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무술년 달성배씨(達城裵氏) 무청보소(務淸譜所) 통문(通文) 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務淸譜所 達城裵氏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무술년 8월, 달성배씨 무청보소에서 파보를 수보하기 위해 단자의 작성과 수합을 요청하는 내용으로 각 도 종중에 보낸 통문. 무술년 8월 달성배씨(達城裵氏) 무청보소(務淸譜所)에서 파보를 수보(修譜)하기 위해서 도유사 배규철(裵奎哲)·배세일(裴世一) 등 17인이 각도 여러 읍의 달성 배씨 종중에 보낸 통문이다. 배씨 달성파에서 40년간 수보하지 않은 것에 대해 애석히 여기며 각기 단자(單子)를 작성하여 유사(有司)에게 부쳐 보청(譜聽)에 가져다 줄 것을 청하는 내용이다. 발신자는 무청보소의 도유사(都有司) 배규철과 배세일 및 교정(校正) 3인, 공사원(公事員) 3인, 장재유사(掌財有司) 3인, 감인(監印) 2인, 수단(修單) 4인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通文右通諭事 伏惟人之本乎 始祖猶木之有根水之有源 而推原其本卽一理而已矣 根之培養 枝葉蕃衍源之始達 派流盈溢 則其於人之追崇其本 豈無子孫昌熾之里乎 如裴族之修譜 後孫何以知其宗乎始祖而分派昭昭哉曰 吾裵氏祖 乎 部長公 太師公而至於中葉 分爲五封貫 五封貫子孫散在八域 至今冒熾 不啻木之千條水之萬派也 所以猝難於五貫 大同各貫其貫譜也 惟我達城派修譜 于今四十餘年 而不講親親之誼 則尊_祖重本之意 敦宗收族之道 於是乎 惰矣 凡厥子孫 孰不歎惜哉 以派譜之事 陳爲右文之首 而定有司仰諭 則伏願僉 君子 勿以人徵而棄之追慕先業 各修其單 付此有司 而來納譜聽 使之竣功 以講親親之誼 千萬幸甚戊戌八月 日 務淸譜所 都有司 裴奎哲 裴世一 校正 裴彦圭 裴炳裕 裴瑜基【羅州】 公事員 裴炳絢 裴鐘純【光州】 裴致煥【靈岩】 掌財有司 裴瑞圭 裴時元【咸平】 裴炳愚 監印 裴奎繕 裴鎰圭【茂長】 修單 裴明圭 裴楨基 裴炳雲【客然起】 裴鐘淳【靈巖】右敬通于僉宗座下 各道列邑會中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9년 정기현(鄭箕鉉) 호적표(戶籍表) 고문서-증빙류-호적 順天郡守 鄭箕鉉 順天郡印(4.5x4.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152 1899년에 순천군에 사는 호주 정기현이 인쇄된 양식에 따라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가택 현황 등을 기록하여 관에 제출한 뒤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호적표 1899년(광무 3)에 순천군에 사는 호주 정기현이 인쇄된 양식에 따라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가택 현황 등을 기록하여 관에 제출한 뒤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호적표이다. 정기현의 거주지는 전남 순천군(順天郡) 황전면(黃田面) 산령리(山嶺里)이다. 올해 나이는 78세이고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직업은 유학(幼學)이다. 