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二十年 月 日 羅州牧考甲午成籍戶口帳內新村面龍頭里住第一統第一戶幼學羅燾臣年四十八丁未 本羅州父學生厚集祖幼學時完曾祖學生聖采外祖學生李顯彬 本咸豊妻鄭氏齡四十八丁未 籍羅州父幼學仁赫祖學生基杓曾祖學生麟運外祖學生梁錫圃 本濟州 率子徽瑞年戊辰仰役婢永德甲寅生等 甲午戶口自首者行牧使[관인] 1[周挾字改印]○ 연결문서1816년 나성채(羅成采) 준호구(准戶口)1819년 나성채(羅成采) 준호구(準戶口)1825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28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31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34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0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3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6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55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61년 나시완(羅時完) 준호구(準戶口)1872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76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79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85년 나도식(羅燾植) 준호구(準戶口)1888년 나도운(羅燾雲) 준호구(準戶口)1894년 나도신(羅燾臣)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乾仙命戊辰木 子乙卯 孫婦丁未 曾孫戊辰 玄孫乙巳坤仙命辛巳金 婦乙丑 次辛亥 婦戊辰 丁未寡丁巳 婦丁巳 孫己卯 丁未寡癸亥 寡癸亥 婦庚辰寡乙丑 孫癸未次甲子 癸未婦辛未 戊子孫乙丑 壬辰孫戊寅 甲午婦戊寅 乙未孫乙酉 丙申婦 戊戌孫乙酉 乙巳婦孫乙酉孫癸巳孫丁未葬山乾亥龍辛戊轉身癸入首子坐午向 宣申水歸午丁三運(一六水) 正丙辰土 泊在乾 司令戊土洪丙辰土斬開設穽同日戌時安葬戊申十月■■■■■〔十八日庚午〕初九日辛酉透地戊子戊子三分 分金庚子庚午虛八度永川穴深五尺二寸下棺同日■〔子〕丑時停伏取土甲庚方啓墓(前)同日辰時先破西方發{車+引}隨時二冲■■■■■■■〔壬戌丙子甲子生〕庚辰乙卯辛卯生出柩下棺小避歲壓二釣天光勾陳日的月差諸条無忌造命戊申文木包癸亥文木生辛酉財火生己丑元土衰造命戊申文木包癸亥文木生庚午孫水胎丙子財火胎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龍門面居崔錫衡右謹陳所志事段矣身亡母山基址白也面蘇乃日欲奪故八月日呈訴受 題音到付於白也面尊位及平化村洞任趁時査實論報而因上京 行次不得入呈故今玆帖連面報仰訴爲去乎 處分爲只爲行下向敎是事使道主 處分己未十一月日〈題辭〉雖有面任與洞任之査報此亦不可全信更爲査實處分次蘇乃日捉待事狀者卅日官[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첩관통보류

기미년 보성군(寶城郡) 백야면(白也面) 면임(面任) 등 첩정(牒呈) 고문서-첩관통보류-첩정 白也面 面任 劉氏 寶城郡守 尊位 劉<着名>, 洞任 金<着名> □…□(7.0x2.9)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56 기미년 8월에 보성군 백야면 수중산의 산지를 놓고 벌인 최형석과 소내일의 소송에 대해 마을의 존위와 동임이 조사하여 군수에게 보고한 첩정. 기미년 8월 28일에 寶城郡 白也面 尊位인 劉○○와 平化村의 洞任인 金○○가 寶城郡守에게 올린 牒呈이다. 이 첩정은 朴奎恊과 蘇乃日이 벌인 산송에 대해 조사하여 보고하라는 군수의 지시에 따라 올린 문서이다. 먼저 문서 서두에 龍門面에 사는 최석형이 呈訴한 내용과 이에 대한 수령의 처결을 다음과 같이 간략히 인용하고 있다. "용문면의 崔錫衡이 呈訴한 내용에서 '白也面의 水中山은 朴奎恊의 基址입니다. 을묘년 5월에 문서를 작성하고 매입하여 죽은 어머니를 장사지냈습니다. 