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843년 전양수(全陽秀) 산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沈樂彬 全陽秀 沈樂彬<着名>, 張行權<着名>, 金璟洪 喪不着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118 1843년 5월 11일에 심낙빈이 전양수에게 산지를 매매하면서 작성해 준 명문. 1843년(헌종 9) 5월 11일에 심낙빈(沈樂彬)이 전양수(全陽秀)에게 산지를 매도하면서 발급한 명문(明文)이다. 전양수는 매매명문에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증조의 산소가 쌍암면(雙巖面) 상도(上道) 노구치(老嫗峙) 방축동(防築洞) 신태룡하(辛兌龍下) 유좌(酉坐) 방향의 언덕에 있다. 그러나 고조와 증조부의 위토(位土)가 전혀 없으므로 제사를 모시기 어렵고 이번 봄은 살아가기가 너무 어렵기에 산지의 일부를 판다고 하고 있다. 팔고자 하는 지역은 유좌(酉坐) 방향의 언덕의 산소 용미(龍尾) 위쪽 파손된 지점의 한 자락 토지와 금양(禁養)하는 앞 뒤의 지점이다. 가격은 동전 150냥이다. 증인으로 장행권(張行權)과 필집으로 김경홍(金璟洪)이 문서 작성에 참여하고 있다. 이 문서에는 중앙 부분에 '효주(爻周)'라는 글자가 굵고 큰 글씨체로 쓰여 있다. 이는 이후에 벌어졌던 보성(寶城)의 전씨 집안과 쌍암면의 배씨 집안 사이의 산송에서 이 거래가 잘못된 것이라는 처분이 있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667년 배유화(裵幼華) 고신(告身) 고문서-교령류-고신 顯宗 裵幼華 施命之寶(9.0×9.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667년에 김천도 찰방 배유화에게 조봉대부(종4품)의 품계를 제수하는 고신 1667년(현종 8) 9월 11일에 김천도(金泉道) 찰방(察訪)인 배유화(裵幼華)에게 조봉대부(朝奉大夫)의 품계를 제수하는 고신(告身)이다. 김천도는 경상도 김산(金山)의 김천역(金泉驛)을 중심으로 역도(驛道)로서 찰방은 종6품직이다. 조봉대부는 종4품 하계에 해당하는 품계명이다. 발급일자 좌측에 '丁九別加'라고 작은 글씨로 쓰여 있다. 이는 정미년(1667) 9월에 특별히 가자(加資)받았다는 의미이다. 배유화(1611~1673)는 조선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경주(慶州), 호 팔사(八斯)이다. 시와 그림에 조예가 깊었고, 저서로는 『팔사유고(八斯遺稿)』가 있다.1)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참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日 永川郡▣…▣奉香里望洞里 住戶 幼學 裵幼章 年▣…▣慶州 父 贈宣敎郞司憲府監察行宣務郞軍資監直長紉芷 生父 通▣…▣▣…▣祖 贈嘉善大夫禮曹參判兼同知經筵▣…▣均館事弘文館提學藝文館提學世子左副賓客行通政大夫羅州牧使綾州鎭▣…▣使宣武原從一等功臣應褧 曾祖 贈資憲大夫刑曹判書兼知義禁府▣…▣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金聃老 本義城 妻 琴氏 年四十八己未生 籍奉化 父進士▣…▣將軍行龍驤衛副護軍復古 曾祖 成均進士軔 外祖 贈嘉善大夫戶曹▣…▣禁府事行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金繼善 本禮安 率子 幼學▣…▣氏 年二十四癸未 籍慶州 率奴順立 年二十七庚辰生 父奴貴一 母婢▣…▣婢戒介 年二十五壬午生 父不知 