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플랫폼

검색 필터

기관
유형
유형분류
세부분류

전체 로 검색된 결과 517956건입니다.

정렬갯수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31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羅州牧使 羅聖采 牧使<押> □…□(7.0×7.0),周挾字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814 1831년(순조31)에 나주목(羅州牧)에서 나성채(羅聖采, 51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1831년(순조31)에 나주목(羅州牧)에서 나주목 신촌면 내영리(현 전라남도 나주시 삼영동)에 사는 나성채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이다. 나성채는 51세이고, 신축년(1781)생이며, 본관은 나주이다. 아버지는 나언회(羅彦晦)이고, 조부는 나종유(羅宗有)이며, 증조부는 나윤명(羅允命)이다. 외조부는 정익성(鄭益成)이고,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아내는 김씨(金氏)로, 나이는 53세이고, 기해년(1779)생이며, 본관은 김해이다. 김씨의 아버지는 김운흥(金運興)이고, 조부는 김윤상(金胤商)이며, 증조부는 통덕랑(通德郎) 김시규(金始圭)이다. 외조부는 김이서(金履瑞)이고, 본관은 면성(綿城, 현 전라남도 무안)이다. 아들은 나시화(羅時化)으로 나이는 24세이고, 무진년(1808)생이다. 노비는 앙역(仰役)노비 1명이고 이름은 영덕(永德)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第十昌平甲鄕靣杏亭里戶籍單子第一統第一戶幼學李灃植年五十三癸巳本全州父通德郞 洛承祖學生 奎鉉曾祖 贈嘉善大夫吏曺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捴府副捴管 在元外祖學生金商璇本蔚山妻梁氏歲五十五辛卯籍濟州父學生 必成祖學生 錫元曾祖學生 濟耆外祖學生鄭□{忄+百}淳本光山率子幼學 應泰年二十九丙辰次子幼學 應國年二十七戊午賤口婢卜今年四十四壬寅壬午戶口相凖印甲申式[昌平縣令之印]行縣令[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玉巖面第 里頭瑟村第 統第 戶鰥夫幼學崔旻廷 年六十二戊辰 本朗州父學生 鳳球祖 贈嘉善大夫戶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 至孝曾祖 贈通政大夫戶曹參議 運華外祖學生 蔡世玉本平康奉母蔡氏 齡八十三丁未故妻金氏 籍光山父學生 在鉉祖學生 仁泳曾祖學生 重鍊外祖學生 金兌政本義城率子鍚衡 年四十三丁亥婦崔氏 齡四十二戊子子鍚嵂 年四十庚寅婦金氏 齡四十庚寅子應龍 年十五乙卯子應權 年五乙丑孫宗出改名敬淳 年十七癸丑貴出 年十五乙卯富出 年十五乙卯善出 年十二戊午甲出 年六甲子賤口秩婢水德故 奴千連金故 婢哲今逃 奴萬連金年三十八壬辰 婢古邑丹年五十一乙卯 一所生奴萬兆二十四丙午 二所生婢今壬年二十一己酉 三所生今兆年十三丁巳 四所生奴正兆年十庚申 婢順壬年四十庚寅 一所婢又今年十一己未 婢貴禮年三十三丁酉一所生奴士郞金年十一己未 二所婢也無年五乙丑 三所生婢古壬年二戊辰 婢玉伊年二十二戊申庚午式[署押][準][관인] 1[周挾改印]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道光十一年 月 日 羅州牧考辛卯成籍戶口帳內 新村面內永里住第二統第五戶幼學羅聖采年五十一辛丑 本羅州父學生彦晦祖學生宗有曾祖學生允命外祖學生鄭益成 本晉州妻金氏齡五十三己亥 本金海父學生運興祖學生胤商曾祖通德郞始圭外祖學生金履瑞 本綿城率子時化年二十四戊辰仰役秩 奴永德年甲寅等 辛卯戶口相準者行牧使[署押][周挾字改印]○ 연결문서1816년 나성채(羅成采) 준호구(准戶口)1819년 나성채(羅成采) 준호구(準戶口)1825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28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31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34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0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3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6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55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61년 나시완(羅時完) 준호구(準戶口)1872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76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79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85년 나도식(羅燾植) 준호구(準戶口)1888년 나도운(羅燾雲) 준호구(準戶口)1894년 나도신(羅燾臣)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소차계장류

