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第十昌平甲鄕面杏亭里戶籍單子第二統第一戶鰥夫幼學李鴻植年四十六壬寅本全州父通德郞 洛承祖學生 奎鉉曾祖 贈嘉善大夫吏曺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捴府副捴管 在元外祖學生金商璇本蔚山妻金氏故卛子鰥夫幼學 應容年二十四甲子賤口婢長禮年二十一丁卯丁亥戶口相凖印戊子式[昌平縣令之印]行縣令[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第十昌平甲鄕面杏亭里戶籍單子第一統第四戶鰥夫幼學李鴻植年四十九壬寅本全州父通德郞 洛承祖學生 奎鉉曾祖 贈嘉善大夫吏曺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捴府副捴管 在元外祖學生金商璇本蔚山率子幼學 應容年二十七甲子賤口婢長禮年二十四丁卯辛卯式[昌平縣令之印]行縣令[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白也面居罪民安命㷜右謹言所志事段罪民之亡父山地買得後不給本文事向以 呈訴是乎則 題音內賣買之時本文記與受自是規例是去乙有何意而尙今不給也此必是日後奸謀之致本文記斯速出給俾無紛拏之弊事亦是敎乎矣同朴白孫者不知 官旨而此頉彼頉終無出給之意則此所謂無法之民也前 呈所志牒連更以仰訴爲去乎參商敎是後上項朴白孫 特爲發牌 嚴治後右本文記卽地推給之地下爲只爲行下向敎是事城主 處分丙寅十一月日〈題辭〉旣賣畓文稱托不給極甚痛惡且况官題之下一向(背面)遷就尤極巧惡嚴治推給次同白孫捉來事卄八日 狀者官 行□□ [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8년 최석형(崔錫衡)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寶城郡守 崔錫衡 行郡守<押> 寶城郡守之印(6.5x6.5), 周挾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72 1888년에 보성군(寶城郡)에서 최석형(崔錫衡, 62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주소: 龍門面 第 里斗谷村第 統第 戶 *가족사항: 妻 耽津崔氏(61세), 弟 鍚嵂(59세), 嫂 金氏(59세), 弟 錫龍(34세), 嫂 光山金氏(26세), 弟 應權(24세), 子 敬淳(27세), 婦 尙州周氏(29세), 子 炳淳(34세), 婦 南平丁氏(28세), 子 采淳(31세), 婦 兆陽林氏(26세), 侄 應淳(34세), 婦 耽津崔氏(25세), 甲出(25세), 婦 金海金氏(21세), 吉出(14세) *소유노비: 奴婢 2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十四年 月 日 羅州牧考戊子成籍戶口帳內新村面龍頭里住第一統第二戶幼學羅燾雲年四十二丁未 本羅州父學生 厚集祖幼學 時完曾祖學生 聖采外祖學生李顯彬本咸豊妻鄭氏齡四十二丁未 籍羅州父幼學仁赫祖學生基杓曾祖學生麟運外祖學生梁錫圃 本濟州奉母李氏齡六十五甲申 籍咸豊仰役婢永德甲寅生等 戊子戶口相準者牧使[署押][周挾無改印]○ 연결문서1816년 나성채(羅成采) 준호구(准戶口)1819년 나성채(羅成采) 준호구(準戶口)1825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28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31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34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0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3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6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55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61년 나시완(羅時完) 준호구(準戶口)1872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76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79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85년 나도식(羅燾植) 준호구(準戶口)1888년 나도운(羅燾雲) 준호구(準戶口)1894년 나도신(羅燾臣)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16년 나성채(羅成采)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靈巖郡守 羅成采 行郡守<押> □…□(6.5×6.5),周挾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814 1816년(순조16) 10월에 영암군(靈巖郡)에서 나성채(羅成采, 38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1816년(순조16) 10월에 영암군에서 북일시면 냉천동(현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영보리)에 사는 나성채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이다. 나성채는 38세이고, 기해년(1778)생이며, 본관은 나주이다. 아버지는 나언회(羅彦晦)이고, 조부는 나종유(羅宗有)이며, 증조부는 나두남(羅斗南)이다. 외조부는 정익성(鄭益成)이고,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아내는 김씨(金氏)로, 나이는 35세이고, 임인년(1782)생이며, 본관은 김해이다. 김씨의 아버지는 김운흥(金運興)이고, 조부는 김윤상(金胤商)이며, 증조부는 통덕랑(通德郎) 김시규(金始圭)이다. 외조부는 김이서(金履瑞)이고, 본관은 면성(綿城, 현 전라남도 무안)이다. 