禁養하는 구역 안에는 蘇乃日의 조상 무덤이 있습니다. 박규협이 基址를 매입할 때 蘇民(소내일)의 아버지가 함께 참여하여 보았는데 처음부터 한 마디 말도 없었습니다. 그런데 이 소내일이 그의 아버지가 죽인 이후에 갑자기 와서, 박씨 양반이 살아 있을 때 그(소내일)가 장사 지낸 곳을 교환하여 매입한 문서가 있다고 말하였습니다. 그러면서 박규협이 매입한 基址를 빼앗으려 하고 있습니다. 사실을 조사하여 금지시켜 주십시오.'라고 정소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題音에서 '과연 호소하는 바와 같은시 실상을 들어 조사하고 보고하게끔 하여 처결하겠다.'라고 하고 면임과 동임에게 지시였습니다."라고 하였다. 수령이 내린 지시에 따라 白也面 尊位와 平化村의 洞任은 조사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보고하고 있다. "수중산은 박규협이 여러 대 동안 장사를 지냈으며, 산 아래 거주하며 여러 해 동안 지켜온 땅입니다. 중간에 3차례를 나누어 소나무를 팔았고 마을 사람들에게 나무 일을 시켰는데, 그때 蘇民은 애초부터 그 땅을 금양한다는 말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을묘년에 땅을 매매할 때 蘇民의 아버지는 마을의 老少와 더불어 동참하여 문서를 작성하였으며, 基址라는 논의는 듣지 못하였습니다. 蘇民이 오늘날 고집을 부리는 이유를 알 수 없었기에 蘇民에게 살펴 물어보았습니다. 그러자 그의 선산이 朴民(박규협)의 基址 서쪽에 있고, 그 북쪽 변은 그의 灰場이었는데 이를 박규협과 교환하여 매입하였고, 그때는 아버지가 살아 계실 때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극히 가까운 基址를 멀리 있는 灰場과 바꾸었다는 것은 필시 이치에 맞지 않습니다. 그리고 換買한 문서가 있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그 문서를 살펴보았습니다. 證筆인 趙仁球는 面에 원래 그런 사람은 없고, 증인인 劉邦澤은 현재 面任의 삼촌숙이었지만 을미년에 죽었습니다. 경자년에 문서를 작성했는데 어찌 5년 전에 이미 죽은 사람이 증인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까. 문서를 위조하였음을 여기서 판별됩니다. 또 병진년 1월에 올린 所志 한 장을 제출했는데, 박규협이 자기의 선산 基址를 팔았다고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실을 조사하기 위해 박규협을 잡아 오라는 관아의 처결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4년 동안 어째서 인지 한 번도 대변하였다는 말이 없습니다. 아마 박규협이 출타하였다가 돌아오지 않았을 대를 엿보아 이렇게 고집을 부려보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라고 하였다. 즉 존위와 동임은 박규협의 주장에 힘을 싣고 있으며, 소내일이 제출한 換買 문서는 위조라고 판단하고, 소지의 내용을 볼 때 그 자신이 이치에 맞지 않음을 알고서도 고집을 부리는 것 같다고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4년 최민정(崔旻廷)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寶城郡守 崔旻廷 行郡守<押> 寶城郡守之印(6.5x6.5), 周挾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72 1864년에 보성군(寶城郡)에서 최민정(崔旻廷, 57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주소: 玉巖面 第 里頭瑟村第 統第 戶 *가족사항: 奉母 蔡氏(78세), 子 鍚衡(38세), 婦 耽津崔氏子(37세), 子 鍚嵂(35세, 錫祺로 改名), 婦 光山金氏(35세), 孫 宗出(12세), 孫 富出(10세), 貴出(10세), 傑出(7세), 善出(7세) *소유노비: 奴婢 