱)가 이웃 고을 수령인 겸성주(兼城主)에게 올리고자 작성한 단자(單子)의 초본이다. 문서를 접수한 겸관(兼官)이 어느 지역 수령인지는 파악하기 어렵다. 이주는 왕족의 족보인 선원보(璿源譜)를 작성하는 일로 본군의 유사(有司)를 맡아서 일을 보고 있다. 그래서 경내의 여러 집안으로부터 명단(名單)을 수합하여 보청(譜廳)에 제출하기 위해 서울로 갔다. 하지만 작년 7월 이래로 여러 차례 종회(宗會)에서 소비한 비용과 왕래 비용, 서울의 유사를 맞이하는 데 든 비용이 수백 냥이 되었다. 이를 감당할 수 없어 각 종파에 분배했으나 협조가 잘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설명한 후 겸관에게 여러 종족(宗族)을 신칙하는 처분을 내려, 재력을 모을 수 있게 도와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901년 정기현(鄭箕鉉) 호적표(戶籍表) 고문서-증빙류-호적 順天郡守 鄭箕鉉 順天郡印(4.5x4.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153 1901년에 순천군에 사는 호주 정기현이 인쇄된 양식에 따라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 고용인, 가택 현황 등을 기록하여 관에 제출한 뒤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호적표 1901년(광무 5)에 순천군에 사는 호주 정기현이 인쇄된 양식에 따라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 고용인, 가택 현황 등을 기록하여 관에 제출한 뒤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호적표이다. 정기현의 거주지는 전남 순천군(順天郡) 황전면(黃田面) 산령리(山嶺里)이다. 올해 나이는 79세이고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직업은 선비[儒]이다. 정기현의 사조(四祖)는 생부(生父) 학생 시호(時浩), 할아버지 학생 인찬(仁燦), 증조(曾祖) 학생 상수(相壽), 외조(外祖) 학생 정지문(丁志文) 본관은 영광(靈光)이다. 가족으로는 아내 이씨 나이 79세 본관 경주, 아들 유학 영진(永震) 나이 51세, 며느리 박씨 53세 본관 밀성(密城)이다. 현존 가족 수는 남자 3인, 여자 3인 모두 6인이다. 고용인(雇傭人)은 남자 1인, 여자 1인이 있으며, 가택(家宅)은 초가 5칸이다. 문서에 순천군수(順天郡守)의 관인(官印)과 군수 이재현(李載現)의 이름이 찍혀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75년 전영태(全永泰) 노(奴) 윤돌(允乭) 소지(所志)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允乭 順天府使 官<押> □…□ 4顆(6.5×6.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118 1875년 9월에 전영택 댁의 노 윤돌이 이웃 고을 관아에 올린 산송 소지. 1875년(고종 12) 9월에 보성(寶城)에 사는 전영태(全永泰) 댁의 노(奴) 윤돌(允乭)이 겸관(兼官)에 올린 소지이다. 윤돌은 전수문장댁(全守門將宅)의 노라고 기재되어 있으나, 같은 소송으로 올린 '1880년 전영태(全永泰) 소지(所志)'를 보면 전영태를 전수문장(前守門將)이라고 칭하고 있다. 문서 수취처를 '사또님[使道主]'이라고 기재했고, 이웃 고을 수령이 처결하며 '겸관(兼官)'이라고 착관(着官)했지만, 어느 고을 관아에 접수했는지는 분명히 알 수 없다. 소지에서 주장하는 사실관계는 다음과 같다. 전영태의 선산은 순천부 쌍암면(雙巖面) 노구치(老嫗峙)에 있는데, 오래도록 서울에 살면서 진 빚 때문에 지난해 선산에 있는 목재를 매도한 일이 있었다. 그런데 배한조(裵漢祚)와 배진오(裵鎭五)가 작당하여 자기들이 금양(禁養)해 온 산지라고 주장하며 산지기를 때리고 목재를 불태웠다. 그래서 전영태는 전임 수령에게 올린 산송 문서와 매매문서를 제출하여, 배씨 집안 사람들이 저지른 죄를 법률에 따라 처벌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이에 대해 겸관은 초9일에 배한조와 배진오를 붙잡아오라고 주인(主人)에게 처분하였으나 크게 '효주(爻周)'라고 쓰여 있어 뎨김의 내용을 취소한다는 뜻인지 명확하지 않다. 최종적으로 전영택이 패소했기 때문인지도 알 수 없다. 뒷면에는 형리(刑吏)에게 현장을 조사해 오라는 처분이 11일 내려져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7년 배상권(裵相權) 호적표(戶籍表) 1 고문서-증빙류-호적 裵相權 順天郡守 □…□(7.0×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7년에 호주 배상권이 순천군에 제출한 호적표. 1897년(건양2)에 배상권(裵相權)이 순천군(順天郡)에 제출하여, 군수 김낙구(金洛龜)가 관인을 찍어서 돌려준 호적표(戶籍表)이다. 1896년 「호구조사규칙」과 「호구조사세칙」이 시행된 이후, 인쇄된 호적표에 기입하여 제출하도록 했는데, 본 문서는 그 호적표 양식에 기록되어 있다. 