정기현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학생 시호(時浩), 할아버지 학생 인찬(仁燦), 증조(曾祖) 학생 상수(相壽), 외조(外祖) 학생 정지문(丁志文) 본관은 영광(靈光)이다. 가족으로는 아내 이씨 나이 78세 본관 경주, 아들 유학 영진(永震) 나이 50세, 며느리 박씨 52세 본관 밀성(密城)이다. 현존 가족 수는 남자 3인, 여자 3인 모두 6인이며, 가택(家宅)은 초가 5칸이다. 호주 정기현과 그의 아내 이씨의 나이가 1897년·1898년과 동일하게 기재되어 있다. 문서에 순천군수(順天郡守)의 관인(官印)이 찍혀있고 군수 이재현(李載現)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1년 양의호(梁義浩)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梁義浩 寶城郡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21년에 양의호가 보성군 관아에서 발급받은 준호구 1821년(순조 21)에 호주인 양의호(梁義浩)가 보성군(寶城郡) 관아에 제출하였다가 돌려받은 호구단자로서 식년인 다음 해(1822년)를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양의호의 거주지는 송곡면(松谷面) 제1리(里) 박곡촌(亳谷村)이며, 제○통 제3호에 편성되었다. 직역은 통덕랑(通德郞)이며, 출생년은 갑진년으로 39세이고, 본관은 제주(濟州)이다. 호주 이외에 호주의 사조(四祖), 봉모(奉母) 안씨(安氏, 70세 계유년생), 처 김씨(金氏, 37세 병오년생, 본관 光山)와 처의 사조의 인적 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문서 하단에는 소유 중인 노비의 인적 사항이 도망 노비를 포함하여 기재되어 있다. 양의호는 아버지인 양철진(梁喆鎭)의 호구를 이어받은 아들[代子]로 기재되어 있다. 생부는 국진(國鎭)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1798년 보성군(寶城郡) 양주하(梁冑厦) 호구단자(戶口單子)에 따르면, 양철진은 양주하의 첫째 아들이고, 양국진은 둘째 아들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松谷第一里亳谷村第 統第五戶 故梁喆鎭代子 通德郞 義浩 年三十九甲辰 本濟州父 通訓大夫行萬頃縣令全州鎭管兵馬節制都尉 喆鎭生父 通德郞 國鎭祖 學生 冑厦曾祖 通德郞 基爀外祖 學生 安鼎輔 本竹山奉母 安氏 年七十癸酉妻 金氏 年三十七丙午 籍光山父 出身 㝡煐祖 通德郞 宗運曾祖 折衝將軍 行龍驤衛副護軍兼慶州鎭營將 得麟外祖 學生 金夢栢 本靈光辛巳月日壬午式賤口秩 率奴甲孫 年三十五戊申 婢㐊伊 年四十二辛丑 婢命德 年三十一壬子 婢貴代 年二十八乙卯 乙亥逃 婢日娘 年二十癸亥 婢命今 年二十三庚申 外方奴婢秩 婢時德 年辛酉 父名不知母毛乙禮 婢次運 年丙辰 居京 奴時煥 年乙卯 奴時今 年壬子 婢旕介 年辛亥 奴乙男 年庚子 婢四今 年己亥 婢四化 年戊申 奴萬奉 年甲午 奴萬上 年己巳 奴萬發 年戊申 居金海 婢貴禮 年癸巳 奴唜用 年癸丑 婢禮今 年庚辰 婢禮分 年丙戌婢士丁 年戊戌 婢次分 年戊子 居醴川 婢元辰 年癸巳 一所生婢銀太 年丙辰父宋莫石 居昌原 婢士良 年 母班婢士化 二所生奴三仁 居梁山 婢連禮 奴連發 婢連今 奴連奉 婢連辰 婢分禮等 母名不知 父戶奴時金 婢丁今一生婢阿只 二生奴連玉 三生 