1867년 정해최(鄭海㝡) 등 등장(等狀) 초(草) 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鄭海㝡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1867년(고종 4) 3월에 전라도 진사 정해최 등이 국왕께 장수현의 고 학생 이규현의 깊은 학문과 그의 아들 낙승의 뛰어난 효행에 대해 포상해 줄 것을 청원한 등장의 초본 1867년(고종 4) 3월에 전라도 진사 정해최(鄭海㝡) 등이 국왕께 장수현(長水縣)의 고(故) 학생 이규현(李奎鉉)의 깊은 학문과 그의 아들 낙승(洛承)의 뛰어난 효행에 대해 포상(褒賞)해 줄 것을 청원한 등장의 초본(草本)이다. 이규현의 생애와 학행에 대해 '이규현은 증이조참판(贈吏曺參判) 완원군 수(?)의 11세손이자 이재원(李在元)의 아들이다. 준수한 성품으로 인해 재상(宰相) 감으로 촉망받았으나 강호에 자취를 감추고서 늘 『근사록』, 『성리대전』, 효자와 충신의 성정을 밝힌 책들을 취하여 깊은 이치를 읽고 외우는 것으로 삶을 마칠 계획이었다. 또 명예와 이익을 추구하지 않고 근원을 공부하는 데에 힘쓰고 몸가짐과 마음가짐을 엄격히 하였으며, 그의 학문은 오로지 독실함에 힘써 노년에 덕행이 높았으나 스스로는 만족하지 못하였다. 그의 효성과 우애가 가정에서 드러났고 의로운 행실은 고을에서 칭송되었으며, 전라도 안의 덕망 있는 선비들이 경서의 어려운 곳을 묻고 사제(師弟)의 반열에 기록되었다. 관찰사들이 모두 이규현의 학행과 도량을 여러 차례 천거하였으나 세상에 쓰이지는 못하였지만 선비들에게 끼친 공로는 매우 크다'고 하였다. 이규현의 아들인 이낙승의 효행에 대해서는 '이낙승은 총명한 자질로 일찍부터 가정의 가르침을 받아 어렸을 때부터 부모님을 극진히 섬겨 이웃과 친족이 모두 그의 효성에 감탄하였다. 이규현의 병이 위독해지자 낙승이 의원을 찾고 약을 수소문하였으며, 하늘에 자신이 대신 죽게 해달라고 빌었다. 이규현이 죽자 낙승은 슬픔이 지나쳐 음료를 입에 대지도 않았으며, 3년동안 늘 아침 저녁으로 곡하며 여묘살이를 하였다. 낙승의 나이 19세에 3년상을 마치자 벼슬길에 대한 뜻을 끊고 과거에 응시하지 않았다. 그는 일찍 아비를 잃은 것을 종신토록 애통해하며 어머니 송씨(宋氏)를 아비 섬기듯이 하여 맛있는 음식을 마련하고 어버이 뜻을 봉양하는 것을 근본으로 삼아 낮에는 농사짓고 밤에는 공부하며 집안 대대로 내려온 학문을 잘 지켰다. 1836년(헌종 2)에 어미의 병이 위독해지자 낙승이 직접 약을 달이고 똥을 맛보았으며, 빙어와 참새가 신령스러운 감응으로 구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 모친상을 당하자 울부짖으며 슬퍼하다가 기절했다 깨곤 하였으며, 장례를 힘을 다해 마련하였다. 그리고 묘 옆에 여막을 짓고 끊이지 않고 울며 곡하여 몸이 수척해지고 얼굴이 검게 변하였으며, 묘 앞 무릎을 꿇은 곳에 풀이 말라 죽었다. 삼년 상을 치른 뒤에 자연에 뜻을 의탁하여 스스로 야은(埜隱)이라 호를 짓고 새로 집을 지어 시끄러운 세속을 잊어버렸다. 그가 지은 시를 통해 초야 유일(遺逸)의 의리를 충분히 알 수 있으며, 원근의 스승과 벗들이 서문을 써서 그를 찬송한 것이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많다'고 설명하였다. 끝으로 '규현과 낙승의 실제 행적이 지금까지 사람들의 입을 통해 전파되고 있는데 아직까지 정표(㫌表)를 내리는 은전을 입지 못하였으니 이는 태평한 시대의 흠전(欠典)이다. 따라서 진사 정해최 등은 엄한 형벌을 두려워하지 않고 어가 앞에서 한목소리로 아뢰니, 죽은 이규현의 깊고 넓은 학문과 그의 아들 낙승의 탁월한 효성에 대해 예조에 명하고 빨리 사헌부에 증직(贈職)하게 하고 정려(旌閭) 해 줄 것을 청원한다'는 내용이 실려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第十昌平甲鄕面杏亭里戶籍單子第一統第三戶鰥夫幼學李灃植年六十一庚寅本全州父通德郞 洛承祖學生 奎鉉曾祖 贈嘉善大夫吏曺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揔府副捴管 在元外祖學生金商璇本蔚山率子幼學 應泰年三十五丙辰賤口婢卜今年四十八壬寅辛卯式[昌平縣令之印]行縣令[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5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정미생 남성 망자의 장택기 정미생 남성 망자의 장택기이다. 정미생 아내는 생존해 있으며, 무진생인 장자가 주상(主喪)이고, 무진년 맏며느리부터 차자(次子)와 각 부인, 그리고 각 자손들이 기록되어 있다. 먼저 장산(葬山)의 방위와 좌향 등이 적혀 있고, 안장(安葬)은 무신년 11월 21일 계묘일이다. 참초(斬草)와 개토(開土) 일시는 진시(辰時)이고, 하관(下棺)은 오시(午時)이며, 취토(取土)와 정상(停喪)은 임방(壬方)이다. 입관과 계빈(啓殯)할 때 일진과 맞지 않는 생년을 기록하는 호충(呼冲)을 여기서는 이충(二冲)으로 표시했는데, 정사생, 병진생, 신미생 사람이다. 매장 연월일시의 간지를 쓰는 사과(四課)는 조명(造命)이라고도 하는데, 이 경우는 무신년 갑자월 계묘일 무오시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치부기록류