14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9년 나성채(羅成采)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巖郡守 羅成采 行郡守<押> □…□(6.5×6.5),周挾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814 1819년(순조19)에 영암군(靈巖郡)에서 나성채(羅成采, 39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1819년(순조19)에 영암군에서 북일시면 냉천동(현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영보리)에 사는 나성채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이다. 나성채는 39세이고, 신축년(1781)생이며, 본관은 나주이다. 아버지는 나언회(羅彦晦)이고, 조부는 나종유(羅宗有)이며, 증조부는 나두남(羅斗南)이다. 외조부는 정익성(鄭益成)이고,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아내는 김씨(金氏)로, 나이는 41세이고, 기해년(1779)생이며, 본관은 김해이다. 김씨의 아버지는 김운흥(金運興)이고, 조부는 김윤상(金胤商)이며, 증조부는 통덕랑(通德郎) 김시규(金始圭)이다. 외조부는 김이서(金履瑞)이고, 본관은 면성(綿城, 현 전라남도 무안)이다. 아들은 나용득(羅龍得)으로 나이는 12세이고, 무진년(1808)생이다. 노비는 앙역(仰役)노비 1명이고, 이름은 채덕(采德)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嘉慶二十四年己卯月日 靈巖郡考丙子戶口成籍帳內 北一始面永保冷泉洞里 第一統統首羅成采第一戶 幼學羅成采 年三十九辛丑 本羅州父學生彦晦祖學生宗有曾祖學生斗南外祖鄭益成 本晉州妻金氏齡四十一己亥 本金海父學生運興祖學生胤商曾祖通德郞始圭外祖學生金履瑞本綿城率子龍得年十二戊辰賤口秩 仰役婢采德年三十等 丙子戶口自首者行郡守[署押][周挾字改印]○ 연결문서1816년 나성채(羅成采) 준호구(准戶口)1819년 나성채(羅成采) 준호구(準戶口)1825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28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31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34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0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3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6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55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61년 나시완(羅時完) 준호구(準戶口)1872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76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79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85년 나도식(羅燾植) 준호구(準戶口)1888년 나도운(羅燾雲) 준호구(準戶口)1894년 나도신(羅燾臣)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九曲將窮眼豁然桑麻雨露見平川漁郞更覓桃源路除是人間別有天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1706년 의인이씨(宜人李氏) 분급문기(分給文記) 2 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宜人李氏 羅晩命 羅斗冬<着名>, 金珝<着名>, 金瓚<着名>, 金珽<着名>, 羅晩運<着名> 宜人李氏(4.5×4.8), □…□ 3顆(6.0×6.0),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831 