주소는 전라남도 순천군 쌍암면(雙巖面) 군장동(軍壯洞)이다. 호주의 나이는 65세 본관은 달성(達城), 직업은 농업이다. 가족사항은 처 김씨(金氏, 나이 60세 본관 慶州), 아들 병희(炳曦, 나이 35세)와 그의 처 구씨(具氏, 나이 37세 본관 綾城), 차자(次子) 계언(啓彦, 나이 12세)이다. 현존 인구는 남자 3명 여자 2명이다. 가택은 초가 4칸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7년 배상권(裵相權) 호적표(戶籍表) 2 고문서-증빙류-호적 裵相權 順天郡守 □…□(7.0×7.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97년에 호주 배상권이 순천군에 제출한 호적표. 1897년(광무1)에 배상권(裵相權)이 순천군(順天郡)에 제출하여, 군수 윤성구(尹成求)가 관인을 찍어서 돌려준 호적표(戶籍表)이다. 호주의 나이는 66세 본관은 달성(達城), 직업은 농업이다. 가족 사항은 처 김씨(金氏, 나이 61세 본관 慶州), 아들 인섭(寅燮, 나이 36세)과 그의 처 구씨(具氏, 나이 37세 본관 綾州), 차자(次子) 계언(啓彦, 나이 11세)이다. 현존 인구는 남자 3명 여자 2명이다. 가택은 초가 3칸이다. 같은 해에 제출한 호적표와 비교하여 호주와 처 김씨의 나이가 1살 차이가 나며, 이는 아들도 마찬가지이다. 며느리 구씨는 나이가 같다. 아들 배인섭은 다른 호적표에 병희(炳曦)로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14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장례(葬禮) 일정을 정하기 위해 작성한 장택기(葬擇記). 祭主, 葬地, 運, 安葬日, 下棺 시간, 開土 시간, 穴의 깊이, 啓殯, 發引, 停喪, 取土 방향, 周堂, 造命 등 기록 *亡人: 乾化命辛酉木 *安葬日: 八月二十日 *背面: 寶城郡 彌力面 亭子川 牛峰山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曾祖閒良 尙巾外祖閒良朴得大 本密陽妻黃姓年五十一甲戌本長水父閒良 碩用祖閒良 憲曾祖閒良何知外祖閒良鄭美 本慶州率弟達表年三十八丁亥等辛酉戶口相凖 [周俠 字改印][羅州牧使之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外祖閒良朴得大本密陽妻丁姓年五十庚子本羅州父閒良 孟得祖閒良 尙文曾祖閒良 奉業外祖閒良文德化本南平卛子正奎年二十四乙丑等乙酉戶口相凖 [周俠無改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二十年 月 日 羅州牧考庚子成籍戶口帳內荷衣島於㤙村住第一綂第四戶閑良金得水年七十一庚寅 本金海父閑良 弼正祖閑良 尙建曾祖閑良 連伯外祖閑良 鄭旻夏 本慶州妻朴姓年七十一庚寅 本密陽父閑良 致才祖閑良 萬善曾祖閑良 啟達外祖閑良 金節巡 本金海率子俊鶴年四十一己未等丁酉戶口相凖 [周俠無改印][羅州牧使之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同治六年 月 日羅州考丁卯成籍戶口帳內荷衣島於㤙村住第三統第七戶閒良金達伍年五十八庚午本 金海父 閒良 聖仁祖 閒良 弼奉曾祖閒良 尙巾外祖閒良 朴得大 本密陽妻黃氏年五十四甲戌 本長水父閒良 碩用祖閒良 憲曾祖閒良 何知外祖閒良 鄭美 本慶州率弟改名宜斗年四十一丁亥等甲子戶口相凖 [周俠 字改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同治九年 月 日 羅州考庚午成籍戶口帳內荷衣島於㤙村住第二統第七戶閒良金達伍年六十一庚午本 金海父閒良 聖仁祖閒良 弼奉曾祖閒良 尙巾外祖閒良 朴得大 本密陽妻黃氏年五十七甲戌 本長水父閒良 碩用祖閒良 憲曾祖閒良 何知外祖閒良 鄭美 本慶州卛弟宜斗年四十四丁亥等丁卯戶口相凖 [周俠 字改印][羅州牧使之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二年 月 日 羅州考丙子成籍戶口帳內荷衣島於㤙村住第 統第七戶閒良金達伍故代宜斗年四十七庚寅本 金海父閒良 聖仁祖閒良 弼奉曾祖閒良 尙巾外祖閒良 朴得大 本密陽妻丁姓年三十七庚子 本 羅州父 閒良 孟得祖 閒良 尙文曾祖閒良 奉業外祖閒良 文德化 本南平卛子正奎年十一乙丑等癸酉戶口相凖 [周俠無改印][羅州牧使之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2년 김의두(金宜斗)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羅州牧使 金宜斗 牧使<押> 羅州牧使之印(7.1x7.1), 周俠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789 1882년 나주목에서 호주 김의두에게 동년의 호적대장에서 해당 부분을 등서하여 발급한 준호구 1882년(고종 19) 나주목(羅州牧)에서 호주 김의두에게 동년(同年)의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하여 발급해 준 등본 성격의 준호구로 열서(列書) 형식으로 기재되어 있다. 김의두의 거주지는 나주목(羅州牧) 하의도(荷衣島, 현 전남 신안군 하의면에 속한 섬) 어은촌(於恩村) 오가작통 순번 제2통 1호이다. 