장택기(葬擇記) 6 고문서-치부기록류-택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갑진생 조부와 신축생 조모의 장택기 갑진생 조부와 신축생 조모의 장택기이다. 주상(主喪)은 신축생 손자부터 증손, 현손, 5대손인 것으로 보아 이장하여 새로 안장하기 위한 장택기로 보인다. 안장 일시는 무신년 11월 19일 기축일이고, 하관은 사시(巳時)에, 개토(開土)와 안금(安金)은 11월 18일 미시이다. 장례의 여러 절차에 따른 선택 내용과 각 방위 및 기피 사항 등을 기록하고 있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同治十三年甲戌十二月二十九日前明文右明文事自己買得累年守護是如可執〖勢〗不已伏在甲鄕面杏亭里後養字竹田一斗五升落卜數二負五束庫乙價折錢文拾捌兩依數捧上是遣右前永永放賣爲去乎日後如有爻象則以此文記憑考事竹田主自筆幼學丁鉉滿[着名]此亦中旧文記他文幷付故不得出給事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五年己卯十月二十日幼學 前明文右明文事傳來畓累年耕食是多可私債許多故不得已伏在東西面星山村前越川坪始字五斗落十四夜味卜數十 庫乙価折錢文陸拾兩依數捧上是遣右前以新文一丈永永放賣爲去乎等日後若有爻象以此文記憑考事畓■(畓)〔主〕幼學李尙淳[着名]筆執幼學 許壽千證人幼學 金鍾絃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光緖六年庚辰二月十八日 前明文右明文事傳來柴場在於上置等面新坪南麓而昨年閏三月良右人親葬用之故至於就松〖訟〗之境則一從左右之議不得已一壙中地折價拾伍兩依數捧上以新文一丈右前永永放賣爲去乎日後若有異端則持此憑考事山地主權成道[着名]證人 尹應振[着名]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명문문기류