1706년 2월 27일에 계모(繼母)인 의인이씨(宜人李氏)가 죽기 전에 나만명(羅晩命) 등 3남매(男妹)에게 노비(奴婢)와 전답(田畓)을 상속해 주면서 작성한 분급명문(分給明文). *사유: 목숨도 얼마 남지 않고 남편의 遺言이 있어서 *대상: 家翁考妣祭位條(奴婢 2口, 田畓 약32斗落), 家翁內外祭位條(奴婢 1口, 田畓 약18斗), 翁前室亡子晩復祭位條(田畓 4斗5卜5束), 長女婿學生高璟衿(奴婢 2口, 田畓 약12斗), 次女婿幼學金壽益衿(奴婢 1口, 田畓 약13斗), 子晩命衿(奴婢 6口, 田畓 약25斗) *참여자: 財主 繼母 宜人李氏, 證 家翁同姓八寸弟 生員 羅斗冬, 家翁異姓三寸姪 幼學 金珝, 家翁異姓三寸姪 幼學 金瓚, 家翁異姓三寸姪 幼學 金珽, 筆 家翁同姓七寸姪 幼學 羅晩運 *背面: 1751년 2월에 務安縣에서 高益晉이 외가에서 받은 奴 好生의 良妻 소생 奴婢 2口와 그 後所生을 魯行三에게 7냥을 받고 방매한 사실을 증빙하는 背頉斜給立案이 표기 *상태: 앞부분 일부 결락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1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망인 미상의 장택기 망자의 생년간지나 주상(主喪)의 생년간지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비교적 간략한 형태의 장택기이다. 분금(分金)은 시신을 묻을 위치를 말하고, 안장(安葬) 날짜는 무신년 11월 19일이다. 하관(下棺)의 시각, 혈심(穴深), 취토(取土)의 방향, 파묘(破墓)의 날짜와 시각, 그리고 먼저 손대는 방향, 발인(發引), 정구(停柩)의 방향 등이 쓰여 있다. 호충(呼冲)은 입관과 계빈(啓殯)할 때 일진과 맞지 않는 생년을 기록하는 것으로 피기(避忌)라고도 하는데, 이 경우는 정미, 을미, 기미 등의 생년 사람은 하관할 때 피하라고 되어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1874년 귀남남유록(龜南南遊錄) 고문서-치부기록류-일기 李載晩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74년(고종 11) 초가을에 종씨인 니동의 교리 신암 이재만이 강진 고호 고금도에 유배되어 박 오위장 집에 머물고 있어, 11월 3일에 유배지로 가서 위로해 주고자 현재 나주인 금성에서 출발하여 유람하면서 지은 7언율시 19수와 5언절구 1수를 적어놓은 「귀남남유록」 1874년(고종 11) 초가을에 종씨(宗氏)인 니동(泥洞)의 교리 신암(新岩) 이재만(李載晩)이 강진 고호(古湖) 고금도에 유배되어 박 오위장(朴五衛將) 집에 머물고 있어, 11월 3일에 유배지로 가서 위로해 주고자 현재 나주인 금성(錦城)에서 출발하여 유람하면서 지은 7언율시 19수와 5언절구 1수를 적어놓은 「귀남남유록」이다. 7언율시 19수 중 17수의 제목은 「자금성월영산진(自錦城越{氵+穎}山津)」, 「과영암군망월출산(過靈岩郡望月出山)」, 「강진도중(康津道中)」, 「석제마도(夕濟馬島)」, 「월야입고호(月夜入古湖)」, 「잠류건천용지동(暫留乾川龍池洞)」, 「근차신암(謹次新岩)」, 「임별우증신암(臨別又贈新岩)」, 「모저장흥객산(暮抵長興客山)」, 「체우청포(滯雨靑浦)」, 「남지야숙보성압포치(南至夜宿寶城鴨抱峙)」, 「지후회기정서돈륜(至後會旗亭叙惇倫)」, 「능성객중우음(綾城客中偶吟)」, 「과인물역등가옥치추모도사공유적(過人物驛登加玉峙追慕都事公遺蹟)」, 「화순판치우풍주저(和順板峙遇風蹰躇)」, 「지숙광산공북루(止宿光山拱北樓)」, 「증학암이첨사종호(贈鶴岩李僉使鍾浩)」이고, 5언절구의 제목은 「득진주갑학상귤(得珍珠甲鶴上橘)」이다. 이재만(1828~?)의 본관은 전주(全州)로, 부친은 이면응(李冕應)이고 할아버지는 문과 급제자 이상중(李相重, 1783~?)이며, 거주지는 포천(抱川)이다. 1871년(고종 8)에 알성시(謁聖試)에서 장원으로 급제하여 그해 3월에 수찬(修撰)에 제수되었는데, 1874년 7월 5일에 모친의 병으로 교대할 사람이 오기 전에 퇴근하였다. 이에 그 다음날인 6일에 이병두(李丙斗)의 원정(原情)에 적힌 허다한 불법적인 일로 섬에 유배되는 처분을 받게 되고, 7일에 의금부의 계사(啓辭)에 따라 전라도 강진현(康津縣)의 고금도(古今島)에 귀양보내라는 전교가 내려져 압송되었다. 