노비는 앙역(仰役)노비 1명이고, 이름은 채덕(采德)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5년 최민정(崔旻正)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寶城郡守 崔旻正 行郡守<押> 寶城郡守之印(6.5x6.5), 周挾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72 1855년에 보성군(寶城郡)에서 최민정(崔旻正, 48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주소: 龍門面 第 里松山村第 統第 戶 *가족사항: 奉母 蔡氏(69세), 弟 時正(45세), 嫂 光山金氏, 弟 壽正(42세), 嫂 尙州周氏(38세), 子 鍚衡(29세), 子 鍚嵂(26세), 婦 光山金氏(26세) *소유노비: 奴婢 4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58년 최민정(崔旻廷)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寶城郡守 崔旻廷 行郡守<押> 寶城郡守之印(6.5x6.5), 周挾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72 1858년에 보성군(寶城郡)에서 최민정(崔旻廷, 51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주소: 龍門面 第 里松山村第 統第 戶 *가족사항: 奉母 蔡氏(72세), 子 鍚衡(32세), 婦 耽津崔氏子(31세), 子 鍚嵂(29세), 婦 光山金氏(29세) *소유노비: 奴婢 11口 *崔旻正와 崔旻廷은 동일 인물, 改名 가능성 있음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4년 최석형(崔錫衡)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寶城郡守 崔錫衡 行郡守<押> 寶城郡守之印(6.5x6.5), 周挾改印 2顆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72 1894년에 보성군(寶城郡)에서 최석형(崔錫衡, 68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주소: 龍門面 第 里斗谷村第 統第 戶 *가족사항: 妻 耽津崔氏(67세), 弟 鍚嵂(65세), 嫂 光山金氏(65세), 弟 錫龍(40세), 嫂 光山金氏(32세), 子 敬淳(42세), 婦 尙州周氏(35세), 子 炳淳(40세), 婦 南平丁氏(34세), 子 采淳(37세), 婦 兆陽林氏(32세), 侄 應淳(40세), 婦 耽津崔氏(31세), 甲出(31세), 婦 金海金氏(27세), 侄 吉出(14세), 孫 一奉(8세) *소유노비: 奴婢 2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8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무진생과 신사생 부부의 장택기 무진생과 신사생 망인 부부의 장택기로, 이장하여 새로 안장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주상(主喪)은 을묘생 아들 내외와 손자 내외들, 증손 내외 및 현손들까지 모두 기록하였다. 장산(葬山)은 산맥이 갈라져 나온 방위와 좌향(坐向) 등을 기록하였고 좌산의 연운(年運)을 표기하였다. 택일은 안장 월일과 하관(下棺) 시각을 쓰는데, 이 경우 안장 일시는 무신년 10월 9일 신유일이고 하관은 같은 날 축시(丑時)이다. 이충(二冲)은 호충(呼冲)이라고도 하는데 입관과 계빈(啓殯)할 때 일진과 맞지 않는 생년을 기록하는 것이다. 이 경우는 경진, 을묘, 신묘생이 널이 나가고 하관할 때 피하라고 하였다. 이를 피기(避忌)라고도 한다. 문서 하단의 조명(造命)은 사과(四課)라고도 쓰는데, 매장 연월일시의 간지를 쓰는 것이다. 이처럼 장택기는 장례의 기본 요소인 장지(葬地)와 장일(葬日)의 선택과 이에 따른 각 절차의 방위, 시간 및 기피 사항 등을 기록한 문서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0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羅州牧使 羅聖采 牧使<押> □…□(7.0×7.0),周挾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814 1840년(헌종6)에 나주목(羅州牧)에서 나성채(羅聖采, 59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1840년(헌종6)에 나주목(羅州牧)에서 나주목 신촌면 내영리(현 전라남도 나주시 삼영동)에 사는 나성채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이다. 나성채는 59세이고, 신축년(1781)생이며, 본관은 나주이다. 아버지는 나언회(羅彦晦)이고, 조부는 나종유(羅宗有)이며, 증조부는 나윤명(羅允命)이다. 외조부는 정익성(鄭益成)이고,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아내는 김씨(金氏)로, 나이는 62세이고, 기해년(1779)생이며, 본관은 김해이다. 김씨의 아버지는 김운흥(金運興)이고, 조부는 김윤상(金胤商)이며, 증조부는 통덕랑(通德郎) 김시규(金始圭)이다. 외조부는 김이서(金履瑞)이고, 본관은 면성(綿城, 현 전라남도 무안)이다. 아들은 나시화(羅時化)으로 나이는 33세이고, 무진년(1808)생이다. 