▣…▣乙亥十一月十六日幼學 前明文▣…▣段傳來畓累年耕食是▣…▣多故不得已伏在甲鄕▣…▣高頭員四字畓四斗落只▣…▣二十五負五束庫乙価折則▣…▣依數捧上是遣新▣…▣永永放賣爲去乎日▣…▣文憑考事▣…▣南澔[着名]▣…▣哲[着名]▣…▣[着名]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3년 최민정(崔旻正)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寶城郡守 崔旻正 行郡守<押> 寶城郡守之印(6.5x6.5), 周挾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72 1843년에 보성군(寶城郡)에서 최민정(崔旻正, 36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주소: 龍門面 松山里 第 里第 統第 戶 *가족사항: 奉母 蔡氏(57세), 妻 光山金氏(35세), 弟 時正(33세), 嫂 光山金氏(35세), 弟 壽正(30세), 嫂 尙州周氏(26세) *소유노비: 奴婢 6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46년 최민정(崔旻正)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寶城郡守 崔旻正 行郡守<押> 寶城郡守之印(6.5x6.5), 周挾改印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972 1846년에 보성군(寶城郡)에서 최민정(崔旻正, 39세)에게 발급한 준호구(準戶口). *주소: 龍門面 大橋村 第 里第 統第 戶 *가족사항: 妻 光山金氏(38세), 弟 時正(36세), 嫂 光山金氏(38세), 子 門德(20세), 子 門嶪(17세) *소유노비: 奴 1口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5년 나도식(羅燾植) 호구단자(戶口單子) 고문서-증빙류-호적 羅燾植 羅州牧使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814 1885년(고종22)에 나도식(羅燾植, 35세)이 자기 호(戶)의 인적사항을 기록하여 나주목(羅州牧)에 제출한 호구단자 1885년(고종22) 나도식(羅燾植)이 자기 호(戶)의 현황을 기록하여 나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나주목 신촌면 용두리(현 전라남도 나주시 안창동)에 사는 나도식은 35세이고, 신해년(1851)생이며, 본관은 나주이다. 아버지는 나후집(羅厚集)이고, 조부는 나시완(羅時完)이며, 증조부는 나성채(羅聖采)이다. 외조부는 이현빈(李顯彬)이고, 본관은 함풍(咸豊)이다. 아내는 김씨(金氏)로, 29세이고, 정사년(1857)생이며, 본관은 광산이다. 김씨의 아버지는 김영성(金永聲)이고, 조부는 김도진(金道鎭)이며, 증조부는 김기하(金基夏)이다. 외조부는 박태휴(朴泰休)이고, 본관은 충주이다. 어머니는 이씨(李氏)로, 나이는 62세이고, 갑신년(1824)생이며, 본관은 함풍이다. 노비는 앙역(仰役)노비 1명이고 이름은 영덕(永德)이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第十昌平甲鄕面杏亭里戶籍單子第一統第二戶幼學李鴻植年四十四壬寅本全州父通德郞 洛承祖學生 奎鉉曾祖 贈嘉善大夫吏曺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捴府副捴管 在元外祖學生金商璇本蔚山妻金氏歲四十七己亥籍光山父 贈通政大夫行龍壤〖驤〗衛副護軍 洪源祖學生 智鉉曾祖贈通政大夫僉知中樞府事 致億外祖學生全一文本天安卛子幼學 應錫年三十四壬戌賤口婢長禮年十八丁卯壬午戶口相凖印甲申式[昌平縣令之印]▣(行)縣令[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5년 이홍식(李鴻植)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昌平縣監 李鴻植 行縣令<押> □…□(6.5×6.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856 1885년에 창평현에 사는 호주 이홍식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 1885년(고종 22)에 창평현에 사는 호주 이홍식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이다. 이홍식의 거주지는 창평현(昌平縣) 갑향면(甲鄕面, 현 담양군 대전면) 행정리(杏亭里) 오가작통 순번은 제1통 2호이다. 직역은 유학(幼學)이고 올해 나이는 44세 임인생(壬寅生)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이홍식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통덕랑(通德郞) 낙승(洛承), 할아버지 학생 규현(奎鉉), 증조(曾祖) 증가선대부 이조참판 겸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부총관(贈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 재원(在元), 외조(外祖) 학생 김상선(金商璇) 본관은 울산(蔚山)이다. 이홍식의 아내 김씨는 나이 47세 기해생(己亥生)이고 본적은 광산(光山)이다. 김씨의 사조는 아버지 증통정대부 행용양위 부호군(贈通政大夫行龍驤衛副護軍) 홍원(洪源), 할아버지 학생 지현(智鉉), 증조(曾祖) 증통정대부 첨지중추부사(贈通政大夫僉知中樞府事) 치억(致億), 외조 학생 전일문(全一文) 본관은 천안(天安)이다. 