이후 2년 뒤인 1876년 2월 27일에 고향으로 추방되었으며, 1879년(고종 16) 2월 9일에 석방되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龜南南遊錄 二十首甲戌初秋 泥洞校理載晩宗氏号新岩 來住康津古湖匪所 復月初三日 往欲慰懷 故自錦城發行風駈寒雨起雲瑞路指錦城山下官霜重湖天歸白雁酒夛村店集黃冠秋餘亭院(暫登風咏亭)蕭條過霽後林峦的歷看此地優遊非素志遙憑覊跡問平安自錦城越{氵+穎}山津望美幾登海上臺君(指新岩)今一世好風栽濟倉正稅常時貢{氵+穎}浦孤帆盡日來見篚島陲恒織錦龜碑山角剝生苦趁程忘却離家久雲水蒼蒼眼忽開過靈岩郡望月出山月岳西臨望北畿鄕書暫寄候鴻飛高樓面面流丹雘怪石層層滴翠微近海天開閑聘眺繞城雲宿憺忘歸遙知羈旅江湖迹何日長安詬/詣古闈康津道中■■(湖天)〔雲山〕行盡海天低遠樹茫茫日已西霜鬂驚秋飄髪鶴淸襟連夜照心犀平湖地坼三湘楚遙島烟消九點齊孤棹移停南浦界騷人遷客往來溪夕濟馬島小艇微掦灔灔波海門十里遠通河風流堪笑黃金盡歲月聊憐白髮多潮退寒汀驚鴈鶩泥平古渡動黿鼉行行强把忘憂物浩唱斜陽不醉何月夜入古湖湖天寂寞夜並風涉利孤帆小島東路入峯峦人自導地分陸海俗相通江深水月千尋白村邃松灯數点紅誰道仙緣求物外尋眞是處亦瀛蓬暫留乾川龍池洞(新岩所住朴五衛將家)環峯皆海海雲深龍洞覊窓竹樹陰元是交情如淡水晩來譊說反緘金山開太古淳風穆地隔瀛洲(濟州)閬月臨萍水偶成花樹會三宵相慰兩鄕心謹次新岩旅館暫留是德鄰光陰荏苒復雷辰湖南古島眞佳境斗北淸官㝡可人閱盡世情頭共白看來海色意全新萍蹤莫道斯間苦他日天門拜角巾新岩以小隱族兄參奉鳳植詩 示余要和 故因次其韻一別城南夢幾成他鄕獨樹見分明胡爲白地三省黜逖矣靑山萬里行泥鳳含來天詔杳沙鷗伴宿海風驚吾宗離合元相定落水歸程喜笑迎得珍珠甲鶴上橘三孔珍珠甲正宜供酒盃一片楊州橘淸秋騎鶴廻臨別又贈新岩龍池洞裏掩山扉忠悃新添化日輝歲暮人能思故國路漫難復寄寒衣淸春孤島村南貢消息遙天鴈北飛早晩恩綸應有降臨風驛路悵然歸暮抵長興客山短笻扶入客山峯頽臥寒牎睡意濃勝地異香傳品橘主人淸節伴孤松烟深樹古成村樣雨急風高掩海容惇叙天倫眞雅會敎兒行酒故留踪滯雨靑浦世間榮辱付天翁固守靈坮不失中靑浦迷茫寒樹擁白雲留宿暮途窮蝸庐客送三宵雨鵬海人占萬里風久曠定省思倍切庭幃幾日獻深衷南至夜宿寶城鴨抱峙雲裏旗亭問幾里前程風雨去遲遲鴨抱山前囙把酒鷄鳴夜半强吟詩林壑經來皆別界地雷動處是良時寒灯耿耿難成夢歸路淸譚亦好期至後會旗亭叙惇倫至後旗亭客淹留背山小屋壓溪流梅粧白雪虛庭立壺/壹係靑絲古社求五十里(自邑至旗亭五十里)四城北面兩三家在水西頭地雖甚遠情相近倫理從今足叙幽綾城客中偶吟詩能曠感寫眞玄木落山空絶磵邊鬱氣時思高漸筑知音誰奏伯牙絃文明休治期鴻業賢聖遺謨講蠹編勝地繁華人物驛悲今憶昔度芳年過人物驛登加玉峙追慕都事公遺蹟離家幾日自南灣路上行人指某山魂殿(英庙魂殿進旨)古庭餘蔭厚玉峯遺墓暮雲閑淸河晠世凝凞績禁府當年進賀班此地丁寧留毅魄能合後裔喜生顔和順板峙遇風蹰躇凍雲初散彩霞凝瑞石崔嵬幾百層故國微忠離漢水殊方高躅夢金陵(康津舊號)雪風有力能留客山路多疑試問僧這裡從看奇絶處道人先我已捫藤止宿光山拱北樓拱北樓高隔世氣幾人到此手相分前宵西眺靈岩丹今日東瞻瑞石雲竹性元非凡卉類鳳姿肯與衆鷄群時調律呂治如繡倚斗孤忠每祝君贈鶴岩李僉使鍾浩來留此地昔何年高闢軒門近海邊鶴洞家聲人自頌月城基緒世相傳龍淵新績閑雲裡馬島遺碑淡月前臨別江頭回利棹波安風定亦天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陽月十四日原門源痕樽雨餘晴月入郊原瀟洒幽居掩竹門一面溪山傳舊業百年雲物供詞源塵箱鱏食瓊琚字瘦稍鶴眠綵墨痕今夜團圓誠不偶寒泉數勺替淸尊 蓮溪待時高士自山原忽聽跫音急出門聯袂最關論正道對丌亦喜覓眞源曉簷宿去雲留約夜榻坐來月暎痕欲抱牙琴修晩契愧吾適未酌花尊 杏菴憐君才調好風流蒙聖山中擅一頭詩和淵明雲出句夢隨玉老夜歸舟砧鳴疎闇知寒序燈剪晴煙坐旅愁牙頰香生淸轉話書灰不寐數更籌 蓮溪處世最難脫俗流紛紜萬事入搔頭詠詩君有粧花筆沽酒人每奉玉舟馬向寒風深厩動鳥嫌殘雪暮林愁良宵不寐幽情■敍安得淸詞運妙籌遠志散 杏菴能敎詩士舊蒙非連服數旬睡意稀香襲花三隣玉洞靈通霞九拂銖衣何如仙掌淸晨酌夬祛塵腸苦疾依莫說金丹無信息蓬萊咫尺怳來歸 蓮溪有藥醫人始覺非服之神效易生稀煎出曉爐烟似篆帖成靈幹紙爲衣香調仙鄕永難得味恊瓊醬卽共依此物能令睡魔逐三花玉洞孰同歸 杏菴和睟宴韻奉獻華觴祝萬年需雲今日爛相連登盤湯餠辰回甲懸戶蓬桑性賦天宣髮滿座龜壽叶班衣擧舞鳳雛然爲君一唱朱詩句挹彼寒潭碧丈千 蓮溪閱來花甲享高年吉日需雲一座連半世賢聲承舊業六旬順命率眞天賓燕獻賀風和矣鄒鳳呈祥禮燦然若使當時參勝宴爲傾壽斝至於千 杏菴雪後黃花臨就荒居然歸意立斜陽三餘工業挑寒苦半世光陰遊水忙墻角竹疎驚下雨石縫苔凍認徑霜從看易象茫茫理回首東天待月光 