직역은 한량(閑良)이고 올해 나이는 53세 경인생(庚寅生)이며,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김의두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한량 성인(聖仁), 할아버지 한량 필봉(弼奉), 증조(曾祖) 한량 상건(尙巾), 외조(外祖) 한량 박득대(朴得大)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김의두의 아내 정씨(丁氏)는 나이 43세 경자생(庚子生)이고 본관은 나주이다. 정씨의 사조는 아버지 한량 맹득(孟得), 할아버지 한량 상문(尙文), 증조(曾祖) 한량 봉업(奉業), 외조 한량 문덕화(文德化) 본관은 남평(南平)이다. 이외 가족으로 아들 진규(振奎)가 있으며, 나이 18세 을축생(乙丑生)이다. 호적개정은 자·오·묘·유자(子·午·卯·酉子) 식년(式年)으로, 이 준호구의 토대가 된 임오년은 광서 8년이므로 문서에 표기된 '광서칠년(光緖七年)'은 '광서팔년(光緖八年)'의 오자로 추정된다. 형 김달오가 호주인 준호구에는 김의두의 생년이 모두 '경인생(庚寅生)'이 아닌 '정해생(丁亥生)'으로, 할아버지는 '필봉(弼奉)'이 아닌 '필봉(弼逢)'으로, 아들 정규(正奎)는 진규로 표기되어 있다. 문서에는 나주목사(羅州牧使)의 관인(官印)과 서압(署押) 및 주협자개인(周俠字改印)이 찍혀있으며, 1879년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기묘호구상준(己卯戶口相凖)'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七〖八〗年 月日 羅州 第二統六戶閑良金宜斗考壬午成籍戶口帳內荷衣島於㤙村住第二統第一戶閒良金宜斗年五十三庚寅本金海父閒良 聖仁祖閒良 弼奉曾祖閒良 尙巾外祖閒良朴得大本密陽妻丁姓年四十三庚子本羅州父閒良 孟得祖閒良 尙文曾祖閒良奉業外祖閒良 文德化 本南平卛子振奎年十七〖八〗乙丑等己卯戶口相凖者 [周俠 字改印][羅州牧使之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2년 최좌승(崔佐昇)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崔佐昇 寶城郡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72 1822년에 최좌승(崔佐昇, 15세)가 보성군(寶城郡)에서 발급받은 준호구 *주소: 龍門面 第 里 篁園洞 第 統 第新戶 *가족사항: 奉母 蔡氏(36세), 弟 億昇(12세), 弟 達昇(9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5년 최좌승(崔佐昇)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崔佐昇 寶城郡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72 1825년에 최좌승(崔佐昇, 18세)가 보성군(寶城郡)에서 받은 준호구 *주소: 龍門面 第 里 篁園洞 第二十四統 第戶五 *가족사항: 奉母 蔡氏(39세), 弟 億昇(15세), 弟 達昇(12세)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79년 이동식(李東植)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潭陽府使 李東植 行府使<押> □…□(7.5×7.5),周挾改字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856 1879년 담양부에서 호주 이동식에게 동년의 호적대장에서 해당 부분을 등서하여 발급한 준호구 1879년(고종 16) 담양부에서 호주 이동식에게 동년(同年)의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하여 발급해 준 등본 성격의 준호구이다. 이동식의 거주지는 담양부(潭陽府) 두모곡면(豆毛谷面) 상덕리(上德里)이다. 직역은 유학이고 올해 나이는 42세 무술생(戊戌生)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이동식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통덕랑(通德郞) 낙기(洛璣), 할아버지 학생 복현(復鉉), 증조(曾祖) 증가선대부 이조참판 겸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부총관(贈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 재원(在元), 외조(外祖) 학생 심대진(沈大鎭) 본관은 청송(靑松)이다. 이동식의 아내 남씨(南氏)는 나이 40세 경자생(庚子生)이고 본관은 의령(宜寧)이다. 남씨의 사조는 아버지 학생 항(沆), 할아버지 학생 기주(基周), 증조(曾祖) 학생 석관(碩寬), 외조 학생 한계호(韓啓浩)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이외 가족으로 어머니 심씨(沈氏) 연령 63세 정축생(丁丑生), 동생 유학 준식(俊植) 나이 33세 정미생(丁未生), 제수 송씨(宋氏) 나이 30세 경술생(庚戌生)이며, 본적은 신평(新平)이다. 소유하고 있는 여종 사금(士今)은 나이 55세이다. 문서에는 담양부사(潭陽府使)의 관인(官印)과 서압(署押), 주협개자인(周挾改字印)이 찍혀있으며, 1876년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병자호구상준인(丙子戶口相凖印)'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