이외 가족으로는 아들 유학 응석(應錫) 나이 34세 임술생(壬戌生)이 있으며, 소유하고 있는 여종은 장례(長禮)이고 나이 18세 정묘생(丁卯生)이다. 문서에 '호적단자(戶籍單子)'와 작성년인 '갑신식(甲申式)'이 적혀 있고 열서(列書) 형식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창평현령의 관인(官印)과 서압(署押)이 찍혀있고 주묵(朱墨)의 오가작통 통호(統戶)와 1882년 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임오호구상준인(壬午戶口相凖印)'이 적혀 있다. 이는 제출한 호구단자를 구호적(舊戶籍)과 대조 확인을 마친 뒤에 이홍식에게 다시 돌려준 것이므로 준호구로 분류하였다. 호적개정은 자·오·묘·유자(子·午·卯·酉子) 식년(式年)이므로 '갑신식(甲申式, 1884년)'은 '을유식(乙酉式)'의 오자(誤字)로, 이는 호적개정 식년 전해에 호구단자를 제출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1888년 이풍식(李灃植) 준호구(準戶口) 고문서-증빙류-호적 昌平縣監 李灃植 行縣令<押> □…□(6.5×6.5) 광주 민종기 (재)한국학호남진흥원 HIKS_OD_F4006-01-230856 1888년에 창평현에 사는 호주 이풍식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 1888년(고종 25)에 창평현에 사는 호주 이풍식이 가족 구성원의 인적 사항과 소유 노비 현황 등을 기록한 호구단자를 관에 제출하여 확인을 마치고 돌려받은 준호구이다. 환부(鰥夫) 이풍식의 거주지는 창평현(昌平縣) 갑향면(甲鄕面, 현 담양군 대전면) 행정리(杏亭里) 오가작통 순번은 제2통 2호이다. 직역은 유학(幼學)이고 올해 나이는 56세 계사생(癸巳生)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이풍식의 사조(四祖)는 아버지 통덕랑(通德郞) 낙승(洛承), 할아버지 학생 규현(奎鉉), 증조(曾祖) 증가선대부 이조참판 겸동지의금부사 오위도총부 부총관(贈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摠府副摠管) 재원(在元), 외조(外祖) 학생 김상선(金商璇) 본관은 울산(蔚山)이다. 이풍식의 아내 양씨(梁氏)는 사망하였고, 가족으로 큰아들 유학 응태(應泰) 나이 32세 병진생(丙辰生)과 둘째 아들 유학 응국(應國) 나이 30세 무오생(戊午生)이 있다. 소유하고 있는 여종은 복금(卜今)이고 나이 46세 임인생(壬寅生)이다. 문서에 '호적단자(戶籍單子)'와 작성년인 '무자식(戊子式)'이 적혀 있고 열서(列書) 형식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창평현령의 관인(官印)과 서압(署押)이 찍혀있고 주묵(朱墨)의 오가작통 통호(統戶)와 기존호적과 대조 확인을 마쳤다는 '정해호구상준인(丁亥戶口相凖印)'이 적혀 있다. 이는 제출한 호구단자를 구호적(舊戶籍)과 대조 확인을 마친 뒤에 이풍식에게 다시 돌려준 것이므로 준호구로 분류하였다. '정해호구상준인(丁亥戶口相凖印)'의 정해년은 1887년으로 호적개정 식년(式年)이 아니므로 1885년인 을유년(乙酉年)'의 오자(誤字)로 추정된다.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第十昌平甲鄕面杏亭里戶籍單子第二統第二戶鰥夫幼學李灃植年五十六癸巳本全州父通德郞 洛承祖學生 奎鉉曾祖 贈嘉善大夫吏曺參判兼同知義禁府事五衛都揔府副捴管 在元外祖學生金商璇本蔚山妻梁氏故率子幼學 應泰年三十二丙辰次子幼學 應國年三十戊午賤口婢卜今年四十六壬寅丁亥戶口相凖印戊子式[昌平縣令之印]行縣令[署押]

상세정보
저자 :
유형 :
고문서
유형분류 :
증빙류

光緖十一年 月 日 羅州牧考乙酉成籍戶口帳內 新村面龍頭里住第 統第 戶幼學羅燾植年三十五辛亥 本羅州父學生厚集祖幼學時完曾祖學生聖采外祖學生李顯彬 本咸豊妻金氏齡二十九丁巳 籍光山父幼學永聲祖學生道鎭曾祖學生基夏外祖學生朴泰休 本忠州奉母李氏齡六十二甲申籍咸豊仰役婢永德甲寅生等 乙酉戶口自首者牧使○ 연결문서1816년 나성채(羅成采) 준호구(准戶口)1819년 나성채(羅成采) 준호구(準戶口)1825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28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31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34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0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3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46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55년 나성채(羅聖采) 준호구(準戶口)1861년 나시완(羅時完) 준호구(準戶口)1872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76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79년 나도일(羅燾溢) 준호구(準戶口)1885년 나도식(羅燾植) 준호구(準戶口)1888년 나도운(羅燾雲) 준호구(準戶口)1894년 나도신(羅燾臣) 준호구(準戶口)

상세정보
517956
/25898
상단이동 버튼 하단이동 버튼