蓮溪茅屋■〔草〕除庭每理荒乘閒坐對夢山陽工程百步時來習世路千層日去忙筆助山川粧水石歲寒松栢閱風霜借問晴窓何所樂■〔最〕得子文章倍有光 杏菴萬樹蕭蕭悟歲寒聞來客話客懷寬美人消息驚遲暮烈士奔忙少暇閒興入看山幾重翠道希憂國一心丹床床更漏徑三四坐讀燈前行路難蓮溪蕭然斗屋素淸寒一箇簞匏樂意寬卒歲褐衣能禦凍少年學業每偸閒月穿疎戶光生白風打孤灯影撓丹易象煌煌操理會工程自此■〔識〕克艱難杏菴除夕䪨迓新餞舊坐梅窓更漏漸添夜水淙■〔衆〕群鳥鳴春知換節衆魚■〔叶〕夢驗豊邨妻傾白酒盃無赧兒戲班碁局有雙二十一年今夕値挑灯不寐對書幢 杏菴辛亥正月旣望䪨家家老少踏橋東海底初離上碧穹騎竹街兒瞻嶺外捲簾粧女倚樓中光從畢宿推知雨影轉箕宮易驗風自古人間傳俗諺此宵点檢一年豊菊軒我携諸友步山東望裏一輪出海穹村女共倚開戶上街童爭見踏橋中明光占得昇平日淡影從傳太古風三五今宵相謂曰高低厚薄驗登豊杏菴石樵歷訪夜話夢僊心下一溪廻茅屋蕭然向水開雞狗相聞連軒落兒童慣看喜容來逍遙物表輕■如羽睥晲寰中小似盃半壁懸燈揩翠眸淸詩起我意裴徊賓 石下過旅訪吾幽僻弗期廻歲後相逢喜面開主屋生涯春日靜客笻消息夕陽來閒潭有約吟詩句厚誼橆緣挹酒杯一夜討論非偶爾臨軒難別共徘徊 杏菴歲後相逢客與新春作伴還草廬相對喜開顔知心子逐花流澗有約吾看月滿山詩律討論盃酒上衿期握吐笑談間臨軒此日難分手又况前川渡水潺 菊軒望餘明月此宵還知己相逢喜對顔與歲經營遊靜舍乘春消息訪幽山三杯白酒修交後一点靑灯叙話間不寐論衿承雅律枕邊泳水聽潺潺 杏菴幽客元非俗士紛幾年山室欲無聞偶然此地尋時靜手把閒琹討細文 菊軒蕭然萬事自濱紛處僻日聞所不聞今世莫求功業進何如歸讀古人文 杏菴輓酒隱李先生 廷容氏七耋光陰一夢仙翻然人事忽凄然剛柔本意誰能則慷慨餘風公獨專富貴功名期■〔後〕白首文章世業繼靑氈魂車弔馬來相餞落月■空山情可憐種德公門有子有孫酒量詩性人無間言薤露古邱厭世歸魂隣里故舊泣奠桂樽嗚呼痛哉况我師尊自號酒翁保意眞奄過六十八年春天何速奪尊賢傳世亦可憐慷慨人短壁詩書消向日古邱松菊掩黃塵丹㫌素輓斜陽路回首不禁淚滿巾子而又孫餘慶在玆夜月空山精魂相隨壽而有子又於孫種德餘蔭公一門富貴功名非所願■甘眠夜雨九泉原讀書檢亭舍和雪後相逢䪨雪晴日暮夜深約對客挑燈稽古書將我衿懷談笑可此時好誼後時餘 杏菴舊日交情怳若初閒軒細話古人書酣歌醉咏今何夕■■錫我百朋■■自後餘 菊軒相逢雪月初况乃故人書酒中懷可叙詩後誼猶餘 金明彦石灘寒氷靑春白雪襲餘寒氷合層層石上灘便作銀橋通小道幾多歸客濟行難 杏菴閉塞窮陰滿地寒層氷夜合古溪灘沙洲石凍馬蹄脫臨水行人利涉難 菊軒新月䪨雲捲一宵風新輪上碧穹俄然光射斗倏爾影彎弓隱映沈深海依微掛遠空盈虛知有數至理在其中 杏菴捲盡浮雲雪後風半輻新月掛靑穹光穿淡海魚疑釣影射疎林鳥畏弓形等玉椽雙末銳體如金鏡一邊空從知桂魄虛盈理只在陰陽進退中 菊軒嶺樹歸雲油然雲氣作出峀復連天靉靉從溪上英英擁樹前捿來無定處浮去有依邊洛水靑何日待吾富貴年 杏菴靉靉隨風起油然作雨天籠靑歸嶺外浮白繞簷前俄度淸溪上還從綠樹邊時時濡物處成雪又霜年 菊軒春雨卽景廉纖霧雨屬春時谷谷林林隨處宜白玉光含梅樹樹黃金色發柳枝枝 菊軒一天細雨適春時客味悠悠是夜宜靜坐幽居看物理園梅溪柳摠新枝 杏菴雨後看山雨前待我雨中春數疊群山一洗新興入夸娥粧盡面良辰爲是踏靑人 杏菴山光盡得雨中春依舊靑靑正有新早捲朝簾看更好吟晴谷鳥喚遊人 菊軒贈別故人契合情深共惜分乘春歸客隔山雲終朝臨別留餘約他日應過某水濆 杏菴居然相遇更相分世事悠悠付去雲最是人情難忘處孤鴻飛下夕陽濆 菊軒別後相逢輕別重逢好誼萌半宵團話一心成晩春學業同誰講抱卷不如與舊情 杏菴不見于今鄙吝萌中宵寤寐夢難成那間握吐平生誼更謝百朋錫我情 菊軒贈金童䪨童年十七度芳春偶向幽居訪主人奇異形如蘊櫝玉正眞意若閱霜筠自成學業聞初壯况結交情見始親憐汝才調難忍別丁寧後約樹雲新 杏菴杏以亭名幾度春分明學業德其人醉中興味水回谷霽後精神月上筠論道古師心自正合期濟士義相親抽吾花筆記時景永日騷坍鼓角新 童蒙金斗瓊謹次菊軒䪨數椽精舍樂吾天黃菊逢秋滿檻前桑因成叢宜掩戶花惟守節或依泉淸香夜濕籬邊露遺臭日籠世外烟淺綠深江非我趣聊將隱逸付餘年 杏菴菊軒原韻草廬卜築洞中天黃菊成叢繞在前馥氣有時動夕枕華陰無改覆寒泉樽開良夜嬋姸態簾捲斜陽淡泊烟將我琴書歌也嘯於斯忘世樂芳年檢亭書齋吟洞裏高堂幾度年書童六七侍函筵時當日暖風和地興入花開鳥囀天落水逢迎如有約松軒遊樂豈無緣懶收餘景抽華筆檻竹詞源挹彼泉 杏菴經成此屋間何年負笈冠童進講筵雲襲湄岑閒士地春回精舍樂人天誦詩學禮承師業入室升堂脫俗緣筆海幸逢見雨濕桂花香溺洞中泉暮春相逢有約相逢雨後天一場談話五更連時回王子會蘭日路過程翁隨柳川抽筆正宜拚皓月煮花亦可掃寒烟偶然爲客今經幾歸意方催喚夜䳌 杏菴懷想時多詠月天那知今日一床連興酣詞律經春店翫取芳菲渡險川愧我盛年遊翰墨艶君早歲飽風烟幸逢今夕詩人樂又况前山聽杜䳌 菊軒山寺暮鍾古菴物色正如前鍾以報更洞口天來爾老僧騰闇塔導吾遊客踏聲筵鳴時紅樹濃陰裏撞處向雲遏影邊聽起能識黃昏路法堂歸臥送閒年 杏菴樹老藤偶古寺前鍾聲隱隱近諸天松風闇雜論經榻花雨陰濃禮佛筵僧坐菴烟橫影裏客來山色夕陽邊沙門聽立黃昏路憐爾閒中極樂年 菊軒暮春曉鍾尋■〔眞〕花歸客入山前古寺鍾鳴日暮天有意踏來芳竹路無端聲起落花筵貪吾秉燭遊岩上惡爾援桴闇塔邊忽聽報晨投杖立僧言春色在明年 杏菴春日遊山東君召我好風流緩踏花林馥氣浮特地烟霞誰與樂剩收淸興渾忘愁 杏菴步出春城綠水流層巒聳翠淡雲浮日暖風和尋芳處乘興遊人滌世愁 菊軒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시문류