婢令今 四生婢召史 婢水禮一生奴 先興 二生婢召史 奴元奉 奴元發奴夢赤 奴畓者里等 父戶奴時奉 母良女 婢明乃一生奴亢羽 二生婢春今 三生奴長標 四生奴汗國 奴{目+ㄱ}男一生奴 二生婢明禮 三生婢月辰 婢明月四生奴乻立 奴元發一生婢召史 年庚戌 奴先奉 年癸巳 奴成弓 年 婢先禮 奴水巳奴萬頃 奴萬粲 奴先奉 年癸未 婢六月 婢連代二生奴芿金 奴貴化 年庚戌四生婢貴辰等 居金海 奴貴坦 婢德上 婢順德 婢作金 居長興 婢小今年庚子 同婢一生婢小德 年辛丑 居京 婢明禮 年戊寅 己亥逃 奴永萬年辛丑 丁巳逃 婢小丁 年辛丑 婢俊每 己亥逃 婢三月 年庚寅 戊戌逃 婢占禮年庚子 婢甲禮 年庚子 婢亦日 年壬寅等 戊子逃 婢信化 甲子逃 凶巳 戊辰逃 婢日銀介 奴丁德 癸酉逃 奴件里金 乙亥逃 奴順男 丙戌逃 奴元德 甲辰逃 婢連玉 己卯逃 婢俊今 丁丑逃 奴次吉 丙戌逃 婢禮娘 年庚子 同婢一生婢一月 年丁巳 婢禮分 年乙巳等 戊申逃 婢連丹 年戊午 己未逃 己卯戶口相準印[準]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748년 배유장(裵幼章) 추증교지(追贈敎旨) 고문서-교령류-고신 英祖 裵幼章 施命之寶(9.0×9.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748년에 배유장을 통훈대부 사헌부 집의에 추증하는 교지이다. 승사랑(承仕郞) 내시교관(內侍敎官)을 지낸 배유장(裵幼章)을 1748년(영조 24) 11월에 통훈대부(通訓大夫) 사헌부(司憲府) 집의(執義)로 증직(贈職)하는 교지이다. 승사랑은 동반 종8품에 해당하는 품계명이며, 통훈대부는 동반 정3품 하계에 해당하는 품계명이다. 내시교관은 궁중의 내시를 교육하고 훈도하는 책임을 맡은 종9품직이다. 집의는 종3품직으로, 사헌부의 장인 종2품인 대사헌 다음 직위이다. 증직하는 사유는 '충효(忠孝) 탁이(卓異)'라고 날짜 좌측에 작은 글씨로 써 놓았다. 배유장은 조선 후기 안동 지역에서 활동한 유생으로, 평생 존주의리(尊周義理)를 투철히 실천한 것으로 명성이 높다.1)1) 향토문화전자대전 참조. 본관은 성산(星山)이고, 호는 유암(楡巖)·서호자(西湖子)이다. 문집으로 『유암집(楡巖集)』 2권이 있으며, 만년에 임명된 내시교관에는 나아가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二年 月日羅州牧考壬午成籍戶口帳內荷衣於㤙村住第一綂第二戶閑良金聖仁䄵五十五己丑本金海父閑良 弼逢祖閑良 尙巾曾祖閑良 延伯外祖閑良金節順本金海妻朴氏年四十七本密陽父閑良 得大祖閑良 敬漢外祖閑良林春逢本羅州率子達五年十四己巳等己卯戶口相凖 [周俠 字改印][羅州牧使之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五年 月 日羅州牧▣(考)乙酉成籍戶口帳內荷衣於恩村住第二統第六戶閑良金聖仁年五十八己丑本金海▣(父)閑良 弼逢祖閑良 尙巾曾祖閑良 延伯外祖閑良金節順 本金海妻朴氏年五十丙申 本密陽父閑良 得大祖閑良 敬漢曾祖閑良 桂春外祖閑良林春逢 本羅州率子達五年十七己巳等壬午戶口相凖 [周俠 字改印][羅州牧使之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八年 月 日羅州牧考戊子成籍戶口帳內荷衣於㤙村住第二統第六戶閑良金聖仁年六十一己丑▣▣▣(本金海)父閑良 弼逢祖閑良 尙巾曾祖閑良 延伯外祖閑良 金節順 本金海妻朴姓年五十三丙申 本密陽父閑良 得大祖閑良 敬漢曾祖閑良 桂春外祖閑良 林春逢 本羅州率子達五年二十己巳等乙酉戶口相凖 [周俠 