母婢愛眞 奴萬立 年三十三甲戌生 父▣…▣婢順今 年二十四癸未生 父奴貴一 母婢愛介 婢奉女 年二十二乙酉▣…▣欣金伊 婢於里介 夫無 奴李生 年十九戊子生 乙巳年逃亡 父兩班李▣…▣婢▣…▣年十七庚寅生 父奴一世 母良▣▣▣ 夫無 婢愛代 年十五▣▣生 父私▣▣▣ 母婢復今 夫無 婢順今一所生婢玉心 年二乙巳生 婢愛女一所生奴▣…▣▣…▣奴元一 奴權生 年四十丁卯生 父奴權日伊 母良女彦今 妻私婢▣永介 ▣…▣人件里金 母婢寅香 婢先玉伊 年十八己丑生 私奴寅卜 母▣…▣▣…▣生 年十八己丑生 父私奴閏世 母婢件里德 妻無 奴禮金伊 年十五壬辰生 父母上同 奴禮奉 年八己亥 父母上同 婢錦玉伊 年二十五 壬午生▣…▣▣…▣婢丁玉▣…▣準給者率奴 龍介 年三十一▣…▣禮逢 年二十六▣…▣父私奴▣…▣▣…▣父母上同▣…▣婢▣今 年三十▣…▣婢▣…▣婢▣…▣婢戒心年▣…▣奴允上逃亡奴▣…▣乙酉▣…▣父母上同二十六丙申 父母上同▣…▣▣…▣父母上同▣…▣婢錦玉年▣…▣▣…▣[周挾無改印][印]郡守 [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교령류

1801년 이정간(李挺榦) 고신 및 소첩(小帖) 고문서-교령류-고신 純祖 李挺榦 施命之寶(9.0×9.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01년에 이정간에게 절충장군(정3품 당상)의 품계를 내리는 고신과 소첩이다. 1801년(순조 1)에 이정간(李挺榦)에게 절충장군(折衝將軍)의 품계를 내리는 고신(告身)이다. 이를 발급한 내역을 명시한 소첩(小帖)이 가철되어 있다. 절충장군은 서반 품계로 정3품 당상에 해당한다. 고신에는 발급한 연도와 일자가 적혀 있지 않다. 소첩은 수원부유수(水原府留守)가 1801년 7월에 이정간에게 발급하였다. 수원부의 공역에 힘을 들인 사람에게 발급한다고 적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666년 배유장(裵幼章)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榮川郡守 裵幼章 □…□(7.0×7.0), 周挾無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666년에 영천군에서 배유장에게 발급한 준호구. 1666년(현종 7)에 영천군(永川郡) 관아에서 배유장(裵幼章)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이다. 작성 연대가 기재된 부분이 결락되었으나, 기재된 구성원의 생년과 나이를 비교해 보면 병오년에 작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작성연대는 배유장이 생존한 시기의 병오년인 1666년으로 볼 수 있다. 거주지는 봉향리(奉香里) 망동리(望洞里)이다. 호주의 나이와 생년 본관 기재 부분은 결락되어 있다. 호주 이외에 호주 이외에 호주의 사조(四祖), 처 금씨(琴氏, 48세 기미년생, 본관 奉化)와 처의 사조의 인적사항이 기재되어 있다. 아들과 며느리도 있으나 해당 부분이 결락되어 있다. 문서 하단에는 거느린 노비의 인적사항이 도망간 노비까지 함께 적혀 있고, 본문과 다른 글자체로 노비의 인적 사항이 추가로 적혀 있으나 마멸이 심하여 판독하기 어렵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정축년 벽진이씨(碧珍李氏) 연길단자별지(涓吉單子別紙) 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碧珍李氏 査頓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773 정축년 12월 8일 신부측인 벽진이씨가 신랑측에 보낸 연길단자의 별지 정축년 12월 8일 신부측인 벽진이씨가 신랑측에 보낸 연길단자의 별지이다. 