노비는 앙역(仰役)노비 1명이고 이름은 영덕(永德)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二十年 月 日 羅州牧考庚子成籍戶口帳內 新村面內永里住第三統第四戶幼學羅聖采年五十九辛丑 本羅州父學生彦晦祖學生宗有曾祖學生允命外祖學生鄭益成 本晉州妻金氏齡六十二己亥 本金海父學生運興祖學生胤商曾祖通德郞始圭外祖學生金履瑞 本綿城率子時化年三十三戊辰仰役秩 婢永德年甲寅等 庚子戶口相準者牧使[署押][周挾字改印]○ 연결문서1816년 나성채(羅成采) 준호구(准戶口)1819년 나성채(羅成采) 준호구(準戶口)1825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28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31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34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0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3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6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55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61년 나시완(羅時完) 준호구(準戶口)1872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76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79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85년 나도식(羅燾植) 준호구(準戶口)1888년 나도운(羅燾雲) 준호구(準戶口)1894년 나도신(羅燾臣)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嘉慶二十一年丙子十月 日 靈巖郡考癸酉戶口成籍帳內 北一始面冷泉洞 第一統統首羅成采第一戶幼學羅成采年三十八己亥 本羅州父學生彦晦祖學生宗有曾祖學生斗南外祖鄭益成 本晉州妻金氏齡三十五壬寅 籍金海父學生運興祖學生胤商曾祖通德郞始圭外祖學生金履瑞 本綿城賤口秩 仰役婢采德年三十等 丙子戶口自首者行郡守[署押][周挾字改印]○ 연결문서1816년 나성채(羅成采) 준호구(准戶口)1819년 나성채(羅成采) 준호구(準戶口)1825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28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31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34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0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3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6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55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61년 나시완(羅時完) 준호구(準戶口)1872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76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79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85년 나도식(羅燾植) 준호구(準戶口)1888년 나도운(羅燾雲) 준호구(準戶口)1894년 나도신(羅燾臣) 준호구(準戶口)1894년 나도신(羅燾臣)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61년 최민정(崔旻廷)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寶城郡守 崔旻廷 行郡守<押> 寶城郡守之印(6.5x6.5), 周挾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72 1861년에 보성군(寶城郡)에서 최민정(崔旻廷, 54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주소: 龍門面 第 里松山村第 統第 戶 *가족사항: 奉母 蔡氏(75세), 子 鍚衡(35세), 婦 耽津崔氏子(34세), 子 鍚嵂(32세), 婦 光山金氏(32세) *소유노비: 奴婢 11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유물
유형분류 :
서화

八曲風煙勢欲開鼓樓巖下水縈廻莫言此處無佳景自是遊人不上來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94년 나도신(羅燾臣)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羅州牧使 羅燾臣 牧使<押> □…□(7.0×7.0),周挾改字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814 1894년(고종31)에 나주목(羅州牧)에서 나도신(羅燾臣, 48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1894년(고종31)에 나주목(羅州牧)에서 나주목 신촌면 용두리(현 전라남도 나주시 안창동)에 사는 나도일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이다. 나도운(羅燾雲)은 42세이고, 정미년(1847)생이며, 본관은 나주이다. 아버지는 나후집(羅厚集)이고, 조부는 나시완(羅時完)이며, 증조부는 나성채(羅聖采)이다. 외조부는 이현빈(李顯彬)이고, 본관은 함풍(咸豊)이다. 아내는 정씨(鄭氏)로, 48세이고, 정미년(1847)생이며, 본관은 나주이다. 정씨의 아버지는 정인혁(鄭仁赫)이고, 조부는 정기표(鄭基杓)이며, 증조부는 정인운(鄭麟運)이다. 외조부는 양석포(梁錫圃)이고, 본관은 제주이다. 아들은 나휘서(羅徽瑞)이고, 무진년(1868)생이다. 노비는 앙역(仰役)노비 1명이고 이름은 영덕(永德)이다.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