奉和野隱韻野有遺賢築一亭, 杏花古里遍春城, 修竹寒松同氣槩, 淸風明月樂平生, 渾忘世俗間中趣, 寓得田園物外情, 事於孝也行乎蔑, 自隱居中肇錫名.在乎山水勝俟封, 高尙心中富?空, 成亭托意雖能識, 杏樹淸陰唯有風星州後人 李在根.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玉巖面第 里頭瑟村第 統第 戶鰥夫幼學崔旻廷 年五十七戊辰本朗州父學生 鳳球祖 贈嘉善大夫戶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 至孝曾祖 贈通政大夫戶曹參議 運華外祖學生 蔡世玉本平康奉母蔡氏 齡七十八丁未故妻金氏 籍光山父學生 在鉉祖學生 仁泳曾祖學生 重鍊外祖學生 金兌政本義城率子鍚衡 年三十八丁亥婦崔氏 齡三十七戊子籍耽津子鍚嵂 年三十五庚寅婦金氏 齡三十五庚寅籍光山孫宗出 年十二癸丑加孫富出 年十乙卯貴出 年十乙卯傑出 年七戊午善出 年七戊午賤口秩婢水德年七十一甲寅 一所生奴千連金年三十九丙戌 二所生婢哲今年三十六己丑 三所生奴萬連金年三十四辛卯婢古邑丹年四十一甲申 二所生奴萬祚年十九丙午 三所生婢今壬年十五庚戌 四所生奴今祚年七戊午 五所生奴正祚年五庚申婢順壬年三十五庚寅 一所生婢上今年十三壬子 二所生婢寶今年十一甲寅婢貴禮年二十五庚子 一所生奴士郞金年五庚申甲子式行郡守[署押][準][관인] 1[周挾改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7년 최민정(崔旻廷)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寶城郡守 崔旻廷 行郡守<押> 寶城郡守之印(6.5x6.5), 周挾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72 1867년에 보성군(寶城郡)에서 최민정(崔旻廷, 60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주소: 玉巖面 第 里頭瑟村第 統第 戶 *가족사항: 奉母 蔡氏(81세), 子 鍚衡(41세), 婦 耽津崔氏子(40세), 子 鍚嵂(38세), 婦 光山金氏(38세), 子 應龍(13세), 孫 宗出(15세), 孫 富出(13세), 貴出(13세), 善出(10세) *소유노비: 奴婢 18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25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羅州牧使 羅聖采 牧使<押> □…□(7.0×7.0),周挾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814 1825년(순조25)에 나주목(羅州牧)에서 나성채(羅聖采, 45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1825년(순조25)에 나주목(羅州牧)에서 나주목 신촌면 내영리(현 전라남도 나주시 삼영동)에 사는 나성채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이다. 나성채는 45세이고, 신축년(1781)생이며, 본관은 나주이다. 아버지는 나언회(羅彦晦)이고, 조부는 나종유(羅宗有)이며, 증조부는 나윤명(羅允明)이다. 외조부는 정익성(鄭益成)이고,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아내는 김씨(金氏)로, 나이는 46세이고, 기해년(1779)생이며, 본관은 김해이다. 김씨의 아버지는 김운흥(金運興)이고, 조부는 김윤상(金胤商)이며, 증조부는 통덕랑(通德郎) 김시규(金始圭)이다. 외조부는 김이서(金履瑞)이고, 본관은 면성(綿城, 현 전라남도 무안)이다. 아들은 나시화(羅時化)이고 무진년(1808)생이다. 