노란색의 작은 종이이고, 경신생(庚申生) 관례일(冠禮日)이 적혀 있다. 관례일은 혼례 날짜 하루 전인 정축년 12월 12일이고 가관(加冠)은 오시(午時)로 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庚申生冠禮日元吉丁丑十二月十二日乙巳加冠午時汲水坐次衣章先置于壬丙方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涓吉單子)奠雁十一月二十六日庚寅庚辰十月二十九日寧越辛[着名](皮封)涓吉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涓吉單子)奠雁十月二十一日甲子原甲午九月二十五日月城崔[着名](皮封)鄭生員 下執事謹拜謝上狀 謹封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物目單子)物目衣籠 壹駄箱子 壹駄函 壹座兩絲法丹上衣 壹件松嶋丹上衣 壹件官紗上衣 壹件羅丹上衣 壹件玉洋木上衣 壹件苧布靑色下衣 壹件玉洋木下衣 壹件靑木下衣 壹件本木靑色下衣 壹件麻布靑色下衣 壹件紬絲 壹封端絲 壹件面鏡 壹介釵 壹介京粉 壹桶月梳 貳介剪子 壹介鞋 壹足溺江 壹介紬本木 貳匹金 拾參円際丙寅三月十三日(皮封)査兄棣座 下執事謹拜上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坤未龍坤坐艮向運壬辰水忌土仙命甲子乾 主喪子庚子 孫甲子辛未己卯舊坤命乙丑 婦己酉 婦■■己未安葬二月十二日甲辰下棺辛時斬破正月二十八日午時先南開金忌六申穴深問地師開舊壙二月初十日辰時先南破壙亦同月初十日巳時先南正月二十八日卯時先南出柩 隨時 辛巳金發引 王德在龍坐 辛卯木停柩 甲庚方 甲辰火取土 壬申金勿伏方巳午未地忌命甲戌庚戌等生下棺時少避周堂空(皮封)葬課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嘉慶二十四年 月日羅州牧考己卯成籍戶口帳內荷衣魚㤙住第二統第六戶閑良金聖仁年五十二己丑本金海父閑良 弼逢祖閑良 尙巾曾祖閑良 延伯外祖閑良 金節順 本金海妻朴氏年四十四本密陽父閑良 得大祖閑良 敬漢外祖閑良林春逢 本羅州率子達五年十一己巳等丙子戶口相凖 [周俠 字改印][羅州牧使之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祭文)維歲次戊申二月丁巳朔二日戊午世下生朴準基謹具酒果之奠敢昭告于故處士徐公象生几筵之下嗚乎 公以淵源古家詩禮名門稟端方剛直之氣服游從講磨之資風儀標致聞望聲猷偉然爲士林之模範卓然爲吾黨之冠冕嗚乎 公之於鄙先君同庚也同志也源源密勿十年于玆而先君已謝世矣哀此餘生之所以倚仰其不在於先君平日之友乎 公何以不爲之少延而遽棄斯世也耶準基年歲以來沈淹奇疾不出戶庭久矣是以歿未飯含葬未執紼日月荏苒終期在邇辜負幽明實有餘憾敢此緘辭謹以告訣嗚乎哀哉尙饗(皮封)祭文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祭文)維歲次庚戌四月乙酉朔初四日戊子迺我故再從姪處士公朞祥之辰也前夕丁亥再從叔鍾元謹將不腆之具哭訣于靈儀之前日嗚乎我公之喪忽已一周矣日月何遄人事何變入門而庭園依舊升堂而圖書猶存而音容之在目在耳者亦且日遠而日閟則公其烟消雲散而都不知世間悲歡耶此生此世其將不可復接耶嗚乎家門不祚先行已盡遺風莫憑而吾所以依賴而保全者皆公之賜也公以十世之承祊持身行己一遵古家模範處人接族靡不實心愿款以盡其慇懃之意是固宗黨之所推詡者也向歲從兄主下世後家內冗務主責於我而至於田庄之管理耕之獲之一切擔負者已有年所則非謂信我也實由愛我之篤也相愛相恃擬以百年矣奈何一祟數月沈綿年未六旬奄忽至此也以公孝慈宜有不瞑之恨在在矣有老在堂有子議親人世爲子爲父之道重重未了則福善之天果如是未驗所是固知舊之所齎咨痛惜况吾情地如何不痛之切哀之深哉嗚乎哀哉尙饗(皮封)玉溪靖座執事坪城謹謝狀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嘉慶二十一年 月日羅州牧考丙子成籍戶口帳內荷衣於㤙住第二綂第六戶閑良金聖仁年四十九本金海父閑良 