字改印][羅州牧使之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十四年 月日羅州牧考甲午成籍戶口帳內荷衣島於㤙住第一統第二戶閑良金聖仁年六十六己丑 本金海父閑良 弼奉祖閑良 尙巾曾祖閑良 延伯外祖閑良 金節順 本金海妻朴姓年五十九丙申 本密陽父閑良 得大祖閑良 敬漢曾祖閑良 桂春外祖閑良 林春逢 本羅州率子達五年二十六己巳等辛卯戶口相凖 [周俠 字改印][羅州牧使之印]行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二十六年 月日羅州牧考丙午成籍戶口帳內荷衣島於恩村住第二統第六戶閑良金聖仁年七十八己丑 本金海父閑良 弼奉祖閑良 尙巾曾祖閑良 延伯外祖閑良 金節順 本金海妻朴姓年七十一丙申 本密陽父閑良 得大祖閑良 敬漢曾祖閑良 柱〖桂〗春外祖閑良 林春逢率子達五年三十八己巳等癸卯戶口相凖 [周俠字改印][羅州牧使之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二十九年 月日 羅州牧考己酉成籍戶口帳內荷衣島於恩村住第二統第六戶閒良金聖仁故代達五年四十一己巳 本 金海父閒良 聖仁祖閒良 弼奉曾祖閒良 尙巾外祖閑良 朴得大 本密陽妻黃姓年三十六甲戌 本長水父閑良 碩用祖閑良 憲曾祖閑良 無知外祖閑良 鄭美 本慶州率弟達表年二十四丁亥 丙午戶口相凖 [周俠 字改印][羅州牧使之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十七年 月 日羅州牧考丁酉成籍戶口帳內荷衣島於㤙村住第一統第二戶閑良金聖仁年六十九己丑 本金海父閑良 弼奉祖閑良 尙巾曾祖閑良 延伯外祖閑良 金節順 本金海妻朴姓年六十二丙申 本密陽父閑良 得大祖閑良 敬漢曾祖閑良 桂春外祖閑良 林春逢 本羅州率子達五年二十九己巳等甲午戶口相凖 [周俠 字改印][羅州牧使之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二十年 月 日 羅州牧考庚子成籍戶口帳內荷衣島於㤙村住第二綂第六戶閑良金聖仁年七十二己丑本金海父 閑良 弼奉祖 閑良 尙巾曾祖閑良 延伯外祖閑良 金節順 本金海妻 朴姓年六十五丙申 本密陽父閑良 得大祖閑良 敬漢曾祖閑良 桂春外祖閑良 林春逢 本羅州率子達五年三十二己巳等丁酉戶口相凖 [周俠無改印][羅州牧使之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咸豊二年 月 日羅州牧考壬子成籍戶口帳內荷衣島於㤙村住第一統第二戶閑良金達五年四十四己巳 本金海父閒良 聖仁祖閒良 弼奉曾祖閒良 尙巾外祖閒良 朴得大 本密陽妻黃姓年三十九甲戌 本長水父閒良 碩用祖閒良 憲曾祖閒良 無知外祖閒良 鄭美 本慶州率弟達表年二十七丁亥等己酉戶口相凖 [周俠 字改印][羅州牧使之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咸豊八年 月 日羅州牧考戊午成籍戶口帳內荷衣島於恩村住第七統第一戶▣…▣父閒良 聖仁祖閒良 弼奉曾祖閒良 尙巾外祖閒良朴得大本密陽妻黃姓年四十五甲戌本長水父閒良 碩用祖閒良 憲曾祖閒良 何智外祖閒良鄭 美本慶州率弟達表年三十二丁亥等乙卯戶口相凖 [周俠 字改印][羅州牧使之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3년 최봉구(崔鳳球)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崔鳳球 寶城郡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72 1813년에 최봉구(崔鳳球, 36세, 崔啓鳳에서 改名)가 보성군(寶城郡)에서 발급받은 준호구. *주소: 龍門面 第四里 篁園洞 第一統 第四戶 *가족사항: 奉祖母 密陽朴氏(76세), 