노비는 앙역(仰役)노비 2명으로 이름은 영덕(永德)과 채덕(采德)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五年月日 羅州牧考乙酉成籍戶口帳內 新村面內永里住第二統第二戶幼學羅聖采年四十五辛丑 本羅州父學生彦晦祖學生宗有曾祖學生允明外祖學生鄭益成 本晉州妻金氏齡四十六己亥 本金海父學生運興祖學生胤商曾祖通德郞始圭外祖學生金履瑞 本綿城率子時化年戊辰仰役秩 婢永德年甲寅 婢采德年三十等 乙未戶口自首者牧使[署押][周挾字改印]○ 연결문서1816년 나성채(羅成采) 준호구(准戶口)1819년 나성채(羅成采) 준호구(準戶口)1825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28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31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34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0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3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6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55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61년 나시완(羅時完) 준호구(準戶口)1872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76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79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85년 나도식(羅燾植) 준호구(準戶口)1888년 나도운(羅燾雲) 준호구(準戶口)1894년 나도신(羅燾臣)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2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기해생 망자의 장택기 기해생 여성인 망자의 장택기이고, 신축생 남편은 생존해 있다. 상주인 아들과 며느리부터 손자까지 자손들의 생년 간지가 기재되어 있다. 이미 장사를 지낸 구산(舊山)이 먼저 나오는 것으로 보아 이장을 하기 위한 장택기로 보인다. 택지(擇地) 관련 내용이 먼저 나오고 산지의 구체적인 운, 즉 복(福), 재(財), 관(官), 인(印)이 적혀 있다. 안장 일시는 10월 18일 병오일, 혹은 21일 기유일 가운데 편한 쪽을 따르라고 되어 있다. 하관(下棺)은 사시(巳時)이고, 개토(開土)는 같은 달 16일 오시나 미시로 되어 있다. 발인을 할 때 관을 집밖으로 내가기 위해 빈소를 여는 계빈(啓殯)은 개토와 마찬가지로 서쪽부터 시작하라고 하였다. 발인은 편한 대로 따르라고 하였고, 정구(停柩)와 취토(取土), 입복(立伏)은 갑인 방향으로 정하였다. 주당(周堂)은 입관할 때 피해야 할 가족 구성원을 기록하는 것인데 이 경우는 아무도 구애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사과(四課)는 조명(造命)이라고도 하는 것으로, 매장 연월일시의 간지를 쓴 것이다. 이 망자의 경우는 을사년, 정해월, 병오일, 계사시가 되는 것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坤化命 己亥木 子戊▣…乾生命 辛丑土 婦▣…乙未乙酉孫癸卯葬舊山坤未龍丁一▣…▣丙搏換巳坐亥向庚辛得【外面壬坐丙向】 艮放運丙戌土正 泊火六壬▣…▣癸未木洪氣□天壬水令淸丙壬癸 情▣…▣華十六 昭氣入中甲子亥 卅山忌先乾後巽亥壬子癸巳亥子午酉卯命忌庚午壬午卯辰戌歲忌戊辰旬壙忌卯辰重復忌壬丙重喪壬局勢巳酉丑亥卯未分金癸巳癸亥偏忌丙福酉辛 歲己卯 丁亥 甲申戊子財亥壬官寅甲 命祿庚午 馬己巳 貴壬申丙子印巳丙 運癸巳 丙申 丁酉己亥安葬十月十八日丙午或二十一日己酉爲便右兩日鳴吠兼安葬吉日下棺巳時開土同月十六日午未時安金穴深四尺三寸啓殯與開土同先破西發{車+引} 隨便停柩取土立伏甲寅方歲壓釣宮 幷不拘周堂二冲 丁亥丁巳壬子庚子等生人下棺時少避四課 乙巳火丁亥土丙午水癸巳水壬辰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