弼逢祖閑良 尙巾曾祖閑良 延伯外祖閑良 金節順 本金海妻朴氏年四十一丙申 本密陽父閑良 得大祖閑良 敬漢外祖閑良林春逢 本羅州率子達五年八己巳等癸酉戶口相凖 [周俠 字改印][羅州牧使之印]牧使[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경자년 태복(太馥) 간찰(簡札)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太馥 族人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자년 5월 29일에 족손 태복이 영감 품계에 있는 족조에게 자신이 이번 정월에 광주사에 부임하였다는 소식과 광주현에서 가는 선비 이응훈은 평소 자신과 절친한 사이이므로 정성껏 보호해 주실 것을 부탁하는 내용 및 1월에 산동리의 재종숙모의 부고와 3월에 영광 큰 아버님의 부고 소식 등을 전한 간찰 경자년 5월 29일에 족손(族孫) 태복이 영감 품계에 있는 족조(族祖)에게 자신이 이번 정월에 광주사에 부임하였다는 소식과 광주에서 가는 선비 이응훈(李應薰)은 평소 자신과 절친한 사이이므로 정성껏 보호해 주실 것을 부탁하는 내용 및 1월에 산동리(山東里)의 재종숙모(再從叔母)의 부고와 3월에 영광(靈光) 큰 아버님의 부고 소식 등을 전한 간찰이다. 작년에 서울에서 뵙고 헤어진 뒤로 안부를 들을 길이 없어 매우 안타까웠다는 내용, 영감의 관직 생활은 모두 편안하시고 고향의 안부도 종종 편안하다는 소식을 받는지 묻고 매우 그립다는 내용, 자신은 이번 1월에 광주사(光州司)에 부임하여 지내는 상황은 여전하지만 어버이의 건강이 오랫동안 좋지 못한다고 하여 먼 곳에 있으면서 속이타는 마음을 형용하기 어렵다는 내용, 자신이 있는 곳에서 가는 선비 이응훈은 평소 매우 절친한 사이인데 『선원보략(璿源譜略)』에 올릴 단자를 거두는 일로 마침 상대방 군(郡)으로 들어가게 되어 이렇게 편지로 아뢰니 바로 그를 맞이하여 만나 주시고 일마다 정성껏 비호해 주기를 간절히 바란다는 내용, 정월 즈음에 산동리(山東里)에 사는 재종숙모가 돌아가셨는데 혹시 알고 있는지를 묻고, 3월 즈음에 영광에 사는 큰 아버님도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전하는 내용 등을 담았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서간통고류

〈自封〉謹再拜上候䟽稽顙言 伏承○下覆 良爲下情之感荷 謹伏審伊間叔母主氣力安寧 而侍中棣體候萬康 大小諸節均休云 伏哀賀區區下忱 罪內弟頑縷堇支 餘無伏達 就悚李戚貿來麻布 旣以百金戔持去 而其言內曰 興成之場 以幾許疋 折價之時 或入於百金之內 則無妨矣 出於百金之外 則初面座上 極難請弟修札 故向書中 以告有零數 期日出給矣 今聞則近五十緡零星云 於弟偶得大端費力之端 則預爲關慮處矣彼不可食言 失滯於弟處 則這間乘時 出末伏計 勿爲○下慮 如何 彼雖浪盡 不敢於罪弟 故以初五日內 沒數備納之意定限則弟之晉拜 以晦日的定矣 拘此出辦 以初五日 晉拜伏計耳 ○下敎甕器 招致店沃下問 則此村店漢 一窟器統買以去云 故伏未副○敎 若急則從當貿上伏計耳 且有花醴之最品者 故伏呈 此器則二升蜜封置 價文其時伏呈矣 或有手足 則以晦間送蜜 而回程甕器負去 而似見催促之道於彼處矣 若無手足 則因存以待弟行 伏企伏企耳 餘謹不備上候䟽卽旋 罪內弟 炳朝 䟽上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67년 이철현(李嚞鉉) 원정(原情)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李嚞鉉 宗親府 宗親府<押> 宗親府印 3顆(9.0×9.