母 李氏(61세), 妻 平康蔡氏(27세), 弟 鳳圭(28세), 子 左昇(6세), 億昇(3세), 侄 右昇(6세), 三昇(3세) *소유노비: 逃奴 1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6년 최봉규(崔鳳圭)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崔鳳圭 寶城郡守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72 1816년에 최봉규(崔鳳圭, 31세)가 보성군(寶城郡)에서 발급받은 준호구 *주소: 龍門面 龍溪村 *가족사항: 奉母 李氏(64세), 妻 光山金氏(36세), 兄嫂 平康蔡氏(30세), 子 佑昇(9세), 侄 佐昇(9세), 億昇(6세) *소유노비: 婢 1口 *상태: 우측 하단 일부 결락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병술년 예방(禮房) 김영권(金英權) 고목(告目) 고문서-서간통고류-고목 金英權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병술년 6월 16일에 예방 김영권이 전라도관찰사가 봄과 여름에 일곱 곳의 지방관 근무성적을 평가한 포폄 내용을 베껴서 올린 보고서 병술년 6월 16일에 예방(禮房) 김영권(金英權)이 전라도관찰사가 봄과 여름에 일곱 곳의 지방관 근무성적을 평가한 포폄(褒貶) 내용을 베껴서 올린 보고서이다. 문서에 기재되어 있는 곳은 전라도관찰사 관할 지역 중 일곱 곳으로 상(上)의 성적을 받은 지방관은 다섯이고, 중(中) 성적을 받은 지방관은 둘이다. 각 지방관의 표폄 내용을 보면, 창평(昌平縣)은 '아전과 백성이 (나쁜 짓을 하기) 두려워하고 꺼렸다', 광주목(光州牧)은 '아전들이 그 신명함에 탄복하였다', 담양부(潭陽府)는 '글 읽는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옥과현(玉果縣)은 '청렴하게 정치를 하였다', 동복현(同福縣)은 '엄격하고 명백하게 다스렸다'는 내용으로 상(上) 성적을 받았다. 그리고 고창현(高敞縣)은 '과오를 적게 범하였다', 제원(濟源)은 '자질구레한 일에 미혹되었다'는 내용으로 중(中) 성적을 받았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寄舍弟月前答書 卽傳于本倅 家使之速傳矣 追後探知 則因其下便之遲滯 今初二日出付云爾 則想未知得覽矣間後多日 歲除不遠省節連爲安穩 而慈主氣力 大無損攝率下大都均吉 倂溯切切 有倍常品 此中姑依客狀而已 或科㠯明秋退行 事已著於政記 則吾之科事 可謂狼貝也留連之意 都在於科 而過夏之時 擬於秋科 而當秋則退於明春 過冬之時 擬於春科 而當今則又退於明秋 卽欲可去 隆寒雪程 難作發行 惟期開春庭試後啓行耳 保宗之訴 爲可謂越津之事也渠以巡營之托 敢起理外之訟 彼不過爲好訟之人也 然而今世上事 不可以測者人心 而以曲爲直以虛構實 人或信聽 況▣日營托者乎 吾今在京爲慮萬端 方其呈訟之時 何以決處耶 想不至落科 而事必歸正矣 且坡州宗孫 適爲那行 而果到否保宗之隻 卽是坡宗 則如許之訟 想應善處 而建祠事果是確論而收錢耶永植課讀 使之勸勉 幸勿浪遊也 曩書之後 久未聞信 於其遠在之道 悶㭗悶㭗 蟄伏客撓 艱草不具臘月初九日 舍兄 書那處中人等處 若有同知加資幸得則探知然後 詳示如何此書覽之後 卽卽修答 付于官便爲好耳 白紙二三卷 買送如何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