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20 1867년 4월에 담양부에 사는 동지중추부사 이철현이 자신의 선조 묘소 구역 내에 투장한 3인을 벌하고 투장묘를 파 옮기도록 전라감영과 담양부에 관문을 보내달라고 청원한 원정 1867년(고종 4) 4월에 담양부(潭陽府)에 사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이철현이 종친부(宗親府)에 청원한 원정이다. 이 문서는 1866년 두 차례에 이어 다시 종친부에 호소한 것으로, 이철현이 그의 선조 묘역 내 금양지(禁養地)에 담양부 서리 최인형(崔仁炯)이 단청룡(單靑龍)에, 박흥준(朴興俊)이 주맥(主脉) 위에, 순창(淳昌) 사람 김재무(金在懋)가 용미(龍尾) 위에 투장한 것을 고발한 것이다. 그들이 투장하자 여러 차례 전라감영과 담양부에 호소(呼訴)하여 그들이 바친 다짐[侤音]과 수기(手記)가 축(軸)을 이루었으나 세 사람은 가난하고 힘없는 이철현을 멸시하여 끝내 묘를 파가지 않았다. 이 때문에 이철현은 담양부에 청원하여 처분을 내려 파가도록 하였으나 미루면서 파가지 않았다. 이에 종친부에서 전라감영과 담양부에 관문을 보내 투장한 세 놈을 형벌(刑罰)하고, 담양부에서 투장한 세 묘를 파 옮기도록 처분해줄 것을 청원하는 내용이다. 이 원정을 접수한 종친부는 4월 17일에 '전라 순영(巡營)에 관문을 보내 감결(甘結)로 해당 고을에 신칙하게 할 것'이라는 처분을 내리고, 종친부 당상이 서압(署押)하고 종친부 관인(官印)을 찍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8년 정기현(鄭箕鉉) 호적표(戶籍表) 고문서-증빙류-호적 順天郡守 鄭箕鉉 □…□(4.5x4.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1152 1898년에 순천군에 사는 호주 정기현이 인쇄된 양식에 따라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가택 현황 등을 기록하여 관에 제출한 뒤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호적표 1898년(광무 2)에 순천군에 사는 호주 정기현이 인쇄된 양식에 따라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가택 현황 등을 기록하여 관에 제출한 뒤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호적표이다. 1896년 「호구조사규칙」과 「호구조사세칙」이 시행된 이후 사용된 호적표 양식에 기록되어 있다. 정기현의 거주지는 전남 순천군(順天郡) 황전면(黃田面) 산령리(山嶺里)이다. 올해 나이는 78세이고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직업은 유학(幼學)이다. 유학은 조선시대에 직역의 하나로 인식되었으나 정해진 호적표 내에 직역 기재란은 없고 직업으로 바뀌었으므로 그냥 유학이라는 직역을 써넣었다. 정기현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학생 시호(時浩), 할아버지 학생 인찬(仁燦), 증조(曾祖) 학생 상수(相壽), 외조(外祖) 학생 정지문(丁志文) 본관은 영광(靈光)이다. 가족으로는 아내 이씨 나이 78세 본관 경주, 아들 유학 영진(永震) 나이 49세, 며느리 박씨 51세 본관 밀성(密城)이다. 현존 가족 수는 남자 2인, 여자 2인 모두 4인이며, 가택(家宅)은 초가 3칸이다. 호주 정기현과 그의 아내 이씨의 나이가 1897년과 동일하게 기재되어 있으며, 문서의 발급 연월 위에 순천군수(順天郡守)의 관인(官印)이 찍혀있다.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